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예부흥 운동과 종교개혁 운동

        이양호(Yang ho Lee) 혜암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교회 Vol.5 No.-

        과거에는 계몽주의자들의 영향에 의해 서양의 역사를 고대 문명 시대, 중세 암흑시대, 근대 문명회복 시대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역사관에서 르네상스는 고대 문명을 회복한 것이거나, 아니면 근대 문명을 선취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종교개혁은 중세 시대로 되돌아 간 것으로 평가되고, 그래서 르네상스에서 시작한 근대 문화를 지연시킨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소위 “중세주의자들의 반란”에 의해 중세가 결코 암흑시대가 아닌 것이 드러나면서 계몽주의자들의 역사 해석이 도전을 받게 되었다. 중세주의자들은 “12세기의 르네상스”, “중세의 인문주의”라는 말을 즐겨 사용하였다. 이제 역사가들은 중세를 암흑시대로 폄하하지 않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르네상스의 독특성이 부인되는 것도 아니다. 중세가 그나름으로 활력의 시대였다면, 르네상스도 그 나름의 특성이 있는 시대였다. 샌포드가 주장한 것처럼 르네상스는 세속주의, 개인주의, 기존 권위에 대한 도전이라는 점에서 중세와 구별되는 독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관계에 대해 이 둘은 상반된다는 주장도 있고, 종교개혁은 르네상스의 신학적 성취라는 주장도 있다. 종교개혁자들은 분명히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영향에 의해 중세 교회를 비판하고 교회 개혁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종교개혁자들은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을 전적으로 따른 것은 아니었다. 종교개혁자들은 인문주의자들의 세속성을 비판하고 신앙적 경건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중세 시대가 교권이 지배하는 타율적 시대였고, 르네상스 시대가 자율을 강조하는 자율의 시대였다면, 종교개혁은 보편적인 하나님의 뜻을 강조하는 신율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ast, by the influence of the Enlightenment, the western history was interpreted as consisting of the period of the ancient civilization, the medieval dark age, and the modern restoration of the civilization. In this perspective, Renaissance was considered as the revival of the ancient culture or the forerunner of the modern culture. And the Reformation was regarded as returning to the medieval age, and the suspension of the modern culture which began with the Renaissance.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Enlightenment of the medieval age was challenged by “the revolt of the medievalists.” The medievalists used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or “the medieval humanism.” Nowadays the historians do not think the medieval period as the dark age. The historians, however, do not deny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naissance. According to Eva Matthews Sanford, secularism, individualism, and criticism of the established authority are much stressed a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Renaissance. Some scholars argued that the Reformation was basically at odds with the Renaissance, and others insisted that the Reformation was the “theological fulfillment of the Renaissance.” The Reformers were influenced by the Renaissance, and they criticized the church and tried to reform the church on the basis of the works of the humanists. The Reformers, however, did not entirely follow the humanists of the Renaissance. They criticized the secularism of the humanists. In short, the medieval age was the period of “heteronomy,” the Renaissance was the period of “autonomy,” and the Reformers emphasized the culture of “theonomy.”

      • KCI등재

        C. H.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에 대한 사학사적 검토

        박민아(Park Min A)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20세기 초 미국의 혁신주의가 현저히 모습을 드러내고 그 중심에는 윌슨주의가 팽배해 있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해스킨스는 현실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역사가였다. 1927년에 출간된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는 미국이 강대국으로 성장해나가는 전환기적 시대 흐름 속에서 요구되었던 강력한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결과물이었다. 해스킨스가 『12세기 르네상스』에서 강조하였던 지식인들의 대두, 관료제와 중앙집권화의 시작, 대학의 형성은 오늘날 근대국가가 탄생하게 된 지적 배경이 되었다. 해스킨스는 12세기 유럽의 지적 혁명과 제도적 변화들을 20세기 미국의 강력한 국가 만들기를 위한 발전 모델로 인식했던 것이다. 『12세기 르네상스』로 대변되는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중세에 대한 근대적 의제를 고취시킴으로써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중세의 근대성을 강조했던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미국 중세사 분야에서 중세주의적 해석의 전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 중세사가 학문으로서 저변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중세사 연구의 초석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해스킨스가 '12세기 르네상스론'을 주장한 배경은 중앙집권적 국가 모델이 되었던 12세기 유럽에서 20세기 미국의 역사적 교훈을 얻고자한데 있었다. 말하자면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중세가 없는 젊은 국가 미국의 역사적 기원을 12세기 중세 유럽의 역사를 통해 이어받고자 했던 것으로 목적론적ㆍ현재주의적 역사관이 반영된 해석이었다. During that period of pervasive Progressivism and Wilsonism in America, Haskins was a historian who participated actively in realistic politics. Haskins argued against Jacob Burckhardt' assertion that the Italian Renaissance started in the 14th and 15th century by insisting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While America was growing as 'the Great Powers',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which was published in 1927, was the product of a powerful political ideology. Haskins acknowledged that an intellectual revolu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were essential for the 12th century of Europe development model to make 20th century America the Great Powers. According to Haskins, the birth of a modern state on those times was based upon intellectual backgrounds, such as the appearance of intellectuals, the beginning of bureaucracy and centralization, the formation of the university which Haskins emphasized in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The theory of the 12th-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to stress the modernity of the Middle Ages is recognized as the archetype of the interpretation of Medievalism. During that period Haskins expanded the base of learning into Western Medieval History through it, his theory also laid the foundation of studies of Medieval History.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is full of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y inspiring the agenda of modernity. But the background to claim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is to learn a historical lesson by taking up 12th Europe as the model of a centralized state. Again, Haskins hoped America, which was absent the Middle Ages, to succeed the 12th century history of Europe. That is to say,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is reflected in his teleological-realistic historical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