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자극의 망막상 운동거리와 지각된 운동거리가 운동속도 추정에 미치는 영향

        박종진,김형철,김신우 한국인지과학회 2023 인지과학 Vol.34 No.3

        크기, 속도, 시간 항등성은 이차원 망막상의 오차에도 불구하고 삼차원 공간 속 대상을 일관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돕는 기제이다. 이 기제들은 공통적인 단서를 바탕으로 동작하며 이는 운동거리, 운동속도, 운동시간의 지각이 공통된 처리 과정을 공유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시각자극의 공간적 특성이 시간지각을 왜곡시킴에도 불구하고, 환경 속에서 운동하는 물체에서 관찰되는 바와 동일하게 운동속도 지각과 운동시간 지각이 서로 반대되는 경향성을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뮐러-라이어 착시 자극을 사용하여 지각된 속도를 측정하여, 선행연구에서 관찰된 운동자극의 시간지각 결과와 본 연구에서 측정한 속도지각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실험 1은 망막상 운동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지각된 운동거리를 조작하였고, 실험 2는 망막상 운동거리를 조작하여 지각된 운동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그 결과 이동거리가 실제보다 더 길게 지각되는 외측 유도자극에 비해 이동거리가 더 짧게 지각되는 내측 유도자극의 지각된 속도가 증가했다. 이 결과를 외측 유도자극에서 내측 유도자극보다 지각된 움직임 지속시간이 과대추정 되었던 선행연구와 연결지어 정리하자면, 뮐러-라이어 착시에 의하여 조작된 자극의 지각된 운동거리가 일정할 때 지각된 운동시간이 증가하면 지각된 운동속도가 줄어들고, 지각된 운동시간이 줄어들면 지각된 운동속도가 증가한다. 이 관계는 공간단서에 의하여 지각된 시간 및 속도 사이의 관계가 환경 속에서 운동하는 물체가 가지는 속성, 즉 운동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였을 때 운동시간이 증가하면 속도가 감소하고 운동시간이 감소하면 속도가 증가하는 관계에 대응함을 시사한다. Size, velocity, and time equivalence are mechanisms that allow us to perceive objects in three-dimensional space consistently, despite errors on the two-dimensional retinal image. These mechanisms work on common cues, suggesting that the perception of motion distance, motion speed, and motion time may share common processing. This can lead to the hypothesis that, despite the spatial nature of visual stimuli distorting temporal perception, the perception of motion speed and the perception of motion duration will tend to oppose each other, as observed for objects moving in the environment. To test this hypothesis, the present study measured perceived speed using Müller-Lyer illusion stimulu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perception consequences of motion stimuli observ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speed perception measured in the present study.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perceived motion trajectory while controlling for the retinal motion trajectory, and Experiment 2 manipulated the retinal motion trajectory while controlling for the perceived motion trajectory. The result is that the speed of the inward stimulus, which is perceived to be shorter, i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utward stimulus, which is perceived to be longer than the actual distance traveled. Taken together with previous time perception findings, namely that time perception is expanded for outward stimuli and contracted for inward stimuli, this suggests that when the perceived trajectory of a stimulus manipulated by the Müller-Lyer illusion is controlled for, perceived speed decreases with increasing duration and increases with decreasing duration when the perceived distance of the stimulus is constant. This relationship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speed perceived by spatial cues corresponds to the properties of objects moving in the environment, i.e, an increase in time decreases speed and a decrease in time increases speed when distance remains the same.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의 지각 및 대근운동기술 향상을 위한 지각운동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장건,조영희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운동 기회가 적어진 발달장애아동에게 1:1 지각운동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 발달단계에서 가장 발달의 기초가 되는 지각운동기술과 스포츠활동과 학교체육에 기본이 되는 기본운동기술인 대근운동기술 (이동운동능력, 물체조작능력) 향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발달장애아동(8세-15세) 7명이며, 코로나19 그룹수업이 제한된 환경에서 1:1로 16주간 지각운동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지각운동능력(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 검사지와 대근운동기술 검사도구인 TGMD-I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처리 방법은 비모수검정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테스트와 빈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운동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은 발달장애아동의 지각운동기술, 대근운동기술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의 지각운동기술과 대근운동기술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지각운동기술과 대근운동기술의 향상을 위해 본 연구자가 제시한 지각운동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perceptual motor skills and gross motor skills(object-control skills, locomotor skills) through a 1:1 perceptual motor-centered exercise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fewer exercise opportunities due to COVID-19.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8-15 years old), and due to COVID-19, an exercise program centered on perceptual movement was conducted on a 1:1 basis for 16 weeks. The test tools, a 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 test strip and TGMD-II, a gross motor skill test tool, were used.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were perform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ual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perceptual motor-centered exercise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gross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Thir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ceptual motor skills and gross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nclusion, the perceptual motor-centered exercise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erceptual motor skills and gross motor skills, therefore this result showe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exercise program.

      • KCI등재

        누가 불매운동에 참여하는가?: 기업의 비윤리적 사건에 대한 불매운동 참여의도 형성요인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박은아,박민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antecedents of consumers’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a boycott. One hundred eighty fiv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expected that consumers’ perceived egregiousness of a company’s malicious act, identification with the victims of the company’s act, preliminary company preference, and consumer’s perceived self-efficacy of the boycott success would affect the intention of boycott participation. We also expected that self-efficacy would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antecedents which affect the intention of boycott participation. In the main survey, participants read an article about a boycott against one of the two companies (Oxy, E-Land), and they rated the perceived egregiousness, the degree of identification with victims, perceived efficacy of the boycott success,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boycott. As a resul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perceived egregiousness of the company’s evil act had no direc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but it had an effect through the perceived efficacy of the boycott success. However, the identification with victims (+) and preliminary company preference (-) were shown to directly affect the formation of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boycott. Also, these two variables had indirect effects on the intention of boycott participation thorough perceived efficacy. We suggest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ideas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기업의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심각성 지각, 피해자와의 동일시, 불매운동 성공가능성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 그리고 해당 기업 선호도와 같은 요인들이 불매운동 참여의도 형성에 어떻게 영향 미치는지 통합적이고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남녀 대학생 18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기업(옥시, 이랜드)에 대한 평소 선호도를 먼저 측정한 후 해당 기업의 불매운동 관련 기사를 읽도록 하고, 기업 행위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 피해자 동일시, 불매운동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 그리고 불매운동 참여의도를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모형을 확인한 결과, 지각된 심각성은 불매운동 참여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각된 효능감을 통해 불매운동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피해자 동일시와 지각된 효능감은 불매운동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기업선호도는 불매운동 참여의도 뿐 아니라 지각된 심각성에 대해서도 부(-)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쳤다. 즉, 피해자와 동일시하거나 불매운동에 대한 효능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불매운동 참여의도가 높아지지만, 기업의 행위를 심각하게 지각하는 것만으로 불매운동 참여의도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업을 선호할수록 기업의 부도덕한 행위를 덜 심각하게 지각하며, 불매운동 참여의도 또한 낮아진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각운동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시각운동통합기술과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

        김승주,구기쁨,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7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 perceptual motor program in promoting visual motor and motor control outcomes in a child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who is enrolled in an elementary school. Methods : The subject is 8-year-old boy who was diagnosed with ADHD but did not receive medication. Research design is a single-subject A-B-A(follow-up). Baseline and follow-up phase were 3 sessions and intervention phase were 8 sessions. After performing 40 minutes of free play on the baseline A and follow-up A, we used the copying subtest of the Korean Development Test of Visual Perception 2 (K-DTVP-2) for evaluating visual motor integration skill and the rope jumping subtest for motor skill. After providing the perceptual motor activity in intervention phase B, copying and ropejumping were performed. Results : The standard scores of the Copying for measuring visual motor integration skill were poor at an average of 4.7 points at baseline phase A, but maintained an average of 9.6 points at intervention phase B and an below average of 7.7 points at the follow-up phase A. In the Rope jumping for the motor skill, it was increased by 4.3 times in the baseline phase A and 5.9 times in the intervention phase B, but slightly decreased by 5 times in the follow-up phase A.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perceptual motor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visual motor and motor function of ADHD children. 목적 : 지각운동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의 시각운동통합기술과 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로 진단 받았으나 약물중재를 받고 있지 않는 8세 남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follow up)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는 3회기, 중재기 B는 8회기, 추적기간 A는 3회기였다. 기초선기간과 추적기간에는 자유 놀이를 40분간 실시한 후 시각운동통합기술을 보기 위해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의 하위 항목인 따라 그리기와 운동기술을 보기 위해 줄넘기를 실시하였다. 중재기 B에는 지각운동프로그램을 40분간 제공한 후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의 하위 항목인 따라 그리기와줄넘기를 실시하였다. 결과 : 시각운동통합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따라 그리기 항목의 표준점수는 기초선 기간에는 평균 4.7점의 열등수준을 보였지만 중재기간에서는 평균 9.6점의 평균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추적기간에서는 7.7점의 평균이하의수준을 보였다. 아동의 운동기술의 변화를 측정한 줄넘기에서는 기초선 기간에는 4.3회, 중재기간에서는 5.9회로증가된 운동능력을 보였으나, 추적기간에서는 5회로 약간 감소하였다. 결론 : 지각운동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시각운동통합기술과 운동기술의 수행의 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운동지식과 건강위험지각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인경,김영호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목적: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 전공 그리고 운동참여형태에 따른 운동지식, 건강위험지각 그리고 신체활동 의 차이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운동지식과 건강위험지각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대학생 4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4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남성:178, 여성: 252, 평균연령: 20.453 세). 설문지 구성내용은 총 46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4문항, 운동지식 30문항, 건강위험지각 5문항, 신체활동 7문항으 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23.0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 처리하였고, 기술통계,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성, 전공, 운동참여유형에 따라 운동지식, 건강위험지각 그리고 신체활동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생의 운동지식은 신체활동에 영향이 없었으며, 성, 운동참여 유형에 따라 그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지각요인이 차이가 있었다. 논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중재전략은 대상자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exercise knowledge, health risk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by gender, major and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exercise knowledge, health risk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methods: Four hundred fifty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Among them, total 430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178, female: 252, Mage=20.453years). The exercise knowledge, health risk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PSS 23.O.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exercise knowledge, health risk perception and physical activity depending on the college student’s gender, major and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Exercise knowledge among college students did not affect physical activity and there were differences factors that affected their physical activity depending on gender and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conclusion: Intermediation strategies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subject. In addition, in-depth discussions about results of this study and follow up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시각적 운동자극의 망막 상 운동궤적과 지각된 운동궤적이 운동시간 추정에 미치는 영향

        박종진,이형철,김신우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3 No.3

        It is well known that estimated duration on moving stimulus which is presented about one second might be distorted depending on its spatial features. The distortion disappeared, however, when spatial features of a pair of measuring stimulus are perceived as the same with depth cue. This phenomenon is called time constancy. The aim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examine the alternative hypothesis that time constancy is a consequence of size constancy. In the study, Mueller-Lyer illusion was used to measure perceived duration on a pair of stimulus which has the same retinal or perceived motion trajectories. The result shows that estimated duration of the test stimulus was overestimated when the length of perceived trajectories was longer than retinal trajectories compared to that of the standard stimulus and underestimated when the length of perceived trajectory was smaller than retinal trajectory compared to that of the standard stimulus. This implies that distortion in duration perception could be caused even when motion trajectory was perceived the same. This finding is a counterexample against the alternative hypothesis that time constancy might be a consequence of size constancy. 1초 내외의 제시시간을 가지는 운동자극의 제시시간 지각이 그 자극의 공간특성에 의하여 왜곡되는 현상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깊이단서를 사용하여 시간 측정자극 한 쌍의 지각된 공간특성을 일치시키면 시간지각 왜곡이 사라지는데, 이 현상을 시간항등성이라고 부른다. 본 연구는 시간항등성이 크기항등성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대안적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뮐러-라이어 착시를 사용하여 표준자극과 시험자극의 망막 상 운동궤적 일치 조건과 지각된 운동궤적 일치 조건에서 운동자극을 제시하고 그 자극의 지각된 제시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운동궤적이 일치하는 조건과 망막 상 운동궤적이 일치하는 조건에서 모두 표준자극 대비 시험자극의 지각된 운동궤적이 망막 상 운동궤적보다 짧을 경우 지각된 제시시간이 과소추정 되었고 긴 경우 과대추정 되었다. 즉, 시간지각 측정을 위한 두 자극의 지각된 공간특성이 일치해도 시간지각 왜곡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이 발견은 시간항등성이 크기항등성의 결과일 것이라는 대안적 가설에 대한 한 가지 반례이다.

      • KCI등재후보

        수영참가자의 운동 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

        한재문,김원경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수영 참가자를 대상으로 운동 몰입, 생활만족도, 지각된 유능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 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수영운동에 참가하고 있는 수영참가자 342명을 편의표본 추출하였다. 본 설문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에 위치한 에코-랜드 수영장 회원과 인천송도에서 열린 미추홀 듀애슬론대회에 참가자 중 수영운동에 참가하는 대상자,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에서 실시한 수상인명구조요원 재강습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였 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변수들 간 신뢰도분석을 실시하고, 타당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운동 몰입, 생활만족도, 지각된 유능감 간의 영향관계는 경로분석을 실 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로는 첫째, 수영참가자의 운동 몰입은 지각된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영참가자의 지각된 유능감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유능감과 내적만족 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영참가자의 운동 몰입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위몰입과 외적만족, 정신만족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수영참가자의 운동 몰입,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능감은 매개효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wimming participants’exercise flow, perceived competence and life satisfaction. Using convenient sampling was adopted by the survey swimmers who are 342 in the members of swimming clubs participant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and to identify study topic, fundamental frequency analysis. To test inter-variable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In addition,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found by factor analysis among exercise flow,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wimming participants’exercise flow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competence. Second, swimming participants’perceived competence was found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competence and internal satisfaction. Third, swimming participants’exercise flow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with behavioral commitment, external satisfaction and mental satisfaction. Fo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wimming participants’exercise flow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competence was found to have mediation effect.

      • KCI등재

        중학교 태권도선수의 운동 정체성, 성공기대, 가치지각, 지각된 비용 및 성취 행동의 관계

        김지영,윤인애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athletic identity, success expectations, value perception, and achievement behavio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understand thes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behavior of middle school Taekwondo athletes. A total of 262 data were collected excluding 8 data of insincere respon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ver 18.0 progra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less than 0.05.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success expectations, value perceptions, and achievement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in athletic identity, success expectations, value perceptions, perceived cost, and achievement behaviors according to grade.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athletic identity and value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athletic careers.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in athletic identity and value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prize experience. Fifth,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achievement behavior were gender, athletic identity, and value perception, and among them,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athletic identity. Therefore, a strategy to strengthen the athletic identity of middle school Taekwondo players will be needed, and the instructors will need to support the athletes to solidify their athletic identity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태권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 경력, 입상 경험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운동 정체성, 성공기대, 가치지각, 지각된 비용, 성취 행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 운동 정체성, 성공기대, 가치지각, 지각된 비용이 성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편의표본추출법으로 270부의 설문지를 배포했으며, 이중 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된 8부를 제외한 262부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였고,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성공기대, 가치지각, 성취 행동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서는 운동 정체성, 성공기대, 가치지각, 지각된 비용, 성취 행동에서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 경력에 따라 운동 정체성과 가치지각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국대회의입상 경험 유무에 따라 운동 정체성, 가치지각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교 겨루기 태권도선수들의 성취 행동에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은 성별, 운동 정체성, 가치지각으로 조사되었으며,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 정체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중학교 태권도선수의 운동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며, 지도진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하여 선수들이운동 정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

        이문숙 ( Moon-sook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이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일대의 공원과 등산로에서 걷기에 참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걷기 경험이 3년 이상, 주 2회 이상으로 하였다. 148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설문지를 작성 및 수집하였고 13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운동자기효능감, 건강위험지각, 운동지속의지로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 WIN VER 24.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지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과 운동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위험지각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walking during covid-19.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8 walking partipants aged over 65 years in D-city and 137( over 3 years, 2 times a week) of them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health risk perception scal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cale. SPSS WIN VER 24.0 and Amos 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risk percep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direct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mediated by health risk perception.

      • KCI등재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

        이은경 ( Eun Kyung Lee ),홍양자 ( Yang Ja Hong ),정복자 ( Bok Ja J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을 분석하여 재활 및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4~7세의 발달장애유아 20명으로 사용된 측정도구는 이동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과 물체조작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TGMD II(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I)와 3회의 비디오 촬영과 특수체육전문가의 매회 관찰지이다.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은 12개월 간의 사전 연구활동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에게 적합하다고 판정된 것으로 24주 동안 60분씩 24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근운동기술의 사전, 사후 결과를 보기 위해 종속 t-검증(paried t-test)을 실시했고,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단계별 특성분석은 Gallahue와 Ozmun(2002)이 제시한 운동발달단계를 기준으로 3회의 비디오 촬영과 3명의 특수체육전문가가 매회 지속적으로 체크한 관찰지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이동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동운동기술의 6개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달리기(p<.001), 갤롭(p<.001), 홉(p<.001), 립(p<.001), 제자리멀리뛰기(p<.001), 슬라이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이동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물체조작 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물체조작운동기술의 6개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치기(p<.01), 제자리 튀기기(p<.05), 받기(p<.001), 차기(p<.001), 한 손 공 던지기(p<.001), 한 손 공굴리기(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물체조작 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ceptual - 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and provide effective data on the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through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by motor development stages. Participants included 2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t the age of 4-7 years,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instrumentation, 12 items of TGMD II (6 items from each locomotion and object manipulation domai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video footage (3 times) by 3 specia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observations records were utilized. The perpe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through expert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experiments for 12 months were performed 60 minutes, 24 times per week. To see the pre and post results of gross-motor skills, a series of paired t-test was carried out for statistical analyses, and a critical value of α = .05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motor development stages suggested by Gallahue and Ozmun(2002),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records and video footage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locomotive movement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1).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as running(p<.001), galloping(p<.001), hopping (p<.001), leaping(p<.001), horizontal Jump (p<.001) and sliding(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were observed in 6 area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Second,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statisticall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 as two-hand strike(p<.01), stationary bounce(p<.05), catching(p<.001), kicking(p<.001), overhand throw(p<.001) and underhand roll(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motor development stages were observed in 6 area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