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및관상동맥석회화점수와의 연관성

        조성경,고현민,문진숙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ubclinical hypothyroidism (SCH) and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AC). This study investigated this association in patien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5. Serum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level, free thyroxine level, and the CAC score (CACS)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euthyroid and SCH groups. An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d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atient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serum TSH levels (serum TSH level <4.0, 4.0–10, and >10 μIU/mL), and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linical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TSH level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atients with CACS=0 were classified into the non-calcification group, and those with CACS >0 were classified into the calcification group. The odds ratios of SCH to CAC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erum TSH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e risk of obesity, diabetes, and high triglyceride levels (>150 mg/d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H group. Moreover, the SCH group with TSH levels >10 μIU/mL showed a significant risk of CAC (odds ratio, 3.18; 95% confidence interval, 1.10–9.21). Conclusion: SCH with TSH levels >10 μIU/mL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CACS. 연구배경: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관상동맥 석회화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그 결과 또한 논란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 및 관상동맥석회화 점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위해 일개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혈청 갑상선 기능검사와 MDCT를 시행한 성인 5,3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TSH 농도에 따라 정상갑상선기능군과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군으로 분류하였고 두 군의일반적인 특성 및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 T 검정, chi-square 검정을 사용했다. TSH 농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0.4≤TSH<4.0,4.0–10, >10 µIU/mL) 임상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하였다. 혈중 TSH 및 Free T4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후 편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MDCT를 통해 계산하여 0인 경우 비석회화군, 0을 초과하는 경우를 석회화군으로 분류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상동맥석회화에 대한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교차비를 분석하였다. TSH 농도에 따른 세 군들에서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의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하였다. 결과: 혈중 TSH는 심혈관계 관련 인자인 BMI, 허리둘레, HDL-C, 중성지방과 유의한상관관계를가지며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군에서 비만, 당뇨병, 중성지방이 150 mg/dL 이상일 위험도가 유의하게높았다. 또한 TSH 농도가 10 µIU/mL 이상인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군은 연령을 포함한 모든 변수를 통제한 후 교차비가 3.18 (95%confidence interval, 1.10–9.21)로 관상동맥석회화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혈중 TSH가 10 µIU/mL 이상인 중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관상동맥석회화점수와 독립적으로 연관성이 있다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살메테롤의 효과 및 안정성

        이종명,김능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3

        목적 : 중등도의 천식환자들을 대상으로 지속성 베타2 효능제인 살메테롤 흡입 치료의 유용성 및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경북대학교병원 알레르기 내과를 방문한 중등도의 천식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2주간의 치료준비기간을 거쳐 10주간 치료하였다. 치료기간동안 살메테롤을 1일 2회(기상후 및 취침전) 50㎍씩 흡입시켰으며 치료전후의 천식증상점수, 일일 살부타몰 추가사용 횟수 및 폐기능을 측정하고 아울러 살메테롤의 부작용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 주간 및 야간증상 평가점수와 일일 살부타몰 추가사용 횟수는 치료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상후에 측정한 PEFR은 치료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취침전 PEFR은 유의한 증가가 없었으며, FEV_1 및 FVC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대상환자 모두에서 약제에 의한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 중증도의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살메테롤 50㎍ 1일 2회 흡입요법은 특별한 부작용 없이 주·야간 천식증상 및 기상후 PEFR을 호전시켰으며 살부타몰의 추가사용 횟수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살메테롤은 야간발작성 천식환자 및 잦은 증상을 보이는 중등도 이상의 천식환자에서 유용한 약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Salmeterol is a novel β_2-adrenoreceptor agonist with a long duration of at least 12 hours.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salmeterol inhalation(50/㎍, bid) in 37 patients with moderate asthma. Methods : Our protocol was an open study consisting of a treatment period of 10 weeks' duration. The treatment period was preceded by a run-in period of 2 weeks' duration and followed by a follow-up period of 2 weeks' duration. The efficacy was assessed by symptom scores, pulmonary functions and need for additional rescue medication(salbutamol). The safety was assessed by blood pressure, heart rate, EKG, laboratory findings and adverse ev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available in 30 patients who had finished the whole study periods. Each of the parameter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run-in period. Results : 1. Day-time and night-time symptom score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reatment (p<0.01, respectively). 2. Additonal use of salbutamol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reatment(p<0.01). 3. Morning PEFR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ut evening PEFR did not increase sig nificantly during treatment. 4. FEV_1, and FVC did no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5. No significant side effects of salmeterol was observed during treatment. In conclusion, salmeterol inhalation at a dose of 50 ㎍ bid.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and safe in the treatment of moderate asthma.

      • KCI등재

        식도정맥류 밴드결찰술 후 궤양 치유에 대한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효과

        부귀범 ( Gwi Beom Boo ),오종찬 ( Jong Chan Oh ),이범주 ( Beom Ju Lee ),이동민 ( Dong Min Lee ),김영대 ( Young Dae Kim ),박찬국 ( Chan Guk Park ),김만우 ( Man Woo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1 No.4

        목적: 식도정맥류 출혈 치료에서 식도정맥류밴드결찰술(esophageal band ligation, EVL)은 합병증의 적은 발생 빈도 때문에 최근에 가장 널리 시행되는 치료방법이다. 그러나 EVL 시술 후 거의 대부분에서 의인성의 식도궤양이 발생하기 때문에 출혈, 흉통, 흉골하 작열감, 연하통 등의 합병증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양성자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제제의 일종인 pantoprazole을 사용하여 위산분비를 억제하고 EVL 시행 후 궤양의 치유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체 47명의 간경변으로 인한 식도정맥류 출혈 환자들을 PPI 투여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PPI 투여군에서는 EVL 시행 후 pantoprazole 3일간 40 mg을 하루 한번 정맥 투여하였고 이후 11일간 40 mg을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군에서는 동일한 기간 동안 위약을 정맥 및 경구 투여하였다. 2회의 추적 내시경 검사를 EVL 후 7일째와 14일째 각각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물로 식도궤양의 크기를 측정하고 설문지를 통한 증상 점수를 구한 후 두 군 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47명 모든 환자(PPI투여군 25명, 대조군 22명)가 EVL 후 7일째 추적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26명의 환자(PPI 투여군 16명, 대조군 10명)에서 14일째 추적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19명(PPI투여군 9명, 대조군 10명)의 환자들이 14일째 검사를 거부하였으며, 대조군 중 2명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발생되어 검사를 시행 못하였는데 그 중 한 명은 간부전으로, 다른 한 명은 EVL 후 궤양에서의 출혈과 함께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두 군 간에 환자 특성들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EVL 후 식도 궤양 크기의 비교에서 7일째와 14일째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에서 PPI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작았다(7일째; 98.7 mm2:119.4 mm2, 14일째; 32.3 mm2:42.8 mm2, p<0.001). 설문지를 통한 흉통, 흉골하 작열감, 연하통의 증상 점수의 비교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EVL 시술 후 발생된 식도궤양의 크기 비교에서 시술 후 7일째와 14일째 모두에서 PPI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의미 있게 궤양의 크기가 작았다. 따라서 EVL 시행 후 PPI의 투여는 궤양 치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Esophageal variceal ligation (EVL) is the most preferable method for controling variceal bleeding. However, EVL i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such as hemorrhage, chest pain, dysphagia, and odynophagia due to post-EVL ulcers in the esophageal mucos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proton pump inhibitor (PPI), pantoprazole on the healing of post-EVL ulcers. Methods: Forty seven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PPI group and control group. Patients in PPI group received 40 mg of pantoprazole intravenously for 3 days after EVL, then 40 mg of oral pantoprazole for 11 days consecutively. Control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and oral placebo. Endoscop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twice at 7±2 days and 14±2 days after EVL respectively. Clinical outcomes include the size of ulcers, symptoms reported by patients; chest pain, dysphagia, and odynophagia. Results: Forty seven patients completed the 7 days protocol (PPI/control; 25/22), and twenty six patients completed the 14 days protocol (PPI/control; 16/10). Post-EVL ulcers in PPI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7 days; 98.7 mm2/119.4 mm2, 14 days; 32.3 mm2/43.8 mm2, p<0.01).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wo the groups with respect to summations of symptom scores (p>0.05). Nineteen patients (PPI/control; 9/10) did not complete the 14 days protocol due to patients`` refusal and adverse outcomes, such as hepatic failure and sepsis with bleeding from post-EVL ulcer occurred in two patients of control group. Conclusions: PPI treatment following EVL may be effective in healing post-EVL ulcer.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232-240)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역류증상지수와 역류소견점수의 타당성과 신뢰도

        이병주,왕수건,이진춘,Lee, Byung-Joo,Wang, Soo-Geun,Lee, Jin-Choon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07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18 No.2

        Laryngopharyngeal reflux (LPR) is the retrograde movement of gastric contents into the larynx, pharynx, and upper aero-digestive tract. LPR differs from gastroesophageal reflux in that it is often not associated with heartburn and regurgitation symptoms. Otolaryngological manifestations of acid reflux include a wide range of pharyngeal and laryngeal symptoms. Belafsky et al. developed a useful self-administered tool, the reflux symptom index (RSI), for assessing the degree of LPR symptoms. Patients are asked to use a 0 to 5 point scale to grade the following symptoms: 1) hoarseness or voice problems; 2) throat clearing; 3) excess throat mucus or postnasal drip ; 4) difficulty swallowing; 5) coughing after eating or lying down; 6) breathing difficulties ; 7) troublesome or annoying cough; 8) sensation of something sticking or a lump in the throat; 9) heartburn, chest pain, indigestion or stomach acid coming up. A RSI score greater than 13 is considered abnormal. As there is no validated instrument to document the physical findings and severity of LPR, Belafsky et al. developed an eight-item clinical severity scale for judging laryngoscopic finding, the reflux finding score (RFS). They rated eight LPR-associated findings on a scale from 0 to 4 : subglottic edema, ventricular obliteration, erythema/hyperemia, vocal-fold edema, diffuse laryngeal edema, posterior commissure hypertrophy, granuloma/granulation tissue, and thick endolaryngeal mucus. A RFS score of greater than 7 was found to suggest LPR-associated laryngitis. Although both indices (RSI and RFS) are widely used, there is some controversy about their validit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reliability (intra-rater and inter-rater) in LPR diagnosis and treatment. We discu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SI and RFS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수면장애 융합적 영향요인

        안민권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수면장애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훈련된 연구보조원이 J시의 164명 전립선비대증 환자에게 문장을 설명하고 읽어주어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질문지는 전립선비대증상, 불안, 우울, 수면장애로 구성되었다. 수면장애는 소득, 규칙적인 운동 및 질병의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면장애와 전립선비대증상(r=.45, p<.001), 불안(r=.59, p<.001), 우울(r=.42, p<.001)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면장애 영향요인은 불안(β =.41, p<.001), 소득(β=-.36, p<.001), 전립선비대증상(β =.28, p=.021)이었다. 이들 변수는 수면장애에 대해 41.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수면장애를 줄이기 위해 전립선비대증상과 불안의 융합적 관련성을 고려한 관리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leep disturbance among benign prostate hyperplasia (BPH) patients in South Korea. A trained reporter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by explaining and reading the sentences to 164 BPH patients in J cit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anxiety,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leep disturbance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income, regular exercise, and number of diseas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IPSS (r=.45, p<.001), anxiety (r=.59, p<.001), depression (r=.42, p<.001). The influential factors for sleep disturbance were anxiety (β=.41, p<.001), income (β=-.36, p<.001), IPSS (β=.28, p=.021).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1.2% of the variance in sleep disturb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 management strategy considering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IPSS and anxiety in order to decrease sleep disturbance of BPH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