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대범,구자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performed the empirical test for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using 390 employee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i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o direct effect of each factor on learning transfer.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of e-learning learner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 and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nd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as well. Perceived usefulne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However, perceived ease-of-us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were analyzed to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transf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signed a new research model that reflects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on acceptance of e-learning that is common in corporate education. It has derived a research mod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which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external characteristics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using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were studied as external factors. Second, most of the studie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learning transfer are conducted in a single country. The reliability was enhanced by testing the study models using different samples from 26 countrie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existing studies have been considered as key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and learning transfer.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ccept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trengthened and supplemented the path of learning transfer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addition, based on the sample analysis of various countries u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중국 온라인 피트니스 앱(App)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킵(Keep) vs 위에둥취안(悅動圈)을 중심으로 -

        유욱호,박상수,조강필,왕서혜 중국지역학회 2021 중국지역연구 Vol.8 No.4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최근 유행하고 있는 피트니스 앱, 킵(Keep; 이하 킵)과 위에 둥취안(悅動圈)을 중심으로 해당 앱의 일상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피트니스 앱 의 특성, 사용자 개인적 특성), 지각된 용이성 및 사용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에 피트니스 앱 이용자 505명(킵/301, 위에둥취안(悅動圈)/204)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 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앱(킵 & 위에둥취안悅動圈)에 따른 차이 분석결과에서는 건강의식 변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킵의 평균값이 위에둥취안(悅動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 이분석 결과에서는 킵의 경우, 편리성, 오락성, 정보성 등 3개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에둥취안(悅動圈)은 9개 변수 모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 사용횟수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에서는 킵의 경우 혁신성, 맞춤성, 자기효능감 등 6개 변수에서 주간 사용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에둥취안(悅動圈)의 경우는 9개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트니스 앱의 특성(편리성, 오락성, 정보성), 사용자 개인적 특성(혁신성, 맞춤성, 자기효능감)이 피트니스 앱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앱의 특성인 오락성, 개인적 특성인 혁신성, 맞춤성,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의 건강의식 조절효과 결과에서는 사용자의 건강의식에 따라 피트니스 특성 인 오락성, 개인특성인 맞춤성이 자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경로계수의 유의성 및 경로계수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집단 비교분석 결과에서는 킵의 경우, 정보성, 자기효능감 2개 변수에서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위에둥취안(悅動圈)의 경우, 오락성, 맞춤성, 자기효능감 3개 변수에서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킵과 위에둥취안(悅動圈) 두 집단 모두 지각된 용이성이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집단의 경로계수 값에 대 한 차이 검증에서는 ‘오락성, 맞춤성, 자기효능감→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용이성→사 용의도’ 4개 경로 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chooses the fitness app ‘Keep’ and ‘Yuedongquan(悅動圈)’ as the analysis object and analyzed the facyors of user characteristics, fitness app characteristic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And conducted a research on taking personal health consciousness as moderating effect.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were examin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app ‘Keep’ and ‘Yuedongquan (悅動圈)’.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in user’ health consciousnes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Keep’ and ‘Yuedongquan(悅動圈)’. ‘Keep’ is higher than ‘Yuedongquan(悅動圈)’. In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in the case of Keep,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variables such as convenience, entertainment. but in case of Yuedungquan, all nine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weekly use, in the case of Keep,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eekly use in 6 variables such as innovativeness and self-efficacy, in the case of Yuedungquan, 9 variables all were foun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entertainment of fitness app, the innovation, customization and self-efficacy of user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In addition, between the entertainment of fitness app, customization of user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ease of use, the health consciousness has the moderating efffct. Betwee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the health consciousness also has the moderating effect. Finally, in the case of multi-group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fitness app of ‘Keep’ and ‘Yuedongquan(悅動圈)’.

      • KCI등재

        스마트 홈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박주현,전재균,이재정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3

        Today, as part of the spatial revolution l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homes are bringing great changes to residential spaces.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 technology. To this end, by applying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addition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personal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enjoyment were included as antecedent factors of intention to u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 innovativeness, the higher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and the higher the perceived ease of use,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higher the perceived enjoyment.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 주도하는 공간혁명의 일환으로 스마트 홈이 주거공간에 커다란 변화을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홈의 기술을 수용하는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 이외에도 개인 혁신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사용의도의 선행요인으로 포함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전국의 스마트 홈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표본 35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 홈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혁신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용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즐거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실제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관광블로그 품질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병옥(Byeong Ok Jeo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3 觀光硏究論叢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블로그 품질이 수용자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희성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블로그 사용자 3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블로그 정보품질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블로그의 서비스품질은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사용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관광블로그 사용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블로그 품질 제고를 통해 사용자의 유용성, 사용용이성, 유희성에 대한 지각수준을 높여줘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quality of travel blogs influence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and intention to u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echniques were applied to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382 blog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formation quality of travel blogs had an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ervice quality influence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Also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ease of use had no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ut to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raise the perception level of usefulness, ease of use and enjoyment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ravel blogs.

      • KCI등재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한 스마트홈 기술의 사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박주현,전재균,이재정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1 산업혁신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AM)의 관점에서 스마트홈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혁신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용이성, 만족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 Davis의 기술수용모델을 기초로 개인 혁신성과 사용자 만족의 새로운 변수를 보완하여 수 정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2020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서울, 경기, 부산, 경남 지역의 스마트홈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자기 기입법을 실시하였으며, 총 23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개인 혁신 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3을 기각되었다. 기각된 이유는 스마트홈 기술 과 같은 IT시스템 경험이 많은 사용자는 유용성을 낮게 지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 다. 넷째,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모두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홈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novative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We present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y complementing new variables of personal innovativeness and user satisfaction. The survey method was self-administrated, and a total of 237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shows that personal innovat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personal innovativenes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ease of use was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hypothesis 3 was reject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users with a lot of system experience, such as smart home technology, tend to perceive usefulness as low. Fourth,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presented the necessary implications for smart home operation.

      • KCI등재

        손목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만족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왕형훼,황용철 한국비즈니스학회 2022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7 No.4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편리성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보편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디자인과 착용감이 유용하지 않다. 배터리 수명은 짧다. 개인 정보의 유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첨단기술은 처음에는 일정 정도 불편하지만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볼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처음 사용할 때에는 누구나 불편하다. 그러나 계속 사용하다보면 익숙해진다. 그 사이에 기술도 소비자 중심으로 바뀐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 용이성도 증가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대중적 사용이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시기가 생각보다 빠를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해서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원이 지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그러나 지각된 유용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호기심이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쾌락적 동기는 지각된 용이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유용성에는 영향이 없었다. 건강정보지향이 지각된 용이성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지각된 유용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지각된 유용성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만족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세무공무원의 국세청전자문서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홍순복(Soon-Bok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는 국세청전자문서시스템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품질요인이 전자문서시스템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 그리고 시스템 사용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기술수용모형(TAM)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국세청전자문서시스템을 수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전자문서시스템의 정보품질변수와 시스템의 사용태도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자문서시스템의 정보품질요인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스템의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전자문서시스템의 정보품질요인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의 완전 매개역할을 통해서 시스템 사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successful the national tax service electronic document system and suggest an application method by investigating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availa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system acceptance suggested by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s a result, perceived avail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were playing roles as mediums on the process of accepting an tax electronic document system, and information qual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system turned out to influence on perceived avail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availability turned out to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This suggests that the more tax officials feel comfortable in using an tax electronic document system, the more useful they perceive it is.

      • 스마트폰 사용자의 수용 후 행동에 대한 연구

        강희택(Kang Hee taek)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에 관한 투자이론(Rusbult, 1980)을 토대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수용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투자이론에 따르면, 관계지속 가능성은 몰입에 의해 결정되고, 몰입은 만족수준, 투자크기, 대안의 품질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을 기반으로 사용자 만족, 사용자 투자(개인화, 학습), 대안의 품질이 몰입(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두 가지 유형의 몰입과 지속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주요 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살펴보고자 하였다.스마트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첫째,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이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자 만족은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화는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습과 대안의 품질은 몰입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사용자 만족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affect smartphone users' post adoptive behaviors based on Investment Model (Rusbult, 1980) deal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Investment Model, probability of persistence is determined by commitment and commit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level and investment size, and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alternatives. Based on such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user satisfaction, investment (personalization, learning), quality of alternatives affect commitment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two types of commitment have an influence on continuance intention.Using data collected from smartphone users, this study find that firstly,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tinuance intention. Secondly, user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s affective commitment, and personalization also positively affects both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while learning and quality of alternatives does not affect them at all. Thirdl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re of importance on the formation of us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ease of use i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perceived usefulness.

      •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의 사용자통제성이 사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건권 한국전산회계학회 2014 電算會計硏究 Vol.12 No.2

        본 연구는 대학의 전산세무회계교육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회계프로그램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상호작용성의 주요 변수로 알려져 있는 사용자통제성(user control)이 사용자들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통계자료 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해서 수집하였다. 서울경기와 충청지역의 5개 대학들에서 전산회계나 전산세무회계 교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400매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에서 160매가 회수되었다. 기재가 불성실한 10매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는 유효 표본 150매를 가설검증을 위해 사용하였다. SPSS를 사용해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했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된 연구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AMOS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통제성은 사용자의 지각된 사용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PEU)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통제성은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PU)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사용자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자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전산세무회계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업들에게 사용자통제성의 품질수준이 높고, 사용자들이 쉽게 수용할 수 있는 회계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