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교과의 에듀테크 활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채민수 한국지역지리학회 202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중등 지리교사의 에듀테크(edutech)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에듀테크 활용과 교사 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지리 수업의 에듀테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지리교사를 대상으로 에듀테크 활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지리교과의 에듀테크 활용실태에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지리교사들은 에듀테크를 콘텐츠형 에듀테크를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차 에듀테크의 활용 초점이 개인별 수준학습이나 맞춤형 개별학습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지리교과에서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을 위한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리교사들은 에듀테크 관련 교수 효과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에듀테크를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에듀테크를 활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에듀테크의 교수지원, 학습지원, 실시간 협업 지원, 평가지원 활용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셋째, 지리교사들은 에듀테크 관련 연수의 필요성과 연수 참여 의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수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대부분이 교사 연수의 필요성과 참여 의향이 높지만, 연수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응답치가 낮고 연수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넷째, 지리교사들은 에듀테크 활성화를 위한 학교 및정책적 지원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dutech utilization among geography teachers. It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its integration within geography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 several critical insights: First, geography teachers predominantly utilize content-based edutech tools. In light of the growing emphasis on individualized and personalized learning,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strategies that promote a more diverse and innovative application of edutech in geography education. Second, the study finds that geography teachers generally perceive edutech as effective, with those actively employing these technologies rating their effectiveness higher than those who do not. Third, while there is an apparent demand for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edutech training among geography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is low, indicating a need for significant improvement. Finally, the research reveals a critical gap in support from schools and educational policies, with geography teachers perceiving the existing support as insufficient to realize the full potential of edutech in the classroom.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targeted strategies and policy enhancements to ensure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edutech in geography education.

      • 한자 지리 용어 대신에 쉬운 우리말 용어를 공식 용어로 사용하기

        이전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2 地理學論叢 Vol.68 No.-

        지리학자들은 한자 지리 용어 대신에 쉬운 우리말 용어를 공식 용어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초·중·고등학교 지리교육에서는 어려운 한자 용어가 원만한 학습에 장애가 되기 때문에 쉬운 우리말 용어를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써 지리학 학습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고고학계는 한자 고고학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데 훌륭한 성과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학문 분야인데, 지리학계는 고고학계의 성과를 교훈으로 삼아 어려운 한자 지리 용어 대신에 쉬운 우리말 용어를 개발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지리학 분야에서도 쉬운 우리말 용어가 많이 사용됨으로써 지리학이 일반인에게도 선호도가 높은 학문으로 인식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표 1은 지리 교과서에 등장하는 한자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꿀 수 있는 사례를 보여준다. 지리학자와 지리교육 전문가는 남북한의 지리 용어를 어떻게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고민은 쉬운 우리말 용어의 개발 노력과 병행하면서 풀어나갈 수 있다. 끝으로 지리학계의 우리말 사용 노력이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학술·전문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운동을 펼치는 데 적극적으로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Korean geographers should make efforts to use formally the geographic terms originated from Korean language instead of those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geographic terms are so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y can often be a major obstacle to studying geography at school. Korean geographers need to learn a lesson from the Korean Archeology Community that has respectably achieved the terminology transition from Chinese characters to Korean language characters in the past fifty years. Hopefully, I expect that the terminology transition of Korean geographers in the near future will raise the level of geography up to a highly favorite academic discipline. <Table 1> shows the experimental Korean terms that the existing terms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s can be replaced with. If Korean geographers and the Korean specialists in geography education have to find the way how to standardize the geographic terminologies of two Koreas, i.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near future, I think that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 terminologies should be based on the terms originated from Korean language instead of those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s. Finally, I would expect that the transition movement of geographic terminology may contribute to the Korean language movements for academic/technical terms in Korea.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지리교육과정론을 둘러싼 논쟁과 그 함의

        이보영 ( Bo Young Lee ),조철기 ( Chul Ki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최근 일본에서의 지리교육과정론 논쟁, 고등학교 학 습지도요령과 교과서 체계의 변화, 그리고 지리교육연구의 동향을 검토하여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최근 일본에서 지리교육과정론 정립을 둘러싸고 벌어진 일련의 논쟁은 기존의 학문적 체계에 토대를 둔 지식 중심의 지리교육과정에서 벗어나 가치 지향적 내용 구성을 위한 대안 모색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지리학의 계통적 체계에 근거한 ‘지리과 지리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사회과 지리교육과정’과 ‘사회과학과 지리교육과정’ 간의 논쟁으로, 이들의 접근 방식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궁극적으로 시민적 가치교육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의 인식소를 보이고 있다.平成元年(1989년)이후 일본 고등학교에서는 사회과가 해체되어 지리역사과와 공민과로 분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과 교과서 체제는 기존의 지리학의 계통적 체계와 지역적 체계에 토대한 내용 구성의 틀에서 벗어나 보편적인 지리적 쟁점을 세계적 시야에서 자신의 국가 및 지역과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쟁점 중심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는 결국 지리적 쟁점에 대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에 초점을 둔 시민성 교육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더욱이, 이러한 경향은 최근 일본에서의 지리교육연구가 문제해결력, 의사결정력에 초점을 둔 실천적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국 및 미국의 쟁점 중심 지리교육과정 프로젝트를 검토하여 이를 그들의 지리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에 반영하려고 한다는 점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이와 같이 최근 일본에서는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을 중 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지만, 유사한 교육적 환경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기존의 학문적 체계에 토대한 지리교육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우리나라의 지리교육계에서도 지리적 지식 중심의 지리교육과정론 연구에서 탈피하여 시민적 가치교육을 위한 연구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ebates on geography curriculum theory, change of high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and research trend of geography education in Japan. A succession of debates which took place in relate to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in Japan recently can be referred to turn from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academic knowledge to value oriented contents composition. That is, it is debate between 'geography curriculum as social studies' and 'geography curriculum as social science' for alternative of 'geography curriculum as geography subject' based on academic geography. Although these approaches have a difference more or less, they show the common point of having aimed at citizen-value education ultimately. Social studies were divided geography history subject and citizenship subject in high school of Japan after 1989. Nevertheless, system of geography curriculum and textbook in high school gives focus on not the existing systematic or regional system of academic geography but local and global multi-layers of universal big issues around the world. It means turn to citizenship education which focus o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for geographical issues after all. In addition, such a tendency shows recently not only practical research of geography education focus o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in Japan but also theoretical research of issues centered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project of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Thus, although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geography subject is recognized as the important territory in Japan recently,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still focus on system of the existing academic geography. Therefore, even in the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turn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based on geographical knowledge to value education research based on citizenship.

      • KCI등재

        조선전기 지리지에 활용된 거리 단위에 대한 연구 - 경상도 지역 지리지를 사례로 -

        이기봉(Lee, Kib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조선전기의 지리지인 『경상도지리지』(1425), 『세종실록지리지』(1454), 『경상도속찬지리지』(1469),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수록된 경상도 고을의 거리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1415년(태종 15)에 결정된 ‘주척 6척=1보, 360보=1리’의 거리 측정 원칙이 언제부터 적용되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도지리지』,『세종실록지리지』,『경상도속찬지리지』에 수록된 거리 정보는 주척이 아니라 영조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주척을 기준척으로 측정된 수치였다.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거리측정의 원칙은 1415년에 결정되었지만 그것이 적용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토대였던『팔도지리지』(1477)를 편찬되기 위해 전국적으로 거리 정보를 측정할 때였다. 『팔도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1481)을 거쳐 완성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그 이전의 어느 지리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거리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조선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고 지도를 제작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자료가 되었다. 그 토대는 ‘주척 6척=1보, 360보=1리’라는 새로운 원칙 아래 전국 방방곡곡의 거리 정보를 측정하여 수록하려 했던 팔도지리지 편찬 사업의 거대한 결과물이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Gyeongsang Province villages" distance information from Gyeongsang-do-Jiriji(慶尙道地理志, 1425), Sejong-Sill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1454), Gyeongsang-do-Sokchan-Jiriji (慶尙道續撰地理誌, 1469), a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1530), all of which are jiriji (geography book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udy"s aim is to find out when the distance measuring principle of “jucheok(周尺) 6 cheok(尺) = 1 bo(步) ; and 360 bo = 1 li(里),” which was determined in 1415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ance information in Gyeongsang-do-Jiriji, Sejong-Sillok-Jiriji, and Gyeongsang-do-Sokchan-Jiriji was measured based on yeongjocheok and not jucheok. Second,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was measured based on jucheok. Even though the distance measurement principle was proclaimed in 1415, it was actually applied when distance information was measured nationwide to publish Paldo-Jiriji(八道地理志, 1477), the basis for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completed after Paldo-Jiriji and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1481), contains more distance information than any other previous geography books, and became the most important material for identifying Joseon"s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mapmaking practices.

      • KCI등재

        독일 지리교육의 발달

        안영진(Ahn, Young-J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1

        이 연구는 독일의 지리교육의 역사적 발전, 특히 지리교육과정의 변천을 고찰하고자 한다. 독일의 지리교육은 16세기 까지 소급되지만, 국가 차원에서 지리가 학교에서 독자의 필수 교과로 설치된 것은 1872년이었다. 프로이센을 시작으로 독일전역에 지리수업이 행해지면서 ‘지지적 연속’이라는 지리교육과정이 성립하였으며, 이러한 지지(‘지역지리’) 위주의 교육과정은 1960년대 말까지 대체로 유지되다가, 1970년대에 일련의 지리교육과정의 개혁을 통해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1970년대에 학습목표 지향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계통(‘주제’)지리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지리교육과정의 개편이 이뤄졌으며, 또한 나선형 지리교육과정의 기본구조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 후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치면서 독일의 지리교육과정은 지역지리가 회귀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 국제이해, 환경교육 등의 학습내용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에 들어 독일의 지리교육과정은 또 한 번 근본적 개편을 겪고 있는데, 국가 교육표준에 입각한 역량 중심지리교육과정이 실행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overview the history of geography education in Germany, especially the changes in geography curricula. Although geography education in Germany can be traced back to the 16th century, it was in 1872 that the geography (‘Erdkunde’)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obligative subject at the national level. With the start of Prussia, geography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out Germany, and a geography curriculum of a horizon enlargement model called ‘Länderkundlicher Durchgang’ has long been established. This regional geography-oriented curriculum wa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1960s, and a series of curriculum revisions took place in the 1970s. With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courses for learning goals in the 1970s, the curriculum was reorganized to strengthen the systematic geography, and the basic structure of the spiral geography curriculum was formed. Then, in the 1980s and 1990s, the geography curriculum in Germany w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return of regional geograph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learning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emphasized. And in the 2000s, the geography curriculum of Germany has undergone another fundamental shift compared with that of the 1970s, and the competence-oriented geography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is being implemented.

      • KCI등재

        『三國史記』「地理志」의 구조 및 역사성 분석

        송영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2

        『三國史記』「地理志」는 한국고대사 및 음운학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자료이다. 본고에서는 中國 正史 地理志의 구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三國史記』「地理 志」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三國史記』「地理志」의 저본이 무엇인지에 대해 통일신라의 지명 개정 작업 및 지역 조사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中國 正史 地理志는 서술구조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三國史記』「地理 志」 중에서 권34~권36은 연혁 서술이 강조된 ‘宋書 州郡志式 서술’에 가깝고, 권37은 기본 사항만 기입한 ‘漢書 地理志式 서술’에 가깝다. 이는 저본 자료의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中國 正史 地理志는 인구에 대한 사항이 필수적으로 기입되었는데, 『三國史記』「地理志」에서는 인구에 대한 사항이 확인되지 않는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이후 효율적인 통치체제 정비를 위해 神文王代에 전국적으로 행정 구역 개편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景德王代에는 대대적인 지명 개정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후 기록이나 금석문자료를 통해 볼 때 景德王代의 지명 개정 작업은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지역 조사 자료를 작성하였는데, 신라 말에 이 자료를 고려가 고스란히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대신 景德王代 이후의 지명 개정 목록을 바탕으로 고려 또한 지명 개정 작업을 시행하였다. 결국 인구에 대한 사항이 제외된 것 또한 이러한 연유로 추측된다. 그러나 『三國史記』「地理志」는 여러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高麗史』와 『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반영되는 등 후대 한국 지리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三國史記)》 is an essential material for the study of phonology and Korean ancient history. The study compares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 and of official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Songshu(宋書)》 and 《Hanshu(漢書)》 after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geography sections. In addition, it attempts to clarify place name revision and regional survey during Unified Silla(新羅) period, and the original of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 There are three types in the geography sections of official Chinese histo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description. Among series of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 volume 34~36 are similar to a form of description of the geography section of 《Songshu》, whereas volume 37 has similarity to a form of description of the geography section of 《Hanshu》. It is because of differences in original materials. Furthermore, the geography sections of official Chinese history books contain the population information which is not identified in 《Samguksaki》. After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Silla conducted a nationwide project which reorganizes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an aim to govern the country effectively under the reign of King Sinmun(神文王). In addition to this, King Gyoungdeok(景德王) extensively changed geographical names. However, the records and epigraph materials indicate that the project for renaming of the area was not successful. It seems that regional survey data of Silla was not handed over to Goryeo(高麗). However, Goryeo also carried out a project based on the list of revised regional name that wes made after the reign of King Gyoungdeok. In the same way the information on population was probably omitted. Although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saki》 had several limitations, it had a profound effect on Korean geography books such as 《Goryeosa(高麗史)》 and 《Sinz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 KCI등재

        칸트의 『자연지리학』에 대한 시론적 연구 - 환경론을 중심으로 -

        진종헌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2

        최근 코스모폴리타니즘의 논의와 함께 칸트의 지리학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지리학사에서는이미 오래전부터 칸트의 공간개념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지만, 정작 칸트가 생전에 열성적으로 진행했던 지리학강의와 사후에 편집된 『자연지리학』의 내용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았다. 그리하여 다음 몇 가지 관점에서 칸트지리학에 대한 재고찰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데이비드 하비의 칸트지리학의 ‘진부함’에 대한 비판을 사례로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하비의 ‘지리적 인종주의’ 비판은 칸트비판철학에 대한 인류학적, 사회학적 인종주의 비판중심에서 확장하여 지리학적 관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의미가 있다. 둘째, 칸트의 『자연지리학』 과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류학』을 인종과 민족집단의 차이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비교검토하였다. 지리학과인류학은 같이 ‘세계에 대한 지식’으로 간주되었으나, 지리학을 전과학적 상태로부터 발전시켜 칸트사상체계 내에 배치하는 것은 성공적이지 않았다. 셋째, 칸트의 지리학은 자연신학의 체계와 설계론의 개념에서 벗어나고자했다. 넷째, 칸트 지리학과 인류학의 모순은 계몽주의 철학에 내재한 지리환경론적인 유럽중심주의와 해방적 가능성으로서의 코스모폴리타니즘간의 긴장 속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recent discussion of cosmopolitanism, interest in Kant’s geography is gradually growing. In the history of geography, Kant’s concept of space has been treated as important since a long time ago, but there were not many discussions about the contents of his Physical Geography (Physische Geographie) lectures and edited posthumously edited textbook. Therefore, the direction of reconsideration of Kant’s geography was suggested from the following several points of view. First,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of David Harvey’s critique of Kant’s geography as an example. Harvey’s criticism of ‘geographical racism’ is meaningful in that it actively examines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as well as the anthropological and sociological criticism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Second, Kant’s Physical Geography and Anthropology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Anthropologie in Pragmatischer Hinsicht) were compared and reviewed focusing on the explan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races and ethnic groups. Kant’s geography sought to break away from the system of natural theology and the concept of design theory. Fourth, the contradiction between Kant’s geography and anthropology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the tension between the geo-environmental Eurocentrism inherent in Enlightenment philosophy and Cosmopolitanism as a liberating possibility.

      • KCI우수등재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의 인문학적 의미

        박승규(Seungkyu, Park)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1

        이 연구는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인문학적 의미를 탐색한다.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학교의 일상적 행위이기 때문이 아니다.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존재론적 고민 때문이다.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은 지리학의 본질에 다가가는 것이다. 지리학의 본질은 땅에 새겨져 있는 흔적을 토대로 인간과 공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지리교육이기에 인간의 삶에 대한 관심은 지속하여왔다.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 역시도 지리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그런 점에서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은 인문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쓸모있고 실용적인 지리적 지식에 대한 교육을 넘어, 진학이나 취직과는 무관한 쓸모없는 무형의 가치를 지닌 지리적 지혜를 가르치는 것, 그것이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인문학적 의미인 것이다. 나아가,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에 대한 존재론적 논의는 지리교육의 존재론적 논의로 연장되고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humanities meaning of teaching geography. Teaching geography is not because it is a routine activity of the school. It is because of ontological worries about teaching geography. Teaching geography is about reaching the essence of geography. The essence of geography i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space on the basis of the traces carved on the ground. As it is a geography education for human beings, interest in human life has been continued. Understanding human life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teaching geography. In that respect, teaching geography has the humanities meaning. Beyond education on useful and practical geographical knowledge, teaching geographical wisdom with useless intangible values that are not related to further study or employment, it is the humanities meaning of teaching geography. Furthermore, the ontological discussion of teaching geograph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extended and extended to ontological discussion of geography education.

      • 지리정보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 정립에 관한 연구

        김계현,송용철,김한국,민숙주,Kim, Kye-Hyun,Songl, Yong-Cheo,Kim, Han-Guck,Min, Sook-Joo 한국공간정보학회 2003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5 No.2

        NGIS projects have been widely proceeded by the central and municipal governments, and the higher cost for proceeding the NGIS project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data sharing among related agencies. For supporting data sharing, effective data generation, and management. 'THE GUIDELINE FOR MANAGING AND DOCUMENTING GEOGRAPHIC INFORMATION CATALOGUES' has been established and enforced since the year 2002. Although metadata for distributing geographic information through the NGIS distribution network has already been installed, this needs to be complimented to maximize the data utilization. Based on such requirements, a draft standard of the national metadata which is compliant with the ISO 19115 has been proposed from this study. All components of the metadata for distributing geographic information have been included and related metadata items for the management purpose have been derived from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Based on this, draft national metadata standards comprised of 13 sections have been made. The metadata standards from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building basic standards to access and to utilize geographic information in various application field. This would also be fundamental base for activating GI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중앙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금, 지리정보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각 기관들에 산재된 지리정보의 공동 활용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정보 생산 및 관리의 효율성과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목록의작성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이 2002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한 지리정보의 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만, 지리정보관리기관의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지침에 의거하여 ISO 19115에 부합되는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은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을 모두 수용하고, 기존 메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추가하여 총 13개 섹션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통해서 우선 사용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반이 구축되어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GIS 활성화를 위한 커다란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수업과 한국 지리교육과정에의 시사점

        김민성(Kim, Minsu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강좌가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는지를 주요 교재, 강의계획서, 교수자들과의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나아가 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수업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략 중 지역의 역동적 구성과 관련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강좌는 대부분 지역지리적 틀을 활용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교수자들이 지역적 접근을 선택하는 이유는 그것이 가장 지리적이라고 생각하거나 세계지리 주요 교재, 기존 세계지리 수업이 지역적 접근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지역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별 주요 주제, 이슈 등을 탐구기반학습 전략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강좌가 입문 교과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지리학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성격의 세계지리 강좌, 중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 구성 등 우리나라 맥락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the world geography courses in the US universities through analyses of major textbook, course syllabi, and email interviews with instructors.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teaching strategy that understands region as a social construct.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most world regional courses in the US incorporated the regional approach. The instructors reported that they used the regional approach because it is the most geographical way, or the major textbooks and previous courses employed that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regional approach, however, the instructors asked students to delve into crucial topics and issues of each region through inquiry-based learning. Considering that the world regional courses in the US are offered as an introductory class, the structure of the courses provide insight into the liberal arts in universities and secondary level education in Korea, in which most students lack background knowledge of ge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