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양의 사고방식과 그 심리학적 의미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0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4 No.2

        본 논문은 심리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동양의 사고방식의 주요 이론과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 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동양철학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일상적인 마음의 상태에서는 의식될 수 없는, 그러나 의식적 경험의 고양을 통해서 접근이 가능한 인간 경험, 즉 인식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간 경험의 문제는 그동안 심리학의 학문적 논의에서 등한시되어왔던, 그러나 최근에 뇌과학 연구와 지각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에서 새롭게 관심을 모으고 있는 지각적 경험의 문제와 많은 면에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동양에서는 대상과 직접 마주함으로써 드러나는 형태의 인식으로 직접경험을 강조하였고, 이 문제는 중요한 학문적 성찰의 대상이 되었다. 이를 위해 동양의 문화에서는 많은 유형의 명상기법들이 개발되었다. 명상은 직접경험을 방해하는 주관성과 개념에 의한 인위적 사고체계를 극복하여 자신의 마음을 비움으로써 선천적인 직접경험의 인식능력을 회복하도록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명상은 일차적으로 선천적인 지각적 경험에 의한 인식의 능력을 고양시키고 이를 통해 의식적 경험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의로부터 동양의 사고방식의 심리학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동양의 사고방식은 데카르트에 의해 더욱 강화된 심신이원론, 즉 주관과 객관의 분리를 극복하는데 유익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로 동양의 사고방식은 서양의 학문적 논의에서 등한시되고 있는 직접경험에 의한, 지각적 경험에 의한 인식의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끝으로 동양의 사고방식은 직접경험, 즉 지각적 경험을 통한 인식의 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유익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Auffallend in der ostasiatischen Philosopie ist, dass die Erfahrungsaspekte des Bewusstseins thematisiert sind, die sich zwar im gewöhnlichen Zustand dem menschlichen Verstand entziehen, aber mit Hilfe der Steigerung der Wahrnehmungsfähigkeit zugänglich gemacht werden können. Daraus haben sich die charakteristischen Züge der ostasiatischen Denkweise herausgebildet. Dieser Beitrag befasst sich mit der Frage, welche psychologische Bedeutung die ostasiatische Denkweise haben kann. Es wird gezeigt, wie die ostasiatische Denkweise unter dem Einfluss von der ostasiatischen Kulturtradition und Philosopie geformt ist, und welche besondere charakteristische Züge sie aufweist. Dabei wird die ostasiatische Denkweise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unmittelbaren Erfahrung und der Meditation dargestellt. Zum Abschluss wird es versucht, ihre psychologische Bedeutung aufzuzegen.

      • KCI등재후보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예술교육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예술이 마음의 작용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예술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미학이론, 지각 현상학, 시각적 사고 그리고 체화된 마음이론을 중심으로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적경험은 직접경험을 통해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것으로,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고 사물의 이면에 가려져 있는 의미의 세계를 발견하고 구성하는 인지의 한 방식으로 이해된다. 마음의 이와 같은 인지적 측면들은 과학적 사고의 패러다임의 영향으로 학문의 영역에서는 물론 심리학의 영역에서도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각 현상학과 시각적 사고와 같은 지각이론에 의해 인지적 기능과 관련한 예술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고, 최근에는 인지과학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체화된 마음이론과 같은 대안이론들에서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인지의 한 방식이 새롭게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적경험과 예술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논의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강화하고, 예술교육이 미적 형태를 구현하는 기술과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으로부터 벗어나서, 삶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능력으로서의 미적경험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발전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what kind of meaning art has in 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s to draw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the reality governed by scientific thinking.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psychological analysis on aesthetic experiences centered on experimental aesthetics theory, Phenomenology of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embodied mind theory. Aesthetic experiences is understood as one way of cognition to inquire the nature of the things and discover and constitute the world of meaning covered in the back of the things, that is, as one method of cognition thinking perceptually through experiences. This cognitive aspect of the mind understood as aesthetical experiences under the influences of paradigm scientific thinking didn't draw any high attention in psychological area as well as in the area of learning.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art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with cognitive functions by the perception theory lik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recently some presents the possibility to bring about a new concern in the method of cognition thinking perceptually by direct experiences by approaching in the dynamic relation of mind-body-environment the matter of cognition in the embodied mind theory newly appearing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The argument over cognitive functions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art is expected to reinforce art education, and provide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so that art education may escape from the education teaching the technology and functions to embody aesthetic forms into the education to lay emphasis on aesthetic experiences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mpose life.

      • 할인점 PB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와 선호도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김종의(Kim Chong Eui),한동여(Han Dong Yeo),김소리(Kim Soree) 한국유통학회 2006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PB제품은 NB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 때문에 주로 경제성 추구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가의 프리미엄급 PB제품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PB제품의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제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과연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PB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품질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둘째, PB제품의 지각적 품질과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가 PB제품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적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PB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한 후 PB에 대한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올 제시 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PB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풍부하고, PB제품을 사용해 본 후 만족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PB제품의 품질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유통업체의 점포이미지는 PB제품의 품질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PB제품의 지각적 품질과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모두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이 금전효용가치보다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B제품 선호도에는 동일 점포에 입점되어 있는 NB제품의 경쟁력(부의 영향), PB제품 경험 후 태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 그리고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금전효용가치는 PB제품의 선호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제품구매의 지각적 가치가 PB제품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라 하더라도 PB제품의 지각적 품질수준 여하에 따라 PB제품의 구매가치가 크다고 지각될 때에만 PB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PB의 연구자와 유통업계 실무자들에게 유익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perception of consumer about the private brand and to investigate how the monetary utility of the private brand affects the consumer’s preference. The main finding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The consumer’s usage experience with PB have a positive but store imag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perception of PB. The perceived quality and monetary utility of PB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perception while the perceived quality has stronger effect.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al brand in the same store, post-usage attitude, the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value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toward PB but monetary utility does not. The perceived effect has the strongest effect. This result suggests that even the value-seeking consumers prefer PB only when the perceived quality exceeds a certain limits. This study provides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retail managers and theoretical implication for the researcher studying PB.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지각적 경험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

        이모영(Lee, Mo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지각적 경험의 의미와 역할을 미술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각적 경험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지각적 경험의 주요 이론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미술이 구체적으로 어떤 인지적,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미술의 중요한 인지적, 사회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우선 미술은 통합적 사고방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통합적 사고방식은 미술의 이해는 물론 발견과 통찰의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로 미술은 다양성과 개방성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삶에서 다양한 의견을 장려하고, 다름에 대한 개방성과 관용을 발달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로 미술은 소통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로 대립되는 견해가 존재할 때, 미술은 각각의 견해를 고유한 개별적 특수성을 통해 지각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바람직한 행위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미술은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미술교육에서 지각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본 논의는 미술이 우리의 삶에서 왜 중요한지 그리고 미술교육이 공교육의 현장에서 왜 등한시되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논거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for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perceptive experience in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issues raised on the social function of arts. For this, the paper will describe the concept of perceptive experience in detail and analyze major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perceptive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e significant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 of arts was discussed. The significant functions of arts in terms of cognitive and social aspects were as followings. First, arts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tegrated way of thinking. This integrated way of thinking served a very critical role for the understanding of arts as well as the process of artistic discovery and insight. Second, arts served the function to accelerate the sense of diversity and openness. Therefore, art education takes a very significant role to encourage the display of various opinions in life and develop the sense of openness as well as tolerance to differences. And third, arts served the function to accelerate communication. When confronting ideas exist, arts provides a very effective means to derive more ideal acts by helping people perceive each opinion by viewing others' unique characteristics. Through such approach, arts can greatly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confrontation and complication spread in our society. The study that has approached the art education in terms of significance and role of perception is expected to provide the persuasive theoretical bases when it come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art in our lives and stress the art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 KCI등재

        미술의 치료적 기능에 관한 탐색적 고찰 - 지각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이모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5

        This study focuses on issues related to perceptive experiences to specify what kinds of therapeutic roles art plays in art therapy. Academic discussions in art therapy, so far, have been limited to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while ignoring to examine art's specific therapeutic roles. Therefore, discussing the art's therapeutic roles will not only develop the theory of art therapy itself by providing tangible data to prove the potentials of art but also strengthen its scholarly identity by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theories of psychological therapies. For this, the paper will analyze art's therapeutic functions by studying major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erceptive experiences from art therapeutic perspective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ill be the followings: perceptive experiences are not a passive process that factually records outside objects but a highly active and intelligent one, which can be defined as parts of general-accepted perception and art has been proven to activate one by providing energy, allow an easy approach to one's unconsciousness, help one lead one's life more independently through open and flexible thoughts and behaviors and consider and react to problems more efficiently by being more creative.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미술이 어떤 치료적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지각적 경험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동안 미술치료에서 학문적 논의는 주로 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집중되었다. 이에 반해 미술치료에서 미술의 어떤 특성이 치료적 효과를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미술의 치료적 기능에 대한 논의는 미술이 지니고 있는 가능성에 관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치료 이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다른 유형의 심리치료 이론들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도록 함으로써 미술치료의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각적 경험의 개념과 주요 특성을 미술치료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미술의 치료적 기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각적 경험은 외부의 대상을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수동적 과정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매우 지능적인 과정으로, 포괄적 의미에서 이해되는 지각의 개념으로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미술은 에너지를 제공하여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마음의 무의식적 측면에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하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와 행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더욱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자기와의 창조적 만남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무용과 몸 인지의 발제주의적 상호성

        고현정 한국무용교육학회 2020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31 No.3

        Humans live in motion. The concentration we do to think seems to be fixed to one thing because we pay a lot of attention but in fact, it constantly changes with the response to what happens around us, transfers from a thought to other thought. Cognitive science has recently seen a rise in the importance of the cognition in body, with the emergence of a ‘embodied cognition’ theory that claims that body senses or actions affec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mind. In particular, the view of cognition in enactivism asserts the importance of body movement with the idea that thoughts occur not within us, but in what we do, what we achieve. Dance is one of the most primitive forms of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a synchronised and beautiful arts activity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human body. Dance essentially involves the perception of rhythm and the perception of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academic scope of dance to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neuro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and to analyse the special cognition of dancer and what the cognitive process is as well as what the cognitive process contains, by examining the body cognition of the dancer from the perspective of enactivism which explains the cognitive func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ly, discusses movement as a intersubjective participant from the perspective of enactivism. Secondly, to analyses the cognition mediated by sensorimotor knowledge, it structures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dancers and depicts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imotor and possessive knowledge. Thirdly, the behaviour and structure of the mind appearing in our body are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and enactivism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d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