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교육의 근대적 주체형성 문제와 교육적 대안

        전현곤(Jeon, Hyeon-G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근대의 학교교육이 합리적 이성을 표방하지만 사실은 기계적이고 도구적인 이성을 갖춘 주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학교의 도구적이고 획일적인 주체형성과정과 비 성찰적 학교환경은 탈 근대적 사회 환경과 다중적인 주체형성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현재의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고 유연하면서도 통합된 정체성을 형성시킬 시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가 학생들을 합리적 이성과 문화적 감수성을 갖춘 성찰적인 주체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육이 계몽주의적 담론에서 벗어나서 주체형성론과 문화연구의 연구 성과들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roblems of subjects constitution of schooling and tthe alternative ideas. The problems and contents set up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schooling claim to stand for reasonal reason but, in a practical manner, schooling constitute instrumental reason and mechanical reason. Second, the process of instrumental and standardized subjects constitution and unreflecting school environment do not afford the chance to adolescents reflect on their life and constitute flexible identity. Third, in this conditions, school can not claims validity of schooling. fourth, this thesis claims that the school introduce the theory of subject constitution and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al discourse This thesis draw on theories of subjects by Althusser and Foucault to understand the processes of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modern subject in school. According to the modern conception of subject a human being is presupposed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and also the reasonal, conscious and apriori subject. In contrast, Althusser and Foucault stress that the human subject is a kind of product of modern society and it is constructed by unconsciousness, linguistic order, discourse, discipline, and cultural regulations rather than they assume it as self-evident being. The subject constitution processes in school are characterized largely by being constructed by the knowledge as discourse, discipl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pace and this type of subject is a sort of centered, reasonal and rational ones. This thesis claims that the school introduce the theory of subject constitution and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al discourse because the school in the postmodern age needs to be concerned with the processes of subject constitution of students to understand adolescents correctly. And this thesis claims that school needs to constitute a reflective school environment that is capable of transforming instrumental reason to reflective one, achieving a balance between reason and cultural sensitivity, and also transforming multiple and schizophrenic subjects to flexible ones.

      • KCI등재

        주체의 위기와 개성적 형성

        최신한 한국독일현대문학회 2004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23 No.-

        이 논문은 이른바 ‘주체의 위기’라는 현대적 상황으로부터 출발한다. ‘의미의 위기’로도 불리는 현대의 정신적 상황은 체계화된 공적 삶의 조건 가운데서 의미를 상실한 개인적 삶의 허무주의적 상황을 지시한다. 개인의 삶을 위협하는 현실의 허무주의적 공간은 애당초 근대적 사유와 의지의 확실성에 의해 마련된 충일한 의미의 공간이었다는 점에서 현대는 주체의 위기의 시대로 규정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현대의 정신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개성적 형성’ 개념에 주목하며 이를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으로 해석함으로써 사고 중심의 ‘이론적 형성’과 의지 중심의 ‘실천적 형성’이 성취하지 못한 새로움의 의미를 개성적 형성을 통해 창출하려고 한다. 이론적 형성과 실천적 형성은 현실 가운데 마련되어 있는 삶의 보편적 의미를 중시하는 반면,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은 아직까지 드러나지 않은 새로운 의미의 생기(生起)를 지향한다.개성적 형성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논문은 먼저 이것과 대비되는 헤겔의 보편적 형성 개념을 주제화한 다음, 슐라이어마허의 개성적 형성 개념을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으로 구체화한다. 더 나아가 개성적 형성은 ‘창 없는 개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개성의 전달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공동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문화의 이념을 새로운 틀에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개성적 형성을 내면성의 근본적인 활동성으로 규정함으로써 그때마다 새롭게 일어나는 개성을 통해 주체의 위기가 극복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Krise des Subjekts und individuelle Bildung

        Choi, Shin-Hann 한국뷔히너학회 2004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23 No.-

        이 논문은 이른바 '주체의 위기'라는 현대적 상황으로부터 출발한다. '의미의 위기'로도 불리는 현대의 정신적 상황은 체계화된 공적 삶의 조건 가운데서 의미를 상실한 개인적 삶의 허무주의적 상황을 지시한다. 개인의 삶을 위협하는 현실의 허무주의적 공간은 애당초 근대적 사유와 의지의 확실성에 의해 마련된 충일한 의미의 공간이었다는 점에서 현대는 주체의 위기의 시대로 규정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현대의 정신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개성적 형성' 개념에 주목하며 이를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으로 해석함으로써 사고 중심의 '이론적 형성'과 의지 중심의 '실천적 형성'이 성취하지 못한 새로움의 의미를 개성적 형성을 통해 창출하려고 한다. 이론적 형성과 실천적 형성은 현실 가운데 마련되어 있는 삶의 보편적 의미를 중시하는 반면,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은 아직까지 드러나지 않은 새로운 의미의 생기(生起)를 지향한다. 개성적 형성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논문은 먼저 이것과 대비되는 헤겔의 보편적 형성 개념을 주체화한 다음, 슐라이어마허의 개성적 형성 개념을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으로 구체화한다. 더 나아가 개성적 형성은 '창 없는 개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개성의 전달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공동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문화의 이념을 새로운 틀에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개성적 형성을 내면성의 근본적인 활동성으로 규정함으로써 그때마다 새롭게 일어나는 개성을 통해 주체의 위기가 극복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신화를 통해 본 여성 주체의 형성

        노성숙(Nho Soung-Suk)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본 논문은 한편으로 포스트모더니티의 사유가 근대적 주체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여성주의에 기여하고 있는 바가 크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오늘날 여성 주체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데에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여성들의 차이에 입각하면서도 본질주의에 빠지지 않고 여성의 주체성을 재구성해야 하는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화에 주목한다. 신화는 다양한 인간 현실의 원형적 모습을 담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구전신화들은 여성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상징들을 발견할 수 있는 풍부한 자산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바리공주』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서구 근대적 주체의 전복과 여성주체 형성의 이론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우선적으로 『바리공주』의 ‘비동일적 자아’는 버려진 존재로서 ‘비’-동일성을 인식함과 더불어 자신을 버린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스스로를 버리는 행위, 즉 ‘비-동일성’을 선택하는 행위를 통해 확립된다. 나아가 수많은 고난들을 이겨내는 가운데 『바리공주』가 주체로 형성되는 원리는 ‘자립적 지혜’와 육체적 노동을 통한 ‘자기희생’이며, 그것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가치는 상호연관적인 ‘생명’이라는 점을 밝혀 본다. 이와 같이 볼 때, 『바리공주』 는 버려진 한 여성이 자신을 도외시하는 현실을 인식하고 오히려 자신의 정체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찾아 나섬으로써 능동적 주체로 형성되는 과정을 매우 잘 형상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리공주』 는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여성 주체 형성을 위한 대안적인 개념 틀을 제공할 수 있다. Post-modern thinking criticizes a modern subject. We accept that the contribution of post-modernism to feminism is great, but this article starts by questioning post-modern thinking when it does not provide enough alternatives to the subject in general and to female subjects in particular. I am concentrating on a myth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the difficult problem of a feminism that reconstructs female subjectivity reflected on the differences of women, without falling into essentialism. Myth is an original form about the various realities of life. In particular, Korean oral myths, sung by shamans, are abundant resources in which we can find new symbols for female subjectivity.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the female subject and a subversion of the modern Western subject by focusing on an analysis of the Korean oral mythological text Bari Princess. First of all, the Bari princess recognizes her ‘non-identical self' through non-identity as depicted by her state as a deserted daughter. Her ‘non-identical self' is established by her act of choosing ‘non-identity,' namely the act of ‘self-sacrifice,' to rescue her father, who had abandoned her. Furthermore, the Bari princess forms her principles, ‘independent wisdom' and ‘self-sacrifice' in regard to physical labor, in the face of danger during her journey for life-giving water. Her ultimately intended value while practicing these principles is viewed as the interconnected, or interdependent, ‘living.' The mythological text Bari Princess shows very well how a deserted woman recognizes her ignored reality; this character has been created as an active subject so that she may find her identity. Thus, we can propose an alternative conceptual framework for subjectivity from a feminist perspective.

      • KCI등재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본 주체형성과정과 교육학적 함의

        노상우(Sangwoo Ro),진상덕(Sangduck Jin)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1

        이 연구는 라캉이 탐구한 거울단계의 상상계와 오이디푸스단계의 상징계의 과정에서 자아가 어떻게 주체가 되어 가는가에 대한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필연으로 나타나는 인간적 속성을 밝힌다. 그리고 그러한 인간이해에 기초한 교육학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울단계에서 형성되는 자아는 타자와의 변증법적 동일시 과정에서 거울 속 허구적 이미지에 의해 소외되는 존재이며, 불안정하고 공격적인 성향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 성향들은 자기애를 통해서 봉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아는 주체화되는 존재이다. 둘째, 주체는 오이디푸스과정에서의 상징적 동일시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는 생물학적인 인간으로 태어난 아이가 사회적, 문화적 존재로 거듭나기 위해 욕구에 대한 금지 즉, 사회적 법과 규칙을 받아들여 상징계 속에 자리하게 되면서 주체화되어 가는 과정이다. 셋째, 자아의 주체형성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자기소외와 분열이 생성된다. 주체는 자신의 본래성과의 단절로 인해 자기 완결적 존재가 될 수 없다. 라캉에게 있어 주체는 완성된 주체가 아닌 ‘되어가는 주체’다. 넷째, 교육은 이런 주체의 주체화를 방해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드러내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줘야 한다. 다섯째, 라캉의 정신분석은 의식적 교육의 장을 넘어 무의식의 영역까지 교육의 가능 영역을 확장시켜 주고 교사와 학생의 교육학적 관계를 새롭게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상의 결과는 ‘자아’ 혹은 근대적 ‘주체’에 기반을 둔 교육철학의 한계를 밝히고, 새로운 탈근대교육적 토대가 구축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ow the process of subject formation goes between the Imaginary of the mirror stage and the Symbolic of Oedipus complex phase and to clarify the attributes of the human beings appeared inevitably from these stages in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And then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ose are research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s by Laca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mirror stage provokes imaginary identification of ego. The ego formed at the mirror stage is an existence alienated by the fictional image in the process of dialectical identification with the others. It sutures an unstable and aggressive propensity by narcissism and is being that is in process of constant self-growth. Second, symbolic identification in Oedipus complex phase is the process of becoming subject to reborn as a social and cultural existence. And the child become a subject. Third, the process of subject formation naturally produces self alienation and division. Subject cannot be fully understood with the cutting off its originality. To Lacan subject is not a completed one but a becoming one. Fourth, students as subjects are ones thrown in the lack of existence and existential emptiness. A student is exposed a self-alienation and self dissociation constantly in the place of education. Education should give them some chances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ir originalities. Fifth, Lacan’s psychoanalysis expands the area of education to the unconscious area beyond the conscious area. And it helps to seek new pedagogic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se results will make the limits of educational philosophy based on ego or modern subject revealed and help to build a new educational foundation.

      • KCI등재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김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2

        This research looked deeply into how an ego forms as a subject in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world that Jacques Lacan proposed and has a purpose of find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process. The first world that Jacques Lacan proposed was the imaginary world. In the imaginary, the ego formats itself equates as the image reflected by the mirror. The ego that was formed from an illusion and misconception has tendency to be aggressive and also has tendency of narcissism. The ego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he Oedipus and reforms into the symbolic subject. The ego receives the father’s name and enters the symbolic world of law, norms, and language structure and becomes subjective. Segmented ego desires for its parts of existence that was lost when the ego entered the symbolic world and pursuits it endlessly in the symbolic world. The moment when the part of existence that was lost appears in the symbolic world, Lacan names the real world and emphasis that the desire is headed to realistic. The theory that Jacques Lacan shows changes the existing awareness of desire and induces the human’s thoughts of process of forming a genuine subject. The desire heading to realistic does not fully satisfies so the desire chain that headed to realistic is also impossible, but experience sublimation is possible to enhance the object in “thing” position only in fantasy. The sublimation of Lacan is absolute desire aiming for “thing” and it is a new creation. Many discussions appear in aesthetics about Lacan’s sublimation that creates new creations and makes art possible but the meaning becomes certain on the moral education side. The influence of the moral education created new emotion inside of a human that was not existed before and because of that, not just one side of life but the whole life changes and gets influences in moral changes is the most coincident with the meaning of sublimation that Lacan indicates. Lacan’s psychoanalysis provides new interpretation of desire that existing education thought as virtue of temperance and makes possible to new attempts and provides a theory of human’s subject formation which implied a great deal in moral education. 본 연구는 자크 라캉이 제시한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에서 자아가 주체로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한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크 라캉이 제시한 사유의 첫 세계는 상상계이다. 상상계에서 자아는 거울 속의 이미지에 자신을 동일시하며 형성된다. 착각과 오인의 구조에서 형성된 자아는 공격적 성향을 갖게 되고, 나르시시즘의 성향을 갖게 된다. 자아는 오이디푸스 과정을 겪으며 상징계의 주체로 거듭나게 된다. 자아는 아버지의 이름을 받아들이며 법과 규범, 언어의 구조로 되어 있는 상징계에 진입하게 되고 주체화된다. 자아가 상징계로 진입하며 주체가 되는 과정에서는 어쩔 수 없이 소외가 일어나고 주체는 분열된다. 분열된 주체는 상징계에 진입하면서 상실된 자신의 존재 일부를 찾으려는 욕망을 갖게 되고 상징계에서 끝없이 이를 추구한다. 주체가 잃어버린 존재의 일부가 상징계에서 나타나는 찰나의 순간, 그 공간을 라캉은 실재계라 칭하며, 욕망은 실재를 향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자크 라캉이 제시하는 이론은 욕망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바꾸게 하며, 진정한 주체의 형성을 위한 과정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인간의 사유를 요구한다. 실재를 향하는 욕망은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주체는 끊임없이 실재를 향하는 욕망의 연쇄가 계속됨에도 상징계를 넘어서는 것이 불가능한데 오직 환상 속에서 대상을 ‘물(ding)’의 위치에 고양시키는 체험적 승화가 가능하다. 라캉의 승화는 ‘물’을 지향하는 욕망의 절대성이며, 새로운 것의 창조이다. 새로운 창조를 낳으며 예술을 가능하게 하는 라캉의 승화는 미학에서 논의되는 경우가 많지만, 도덕교육의 측면에서 볼 때 그 의미는 더 확실해진다고 할 수 있다. 도덕교육의 영향으로 인간의 내면에서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정서가 만들어지며 그로 인해 삶의 한 측면이 아닌 삶 전체가 변화되고 영향을 받게 되는 도덕적인 변화야말로 라캉이 가리키는 승화의 의미에 가장 부합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기존의 교육에서 욕망이나 욕구에 대한 명확한 구분 없이 두 가지 모두 절제되어야 더 아름다운 인간의 본능적인 면이라 생각되던 부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도덕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하며, 인간의 주체 형성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면서 도덕교육에 시사한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덴동어미화전가>의 중층적 담론 특성에 관한 일고(一考)

        박상영 ( Park Sang-young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6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명이 주는 무게감에 비해 작품 내적 분석이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는 문제의식과 함께 <덴동어미화전가>의 중층적 담론 특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 작품은 크게 거시구조와 미시 구조로 나뉘는데, 전자는 `화전가` 부분으로 서술자-주체들(화전판에 모인 이들) 간의 관계 성장기를 보여주며, 후자는 `덴동어미 서사` 부분으로 덴동어미 개별 주체의 인생 성장기이다. 먼저 거시구조에서는 화전 놀이판이 등장하는데, 이는 표면상 화합이라는 보편성을, 이면에는 주체들의 개별성을 함의하는 공간이다. 이 놀이판은 처음에 단성성, 거리화된 주체들, 묘사적 풍경이라는 담론 특성을 보여주지만 이후 타자로부터의 자아 발견과 그로 인한 다성성, 대화적 풍경으로 바뀌고, 다시 여럿인 단일 주체, 단성성, 묘사적 풍경이라는 담론 형태로 회귀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회귀성은 단순히 `전체→부분→전체적 시선`의 변화 혹은 `보편→개별→다시 보편 담론`의 특징을 보여주었다는 점 때문만이 아니라, 꽃화자, 봄춘자 노래를 부르는 과정에서 호명된 주체들 간, 또 호명하는 주체(서술자)와 호명되는 주체들 간의 진정한 경계 허물기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미시구조는 <덴동어미화전가>의 거시 구조에서 발견되는 회귀성을 보다 구체화 하는 기능을 한다. 즉 나(덴동어미)-너(타자들, 남편들) 간의 균열과 그 균열이 봉합되는 세밀한 과정 속에서 덴동어미의 삶은 개가의 측면에서만이 아닌 한 인간의 성장기로서, 주체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즉 갓 결혼 당시, 덴동어미는 어린 주체이자 방황하는 주체였다가 이후 실패로 얼룩진 삶들을 살아가면서 점차 삶을 경험하고 알아가는 성장통 앓는 주체로, 귀향하면서부터는 성찰하는 주체이자 성숙된 주체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 수절을 고집하던 유가적 여성에서 주어진 삶을 살아가려는 현실적 여성으로, 다시 확고한 유가적 이념을 정립해 간 주체로의 회귀적 변모 상을 보여주기도 하며, 이는 성찰적 시선과 더불어 타향→고향으로의 공간 이동과 깊은 관련이 있기도 했다. 즉 현실적 담론이 의미를 갖던 타향에서의 삶을 청산하고 유가적 이념 (상징계적 질서)이 강하게 자리하던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덴동어미는 마침내 타자의 시선을 의식할 수 있는 주체로 성장해 갔으며, 그 과정에서 인생은 그렇게 유쾌하고도 즐거운 것이 아닐 수 없다는 깨달음을 얻게 된다. 이 깨달음은 한 개인의 서사를 넘어 개가를 고민하던 청춘과부에게로, 나아가 화전판에 모인 다른 여성들, 심지어 오늘날 우리들에게까지도 큰 공명을 준다. 이처럼 한 개인의 성장 서사는 서로 이질적인 주체들이 진정으로 화합되고 하나 되는 공동체의 장(場)을 마련하는 초석이었다는 점에서 치유서사로의 기능도 한 한편, 또 이러한 개인의 삶 풀이는 `화전 놀이판`이었기에 가능했다는 점에서, 미시구조와 거시구조는 상보적인 관계에 놓여 있다. 또한 두 구조 간의 결합은 덴동어미의 `서사`와 화전가의 `서정` 간의 결합인 동시에 나아가 고전시가의 일반적인 장르적, 미학적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ed discourses in < Dendongeomi-hawjeonga >, with the idea that internal analysis of this was relatively insufficient in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title so far. This song is divided into two structures, macro and micro. The macro structure is Hwangjeonga part and the micro one is the Dendongeomi`s story part. Th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macro structure, there is Hwangjeon play which people get together and make flower pancakes to have fun. This place implies the universality of coherence on the surface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subjects on the back. In this place,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such as `a single voice`, `subjects with distances`, `descriptive landscape` are firstly discovered. After that, these change into `the self-discovery from the other`, `polyphony`, `interactive landscape` and then revolves again like the first time. This regression is meaningful because of true borderless between the subjects with distances and `the narrator and the subjects` in the process of singing about flowers and springs. In the micro structure, Dendongeomi`s growth as a subject is discovered. At the first marriage, Dendongeomi is a young and wondering subject with confucian idea but later, she becomes a growing up-subject with the failure of life and finally as a matured subject with confucian ideas like the first time. These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space, from hometown to other cities and back to hometown. Her life in the other cities is realistic and also women`s remarriage is acceptable there. However, the life in hometown which confucian ideology against women`s remarriage is powerful, are strongly contrasted to those cities. As soon as Dendongeomi comes back home, she is aware of `social look` with reflexive gaze towards herself. It finally brings Dendongeomi`s the enlightenment, `life is so jolly and delightful` and it spreads to the young widow, to other women and even to us today. Like this, the growth narrative of an individual functions as a healing narrative in that it was a foundation that the heterogeneous subjects were truly harmonized and united. And the narration of thess individuals` life is also possible in Hwangjeon play. In this regard, micro and macro structures li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terwoven like weft and warp.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ese two structures are the combination of `narrative` centering on the Dendongeomi`s life and `lyricism` revealed in the part of the Hwangjeonga and also connected with the general genre and aesthetic problems of classical poetry.

      • KCI등재

        전업주부의 배움의 방식과 주체형성

        양병찬(Byungchan Yang),지희숙(Hiesuk Ji),박혜원(Haewon Park)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주민의 공동 관심사인 지역 아이들의 보육 및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의 작은도서관운동에 참여하는 전업주부들의 학습활동과 주체형성(empowerment)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마을도서관운동에서 ‘자원활동가’라고 불리우는 주부들은 자신들의 생활 과제에 관여하는 과정으로 지역 활동에 참여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자녀교육 중심의 사적 요구에서 출발해 점차 지역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더 나아가 지역의 공동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에 참여하면서 사회적 관계도 확장되게 되는데 이들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주체형성의 과정을 경험한다. 이 연구에서는 대전지역마을어린이도서관 운동의 모델이라 할 수 있는 두 마을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여기서 활동하는 전업주부들의 주체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두 마을도서관의 활동가인 전업주부들은 활동의 결과, 개인과 조직의 역량이 개발되고 지역의 일상적 학습문화와 교육공동체 형성의 기반이 조성되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각각 마을도서관의 활동가들은 마을의 특성인 신도시ㆍ중산층지역과 구도심ㆍ저소득층이라는 지역적 계층성을 공유하고 있었다. 두 지역의 주체형성적 특성을 비교하면, 중산층 지역에서는 자기만족적 실천 이상으로 확대되지 못하는 소시민적 주체형성의 한계가 보이며, 저소득층 지역은 사회적 네트워크로 축적되지 못하고 생계형 경제 활동으로 전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전업주부들의 사회 참여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체형성 과정은 상호 대비되는 두 마을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에 기반한 사회계층적 문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지역적 가능성과 한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activities and empowerment process of housewives who participate in ‘small library movement’ based on their community unit for their children fostering and education in neighborhood(the common issues of residents). Housewives who are called as ‘volunteer activists’ at community library have the feature of the third feminism stream in such that they participate to community activities involved in their daily tasks. They start from individual demands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then gradually participate to community for resolving common tasks in their neighborhood, and experience the process of empowerment within the extension of social relationship. In this study, two community libraries for children, advanced model of community library movement, in Daejeon is researched and are analyzed the process of empowerment of activists. Housewives who are acting at two town libraries share regional hierarchy of new urban middle class neighborhood and old downtown/low income class neighborhood. As a result of activities for community library, the abilitie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 are developed and the base for local daily learning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education community is organized. But, in the middle class neighborhood, the limit of petitbourgeois empowerment which cannot be extended beyond self-satisfactory practices is shown and in the low income class neighborhood, the limit of not being accumulated into social network and of breaking away to livelihood type economic activities is shown. Such empowerment indicat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to society by housewives, the subjects of movement of two community libraries, is impacted by socio-hierarchical culture of each region and it shows uniqu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 for each region.

      • KCI등재

        촛불집회 10대 참여자들의 참여 경험과 주체 형성

        이해진(Lee Hae-jin)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80

        이 글은 2008년 촛불집회의 10대 참여자들의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주체 형성 과정을 연구했다. 10대의 촛불집회 참여 경험의 특성이 무엇이며, 이러한 참여 경험이 참여자의 인식 및 행동을 어떻게 바꾸었고, 이를 통해 새롭게 구성되는 주체화의 내용은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탐구하고자 했다. 사회운동 연구에서 감정, 집합적 정체성, 생애사적 영향의 측면에 주목하여 촛불집회 참여 경험을 참여 배경, 참여 과정, 참여 효과로 나누어 분석했다. 연구 자료는 촛불집회 현장에서 실시한 1차면접 설문조사와 이후 70여 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이 1차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해 실시한 2차 추적 조사 결과이다. 분석 결과, 10대 참여자들은 분노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촛불집회를 촛발시키고 대규모로 직접 참여함으로써 시민의식과 민주주의를 체험 학습했다. 또한 이들은 정치세대로서의 인식, 독자적인 정치적 목소리, 일상적으로 정치화된 행동을 보여주었다. 촛불집회 참여를 통해 정치적인 것의 의미 변화를 직접 체득했음을 알려준다. 아울러 지속적인 참여가 시민적·정치적 주체로서의 인식과 행동을 더욱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견했다. 특히 이 글에서는 10대 참여자의 분화와 지속에 주목하여 참여 경험의 특성과 '시민적 주체화'와 '정치적 주체화'라는 이중의 주체 형성 과정을 조명했다. 10대 참여자들의 고유한 체험과 기억이 향후 '촛불 세대'로서 개인의 생애 과정과 한국 사회의 새로운 운동 주기에서 어떻게 표출되거나 변형될 것인지 앞으로 지속적인 학문적 관심과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nalyzed how the participation in 2008 candlelight movement against U.S. beef import liberalization has affected the teenage participants. More concretely, I attempted to deal with the questions of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xperiences, how the experiences transformed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participants, and what was the contour of the newly formed subject ident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motives, processes, and effects of teenagers'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concepts such as emotion, collective identity, and biographical consequences in social movement theories. Two survey data were used: first one was collected by a survey at the place where candle demonstration took place and the other one was a follow-up on-line survey of the same respondents after two and half month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ear and anger of teenage participants provoked the candlelight rally, while the participants learned the virtue of civic consciousness and democracy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recognized themselves as political generation, voiced their political interests, and conducted political behavior in everyday life.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y have become familiar with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olitical by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protest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more they participate, the effect on civic and political awareness and activism are more intense. Most importantly, this paper emphasized the differentiation of participants in terms of subject formation, which I have termed "civic subjectification" and "political subjectification." Further research is in need to see whether the experiences and memory of teenager participants will actually develop into "candlelight generation," which may affect the future trajectory of social movement in Korea.

      • KCI등재

        한국문화원형성을 모티브로 한 한국 애니메이션의 서사 구조 분석 –애니메이션 <달빛궁궐>(2016)을 중심으로-

        임용섭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1

        In the actantial model of Algirdas Julius Greimas, a story makes 3 kinds of relationships with 6 actants, and, in these relationships, the desires of subjects and objects are operated. And, when the subject performs its desire, there are both assistance of helper and disturbance of opponent. And, the object of desire wanted by the subject is provided by sender and receiver. Using this actantial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animation 'Dalbitgungjeon', and, by rearranging the subject of capacity, examined general stream of communication. Korean animations have tried to approach using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as motifs with various perspectives. But, it is true that, compared with foreign animations dramatized using cultural archetypes, Korean animations still have something to be desired.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Dalbitgungjeon' which was recently producted using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as its motif, and, rearranging the subject of capacity, examined general stream of communication. By doing this, this study tried to search for the method of producing an animation equipped with more advanced narrative structure. Of course, narrative structure of Greimas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However, there are still not enough animation researches using cultural archetypes of Greimas. Considering such aspects, this study focused on searching for a method of using the formation of cultural archetypes based on the analysis of fables of Greimas. 그레마스(Algirdas Julius Greimas) 의 역할소 모델(Actantial model) 에서 스토리는 6개의 역할소로 각각 3가지의 관계를 만드는데, 그 안에서 주체와 객체 사이에 관계되는 욕망이 운용된다. 또한 주체가 욕망을 행할 때 원조자의 도움과 반대자의 방해가 공존하게 되며, 주체가 원하는 욕망의 대상(객체)은 발령자와 수령자가 제공한다. 이러한 역할소 모델을 기본으로, 본 연구는 <달빛궁궐>의 서사 구조를 분석한 후 역량의 주체를 재배치하여 커뮤니케이션 전반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시각에서 한국의 문화원형을 모티브로 활용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문화원형을 모티브로 각색·윤색된 외국의 애니메이션보다 서사 구조의 수준이 다소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문화원형을 모티브로 가장 최근에 제작된 <달빛궁궐>의 서사 구조를 분석해 보고, 해당 애니메이션 안에서 연출된 역량의 주체를 재배치하여 전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좀 더 발전된 형태의 서사 구조를 지닌 애니메이션의 제작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물론, 그레마스를 통한 서사 구조 연구는 지금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돼 왔다. 하지만 이 이론을 통해 문화원형성의 활용법을 강구한 애니메이션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 연구는 그레마스의 설화문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원형성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