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거룩한 예배일로서 ‘주일’ 개념과 주일예배신학의 시금석 제언

        김영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1 복음과 실천신학 Vol.58 No.-

        최근 한국교회 주일예배는 COVID19 상황으로 인해 모임 예배와 비 대면 온라인이라는 양방향 예배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비대면 예배에 대한 불만족의 지수는 높아져가고 있다. 비대면 예배에 대한 충분한 성경적, 신학적 숙고가 없이 교회 상황에 맞는 예배 방법만 서둘러 찾 아 시행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로 인해 예배의 본질, 특히 거룩한 예배 일로서의‘주일’개념이 급속히 무너지게 하는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주일예배가 약화되는 일은 그리스도인의 정체성과 교회의 존재 목적의 위상을 심각하게 훼손시킬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예배 방법을 논하기 전에 주 일이라는 날에 대한 개념과 주일예배 실행을 위한 신학적 성찰을 재인 식해야 할 필요성으로 갖고 출발하였다. 먼저, 본 연구 주제를 고찰하 기 위해‘주일’이라는 개념에 대한 역사적 견해와 입장, 안식일과 주일 과의 관계를 살폈고, 거룩한 예배일로서 주일의 정착과정을 신학적이 고 역사적 방법론을 통해 전개하였다. 이후 비대면 온라인 예배에 대한 주일예배의 현황을 성찰하였다. 끝으로, 주일예배 실행을 위한 신학적 시금석을 7가지로 제언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재인식 할 수 있었던 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주일은 기독교의 안식일이자, 거룩한 예 배일로서 다른 날과 분명히 구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충분한 신학적 성찰 없이 다른 날이나 요일로 주일예배를 편의에 따라 대체해 나가는 일은 오히려 주일예배를 약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둘째, 주일예 배는 모임예배와 비대면, 시공간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간과해서는 안 될 주일예배신학의 시금석을 충분하게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일 예배신학의 7가지 시금석은 주일예배 예식서를 작성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토양을 제공할 것이다. Recently, Sunday worship services in Korean churches are conducting two-way worship services such as gathering services and non-face-toface online servic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However, the index of dis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worship is increasing. Without sufficient biblical and theological consideration for non-face-to-face worship, only the method of worship appropriate to the church situation is in haste and is being implemented. As a result, the essence of worship, especially the concept of “Sunday” as a holy day of worship, is causing confusion that rapidly collapses. The weakening of Sunday worship is highly likely to seriously undermine the status of the Christian identity and the purpose of the church.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with the need to re-recognize the concept of Sunday and theological reflection for the execution of Sunday worship before discussing the method of worship in the COVID19 situation.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historical view and position of the concept of ‘Sunda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bbath and Sunday were examined, and the settlement process of Sunday as a holy worship day was developed through theological and historical methodology. Afterwards, the status of Sunday worship services for non-face-to-face online worship was reviewed. Finally, I suggested seven theological touchstones for the practice of Sunday worship. There are two main points that were recognizable through this study. First, Sunday is a Christian Sabbath and a holy worship day that mus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days. The replacement of Sunday worship on other days or days of the week without sufficient theological reflection can be a factor that weakens Sunday worship. Second, Sunday worship should sufficiently reflect the touchstone of Sunday worship theology,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despite meeting worship, non-face-to-face, and time and space circumstances. The seven touchstones of Sunday Worship Theology will provide the soil needed to prepare and execute the Sunday Worship Rite.

      • 시간의 개념으로 살펴본 주일 예배에 대한 고찰 및 제언

        박해정(Park, Hae-Ju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5

        이 글은 기독교 예배 공동체의 가장 큰 근간이 되는 주일예배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오늘날 주일 예배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종교개혁을 통해서 시작된 개신교 예배는 중세 가톨릭 예배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었다. 성례전주의의 폐단과 말씀의 부재, 그리고 무엇보다도 미신화된 예배로 인해서 예배의 개혁은 반드시 필요하였다. 개혁을 통해서 설교 중심의 개신교 예배가 시작되었다. 종교개혁 500년이 지난 지금, 한국 개신교 주일 예배의 상황은 어떠한가? 종교개혁가들의 예배개혁에 대한 의지는 잘 지켜지고 있는가? 개혁가들이 모토를 삼았던 성서의 예배 정신과 초대교회의 예배 정신은 어떻게 자리매김 되어 있는가? 일요일을 주일이라 칭하며 예배로 모이는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일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 날에 모여서 드리는 예배는 무엇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가? 본 글을 통해서 필자는 초대교회의 예배 정신과 주일 예배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예배, 즉 공동의 일이라는 어휘적 의미의 liturgy의 본질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초대교회 예배 정신이 회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설교 중심의 예배에서 탈피해야 된다. 또한 다양한 예배의 구성 요소들이 예배를 통해서 드러날 수 있어야 된다.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곳이 예배의 자리이어야 한다. 또한 예배를 전체적으로 준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예배위원회 혹은 예배부가 구성되어야 된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노력을 통해서 모두가 함께 공동의 예배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통해서 주일 예배의 원형을 회복할 수 있다. This articles aims to make proposals for the Sunday worship service representing the spirit and nature of the primitive Christian worship,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assembly. From reformer’s reformation, the protestant worship has been started by reflecting the superstitious rites of the medieval Mass. Medieval practice of Sacramentalism brought absence of the word into the worship. The time and space for the worship reformation was definitely riped. After five centuries later, it is time to review a current worship situ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they well following the will of reformer’s toward reformation of worship? The protestant reformers heavily emphasized restoration of the early church worship spirit, the balance of word and table, and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as a meaning of liturgy signifies. Is this lesson from the reformers carried out by the Korean church? This article elaborates current worship and its situ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dditionally the article will present several proposals to revive and restore nature and value of primitive worship by applying to our worship context.

      • KCI등재후보

        초기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연구

        김영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8 복음과 실천신학 Vol.18 No.-

        현대 예배갱신 흐름은 교단을 초월하여 초대교회 예배전통과 세계교회의 다양한 예배유산을 적극 활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감리교회 초기예배의 뿌리와 형성과정을 고찰함은 오늘의 한국감리교회 예배이해와 갱신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논자가 초기한국감리교회 예배 중에 주일예배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은 오늘의 예배문제는 곧 주일예배의 문제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주일예배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도구는 교단의 공인된 예배예식서이다. 이를 위해 그동안 발굴되지 못한 초기문헌들을 발굴하여 분석하기도 하였고,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존 웨슬리 예배와 미국감리교회 예배를 고찰하였다. 그 후 초기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결론에서는 새로운 과제도 제안하였다. 초기한국감리교회의 시대적 범위는 Appenzeller가 내한하여 선교를 시작한 1885년부터 기독교조선감리회가 태동한 이듬해인 1931년까지 두었다. Regardless of the denomination, the trend of renewing the modern worship service is to actively make good use of the various heritages of the worship services of the early churches and many churches in the world. In this respect, studying the root and process of forming the early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helps to understand and renew its today’s worship service. The reason why the author considers that the study of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Methodist Church is needed is that the problem of today’s worship service is that of Sunday worship service. What is needed for studying Sunday worship service is Book of Worship and Rite which the Methodist Church authoriz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Korean Methodist Church presented in Book of Worship and Rite.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ound out and analyzed the hidden early documents,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Sunday worship service. First of all, the author inquired the worship service of John Wesley and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which are the roots of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Then,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Korean Methodist church, the author suggests the new task in concluding. The era range is from 1885 when Appenzeller started his mission in Korea to 1931, the next year whe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launched.

      • COVID19와 주일의 모이는 예배

        이상원(Sangwon Lee)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4

        안식일 계명은 엿새 동안 하던 일을 쉬면서 구원사건을 기념하는 예배를 드릴 것을 명령하는 계명으로서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모든 기독교인들과 교회가 준수해야 할 보편적 도덕법이다. 구약시대에 일곱째 날을 안식일로 지키던 관례는 계시기관인 사도들의 모범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날로 그 방식만 바뀌었을 뿐, 보편적인 도덕법으로서의 지위는 변함없이 유지된다. 이 날에는 불신자들의 모임으로부터 떠나서 신자들이 반드시 한지역에 모여서 “모이는 예배”를 드리도록 규정되어 있다. 주일에 신자들이 따로 모여서 “모이는 예배”를 드리라는 명령은 모든 시대의 모든 기독교인들과 교회가 준수해야 할 명령이다. 인간의 생명의 보호는 기독교윤리학에서 절대적으로 우선하는 규범적 명령이다. 따라서 안식일계명의 준수라는 또 다른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가치와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에 안식일 계명의 적용이 유보될 수 있다. “COVID 19와 주일의 “모이는 예배””의 문제는 “아디아포라는 없다”는 원리가 적용되는 문제와 성격이 다르다. “아디아포라는 없다”는 원리의 문제는 성경에 명시적으로 제기된 윤리적 지침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문제를 다루며, 행위자들의 믿음의 정도와 상황에 따라서 가변적이지만, “COVID 19와 주일 “모이는 예배””의 문제는 두 개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규범들이 상충되는 문제로서 행위자의 주관적인 믿음이 문제가 되는 사안은 아니다. 인간의 생명보호는 가장 중요한 기독교윤리학의 규범적 원리이므로 어떤 상황 속에서도 우선순위를 차지해야 하며, 이 점은 안식일계명과의 관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COVID 19의 전염 위험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 “모이는 예배”를 재고해야 하지만,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배 시간을 여러 차례 나누어서 드리는 등의 방법으로 “모이는 예배”를 드리면서도 전염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며, 인터넷 예배는 최후의 비상수단임을 명심하고 인터넷 예배의 편의성에 빠져 주일의 “모이는 예배”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COVID 19의 전염으로 인하여 국민들의 생명에 위협이 찾아 올 가능성이 분명하고, 교회의 “모이는 예배”가 COVID 19의 전염을 퍼뜨릴 가능성이 있음이 분명할 때 국가가 교회의 “모이는 예배”에 관하여 행정지도를 하는 것은 정당한 일이나, 국가는 교회의 “모이는 주일예배”가 하나님을 향한 신앙표현방식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명령을 준수하는 교회 존립의 본질과 관련된 핵심적인 행사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개 교회들을 향하여 일방적으로 “모이는 주일예배”를 금지하는 방식으로 지도해서는 안 된다. 교회가 국가와의 관계에서 정치적인 의사를 표현하고 자체 안에서 교회에 대한 교회행정의 차원에서 명령을 내릴수 있는 기관이 교단이다. 따라서 국가는 교단 관계자들을 만나서 상황설명을 하고 협조를 구하여 교단 자체의 지도체계를 통하여 자율적으로 예방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고 모이는 인원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여러 번 예배를 드리는 조치나 비상시의 인터넷 예배 등을 마련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The commandment of the Sabbath orders to stop the works which are done for six weekdays and hold the worship service celebrating the salvation work of God. This commandment is a universal moral law which must be applied to all Christians and churches of all periods and places. Even though the custom of the Old Testament age to celebrate the seventh day as the Sabbath day was transferred to the one to celebrate the day commemorating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by the example of the Apostles, the position of this commandment as a universal law was never changed. In the Sabbath day or the Lord’s day believers should depart from every kind of meeting of nonbelievers and gather together in a particular local place and held a “meeting worship service.” This “meeting worship service” must be kept by all Christians and churches of all ages.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is a normative commandment which is absolutely prior to any other commandments in christian ethics. Therefore, when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collide with the commandment to keep the Sabbath, the other universal and absolute commandment, the application of the latter can be reserv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VID 19 and the Lord’s day’s meeting worship service”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 of “There is no adiaphora.” The principle of “There is no adiaphora.” deals with the ethical directions which the Scripture does not apparently prescribe, and, therefore can be flexibly applied to Christia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ith and various situations. But,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VID 19 and the Lord’s day’s meeting worship service” is there collision between two absolute and universal norms. Here the subjective faith of the believer does not matter.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must be always prior to any other commandments, for it is the most important normative principle of christian ethics. This feature is applied to its relation with the commandment of Sabbath. If the danger of infection of COVID 19 is clear, “meeting worship service” must be adjusted. But the church should try to find the ways to cut off the danger of infection, such as keeping preventive rules and holding worship services several times a day, not sacrificing a meeting worship service as far as possible. The church must remember that an internet worship service is just an emergent way and warn believers neither to fall into convenience nor to loosen the necessity of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Lord’s day. When the life of civilians can clearly be threatened by the infection of COVID 19, and the meeting worship service can clearly be the way to expand the disease, the state can guide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administratively. However, it is not a good guiding way for the state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is the expression of the faith toward God according to the divine absolute and universal order and, is also the ceremony related to the inherent essence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to prohibit the meeting worship services of all local churches forcefully and unilaterally. Churches express political opinions to the state through the denomination, and the denomination can guide local churches on the level of church administration. Therefore the state should have met the leaders of the denomination, explained the situation, sought the cooperation, and guided the churches indirectly through the denomination.

      • KCI등재

        말씀의 예배(예전)의 형성과 신학 : 성서부터 종교개혁까지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예배는 기독교 신앙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예배를 통해 기독교 신앙의 가장 본질적인 사건인 하나님과의 만남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또한 그 만남을 통해 형성하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가지고 삶으로 나아가기도 하다. 한국교회에는 다양한 예배가 있다. 그 예배들 가운데 주일날 오전에 드리는 예배를 우리는 소위 주일대예배라고 부른다. 그러나 ‘주일대예배’는 개신교뿐만 아니라 기독교 예배의 역사에서 살펴볼 때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사실 예배의 크고 작음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이 예배에 있어 상당히 어리석은 인간의 창작물일 수 있다. 개신교회에서 지칭하는 주일대예배에 대해 보다 바람직하고 정확한 표현을 찾자면 ‘말씀의 예배’(The Service of the Word)이 오히려 적합할 수 있다. 주일예배에 대한 현대의 한국개신교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예배 자체를 설교와 동일시하는 경향이다. 예배를 드리는 성도들 자체도 예배 순서 전체의 비중을 평등한 관계에서 놓지 않는다. 사실 오늘날의 한국교회의 예배는 ‘말씀의 예배’라기보다 ‘설교 중심의 예배’(Preaching –centered worship)이다. 오늘날 개신교의 설교중심 예배의 역사와 신학에 대해 성서로부터 종교개혁까지 살펴보려고 하는 것은 오늘날 우리가 가는 길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설교를 예배(예전)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은 “설교를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청중의 참여와 경험 속에서 세울 수 직접적이고 포괄적” 작업이다. 실제로 초대교회 이후 기독교는 설교를 독립적인 사건에서가 아니라 예배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발전시켜 왔다. 이 논문에서 말씀의 예전에 대한 유래와 신학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Wor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Christian faith. A human meets God through worship. He/She moves on to life with the christian identity formed through the meeting. There are various services at the Korean Church. Among the services, we call Sunday service in the morning ‘Ju-il-dae-ye-bae(the great Sunday worship).’ However, 'the great Sunday worship' is not an accurate express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as well as Protestant churches. In fact, the language expression that represents the size of the worship can be quite a foolish creation of the service. The Service of the Word may be more appropriate to find a better and more accurate expression for the worship service to be referred to by the Protestant Church.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Protestantism about Sunday worship is the tendency to equate worship with sermon itself. The congregations in worship do not regard the elements of the service as equal. In fact, today's Korean church service is more of a 'preaching-centered' rather than 'the service of the Word.' Today, we are looking at the history and theology of the service of the Words from the Bible to the reformation because we need to check the way we are going today. Understanding preaching in the context of worship is the direct and comprehensive work of building it in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as the word of God. In fact, since the early Church, Christianity has developed and understood Words in the context of worship, not in independent case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origins of such words and theirological background.

      • KCI등재후보

        COVID 19와 주일의 모이는 예배

        이상원 ( Lee Sangwon ) 한국교회법학회 2020 교회와 법 Vol.7 No.1

        안식일 계명은 엿새 동안 하던 일을 쉬면서 구원사건을 기념하는 예배를 드릴 것을 명령하는 계명으로서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모든 기독교인들과 교회가 준수해야 할 보편적 도덕법이다. 구약시대에 일곱째 날을 안식일로 지키던 관례는 계시기관인 사도들의 모범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날로 그 방식만 바뀌었을 뿐, 보편적인 도덕법으로서의 지위는 변함없이 유지된다. 이 날에는 불신자들의 모임으로부터 떠나서 신자들이 반드시 한 지역에 모여서 “모이는 예배”를 드리도록 규정되어 있다. 주일에 신자들이 따로 모여서 “모이는 예배”를 드리라는 명령은 모든 시대의 모든 기독교인들과 교회가 준수해야 할 명령이다. 인간의 생명의 보호는 기독교윤리학에서 절대적으로 우선하는 규범적 명령이다. 따라서 안식일계명의 준수라는 또 다른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가치와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에 안식일계명의 적용이 유보될 수 있다. “COVID 19와 주일의 “모이는 예배””의 문제는 “아디아포라는 없다”는 원리가 적용되는 문제와 성격이 다르다. “아디아포라는 없다”는 원리의 문제는 성경에 명시적으로 제기된 윤리적 지침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문제를 다루며, 행위자들의 믿음의 정도와 상황에 따라서 가변적이지만, “COVID 19와 주일 “모이는 예배””의 문제는 두 개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규범들이 상충되는 문제로서 행위자의 주관적인 믿음이 문제가 되는 사안은 아니다. 인간의 생명 보호는 가장 중요한 기독교윤리학의 규범적 원리이므로 어떤 상황 속에서도 우선순위를 차지해야 하며, 이 점은 안식일계명과의 관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COVID 19의 전염 위험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 “모이는 예배”를 재고해야 하지만,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배 시간을 여러차례 나누어서 드리는 등의 방법으로 “모이는 예배”를 드리면서도 전염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하며, 인터넷 예배는 최후의 비상수단임을 명심하고 인터넷 예배의 편의성에 빠져 주일의 “모이는 예배”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느슨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COVID 19의 전염으로 인하여 국민들의 생명에 위협이 찾아 올 가능성이 분명하고, 교회의 “모이는 예배”가 COVID 19의 전염을 퍼뜨릴 가능성이 있음이 분명할 때 국가가 교회의 “모이는 예배”에 관하여 행정지도를 하는 것은 정당한 일이나, 국가는 교회의 “모이는 주일예배”가 하나님을 향한 신앙표현방식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명령을 준수하는 교회 존립의 본질과 관련된 핵심적인 행사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개 교회들을 향하여 일방적으로 “모이는 주일예배”를 금지하는 방식으로 지도해서는 안 된다. 교회가 국가와의 관계에서 정치적인 의사를 표현하고 자체 안에서 교회에 대한 교회행정의 차원에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기관이 교단이다. 따라서 국가는 교단 관계자들을 만나서 상황설명을 하고 협조를 구하여 교단 자체의 지도체계를 통하여 자율적으로 예방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고 모이는 인원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여러 번 예배를 드리는 조치나 비상시의 인터넷 예배 등을 마련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The commandment of the Sabbath orders to stop the works which are done for six weekdays and hold the worship service celebrating the salvation work of God. This commandment is a universal moral law which must be applied to all Christians and churches of all periods and places. Even though the custom of the Old Testament age to celebrate the seventh day as the Sabbath day was transferred to the one to celebrate the day commemorating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by the example of the Apostles, the position of this commandment as a universal law was never changed. In the Sabbath day or the Lord’s day believers should depart from every kind of meeting of nonbelievers and gather together in a particular local place and held a “meeting worship service.” This “meeting worship service” must be kept by all Christians and churches of all ages.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is a normative commandment which is absolutely prior to any other commandments in christian ethics. Therefore, when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collide with the commandment to keep the Sabbath, the other universal and absolute commandment, the application of the latter can be reserv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VID 19 and the Lord’s day’s meeting worship service”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 of “There is no adiaphora.” The principle of “There is no adiaphora.” deals with the ethical directions which the Scripture does not apparently prescribe, and, therefore can be flexibly applied to Christia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ith and various situations. But, in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VID 19 and the Lord’s day’s meeting worship service” is there collision between two absolute and universal norms. Here the subjective faith of the believer does not matter. The protection of human life must be always prior to any other commandments, for it is the most important normative principle of christian ethics. This feature is applied to its relation with the commandment of Sabbath. If the danger of infection of COVID 19 is clear, “meeting worship service” must be adjusted. But the church should try to find the ways to cut off the danger of infection, such as keeping preventive rules and holding worship services several times a day, not sacrificing a meeting worship service as far as possible, The church must remember that an internet worship service is just an emergent way and warn believers neither to fall into convenience nor to loosen the necessity of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Lord’s day. When the life of civilians can clearly be threatened by the infection of COVID 19, and the meeting worship service can clearly be the way to expand the disease, the state can guide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administratively. However, it is not a good guiding way for the state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meeting worship service of the church is the expression of the faith toward God according to the divine absolute and universal order and, is also the ceremony related to the inherent essence of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to prohibit the meeting worship services of all local churches forcefully and unilaterally. Churches express political opinions to the state through the denomination, and the denomination can guide local churches on the level of church administration. Therefore the state should have met the leaders of the denomination, explained the situation, sought the cooperation, and guided the churches indirectly through the denomination.

      • KCI등재

        John Wesley의 1784년 판 『주일예배서』 Sunday Service의 예배신학적 의의

        김순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9 복음과 실천신학 Vol.53 No.-

        오늘날 교회를 둘러싼 환경의 급격한 변화 앞에서 교회는 어떻게 예 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적지 않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 속 에서 18세기에 John Wesley가 미국의 감리교인들에게 보낸, 『주일예 배서』Sunday Service of the Methodists in North America는 고민에 처한 현대 교회들을 위해 중요한 지침과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그는 강한 예전적 전통의 성공회 사제였지만 또한 많은 설교를 행한 열정적 전도자이기도 했다. 그가 미국 감리교도들에게 전해 준『주일예배서』 는 이후 여러 나라의 감리교회들의 예배 개정에 매우 중요한 기초와 거 울이 되었다. 이 논문은 그의 개정된 예배서, 『주일예배서』안에 함축 된 개정의 원리들을 찾아내어 급격히 변화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어떻 게 교회들이 변화와 도전에 대처하면서 동시에 본질을 잘 지킬 수 있는 지 찾고 그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의 내용은 먼저 첫 번째 파 트에서는 John Wesley의 예배 개정에 끼친 그 이전 시대의 영국교회 의 배경들을 살펴본 후, 이어서 두 번째 파트에서는 그의 예배 개정안 에 담긴 함의들, 즉 어떻게 하면 오늘날의 교회가 현대 사회에 잘 적응 하는 예배를 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예배가 강력한 복음적 확신을 제 공할 것인가? 셋째, 어떻게 하면 성례전의 긍정적인 전통을 살펴 균형있게 예배할 것인가? 넷째는, 어떻게 하면 예배 안에 회중의 참여도를 높일 것인가? 등에 관한 통찰을 제시하고 있다. In the face of the radical changes surrounding the contemporary churches, the churches are forced to deeply consider how to worship properly. In this context, John Wesley’s Sunday Service of the Methodists in North America provides important guidance and assistance for troubled contemporary situation. As an anglican priest belonged to a strong liturgical tradition, Wesley lived as an active field preacher delivering powerful evangelical sermons as well. The Sunday Service has played an significant role in revisions of later Wesleyan worship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inciples of revision implied in his Sunday Service, and seeks the answers of how contemporary churches in rapidly changing society can effectively cope with such challenges by properly adapting themselves to those environment while keeping the pure identity of their worships. Thus, in the first part,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s of previous periods imbedded in John Wesley’s revision of the liturgy, and in the second part, based on his revisions and related activities, it deals with issues about how the worships can be adapted to contemporary society appropriately, how they can constantly remain in strong evangelical dynamics, how they can be in balance with other aspects like sacramentality, and how they increase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in worship.

      • KCI등재

        기독교 예배의 본질과 속성의 측면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개인예배 (Personal Devotion)와 공동예배 (Public Worship)의 의미와 관계

        안덕원 ( Ahn Deok-weon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4

        기독교의 소중한 유산인 주일 공동예배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그 의미와 역할에 집중되어 있다. 본고는 개인의 영성을 고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되어 온 개인예배 혹은 개인적 헌신행위를 공동예배와의 관계 속에서 다루고 개인예배와 공동예배의 공통분모를 찾으며 둘 사이의 협력 관계를 모색하는 시도다. 우선 개인예배와 공동예배의 상관성을 찾기 위해 예배의 본질과 속성을 검토하여 적용하고 분석한다. 예배는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이며 그 만남은 삶에서의 실천을 지향한다. 예배는 공동체가 함께하는 공적인 행위이며, 파스카 신비(Paschal mystery)를 구현한다. 시공의 한계를 초월하는 과거가 되살아나는 기억과 미래를 미리 맛보는 재현의 현장이다. 예배는 본질적인 요소를 공유하되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갖는다. 이러한 원칙으로 개인예배와 공동예배를 비교 분석하면, 개인예배와 공동예배는 이분법적 경직성을 극복하고 상호 보완적, 협조적 관계를 가져야 함이 선명해진다. 공동예배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개인예배와 가정예배의 사례들도 존중받아야 하고, 공동예배에서 공적 요소가 더욱 분명하게 살아나야 한다. 개인예배와 공동예배는 교회의 소중한 자산들로서 창조적인 긴장과 능동적인 협업, 그리고 선순환의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 The Sunday public worship is a precious legacy of Christianity, and academic research has heavily focused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ervice. This is an attempt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Personal devotion or individual worship has been historically understood only as a means to enhance individual spirituality. In this research, the writer seeks to fin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and explore the creative tens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In order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the author concentrat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 elements of worship. Worship is a personal encounter with the Trinitarian God, and the encounter aims to practice in life. Worship is a public act that embodies Paschal mystery and transcends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Worship is the moment of anamnesis, an active kind of memory, and prolepsis, a foretaste of the future. Worship shares essential elements but is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upon the socio-cultural context.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with these principles, it becomes clear that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should have both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by breaking away from any dichotomous rigidity. Personal devotion and private services should be respected as forms of worship which share the elements of public worship, and the commu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more encouraged in public worship. Personal devotion and public worship are valuable assets of the church and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of creative and active collaboration.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예배사상

        조기연 ( Kee-yeon Cho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4 No.-

        웨슬리는 영국사회를 신앙으로 변화시킨 인물이며, 감리교회의 창시자로서, 현대 감리교회, 성결교회, 나사렛교회, 구세군 등 여러 교단들의 출발점이 되는 교회사적 중요성을 지닌 인물이다. 예배학적 관점에서 볼 때에 웨슬리의 예배관을 공부하지 않고는 이러한 교단들의 예배를 이해할 수 없고, 나아가 예배갱신의 방향을 논하기도 어렵다. 예배신학 또는 예전신학(liturgical theology)의 범위는 믿는 바에 대한 반성으로서 예배에서 말하고 행동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그러한 신앙의 증거들을 조직적으로 검토하는 것, 그 다음에 최종적으로 그러한 신앙을 보다 더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해 예배 자체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웨슬리의 `주일예배서`는 그의 예배신학 즉 신앙의 예전적 증언 위에 기초한 신학을 파악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왜냐하면 이 예배서에 전체적인 웨슬리 운동의 두드러진 특징적 요소가 잘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전통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전통과 상황의 조화를 이루는 예배, 기록된 기도와 즉흥적 기도를 함께 수용함으로써 예배에서의 형식과 자유를 조화시키는 예배, 예전적 예배와 영적 경험을 공히 중시하는 예배, 그리고 예배 안에서의 말씀과 성찬을 조화시키는 예배를 추구한 웨슬리의 예배는, 오늘날 형식주의에 빠진 예전적 예배와 신학적으로 빈곤한 현대예배를 공히 치료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오늘날 웨슬리의 예배를 연구해야 할 당위성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John Wesley is not only the person who changed England society with his enthusiasm in Christian faith, but also the founder of the Methodist Church in England and the North America. Moreover, several denominations such as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he Nazarene Church, and the Salvation Army explicitly and implicitly regard John Wesley as their origin. Therefore, one can not understand the worship and liturgy of those denominations without study of John Wesley`s thought of worship. The criteria of Liturgical Theology or theology of worship begins by observing that which is said and done in worship as a reflection of belief, then examines systematically such evidences of faith, and finally reforms worship itself so as to express that faith more adequately. In that sense, `John Wesley`s prayerbook`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to understand Wesley`s theology found on his liturgical witness. Because this book includes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Wesley`s movement. John wesley, who pursued worship which has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context, formular and freedom, written prayer and extempore prayer, liturgical worship and spiritual experience, and the Word and Sacrament, can be a ideal alternative both for the traditional worship in formalism and for the contemporary worship which is poor in theology. This is the reason why one has to study John Wesley`s wo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