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進洙의 「燕京雜詠」과 得輿의 「都門竹枝詞」·「京都竹枝詞」 비교 연구

        양령(Yang, Li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6

        본고는 17~19세기에 연경을 읊은 조·청 죽지사의 대표작인 김진수의 「연경잡영」과 득여의 「도문죽지사」·「경도죽지사」를 비교 고찰한 연구이다. 김진수는 조선의 중인계층의 문인으로 1832년 수행원의 신분으로 연경에 다녀왔다. 그는 청의 풍물과 실정을 깊이 있게 통찰하여 북경의 번화함과 장려함을 314수의 연작시 「연경잡영」 속에 핍진하고 생생하게 담아내었다. 득여는 북경 출신의 문인으로서 북경의 풍토와 습속을 기록하려는 의도에서 1814년쯤에 「도문죽지사」를 창작하였고, 1817년쯤에는 「경도죽지사」를 창작하였다. Ⅱ장에서는 두 시인의 연경 죽지사의 창작 동기와 소재적 특징을 살펴보았고, Ⅲ장에서는 표현수법과 운율미의 특징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행하였다. 「연경잡영」은 표현수법에 있어서 난해한 시어, 다양한 전고와 수사법을 활용하여 서곤체의 특징을 지니고 있고, 운율미에 있어서 한유의 독특한 용운법을 본떠서 방운과 험운을 활용하는 기이함을 추구하였다. 이에 비해 「도문죽지사」와 「경도죽지사」는 표현수법에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구어체, 북경 방언의 얼화음과 직설법을 사용하고 있고, 운율미에 있어서 첩어와 반복법을 애용함으로써 특유의 리듬감으로 민간가요의 음악적인 성격을 부각시키고 있음이 특징적이다. Ⅳ장에서는 맺음말을 대신하여 두 시인 작품의 죽지사적 특징을 비교 검토하고, 문학사적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연경잡영」은 소재와 형식면에서 죽지사적 면모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시법에 있어서는 전통 문인시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광의적 죽지사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도문죽지사」와 「경도죽지사」는 소재와 형식면에서 죽지사의 전통을 분명히 계승하면서 민간 친화적 성격과 통속성을 띄고 있기에 협의적 죽지사의 면모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연경잡영」은 죽지사류 작품의 특징적인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조선 죽지사의 독자성을 보여주고 있고, 「도문죽지사」와 「경도죽지사」는 죽지사와 지방지의 성격을 겸하고 있다는 데에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The dissertation is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presentative works of Joseon and Qing Dynasty’s ZhuZhi poems which are devoted to praising Yeonching i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As a member of intermediate stratum in the Joseon Dynasty, Kim Jinsu visited Yeonching, which is called Yeonhaeng in 1832. He develop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nditions and customs of the Qing Dynasty, and vividly capturethd e prosperity and splendor of Beijing in a series of 314 poems, Yeonching Miscellaneous poems. De Yu, a poet living in Yeonching in the Qing Dynasty of China, with the intention to record the climate and customs of Beijing, composed DuMenZhuZhi poems in about 1814 and JingDuZhuZhi poems in about 1817. In Chapter 2, the two poets’ creation of YeonchingZhuZhi poems,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and main themes were briefly reviewed. In Chapter 3, conducted a detailed analysis of their works, focusing on the expressive techniq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hymes in their peoms. Yeonching Miscellaneous poems has the characteristics of Xikun Style with difficult poetic words, abundant classic allusions and rhetoric devices. On the other hand, DuMenZhuZhi poems and JingDuZhuZhi poems are characterized by using easy-to-understand colloquial and “Erhua” in Beijing dialect and frank expressions of their feelings. And the musical character of their poems is emphasized. Chapter 4 is the conclusion part, in which it mainly discusses the two poe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ZhuZhi poems and the significance in literature history. Yeonching Miscellaneous poems carries the characteristics of ZhuZhi poem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while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oems by officials and scholars, which makes it looks more of ZhuZhi poems in a broad sense. On the other hand, it is evident that both DuMenZhuZhi poems and JingDuZhuZhi poems have inherited the traditions of ZhuZhi poem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and prominently exhibit popular styles. Yeonching Miscellaneous poems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Joseon’ ZhuZhi poems. DuMenZhuZhi poems and JingDuZhuZhi poems have the meaning of showing the blend of ZhuZhi poems and the local Chronicles.

      • KCI등재후보

        ‘죽도 고유명칭’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미림(Yoo, Mi-rim)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20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42 No.1

        이 글은 일각에서 제기된, 일본이 칭하는 竹島가 ‘대섬’에서 온 한자인데 ‘대섬’이 ‘큰섬’이라는 우리말에서 온 것이므로 우리가 일본보다 먼저 ‘죽도’의 존재를 인식했다는 주장을 검토한 것이다. 이른바 ‘죽도 고유명칭’설이다. 논자가 이 설을 펴는 목적은 일본이 말하는 竹島·松島가 우리 민족의 언어로 해석될 수 있다면 먼저 이름을 붙인 우리가 일본보다 먼저 섬의 존재를 인식했음이 입증되므로 우리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여겨서이다. ‘죽도 고유명칭’설의 기본 논지는 竹島와 松島가 ‘대섬’과 ‘솔섬’을 한자로 표기한 것인데 이들이 우리말 ‘큰섬’과 ‘작은섬’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즉 ‘큰섬’은 우리말로 ‘대섬’이라고도 하는데 ‘크다’는 의미의 ‘대’(大)가 잊혀져 대나무의 ‘대’〔竹〕로 유추되어 ‘대섬’이 되었고 그것이 ‘竹島’로 전해졌다는 것이다. ‘큰 섬⇒대섬⇒竹島’가 되었다는 논리다. ‘죽도 고유명칭’설은 이를 논증하기 위해 고대국어와 삼국시대의 음운학, 중국어와 『일본서기』 등을 동원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 설이 성립하는 지는 의문이다. 일본이 칭하는 竹島는 본디 ‘대나무’의 의미와 관련되어 나온 지명이고 ‘큰 섬’의 의미와는 전혀 관계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본은 처음부터 竹島로 칭한 것이 아니라 ‘이소타케시마’로 칭하다가 竹島로 칭했기 때문이다. ‘죽도 고유명칭’설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는 또 다른 이유는, 이 설대로라면, 17세기 후반 조·일 양국이 첨예하게 대립한 ‘울릉도 쟁계’ ‘다케시마 일건’은 성립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竹島·松島가 우리말 ‘큰섬-대섬’, ‘작은섬-솔섬’에서 유래한 것이라면 우리문헌에 두 호칭과 관련된 내용이 기술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 문헌에는 ‘울릉도’와 ‘우산도’라는 범주를 크게 벗어나 기술된 적이 없다. 우리말 ‘큰섬’에서 ‘대섬’으로 부르다가 ‘대’를 대나무로 인식하여 ‘죽도’가 되었다는 논리대로라면, 울릉도를 대도(大島)나 죽도, 혹은 그와 유사한 지명으로 칭한 흔적이 문헌에 남아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울릉도는 우릉도, 무릉도 혹은 유사 지명으로 불린 적은 있지만 대도나 죽도로 불린 적이 없다. 우리가 울릉도와 독도를 ‘울릉도’와 ‘우산도’로 칭하고 ‘竹島’와 ‘松島’로 칭하지 않은 이상, 竹島·松島의 생성 시기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도항과 관음도, 가지도, 석도에 대한 설명도 이들 지명의 추이를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발음의 유사성에 의거하여 음운학적으로만 설명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This article is a criticism of the new arguments made in academic circles. The hypothesis is that Takeshima(竹島), which is called by Japan, is a Chinese character from Bamboo Island(竹島), and Bamboo Island comes from the Korean language “Big Island(大島)”. Therefore, the hypothesis is that Korea recognized the existence of “Jukdo(竹島)” before Japan. The intention of the scholar who makes this claim is that if the Japanese name 竹島, 松島 can be interpreted as the language of the Korean people, the first named Korea can claim the sovereignty over Dokdo.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call the new claim “Jukdo is Korea’s own name.” The basic point of the new claim “Jukdo is Korea’s own name” is that 竹島 and 松島 originated from the words ‘big island’ and ‘small island’. In order to prove this, the hypothesis that “Jukdo is Korea’s own name”was explained by mobilizing ancient languages, phonolog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But this hypothesis is fundamentally wrong. The reason is that 竹島, which Japan refers to, is related to the meaning of “bamboo”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meaning of “big island”. In addition, Japan was not called 竹島 from the beginning, but because it was called ‘Isotakeshima’ and ‘Takshima’. This hypothesis is incorrect because the “Ulleungdo Dispute”, a sharp contrast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17th century, cannot be established. If 竹島 and 松島 originated from the words “big islandbamboo island” and “small island-pine island”, these references should appear in our literature. However, our literature has not described much beyond the categories of Ulleungdo and Usando. According to the logic that it changed from ‘Big Island’ to ‘Bamboo Island’ and then to ‘Jukdo’, there should be a trace of Ulleungdo called ‘Big Island’ or ‘Bamboo Island’. We have called Ulleungdo to Ureungdo and Mureungdo but never called Jukdo. If we only refer to Ulleungdo and Usando, but not 竹島 and 松島, it is meaningless to compare the timing of the creation of 竹島 and 松島. There is a problem in the explanation of the names of island terms and 島項, 觀音島, 可之島 and 石島 ignoring the transition process and relying solely on phonology.

      • KCI등재후보

        蝦峙島의 竹工藝

        고광민(Gwang-Min Ko)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7 島嶼文化 Vol.0 No.29

        韓國學術振興財團 基礎學問育成課題 중 「中國 舟山群島의 海洋民俗 調査ㆍ硏究」(課題番號 2004-072-AS3020)의 일환으로 2005年 1月 17日부터 27日까지 嵊泗島에서는 排泄民俗과 民具를 집중적으로 조사한 글이다. 2006년 1윌 20일부터 27일까지 蝦峙島에서는 竹製品과 竹工藝를 集中的으로 見聞하였다. 竹工藝는 東南아시아에서부터 東北아시아까지 폭 넓게 分布하고 있는 生活文化遺産의 하나이다. 韓半島의 경우 동쪽으로는 慶州地域 그리고 서쪽으로는 淺水灣의 竹島가 北方限界線이다. 慶州를 비롯한 慶尙道地域은 왕대나무, 그리고 竹島를 비롯한 忠淸南道와 全羅道, 그리고 濟州島地域은 시누대나무를 主材料로 대나무그릇을 만들어왔다. 그리고 中國의 舟山群島를 비롯한 浙江省地域은 毛竹을 主材料로 대나무그릇을 만들어왔다. 어느 지역이나 竹製品의 씨줄과 날줄을 만드는 데는 中國 舟山群島의 劍門, 濟州島의 ‘새끼칼’, 潭陽地域의 ‘맞대칼’은 그 構造나 모양이 똑 같은 것이다. 이는 文化傳播論的으로 檢討하여볼만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刮刀는 濟州島와 韓半島에는 없는 것이다. 이는 竹製品을 만든데 있어서 씨줄의 대오리의 폭이 하나의 대그릇에서도 다르기 때문이다. 이는 蝦峙島 竹製品의 특징이기도 하다. 지금 플라스틱의 그릇이 氾濫으로 말미암아 아시아지역의 竹細工은 서서히 자취를 감추고 있다. 언젠가 竹細工의 그릇이 플라스틱의 그릇을 몰아내는 環境保全의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그때를 對備하여서라도 지금 아시아지역 竹細工의 技術保存은 필요하고 시급하다. As part of "A Research and Study on the maritime folklore of Zhousan Archipelago, China(project No. 2004-072-AS3020)" among the upbringing project for basic sciences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is study intensively examined an excretive folklore and a folk implement in Shengsi Island from Jan. 17, 2005 to Jan. 27, 2005, and the study intensively researched Bamboo products and industrial arts of bamboo in Hashi Island from Jan. 20, 2006 to Jan. 27, 2006. The industrial arts of bamboo is one of the life-cultural heritages to range from Southeast Asia to Northeast Asia widely. In cas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ange IS limited to the Gyeongju area on the east, Jook Island of Cheonsoo Bay on the west as the northern boundary line. A bamboo bowl has been made by a big bamboo in Gyeongsang province including Gyeongju, and by Arundinaria simonii in Chungcheongnam-do including Jook Island, Jeonla-do and Jeju Island area. On the other hand, in the Zhejian area including Zhousan archipelago, the bowl has been made by a woolen bamboo as its main material. For making a weft and a warp of bamboo products, 'Jianmen(劍門)' of Zhousan archipelago, 'small knife (saekki-kal]' of Jeju Island, and 'confronted knife(matdae-kal)' of Damyang area are the same in their constructions and shapes. This fact needs to be scrutinized as the theory of culture diffusion. However, a shaving knife(刮刀) is not found in Ieju Island and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because, for making a bamboo product, the width of weft is different from even one bamboo bowl.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bamboo products in Hashi Island. Nowadays, the bamboo-ware of Asian area has been slowly disappeared because of the overflowing of plastic bowls. Someday, it may become the tim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when a bamboo-ware bowl expels a plastic bowl. Even for the time, it is necessary that we preserve the skill of making a bamboo-ware in Asian area.

      • KCI등재

        唐代 竹枝詞 析論

        朴仁成 中國語文硏究會 2002 中國語文論叢 Vol.23 No.-

        唐代≪竹枝詞≫的特徵可歸納出下面幾個項目。 1.≪竹枝詞≫的背景大部分是夔州三峽一帶"巴"地方。 這說明民歌≪竹枝≫的背景是巴地方。 民歌≪竹枝≫在楚流行的原因基於在巴發生的民歌傳播到楚的事實。 2.從顧況、劉禹錫、白居易、蔣吉等的作品來看, 唐代≪竹枝詞≫作家作≪竹枝詞≫的動機就是聽民歌≪竹枝≫以後動感於心衷。 3.≪竹枝詞≫描寫巴地方的景物和男女的愛情, 特別劉禹錫、李涉、蔣吉等三人寄託自己的身世感慨於≪竹枝詞≫。 4.唐代大部分≪竹枝詞≫裏以揚子江沿岸的猿聲描寫悲哀的感情, 猿聲成爲宋以後≪竹枝詞≫的重要題材。 5.寫作一連九首≪竹枝詞≫的只有劉禹錫。 這個現像說明唐代還沒有흔多作家寫≪竹枝詞≫。 卽使有寫≪竹枝詞≫的詩人, 他們只是在夔州一帶作官吏生活或者旅行這地區的少數詩人。 6.≪竹枝詞≫是七言絶句或者七言拗體的七言詩。 這體裁沿襲到後代的≪竹枝詞≫。 7.黃甫松的≪竹枝詞≫有副歌"竹枝"和"女兒", 這證明在唐代流行的≪竹枝詞≫是爲唱歌的。 以上分析了唐代寫作≪竹枝詞≫的六個詩人的作品的形式和內容。 我們可以發現其共同點和特徵。 這些共同點和特徵流傳到後代的≪竹枝詞≫。 關於宋以後的≪竹枝詞≫以後還要繼續硏究。

      • KCI등재

        평양 석암리 194호 출토 竹簡 고찰

        안경숙(An, Kyung-suk)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0 No.-

        이 글은 평양 석암리 194호에서 출토된 죽간에 대한 보고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유적은 1924년 발굴되었고, 1974년에 발간된 보고서인『樂浪漢墓』第一冊에 194호 2호 목관에서 죽간 한 점이 출토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 죽간에 대한 자세한 검토를 위해 그 동안 선행 연구들에서 제기된 간독의 재료 선정과 용도에 따른 구분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석암리 194호 출토 죽간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석암리 194호 출토 죽간이 漢代표준간의 규격과 일치됨을 밝혔다. 또한 정밀 조사 결과 표면에는 칠이 되어 있었고, 비록 문자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위 아래로 구멍이 뚫려 있었으며, 2∼3단 정도 끈으로 엮었던 흔적이 드러나 죽간의 겉장 부분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평양 석암리 194호 출토 죽간이 최근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었던 평양지역 정백리 364호에서 출토된 논어 죽간과 마찬가지로 편철된 죽간의 일부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미공개 자료의 보고라는 목적과 고대 문자 자료의 중요한 단서 중 하나인 죽간 자체의 검토를 통해 죽간의 용도 및 성격 등을 논의해 보고자 시도 되었다. 이 글이 향후 문자 자료 연구 및 관련 분야에 걸쳐 종합적인 연구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게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is for a report of the bamboo slip which had been excavated from the Seogam-ri tomb No.194, Pyongyang. This site was found in 1924, and the first volume of『Lo-Lang Han Tombs』reported that a bamboo slip was discovered from a wooden coffin No.2 of this site in 1974. This study plans to search materials and use of the Bamboo slips which have been suggested by preceding researchers in a bid to investigate them, furthermore based 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bamboo slip from the Seogam-ri tomb No.194. This analysis represents the result that the bamboo slip from the Seogam-ri tomb No.194 is in accord with the standard of Han Dynasty. Detailed investigation says that it was painted on surface; though the character was not found on the bamboo slip, the holes were down, furthermore it is illustrated the cover of the bamboo slip such as the lacquered surface, two perforations and the trace of the binding with two or three strings. According to this, it was recently figured out that the bamboo slip was a part of a binder book, similar to a bamboo slip from the Jeongbaek-dong tomb No.364.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amboo slip through the research of bamboo slip itself, one of the crucial clues of unpublished data report and ancient character materials. This study expects that it would be applied as a basis to move to a comprehensive study across the next character research and related fields.

      • KCI등재

        죽애(竹崖) 임열(任說)의 생애와 교유 양상

        이연순 ( I Yeonsu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1 No.-

        본고에서는 문집이 없어 기존에 자세히 연구되지 못한 죽애 임열의 생애와 문학에 대해 우선 그 생애를 실증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살펴보며, 얼마 되지 않는 습유작을 통해 교유 관계에 대해서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죽애의 생애 가운데 주목되는 사실로, 세 번이나 대과에 급제하며 문재를 드러내다, 28세 되던 1537년 가을, 호당에 선발되어 독서당에서 사가독서하며 최연(崔演), 엄흔(嚴昕), 송기수(宋麒壽) 등을 만나고, 이후 윤현(尹鉉), 임형수(林亨秀) 등과 교유하며 1541년에는 이들을 포함해 당대 쟁쟁한 문인 12인과 `호당수계(湖堂修契)`라는 계를 맺어 교유한 흔적을 밝혔다. 교유한 이들 중 특히 임형수에게는 회령판관으로 보내며 백운(百韻)의 시를 지어주고, 송기수와는 학문적인 내용의 편지를 주고받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죽애는 을사사화가 일어나기 한 해 전인 1544년에 우부승지가 되면서 이듬해 1545년 곧 인종 승하 후 명종 즉위와 함께 일어난 을사사화에서도 우승지로서 왕명 출납의 역할만을 다하였으리라 추정될 뿐, 적극적인 행보는 드러내지 않은 점에서 역사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죽애는 이후로 외직과 내직을 반복하며 꾸준히 벼슬을 역임하면서 당대 문인들과 교유한 흔적을 남겼는데, 그들 중 유헌 정황, 미암 유희춘, 소재 노수신 등과의 교유가 주목된다. 이들은 모두 을사사화에 희생되어 유배 갔던 인물들로, 유배지에서, 또는 해배되어서도 죽애와 관계를 가졌다는 점에서 죽애가 을사사화로 희생된 인물들과도 인간적, 문학적, 학문적인 교유를 잃지 않고 친분을 유지하였던 면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는 을사사화 시기, 죽애가 적극적인 행보를 드러내지 않은 점으로 인해 기존에 부정적으로 평가받았던 데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의 시각을 제시해준다고 여겨진다. This paper looked at the life and association of Jukae(竹崖) Im Yeol(任說) in 16C. But There is not Jukae(竹崖)`s personal anthology left. For that reason, historically Jukae(竹崖) could not be judged properly. In more detail, he has been negatively evaluated in history because he was presumed to have played only the role of the king in the kingdom as a royal majordomo in the period of civil war Eulsasahwa(乙巳士禍), and did not reveal any active steps. But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e did not receive a prize as a reward for Eulsasahwa(乙巳士禍). Since then, he has repeated his career as a local administration and a member of a civil servant. At the same time he interact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exiled person, Jung Hwang(丁?), Yu Hee Chun(柳希春), Noh Susin(盧守愼). This is highly noted in existing negative evaluations about him. Then I studied in detail about the life and literature of Jukae(竹崖) using positive way. In this paper, the life and literature of Jukae(竹崖) Im Yeol(任說), which had no literary works, were examined in an empirical way. And I tried to reveal his co-relation through some of his a few works. In the process, I can Figure out about his companionship, and literary activities. As a result, from now on, I can said something important in his life. First, it is noted that he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three times. Second, he was chosen at the age of 28 at the reading system for the servant and read in the reading room(Doksseodang, 讀書堂), and he met with Choi Yeon(崔演), Eum-kun(嚴昕), Song Kyu-su(宋麒壽). The following year he has joined with Yoon Hyun(尹鉉) and Lim Hyeong-su(林亨秀). In particular, he gave a poem of Baekun(百韻詩) to Lim Hyung-su(林亨秀), who was leaving for the local Administration of Hoeryong(會寧). The future in 1541, he participated in a series of works called "Hodang Shu Shuang(湖堂修契)" with 12 contemporary literary scholars including them. Among them he exchanged academic letters with Song Ji-su(宋麒壽). Finally he excelled literature, also maintained a friendship with the exiled people because of Eulsasahwa(乙巳士禍). Historically, he judged negatively, but the latter is the fact that we did not know about it properly. It is said tha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Starting with the basic research that I tried in this paper, I hope that more active and in-depth research will be done in the future. It is a limitation that I can not emphasize the important point. In addition, it is the limit that I can not emphasize the problem consciousness by concentrating on basic research in this study.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석암리 194호 출토 죽간 고찰

        안경숙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2 고고학지 Vol.18 No.-

        이 글은 평양 석암리 194호에서 출토된 죽간에 대한 보고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유적은 1924년 발굴되었고, 1974년에는 『낙랑한묘(樂浪漢墓)』제1책에 194호 2호 목관에서 죽간 한 점이 출토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 죽간에 대한 자세한 검토를 위해 그 동안 선행 연구들에서 제기된 간독의 재료 선정과 용도에 따른 구분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석암리 194호 출토 죽간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석암리 194호 출토 죽간이 한 대 표준간의 규격과 일치됨을 밝혔다. 또한 정밀조사 결과 표면에는 칠이 되어 있었고, 비록 문자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위 아래로 구멍이 뚫려 있었으며, 2∼3단 정도 끈으로 엮었던 흔적이 드러나 죽간의 표제를 적는 부분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근에 평양지역 정백리 364호에서 출토된 논어 죽간과 마찬가지로 편철된 죽간의 일부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미공개 자료의 보고 및 고대 문자 자료의 중요한 단서 중 하나인 죽간 자체의 검토를 통해 죽간의 용도 및 성격 등을 논의해 보고자 시도 되었다. 이 보고가 향후 문자 자료 연구 및 관련 분야에 걸쳐 종합적인 연구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게 될 것을 기대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 report of the bamboo slip excavated from the Seogamni tomb No.194, Pyeongyang. This site was found in 1924, and the first volume of 『Lo-Lang Han Tombs』 reported that a bamboo slip was discovered from a wooden coffin no.2 of this site in 1974. The study plans to search materials and use of the Bamboo and Wooden slips suggested by preceding researcher.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bamboo slip from the Seogamni tomb No.194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Bamboo and Wooden slips. This analysis represents the result that the bamboo slip from the Seogamni tomb No.194 accords with the standard size of it from Han Dynasty. While there is no character on the bamboo slip, a detailed investigation illustrates the cover of the bamboo slip such as the lacquered surface, two perforations and the trace of the binding with two or three strings. According to this, it was recently figured out that the bamboo slip was a part of a binder book, similar to a bamboo slip from the Jeongbaekni tomb No.364. This study introduces the report of undisclosed materials and the research about the 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amboo slip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expects the data can be used practically in the comprehensive research hereafter for writing materials and related fields.

      • KCI등재

        죽파(竹坡) 이이정(李而楨)의 생애(生涯)와 학문(學問)

        김동석 ( Dong Suk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2 No.-

        竹坡 李而楨(1619∼1679)은 밀양 사람이다. 그의 학맥은 金宗直으로부터 시작하여 寒岡 鄭逑, 그리고 부친의 가학과 處士 鄭寔을 거쳐 장인이면서 스 승인 朴壽春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생전에 미수가 탐방하여 만난 적도 있다. 그의 스승인 박수춘은 『소학』의 규범을 따른 사람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곽재우와 함께 火旺城 전투에 참가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의병을 조직하 여 청군에 대항하려 하였다. 이 같은 스승 박수춘의 행적은 죽파에게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장형은 성균관에 입학했으나 서울에 온 동생이 갑자기 죽자 벼슬할 생각을 끊고 낙향한다. 그리고 죽파가 41세 되던 해인 1659년에 부친상을 당하였고, 48세인 1666년에 모친상을 겪었다. 밀양에 살고 있던 죽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예림서원 移 轉에 관한 것이다. 조선왕조 전기만 하더라도 점필재는 경상좌도의 대표적 인 지식인이며 정치가로 중앙 정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하지만 무오사화 이후로 급격하게 쇠퇴하게 된다. 임진왜란이 끝나면서 경상우도에 서는 남명과 정인홍으로 이어지는 학통이 중앙정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죽파가 활동하던 시기는 인조반정 이후로 당쟁이 점차 격 화되기 시작했고, 예림서원의 이전은 죽파에게 큰 의미를 가져다주었다. 다만 예림서원 이건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어 차후 고증 이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당시 밀양에서 김종직은 탄생하였고 禮林書院에서 제향되었다. 죽파는 예 림서원 이전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일을 하였다. 1634년(인조12)에는 죽파 의 아버지인 泗濱 李繼胤이 여헌 張顯光(1554∼1637)에게 서원이전과 神 座配享에 자문하고 죽파는 밀양부사 이유달에게 「예림서원이건정문」을 올 려서 지금의 상남면 예림리로 새터로 옮기고 예림서원으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점필재선생을 주벽으로 하고 迂拙齋 朴漢柱는 東壁, 松溪 申季誠은 西 壁에 배향하면서 간송 조임도가 「이건고유문」을 죽파는 「예림서원이건 기」를 짓는다. 1652년(효종3) 예림서원 講堂을 증축할 때 밀양부사 김응조 를 대신하여 죽파는 「예림서원강당상량문」을 짓는다. 1669년(현종10)에 예 림서원에 賜額이 내려진다. 하지만 1678년(숙종4)에 講堂에 화재가 난다. 그리고 죽파가 운명하고 나서 1680년(숙종6)에 廟宇에 또 다시 화재가 발생 하여 位版이 타버린다. 이에 다시 부북면 후사포리로 옮겨 중건하게 된다. 1658년 미수가 죽파를 만난 것은 부친상을 당하고 여막에 있던 것으로 추 정할 수 있다. 미수가 예림서원에 와서 목격한 것은 墓碣과 石床, 華表, 神道 碑, 松溪閭表碑이다. 예림서원에 배향된 분은 점필재 김종직, 송계 장현광, 우졸재 박한주인데, 미수는 밀양에 와서 송계의 여표비를 언급하고 있지만 우졸재 박한주의 여표비는 언급하지 않았다. 『죽파집』의 「迂拙子朴先生閭表 碑事呈道伯文」를 보면 여표비를 세우기 위한 노력이 나타나 있다. 아마 미 수가 예림서원을 다녀간 후 우졸재여표비가 세워진 것으로 추정해 볼 수도 있다. 다만 여표비는 현종 16년에 건립된 것으로 迂拙齋實記의 年譜에 명시 되어 있다고 한다. 죽파가 道伯에게 올린 글의 관련성은 차후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죽파는 출사하지는 않았지만 향촌사회에서 기여하는 것이 컸다. 특히 임 진왜란으로 인명 피해가 나고, 풍속이 무너지자 명나라 丘濬(1420-1495)의 『家禮儀節』과 우리나라 선현의 설을 엮어 『家禮節要』를 편찬하고 제사를 勸 勉한 일이 있다. 「鄕約立議序」를 써서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사람들에게 藍 田의 呂氏 향약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Zukpa竹坡 Lee Yi-Jung李而楨(1619∼1679) was born in Miryang密 陽. His ancestor Sungsangun-sik星山君 軾 moved into Miryang密陽 in the Joseon Dynasty. During his life time Miryang密陽 was still influenced b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did his´s best to amend custom at that time because beautiful and fine custom was disappeared after war. He did not pass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during Joseon Dynasty. Partly because he had to live with his parents and help them after his two elder brother died. And the Manchu war of 1636, when he was 18, many intellect around him had ill feeling against the Manchu. As many intellect rose above politics, Zukpa竹坡 Lee Yi-Jung李而楨 gave a wide berth to pass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During his life time his family helped to move Yerimseowon禮林書院 which is the Confucian Academy a memorial hall for Kim Jong-jik金宗 直 Confucianist who was the one of the greatest scholar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Zukpa竹坡 Lee Yi-Jung李而楨 was also involved in moving Yerim seowon禮林書院. After moving Yerimseowon禮林書院, Huh Mok許穆 who was the one of the greatest scholar at that time visited Lee Yi-Jung李而楨, maybe be to listen about whole story about Yerimseowon 禮林書院. Huh Mok許穆 wrote a memorial inscription about Kim Jong-jik金宗直. Zukpa竹坡 Lee Yi-Jung李而楨 made effort to erect a tombstone about park Han -Ju朴漢柱 Yerimseowon禮林書院. Above all things Zukpa竹坡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sound corporate culture in Miryang密陽 during his life time.

      • KCI등재

        서진(徐振) 「조선죽지사(朝鮮竹枝詞)」에 나타난 청인(淸人)의 조선(朝鮮)인식

        신하윤 한국중국어문학회 2007 中國文學 Vol.52 No.-

        請代的海外竹枝詞有18種1370首,其范圍有亞細亞、歐洲、拉丁美洲之廣。海外竹枝詞是介紹海外國家的山川和文化而表現作家對?的印象和感受的文學樣式,從中可以看出當時代中國人的世界認識和觀念。本論文試圖通過徐振<朝鮮竹枝詞>40首的分析,考察淸初康熙年間一個中國士大夫文人對朝鮮的認識和觀念。與其他海外竹枝詞一樣,徐振<朝鮮竹枝詞>也描述17、8世紀朝鮮的各種社會文化情況,而從中可以看出作家認爲朝鮮是一個禮儀之邦,而且各個方面與淸國非常親近友好關系的國家。所以,?描寫朝鮮朝庭接待中國使臣的各種儀禮頗有詳細,細致。這是徐振<朝鮮竹枝詞>獨有的特征。幷且,他對朝鮮的學術文化具有相當深切的了解和認識,對朝鮮文人加以比較評論幷賦予高度評价。還有一点値得注意的是,他不僅關注朝鮮的漢字文化,還關注朝鮮固有的語言文化。在<朝鮮竹枝詞>中,不難發現不少音譯字詞匯,這旣是說明作家對朝鮮語言的深切關心,也可以說是徐振<朝鮮竹枝詞>的獨特個性。

      • KCI등재

        조선 초기 ‘조선 죽지사’ 연구

        최고경 ( Choi Go-gyeong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죽지사란, 민간의 풍속이나 정취를 그려낸 7언 절구 연작시이다. 당나라 유우석(劉禹錫, 772~842)이 파투(巴渝) 지방의 민간 가요인 죽지노래를 듣고 지은 데서 유래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토속적, 민가적 성격을 가진다. 죽지사는 유우석 이후 중국과 우리나라에 널리 전파되어 작가에 따라 다양하게 창작되었다. 중국의 악부를 의작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던 조선 초기에는 주로 당대(唐代) 죽지사를 모의하였다. 이들은 중국을 배경으로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을 다루며 낭만적ㆍ애상적 정조를 드러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김종직을 필두로 한 영남 지방 문인들이 조선의 땅을 대상으로 한 죽지사를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중국의 것을 우리에 적용하면서 의고성을 탈피하고 조선의 특정 지역을 표면에 내세운 것을 ‘조선 죽지사’라 칭하기로 한다. 김종직이 먼저 자신의 고향인 밀양을 배경으로 <응천죽지곡>을 짓고, 동료 문인 김맹성에게 권유하고 제자 유호인에게도 영향을 끼쳐 <가천죽지곡>과 <함양남뢰죽지곡>을 짓게 하였다. <응천죽지곡>과 <가천죽지곡>은 당대(唐代) 죽지사와 같이 남녀 간의 연정을 주로 다루었으나, 조선의 특정 지명을 제시하면서 현실성과 구체성을 획득하였다. <함양남뢰죽지곡>은 이들과 달리 해당 지역의 역사와 풍속에 비중을 두면서 조선 죽지사의 새로운 틀을 도모하였다. 즉 조선 죽지사의 초기 형태는 남녀 간의 사랑이나 이별, 그 지역의 풍속, 역사 이 세 가지의 모습으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이 김종직 그룹에서 조선 죽지사가 시도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고향에 대해 남다른 지방 의식을 공유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들은 지방 출신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한 1세대로서 자신의 지역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곳을 지방의 유행가라고 할 수 있는 죽지사 형식을 빌려 널리 알리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창작 의식을 바탕으로 한 조선 죽지사는 향후 지역의 범위가 전국으로 확장되고 규모가 방대해지면서 하나의 역사 장르로 확립되는데, 본고의 논의는 그 전개의 출발점에 있다. ‘Jukjisa’(竹枝詞) is a 7 quatrain series poem that depicts folk customs and culture. Composed by Liu Yuxi (劉禹錫) of the Tang Dynasty after he heard the song ‘Jukji’, a song that was popular among the locals of the Bayu(巴渝) region, it naturally has an ethnic quality and the nature of a folksong. ‘Jukjisa’ spread widely across China and Chosun after its composition by Liu Yuxi and was recomposed in various ways by different poet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hen the imitation of Chinese Yuefu(樂府) was the prominent trend, imitations of contemporary Jukjisa were prevalent. These poems dealt with the love and parting between a man and a woman against the backdrop of China and typically portrayed romantic and tragic sentiments. In the midst of this trend, the literati of the Yeongnam region, led by Kim Jong-jik, composed Jukjisa about regions in Chosun. Noting the way these poems avoided archaism by the application of the Chinese form to something that was ours and the mention of a particular region of Chosun in the poem, this paper proposes these poems be designated ‘Chosun Jukjisa’. Kim Jong-jik composed < Eungcheonjukjigok > with his hometown Miryang as the backdrop and urged fellow literati Kim Maing-sung and influenced his disciple Yoo Ho-in to compose < Gacheonjukjigok > and < Hamyangnamrwaejukjigok > respectively. < Eungcheonjukjigok > and < Gacheonjukjigok > deal with romantic affec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like other Jukjisa of the time, but by naming a particular region in Chosun, they also achieve a sense of specificity and realism. Unlike these poems, < Hamyangnamrwaejukjigok > revealed a new framework for the Chosun Jukjisa by focusing on the history and customs of a particular region of Chosun.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can be found in early forms of Chosun Jukjisa: the story of love and parting between a man and a woman, the customs of a particular region and the history of that region. The motive behind the creation of Chosun Jukjisa by Kim Jong-jik’s group can be found in their unique regional consciousness of their hometown. As the first generation of rural literati to be active in the political world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y had great affection for and pride in their hometowns and strived to make their hometowns widely known by borrowing the form of the Jukjisa, which could be called the popular song of rural areas. The Chosun Jukjisa that stemmed from this creative consciousness became established as a historical genre as the scope of regions covered in the poems later expanded to include the whole nation and the poems expanded in volum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start of this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