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여성의 가정복지 실태 조사

        이선미 한국동북아학회 2004 한국동북아논총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family welfare of Korean-Chinese women. The subjects were the 555 women over 20 years old living in Dongbook 3 sung. The Korean-Chinese women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regarding conditions of food, housing, economic,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Couples,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housing welfare, 68.4% of subjects lived in apartment and 82% had own housing. In the dietary life welfare, 70% of subjects ate Korean food and Chinese food, but most of women preferred Korean food. In economic welfare, 55.7% of respondents charged wives and husbands for consumption expenditure, 62.8% had joint ownership in the property possession. According to the rates of home economics, food and education expenses rates were higher than saving rates. 2. the degree of husbands' Household Labor participation were very low, so wives took the responsibility of Household Labor. In the Decision - Making power, women had small scale consumption decisive power, but large scale consumption decisive power and family relation power lower than small scale decisive power. 3. Korean-Chinese women were satisfied husbands' and children' relation. Husbands were the first supporter in emotional, material, physical difficulty. And family welfar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ages. 이 연구는 중국 조선족 여성의 가정복지실태를 파악하고, 연령에 따른 가정복지실태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조선족 가정생활의 변화 추이를 예측하고, 발생가능한 가정내 문제의 해결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는 중국 동북 3성(길림성, 요녕성, 흑룡강성)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최종적으로 55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조선족 여성의 주생활복지 실태에 따르면, 주거형태는 아파트 등 대규모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82%가 자기집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선족 여성의 식생활복지 실태에 따르면, 조선족 여성은 대부분 가정내에서 한국식과 중국식을 병행한 형태의 음식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로 한국식으로 먹는다는 응답자보다 주로 중국식으로 먹는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 한국식 식생활의 형태가 상당히 중국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한국음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가정경제복지 실태에 따르면, 중국 조선족 가정은 과반수이상이 생활비 부담을 남편과 부인이 반반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산 소유도 부부공동으로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선족 여성의 가정내 경제적 지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총소득액 중 저축비율은 식비나 교육비 비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가정내 지위와 관련하여, 가사노동은 주로 부인이하고 남편은 가끔 하는 비율이 높아 과반수이상의 가정에서 가사노동의 주체는 부인이며 남편은 보조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선족 여성은 의사결정권을 상당히 소유하고 있으나, 소규모 소비결정권에 비해 큰 규모의 소비결정권이나 가족관련 의사결정권은 남편과의 공동결정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족 여성은 가족관계에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적, 물질적, 육체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가장 도움을 많이 주는 사람은 대부분 남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령에 따른 조선족 여성의 가정복지 실태에 따르면, 대부분 변인에서 유의한 집단차를 보이고 있는데, 식생활의 경우 연령이 낮아질수록 병행식의 비율이 낮아지고 중국식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0, 50대의 교육비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이혜경(Lee Hye-Kyung),정기선(Chung Kiseon),유명기(Yoo Myungki),김민정(Kim Minjung)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5

        본 연구는 1980년대 말 친척방문과 함께 시작된 중국 조선족의 국내 이주현상을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현상의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국내에서 식당종업원 또는 가정부로 일하고 있는 조선족 여성 56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구술사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친척방문으로 시작된 중국 조선족의 한국유입이 한국과 중국 간의 경제적 격차로 조선족들에게는 돈벌이의 기회로 활용되면서 점차 노동이주로 변화하였으며, 한국이 조선족의 국내유입을 제한하는 정책을 실시하자 혼인이주가 노동이주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여성이 한국에서 취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돈을 모으기도 수월하기 때문에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혼인이주와 함께 이주의 여성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조선족의 한국이주는 가족전략적 차원에서 결정되는데, 가족주기와 계층적 지위에 따라 선택하는 가족전략에도 차이가 있었다. 조선족 여성의 한국취업에 확대가족과 남편의 지원은 필수적인 것이었으며,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부부이산 혹은 가족이산은 자녀탈선과 이혼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이주과정에서 조선족 여성은 주체적으로 한국이주를 결정하고, 친정식구연결망을 형성하는 등 적극적인 삶의 자세와 강인한 여성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Korean-Chinese migration to South Korea which begun in the mid-1980s. The data is from in-depth interviews of 56 Korean-Chinese women who work as domestic servants or restaurant employees. The following issues were addressed during the interviews: 1) why the Korean-Chinese migration is more feminized than other Asian migration to Korea; 2) what role the migrants families play 3) what impact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to Korea has upon their families.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to Korea is interpret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the ‘transnational fami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gration of the Korean-Chinese to South Korea has transformed from a diaspora to a labor migration due to the economic gap between Korea and China. Many Korean-Chinese migrate to Korea to earn money.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often limits their entry, thus international marriage is sometimes opted as a means to gain entry into Korea. Moreover, Korean-Chinese women are more likely to migrate to Korea because it is easier for them to find a job and save money there. The strategies adopted by Korean-Chinese families to enter Korea usually depend on the family’s life course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in China. It is essential for the women to get support from their husbands and families in order to migrate overseas. However, long periods of separation sometimes lead to divorce and child deviation. Nevertheless, the Korean-Chinese female migrants have demonstrated strength and determination.

      • KCI등재

        민족과 젠더의 경계에 선 여성의 이산

        오경희(Kyoung-hee Oh)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1

        최근 우리 사회에 국제결혼과 이주노동을 하기 위해 입국한 이주여성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정착과 관련된 쟁점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글은 강경애의 『소금』과 조선족 여성작가 허련순의 『바람꽃』에 담긴 젠더화된 이산의 현실을 살아가는 이산여성의 삶의 궤적을 통해서, 제국주의 식민지배 시대와 전지구화 자본주의 시대에 이루어지는 민족사의 순환고리적 ‘이산’과 민족과 젠더의 경계에 선 여성의 삶과 몸의 체험 속에 중첩된 민족적, 계급적, 성적 모순의 양상을 탐구한다. 나아가 이들 여성이 성별 주체로서 수시로 대립 또는 공모, 충돌하는 성별과 계급, 민족국가라는 다중적 변수들 속에서 어떻게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것을 삶의 동력으로 승화해 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두 작품은 창작 시기가 60년이라는 시간적 간격과 시대적 배경의 상이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의식 한 부분에 순환고리적으로 존재하는 민족과 젠더의 문제를 ‘이산’의 프리즘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두 작품에 각각 등장하는, 1990년대 전지구적 자본주의 시대의 ‘중국조선족 이주여성노동자’와 1930년대 제국주의 식민지배 하의 ‘조선인 이주여성’ 사이에 있는 ‘조선’이라는 공통적 민족국가 코드는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여성이 경험한 역사를 ‘조선족 여성’의 현재 경험으로 악순환시키는 현실의 동력 장치이다. 이산여성을 둘러싼 민족과 계급, 성을 매개한 억압의 코드, 그리고 몸의 고통스러운 체험을 통한 여성 디아스포라의 고난, 여성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처절한 삶의 결과 등 작품에서 드러나는 이산여성의 경험과 정체성은 동질화되고 획일적인 ‘민족’ 경험만으로는 설명할 수없는 부단한 협상과 타협을 통해 소통에 이르려는 여성의 ‘몸’으로 체험한 삶이다. As the number of migrant women is recently increasing owing to intermarriage and immigrant labor, their resettlement raises a social issue in Korea. Chosun-zok(Korean-Chinese) women have a majority in the migrant women. The study traces migrant women's lives described in 〈Salt〉 by Kang Kyong-ae in 1934 and 〈An Anemone〉 by Huh Ryon-soon in 1994. It shows that they are placed in genderized diaspora in recurring diaspora in the national history, which it happens not only in the period of imperialism colony but also in this age of global capitalism. It explains the aspects of contradictions related to nation, class and gender, which are repeated in migrant women's lives and their physical experience as well as the national diaspora. It, moreover, examines how migrant women ascertain their identity as the subject of gender and regard it as life-moving power according to multi-layed variables such as gender, class and nation. Two works are very different in the backing of the times due to a gap of 60 years. It, however, concretely display the issue of nation and gender through the prism of a diaspora. The migrant women's lives in the works are oppressed by nation, class and gender, experience pains carved in woman's body, and suffer painful life because of their select subjective selection. Consequently it says that their life is just bitter experience of identity realized by their 'eyes' and 'body,' not the part of the same national experience.

      • KCI등재

        중국 조선족의 영국 이주 경험 : 한인 타운 거주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미 ( Hyun Mee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8 韓國文化人類學 Vol.41 No.2

        본 연구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한인 거주지인 런던 뉴몰든 지역의 현지조사를 통해 중국 조선족 이주자의 이주 경험을 분석한다. 한국은 조선족 해외 이주의 대표적인 목적국이지만, 조선족은 전 세계 88개국 이상의 국가에 진출하고 있고 가장 해외 이주가 활발한 소수민족이다. 본 논문은 한국 중심의 분석틀에서 벗어나 조선족 이주를 중국의 급격한 정치경제적 변화와 이주정책의 틀 안에 자리매김한다. 구체적으로 영국 런던 뉴몰든의 한인 타운에서 일하는 조선족을 심층면접하여, 이들의 이주경로 및 동기, 정착 과정, 노동 형태, 한국인 커뮤니티와의 관계성 등에 관한 내용을 분석한다. 조선족은 재외 한인 커뮤니티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노동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글로벌 서비스 계층으로 이동하고 있다. 런던 뉴몰든의 조선족 이주자들은 한국에 이주한 조선족들과 비슷하게 한인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서비스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남성들은 주로 건축 및 집수리 노동, 식당 주방, 청소 일을 하고, 여성들은 식당 주방 및 홀 서비스, 한국 가정집 가사 노동 및 파출부, 미용 및 마사지 등 서비스 노동에 집중되어 있었다. 영국, 특히 런던이라는 도시가 가진 이주자들의 혼종적 다양성은 조선족 이주자들에게 특히 `구별` 될 것이 없이 전 세계의 이주자 그룹 가운데 하나라는 인식을 갖게 한다. 이런 점은 조선족 이주자들에게 일종의 하향 평준화된 다양한 이주자들의 삶에서 오는 평등과 평온함을 느끼게 한다. 본 연구는 해외한인 이주공동체를 동질적인 집단으로 분석함으로써 한인 이민자 집단의 내부적 차이와 노동 분화의 역동적 과정을 간과해 왔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한인 디아스포라 집단 거주지는 `상상의 공동체`라기보다는 한인들 간의 서로 다른 초국적 실천들이 경쟁하고 경합을 벌이며 생성해 가는 역동적인 현장임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about the migration experiences of the Korean-Chinese people living in the suburban London district of New Malden, commonly known as "Little Korea,"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and largest Korean community in Europe. This study analyzes the dynamic formation of labor classes within this Korean diasporic community, and focuses on ethnic Korean migrants and migrant workers who have settled in New Malden through diversified transnational migration routes. This paper challenges the prevailing Korea-centric view of the migration routes and motivations of Korean-Chinese migrants which portrays South Korea as the main and final destination. In reality, Korean-Chinese travel to as many as 88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active migrants in search of greater possibilities to lead a better life. The Korean-Chinese living in New Malden are generally employed to perform labor for the Korean community. Their employment can be classified as reproductive labor, which includes housework, child care and patient aid, and service labor, which includes employment in property construction, home renovation, cleaning, restaurants, tourist locales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While there exists the general perception that Korean-Chinese are performing work that is of lower status than that of other Koreans in the community, this group of migrants nonetheless interpret their situation in New Malden as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ir status in South Korea.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Chinese migrants, this paper examines their migration routes and motivations, the settlement process, forms of labor, and relations with the ethnic Koreans within the same community. Finally, this study analyzes how these Korean-Chinese migrants establish a class/gender relationship within the community of ethnic Koreans by reconstructing transnational locality. This paper thus challenges the established paradigm that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Korean diasporic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an `imagined community,` and critically questions its assumptions of issues relating to transnational citizenship, labor rights, and gendered migration in a globalized context, particularly in the geopolitical space between South Korea and Europe.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이주 담론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삶과 정체성

        오경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4 다문화사회연구 Vol.7 No.1

        There are more than a half million Korean-Chinese immigrants live all overthe country in Korea. This figure is equivalent to approximately one third of the 1.56 millionforeigners who stay in Korea. Since Seoul and Beijing formed an official ties in 1992, Korean-Chineseimmigrants have entered Korea to find jobs in the name of ‘compatriots’,through the international marriage, to visit relatives, and to study with thedifferent stories, hopes and “Korean dream”. Their lives wouldn’t be ableto display as the various and complicated aspects by facing the nativeKoreans and to experience crisis and conflict due to discrimination andexclusion, produced by existing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ultural, andhistorical contradictions which Korean society doesn’t overcome. This study, from the viewpoints of race, class, and gender, analyzes worksof Korean-Chinese, published in Korea since the mid 1990, ‘the ethnicKorean identity’ recreated in the multi-cultural novels written by Koreanwriters in 2000s, the substance of the ‘Korean dream’ leading to theirmigration, and the ethnic Korean immigrant women’s otherized marriagesand their isolated bodies. The progress is ultimately to understand their lives and identities as theethnic Korean Diaspora, and further tries to analogize their purposes andattitudes for the future.The article would provide new recognition and discourses of ‘China’ and‘Korean Chinese’ to Korean society which stresses the multicultural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2013년 현재 우리 사회에는 전국적으로 이미 약 50만 명에 이르는 조선족 중국동포가이주해 살아가고 있다. 이는 국내 체류 외국인 156만 명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적지않은 숫자이다. 1992년 한중수교 전후로 ‘동포’의 이름으로 일자리를 찾아서, 국제결혼을통해서, 친척 방문과 유학 등등 제각각의 사연과 희망, 코리안 드림을 안고서 한국으로의이주와 정주를 선택한 조선족 이주민의 삶은 선주민인 ‘한국사람’들과의 조우 속에서다양하고도 복잡한 양상으로 펼쳐지며, 기존의 한국사회 자체가 극복하지 못한 기존의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의 모순이 만들어 낸 차별과 배제의 시선 속에서 위기와갈등을 체험하게 된다.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부터 국내에서 출간된 중국동포 작가의작품과 2000년대 국내 ‘다문화 소설’에 재현된 ‘중국 조선족’의 정체성과 이주를 가능케한 ‘코리안 드림’의 실체, 조선족 이주여성의 타자화된 결혼과 소외된 몸에 대해 민족과계급, 젠더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한국에 이주한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현재적 삶과 정체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 내 조선족 디아스포라의미래 지향점을 유추해보고자 한다. 이 글이 미미하나마 다문화 공존과 화합을 부르짖고있는 한국사회에 ‘중국’과 ‘조선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이주 경험을 통해 본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정체성 변화

        李海鷹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5 여성학논집 Vol.22 No.2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한국 이주경험을 노동력 제공자로서 한국 내 노동경험에 국한시키기보다는 그녀들이 한국에서 다양한 삶을 경험하면서 어떻게 자기의 정체성을 변화시켜 나가는지 사회적 맥락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녀들이 국경을 넘어서면서 겪는 경험들이 기존의 '사회주의 노동자' 정체성, 가족 내 성역할, 그리고 삶의 경험들과 어떻게 관련되고 충돌하고 변화하는지 중국과 한국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녀들을 대상(object)이나 타자(other)가 아닌 구체적 실천을 통해 자신이 사회적 조건과 끊임없는 타협과 협상을 해 나가는 주체로, 사회적 행위자로 그려내고자 한다. 여성 이주노동자의 정체성과 행위성은 그들이 자신을 어떻게 위치시키고,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전망하는지를 중심으로 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자의 입장이다. The emigration of married Korean-Chinese women to Korea is often criticized as the very thing that created problem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reby causing them to be stigmatized as being sexually immoral. Married Korean-Chinese women in Korea live as individuals free from the social pressures imposed upon them to be 'a model wife and mother' and picture themselves as able parents who can support a family. While most of these women are working in the service industries and categorized as low-class workers, they understand that their experiences living and working in Korea are a temporary process to raise their social class and their income bracket in China. At the same time, they consider themselves 'civilized' people with international experiences that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ther people in China. For the married Korean-Chinese women, living and working in Korea is an experience of expanding oneself and struggling at the same time since they are under unfavorable conditions in Korea.

      • KCI등재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의 심리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중국 조선족 여성결혼이민자와 가족들의 갈등과 적응

        양승민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미래교육학연구 Vol.20 No.1

        국내 체류 외국인 100만 명 시대를 맞이한 지금 다문화사회로의 성공적인 진입을 위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그 가운데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제결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자녀들의 수도 크게 늘어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들과 이들 가정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또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제 시작단계에 있는 지원과 다문화주의를 확산시키기 위한 시도가 실효성올 거두기 위해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과 가족들의 심리적인 경험을 보다 근본적이고 실증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 배우자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 조선족 여성결혼이민자 1가정의 사례를 통해 이들의 갈등과 적응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아내와 남편, 시어머니, 친정어머니 총 4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접을 분석한 결과, 만남과 결혼은 기대와 염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현실적인 타협과 정으로,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주제는 고부간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사례에서 확인된 8가지 주요 갈등 영역에서 고부간의 인식 차이와 이에 따른 심리적 경험을 묘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갈등에 대한 대처방식과 대처방식의 변화를 분석 결과로 제시하였다. 갈등에 대한 대처방식은 바로잡기, 요구하기, 상호작용의 최소화, 심리적인 거리두기로 변화되었고, 서운함에서 비롯된 적대감은 잠재적인 갈등의 요인으로 남겨졌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문화가정을 위한 예방적 발달적 교육적 지원의 내용과 형식을 마련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probe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psychological experience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have been rapidly increased in rural area Increases in number of foreign wives and their children stimulated public and academic interest. Previous researches focus on the causes of marital conflicts only, but this study emphasis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as well as processes of conflicts. The participants were 1 Chinese woman, her Korean spouse, her mother-in-law and mother, who had experienced family discord in the course of adaptation. The main themes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family members' quality of life were identified. They didn't share their own needs none the less because there were various different of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their new life.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empathic understanding about each other, family discord have been continued. The conflicts between Chinese daughter-in-law and Korean mother-in-law was the most nega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foreign wife's quality of life. The analysis of this study illustrates different coping style and the process of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 KCI등재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 인식정도와 다양한 교육방안 연구

        문형진 한국중국문화학회 2016 中國學論叢 Vol.0 No.49

        "本研究相較於朝鮮族婚姻移民女性的韓國史認知實況相比,更側重於以探究更有效的教育方案爲其目的. 調查方式包括問卷調查和曆時兩周通過3種教育方法導出結果的方式. 首先從朝鮮族婚姻移民女性群體的韓國史認知狀況分析可以發現其具有認爲韓國史以中國史爲中心的傾向. 這種傾向會導致其不願意承認韓國史教育的狀況,對韓國史學習造成負面作用. 在中國先前學到的知識和目標國曆史有所差異的這種矛盾現象會成爲妨礙其在韓國定居的矛盾要素. 另一方面,在探索最有效教育方案的嘗試中,最受朝鮮族婚姻移民女性青睞的是能引發其興趣的視聽教育法. 但在聽取了兩周內實施的三種教育方案(活用視聽資料的教育方案,韓中比較史教育方案以及曆史和語言並行教育方案)後兩國曆史比較教育法最受喜愛. 結果通過本次調查可以得出在韓國曆史教育領域比較史教育方案是對朝鮮族結婚移民女性群體最有效的方案這一結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