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소기업을 위한 R&D보험 도입방안 연구

        장동한(Dong Han Chang),박종현(Jong hyun Park)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3 商經硏究 Vol.38 No.2

        글로벌 경쟁 산업구조 속에서 지속적인 성장의 경쟁력은 중소기업의 기술력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중소기업들은 고부가가치 창출 및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비중은 매우 크다. 따라서 정부는 중소기업들의 자금조달, 금융시스템 보완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R&D 지원 방안으로서 R&D 보험의 도입을 통해 실질적인 중소기업 지원과 육성에 필요한 정책과제 개발이 필요하다. R&D 보험을 통해 중소기업의 우발적 도산 위험으로부터 R&D 투자기금의 위험분산 효과와 기술개발 실패 시 리스크의 전가 방안으로서 R&D 보험을 통해 중소기업이 재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중소기업 R&D 사업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R&D 금융지원제도를 분석하고, R&D보험 모형을 도출하여 R&D 보험 시행을 위한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One of big challenges for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economy is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big businesses and small businesses. Most importantl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business may be the most important solution and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is task is critically significant. As a new policy for enhancing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mall businesses, introduction of R&D insurance is discussed recently and it is defined as an insurance to pool many risks and to pay for losses out of failures in R&D investment. R&D insurance is expected to support a failed small business out of R&D investment and to raise system efficiency of R&D investment of small busin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D financial support institu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derive R&D insurance model, and propose the introduction for R&D insurance implementation.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R&D 인력 지원 현황 및 발전 방안

        김윤조,전정환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4 지역산업연구 Vol.37 No.4

        Although R&D investment of government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ME) isgetting an increase, technological level or exports of SMEs is declining gradually. Because of lack oftechnical capabilities, SMEs have a limit on the growth of a mid-sized enterprises. The shortage ofR&D manpower of SMEs is becoming increasingly weighted. In order to improve these poor reality ofSMEs, the effective personnel support program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status of R&D support on SMEs, analyzes the status and problem of R&D employment of SMEs, andderives the government's policy to support the R&D manpower of SMEs. R&D support scale, R&Dinvestment field, R&D policy, and social recognition on SMEs a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expected to give the policy guideline on SMEs which can help SMEs grow by stable R&D manpower. 정부차원에서의 중소기업 R&D 투자비중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나, 중소기업의 기술수준 및 수출비중은 정체되거나 후퇴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기술역량 부족으로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에 한계가있으며, 중소기업의 R&D 인력난은 점점 가중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열악한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R&D 활동과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인력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기업 R&D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중소기업 R&D 인력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중소기업 R&D 인력지원을 위하여 정부가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정책과제는 중소기업 R&D 인력의 지원 규모, 지원 분야, 지원 정책 및 중소기업에대한 사회적 인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이 안정적으로 R&D인력을 수급함으로써 기술혁신을 통하여 중견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 마련 및 중소기업 R&D 인력 고용개선에 대한 정책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소기업/중견기업/소상공인/지역기업]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업특성과 기술혁신성에 따른 R&D 성과에 관한 연구

        현승용 ( Seung Yong Hyun ),최윤석 ( Yoon Seok Choi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3 中小企業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R&D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기존 연구에서 기업의 경영환경적 특성의 주요 테마인 환경불확실성, 분권화 뿐만 아니라, 자원기반관점에서 기업의 유 · 무형적 자산과 특성, 정부 지원 등을 동시에 고려하고, 특히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이 R&D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R&D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변수들을 포함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기업의 R&D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측정을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경영환경적 특성으로서 외적 구조인 환경불확실성, 내적 구조인 분권화 정도, 외부 자원인 정부지원, 내부 자원인 규모와 업력 등 외생 변수가 기술혁신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2,3,4를 검증한 결과, 내부자원(.299) →환경불확실성(.158) →분권화(.101)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자원 요인이 제일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결국 기업이 오랜 기간 경영활동을 통해 축적한유 · 무형의 자산, 즉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업의 역량이 기술혁신성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둘째,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환경불확실성, 분권화, 외부자원, 내부자원 요인은 R&D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6,7,8을 검증한 결과, 이들 각 4개 요인은 R&D성과에 직접적으로 아무런 여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적 특성은 일반적인 경영성과에는 영향을 미칠수 있으나 이보다 선행되는 관점에서 기술혁신성과 관련 있는 R&D 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나타내며, 특히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본연의 기술혁신성을 통한경쟁우위 전략에 더욱 노력을 기올여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이 R&D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9를 검증한 결과 기술혁신성이 R&D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신제품과 특허 등에 관련을 두고 1차적 성과라고 볼 수 있는 R&D 성과를 좌우하는 요인은 여러 경영환경적 특성과 구조적, 자원적 요인으로는 부족하며, 실질적 기업의 기술혁신성의 강화와 이를 뒷받침하는 조직문화가 구축될 때, R&D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아직 시도되지 않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R&D 성과에 관한 연구로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본연의 성격에 주목하여 이들의 R&D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결정요인을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ype small businesse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on their R&D performances.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has considered not only the major themes of corporate manage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examined in advanced research such as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decentralization but also a company`s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characteristics, or governmental support from the aspects of its resource ground as well, and it also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on their R&D performances. For this, the paper formulates its hypotheses as well as its study model including study variables affecting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ype small businesses` R&D performances. In 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ground and study subject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rticle measures each of the study variables through a survey targeting INNOBIZ small businesse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the study figures out correlation among the study variables suggested here in this paper, and to measure variables affecting corporate R&D performances, it applies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for positive analysis. The study will discuss its results drawn through the above study method and analysis procedure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hypo thesis 1,2,3, and 4 that exogenous variables including environmental uncertainty of the external structure, the degree of decentraliz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governmental support of the external resource, and the scale and cooperation of internal resources as corporate manage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ill influence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here exists greater influence in internal resources (.299), environmental uncertainty (.158), and decentralization (.101) in order. The result that the factor of internal resources has the greatest influence implies that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ccumulated through a company`s long-term management activity, that is, corporate capabilities we can generally think of, work positively on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5,6,7, and 8 that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factor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decentralization, external resources, and internal resources will influence their R&D performances, these four factors do not have any direct influence on R&D performances. This means that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manage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may affect their general management performances, but from a preceding perspective, they do not show direct influence on R&D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performances. In particular, this implies that it is needed to make further efforts for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own original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9 that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will affect their R&D performance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do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D performances. To sum up the above study findings, the factors affecting R&D performances, that is, primary performances in connection with new products or patents still lack to be any managemen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r structural and resource factors. Thus, when a company`s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is enhanced practically and its organizational culture supporting it is built, it will be possible to elevate its R&D performances. This study deals with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R&D performances that have not been investigated yet in advanced research.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s on technological innovativeness-type small businesse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figures out determinants to improve their R&D performances through empirical research.

      • 연구개발 투자 증가와 기업성장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안수근(SooGeun Ahn),윤지환(Jeewhan Yoon),김영준(YoungJun Kim) 한국경영학회 2017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08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통해 높은 성장을 경험한 이후에는 낮은 성장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⑴ 중소기업의 연도별 성장률 분석을 통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기업성장과정(패턴)의 특성을 비교하고 ⑵ R&D 투자가 증가한 중소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높은 성장을 할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대기업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연도별 기업성장률은 음(-)의 autocorrelation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OLS 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의 성장률 상위분위에서 중소기업의 연도별 기업성장률에 유의한 음(-)의 autocorrelation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업의 연도별 기업성장률은 분위회귀분석의 성장률 분위 QR_75 이하에서 유의한 양(+)의 autocorrelation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다소 erratic하고, ‘start-and-stop’한 성장과정을 겪는 반면,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비해 비교적 부드러운 성장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업의 R&D 투자 증가가 연도별 기업성장률의 autocorrelatio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R&D 투자가 증가하지 않은 기업들의 연도별 기업성장률은 성장률 상위분위에서 음(-)의 autocorrelation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R&D 투자가 증가한 기업들은 성장률 상위분위에서 R&D 투자가 증가하지 않은 기업들 대비 양(+)의 autocorrelation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R&D 투자가 증가한 대기업은 중소기업보다 R&D 투자 증가가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성공적인 R&D 투자 증가를 통해 높고 지속적인 성장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Using an augmented version of Gibrat’s law, we theorized the persistence of firm growth when firms increase their R&D investment. Based on 17 years of data from 1,361 firms(SMEs 616; large firms 745)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 past growth rate and R&D investment on the current growth rat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increasing R&D investment can help firms grow persistently. This study findings suggested that high-growt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re likely to show declining growth after their high growth, and this is supporting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we also found high-growth SMEs that increased their R&D investment could outperform their counterparts that do not in the following year.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persistence of firm growth as follows: (1) we found that SMEs can grow continuously by successful outcomes from increasing R&D investment, although SMEs are prone to have difficulty in persistent growth; (2) we empirically showed that R&D investment could help firms grow persistently,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autocorrelation in annual growth rates; and (3) policy makers should develop the way of increasing R&D investment when they target HGFs and SMEs to achiev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 KCI등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협력에 관한 사례연구

        전중양(Joong Yang Jeon),정선양(Sunyang Chung) 한국경영학회 2014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R&D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대기업과의 R&D 협력의 여러 방법에 대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에서의 성공요인과 보완요소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방법에는 공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설문조사방법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의 범위는 산-학-연과의 중소기업 협력을 모두 포함하였으며, 공공기관-중소기업, 대학- 중소기업, 대기업-중소기업의 3가지 유형에서 나타나는 이슈를 중점적으로 인터뷰하였다. 그동안 선진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던CEO의 의지 및 연구원의 참여, 신제품개발관리, 협력네트워크 활용, 지식흡수, 인력유출 및 보안, 협력애로요인에 심층 분석하여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에서의 중요한 요인을 검토하였으며, 대·중소기업간 R&D 협력 문제 개선요인으로는 정부차원 15건, 대기업차원 10건, 중소기업차원 5건으로 정책의 개선사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사례연구의 교육적 함의로 첫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여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 성과를 높이고 협력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대·중소기업간 R&D협력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적인 개선방안 및 주요요인으로 CEO의 의지, 공동의 목표의식, 외부네트워크의 활용, 전담인력 배치, 지리적인 인접성, 정보보호관리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In this paper herein, we have conducted a series of case studies concerning a number of methods on R&D cooperation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for a measur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uth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nd reinforce their R&D capability. In particular, in-depth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success factors and complementary factors in R&D capability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by analyzing cases of new product development with conditional purchase option that can be a signature case of R&D capability between large sized-firms and small & medium sized-firms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we also conducted questionnaire analysis and interviews. The R&D cooperation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includes all kinds of cooperations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mong industry- academies-research. The interview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nd focused on the 3 following types: public institution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university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and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We identify some policy implications, First, we suggest the policy measures that can create synergy through cooperation by analyzing merits and demerits of large-sized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Second, we suggest some measures that can enhance the cooperation performance of large-sized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and improve the cooper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ird, we suggest additional policy measures that can effectively promote R&D cooperation, CEOs` intentions, common goal awareness, outside network application, designated personnel placement, geological adjacency, and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 KCI등재

        중소기업의 R&D역량과 기업가정신이혁신활동을 매개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선하,홍진환,이훈희 한국중소기업학회 2023 中小企業硏究 Vol.45 No.1

        Although SMEs' R&D investment is increasing and their R&D capabilities are strengthened, SMEs' performance has not reached the expect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s of SMEs' R&D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ship on their sales performances, with mediating role of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as an intermediate process. We made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2,013 SMEs completed government-sponsored R&D projects and sales data from credit rating database. Through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SMEs’ R&D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ship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innovation activities. SMEs’ R&D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ship have no significant impacts on sales performance directly, however, they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when mediated by innovation activities. Organizational learn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ship, and sales performance. This study found meaningful R&D-related variables that have effects on SMEs’ performanc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process. In addition, it presents implications on SMEs’ capabilities and activities, and government support programmes for SMEs to enhance R&D performances.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증가하고, R&D 역량이 강화되고 있지만, 매출 성과는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R&D 역량과 기업가정신이 매출 성과로 이어지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서 혁신활동과 조직학습의 역할을 실증하였다. 정부의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에 참여하여 R&D 프로젝트를 완료한 2,013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와 신용평가사 데이터를 통한 매출 성과를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의 R&D역량과 기업가정신은 혁신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R&D역량과 기업가정신은 매출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혁신활동을 매개하여 매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학습은 R&D역량과 기업가정신이 혁신활동을 통해 매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정(+)의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R&D 관련 변수들을 발굴하고 실행과정에서의 혁신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이 R&D 성과 창출을 위해 필요한 역량과 활동, 정부의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개방형 혁신이 혁신성과에 기여하는가? : 한국 중소기업으로부터의 실증적 증거

        권영관 한국중소기업학회 2010 中小企業硏究 Vol.32 No.2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play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economy and are also important objects of economic and industrial policies in industrialized economies. On the other hand, innovation is a critical factor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of firm as well as for long-run economic growth. Therefore, most innovative firms invest much resource in innovation activities including R&D, one of important business activities in firms. However, innovation can be more difficult challenge for SMEs because SMEs, in general, have lacks of innovation resources and complementary assets such as marketing and production capabilities, etc. for commercializing innovative outputs. In addition,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innovation characterized by decreasing product life cycles, increasing uncertainty and risk of R&D, etc. are also other barriers for innovation of firms including SMEs. Accordingly, many firms tend to search new knowledge from various external sources and to pursue to achieve innovations through cooperation with broadly distributed external innovators for gaining access to or sharing innovation resources or knowledge of external innovators. This innovation strategy can be incorporated within a new conceptual framework called ‘Open Innovation', which nowadays is recognized as a new innovation paradigm by many academic scholars and business managers and is spreading rapidly to academics and business practices even though there is a controversy surrounding the open innovation. As a result,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related to the open innovation are fast growing. Nonetheless, there are lacks of empirical literatures dealing with the open innovation activities of firms, particularly SMEs, and thus we have little empirical evidences about how opening for innovation can shape innovation performance of firms (including SMEs). Under this context, this research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innovation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firms by focusing on SMEs in South Korea in basis on a large scale survey, named ‘Survey on Technology of SMEs', which has been conducted by a public organization, Korea Found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South Korea from 1995. Objective of this empirical research is to complement previous literatures on open innovation an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business managers and policy-makers interested i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strategy or policy. To do so,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the open innova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especially by focusing on ‘Inbound' open innovation (outside-in process) even though there are many important open innovation mechanisms categorized into ‘Outbound' type (inside-out process) and the coupled process of Inbound and Outbound. More concretely speaking, the paper examined the effectiveness on SMEs' innovation performance of opening R&D processes in two perspectives of the openness, investments in open R&D activities and networking for open R&D. Open R&D activities were divided by two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collaboration R&D' and ‘bought-in R&D', whereas networking for open R&D was focused on formal relationship with different types of external innovators and examined in a viewpoint of network size. Furthermore, this empirical paper also investigated how the internal R&D effort influences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because most firms invest much resource in internal innovation activities simultaneously in spite of pursuing to open innov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obtain empirical evidences about how interactions between the internal R&D effort and the open R&D efforts influence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ose that had been collected for total 3,400 sample SMEs that had conducted R&D during the past two years (from 2005 to 2006), which is a largest survey of i... 혁신은 경제성장 뿐 아니라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이라는 새로운 혁신패러다임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하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 논의나 주로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 내지 소규모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고, 나아가 경영실무자나 정책입안자에게 혁신전략 또는 혁신정책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설문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중소기업들의 개방형 혁신활동과 혁신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의 다양한 방식들 중에서 특히 ‘Inbound(outside-in process)' 개방형 혁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 자체 R&D 노력이 중요하다는 증거를 얻었다. 둘째, 자체 R&D노력과는 별도로 개방형 혁신을 위한 R&D노력은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향상에 유효하며, 그러한 유효성은 개방형 R&D의 유형에 관계없이 일치된 결과가 얻어졌다. 셋째, 개방형 혁신을 위해 외부 혁신주체들과 공식적인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것은 외부 혁신주체들로부터 획득하는 지식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자체 R&D노력과 개방형 혁신을 위한 R&D노력을 동시에 강화시키는 것은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오히려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실증적 증거들은 그 동안 개방형 혁신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주로 선진국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들이 보여주는 개방형 혁신의 유효성이 한국 중소기업에도 유효한 혁신패러다임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고 있으며, 혁신 내지 개방형 혁신을 연구하는 학자는 물론 경영실무자, 정책입안자에게 개방형 혁신 전략 내지 혁신정책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혁신형 중소기업의 사모주식발행이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신민식 ( Min Shik Shin ),전승훈 ( Seung Hun Jun ),박유진 ( Yu Jin Par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3 中小企業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1999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사모주식발행이 R&D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중소기업청에서는 정책적 목적에서 벤처리업, 이노비즈기업 및 경영혁신형기업을 혁신형 중소기업으로 지정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모주식발행이 R&D 투자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현금자산변화와 운전자본 변화는 R&D 투자에 각각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소기업이 사모주식발행으로 조달한 자기자본 중에서 일부는 당해 연도의 R&D 투자에 사용하고, 나머지 일부는 현금자산이나 운전자본으로 예비적으로 보유하였다가 다음 연도의 유망한 R&D 투자에 사용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모주식발행이 혁신형 중소기업의 R&D 투자에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비혁신형 중소기업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D 투자를 자산처리 R&D 투자와 비용처리 R&D 투자로 구분하여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우네는 사모주식발행이 자산처리 R&D 투자와 비용처리 R&D 투자에 각각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비혁신형 중소기업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중소기업은 비대칭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R&D 투자자본을 조달하기 위하여 사모주식발행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혁신형 중소기업은 비혁신형 중소기업보다 R&D 투자자본을 조달하기 위하여 사모주식발행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 경영혁신형기업과 같은 혁신형 중소기업이 사모주식발행을 통하여 R&D 투자자본을 효과적으로 조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R&D 투자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effect of private equity financing on R&D investment of innovativ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listed on Kosdaq Market of Korea Exchange. Korea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BA) designates venture business, innobiz firms, and management innovative firms as innovative SMEs for policy purpos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rivate equity financing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R&D investment, and cash asset change and working capital change have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R&D investment. This implies that SMEs use part of private equity financing for current R&D investment, and hold remaining part of private equity financing as ‘precautionary’ cash asset and working capital until promising R&D investment opportunities will be found, and ultimately use large part of private equity financing for future R&D investment. However, private equity financing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R&D investment of innovative SMEs, while it is insignificant for non-innovative ones. Moreover, private equity financing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both asset-counted R&D investment and cost-counted R&D investment of innovative SMEs, while it is insignificant for non-innovative ones. Asset-counted R&D investment is counted as the intangible assets in the balance sheet, while cost-counted R&D investment is counted as the current expenses in the income statement. The intangible assets created by asset-counted R&D investment may act as an innovative driver that can have a greater multiplier effect on the firm value than the tangible assets.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evidence that SMEs use private equity financing to fund R&D investment in the existence of the asymmetric information. Moreover, innovative SMEs use more private equity financing to fund R&D investment than non-innovative ones. These findings suggest a new policy implication into how private equity financing can be particularly valuable to promote R&D investment of innovative SMEs such as venture business, innobiz firms, and management innovative firms.

      • KCI등재

        국립공고 출신 R&D 인력 양성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 조사

        이병욱,이상현,안재영,이찬주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mands and the actual status of R&D manpower that graduated from National vocational high schools so as to examine possibilities to cultivate it in SMEs(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at the middle stage and necessities to do it through a study on awareness and demands of industrial bodies. To achieve them, total 400 copies of a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SMEs by recommendation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National vocational high schools. The 148 copies of the questionnaire (37.0%) were collected and 127 ones of the questionnaire (31.8%)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Es have provided manpower that graduated from high school for SMEs R&D Laboratory. And there will be lots of demands related to manpower that graduated from high school with skillful functions and technical skills. In addition, there was also SMEs' awareness about cultivation of R&D manpower based on elementary-level skills' training and high intention of the recruitment. Second, for cultivation of R&D manpower that graduated from high school, it's necessary to cultivate occupational basic abilities, skills learning abilities, and job creation abilities. For that, National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to set educational goals as 'cultivation of technical manpower gifted'. and it needs to develop the curriculum to get experienced major technical skills and job creation abilites. Third, to cultivate manpower demanded by SMEs, they first support and participate in it. To cultivate excellent R&D manpower, not only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ful technology but also understanding of the SMEs field, field experience in the actual industrial field, etc. are necessary. Therefore, various political efforts should be accompanied so that industrial bodie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중등단계에서의 중소기업 R&D 인력 양성 가능성을 검토해 보기위해 국립공고 출신 R&D 인력의 수요 및 실태를 조사하고, 중소기업의 인식 및 요구 조사를 통해 국립공고 출신 R&D 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과 국립공고의 추천을 통해 중소기업 대상으로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148부(37.0%)를 회수하여 127부(31.8%)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에서는 이미 고졸인력을 중소기업 연구소 R&D에 투입하고 있으며, 향후 숙련기능·기술력을 가진 고졸 인력 관련 수요가 상당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초급 수준의 기술숙련 기반 R&D 인력으로 양성하는 것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과 채용에 대한 의향 역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교 수준의 R&D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중소기업과 중소기업 부설 연구소의 요구가 높은 직업 기초 능력, 기술 숙련 능력, 직무 발명 능력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국립공고의 교육 목표를 ‘기술영재양성’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숙련된 전공 기술 능력과 직무 발명 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교육 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중소기업에서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산업체의 지원과 참여가 필요하다. 우수한 R&D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전공 지식과 숙련된기술 뿐 아니라 중소기업 현장에 대한 이해와 실제 산업체의 현장 경험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소기업을 비롯한 산업체가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 부처별 중소기업에 대한 국가연구개발 투자 효율성 분석

        배은송(Eun Song Ba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정부는 국가성장의 동력으로 중소기업의 매출증가 및 고용창출 등의 중소기업 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기술혁신지원 제도 및 기업 성장 정책(Scale-up)을 꾸준히 추진해오고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에 대한 R&D지원 사업 및 투자 효율성에 대한 평가는 중소기업 지원 R&D만을 한정하여 평가하거나, 국가R&D 전체 투자 효율성 평가는 R&D 성과 기준인 특허, 논문 등의 평가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방식만으로는 국가R&D 사업 전체에 대한 투자가 중소기업 투자 효율성 및 중소기업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DEA모형을 사용하여 2017년의 국가연구개발 전체 사업 중 중소기업이 참여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에 대하여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개의 연구모델을 수립하였다. 부처별 중소기업에 대한 국가연구개발 투자비용에 대한 상대적 효율성 분석과 중소기업별 국가연구개발 투자비용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보 및 중소기업 재무정보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운영하고 있는 K2Base(국가연구개발 정보 통합 지원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하였다. 또한 부처별 DEA 분석을 통하여 비효율적인 기관의 잠재적인 개선 가능치를 도출하였으며, 중소기업별 효율성 결과를 토대로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인 6T와 부처별 그룹의 효율성 평균 차이분석을 실시하여 기관별 특성을 고려하여 상대적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연구개발투자가 중소기업 성장에 실질적 효율성이 있는지 검증하였으며, 향후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중장기 계획 및 예산 등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The government has been steadily promoting SMEs technology innovation support system and enterprise growth policy (scale-up) for SMEs growth such as sales increase and job creation as the driving force of national growth. The evaluation of R & D support projects and investment efficiency for SMEs is mainly limited to SMEs support R & D,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national R & D investment efficiency is based on R & D performance standards such as patents and papers. However, This evaluation method real assessment of the investment in total national R & D projects affecting the small business investment efficiency and SMEs growth is difficult. In this study establishes two research models using DEA to analyzze the efficiency with respect to the national R&D investments of SMEs participating country entire R&D projects in 2017.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national R & D investment by agencies, second is to analyzed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R & D investment by SMEs. We used "K2Base" website for R & D project information and SMEs information operating at KISTEP. In addition, DEA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improvement potential of ineffective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efficiency of SMEs to carry out efficient mean difference analysis of 6T and departmental group been verified relative efficienc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institution. In this way, National R & D investment has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growth of SMEs. In the future, the efficiency of national R & D investment for SMEs will be improved and the basis for policy decision making for Long Term Pla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