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숨은그림찾기 그림책에 의한 주의집중력 효과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

        전혜진 ( Chun Hye-jin ),김승민 ( Kim Seung-min ),이경현 ( Lee Kyoung-hye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숨은그림찾기를 가지고 놀이를 통한 저학년을 대상으로 주의집중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동들은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학습을 위해 조기교육을 경험하며 빠른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살아간다. 학령기전에는 집중력에 관한 많은 활동과 체험 등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지만 학령기에 접어들면서부터는 과목에 따른 시험을 위한 교과공부에 더 치중하게 된다. 숨은그림찾기는 어려서 누구나 한번쯤은 해 본 놀이이다. 숨은그림찾기훈련은 주의집중행동의 형성에 효과가 있음을 다른 논문에서 시사 한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서점에서의 베스트셀러 숨은그림찾기 책들의 구성과 유형을 분석 한 뒤 4가지유형으로 나누어 숨은그림찾기그림을 선정하고 주의집중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틀에 걸쳐 하루는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다음 날 숨은그림찾기를 실시한 뒤 바로 사후검사에 들어갔다. 유형별로 1학년과 2학년의 차이, 성별의 차이, 학년의 차이에 따른 주의집중력을 살펴보았으며 스토리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단순한 그림과 복잡한 그림의 숨은그림찾기를 통해 학년별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분석하였다. 스토리가 있으며 단순한 숨은그림찾기는 1학년 주의집중력에 우세하였으며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높았다. 스토리가 있으며 복잡한 숨은그림찾기는 2학년 주의집중력에 우세하였으며 여학생이 영향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가 없으며 복잡한 숨은그림찾기는 2학년이 우세하였으나 저학년에게 주의집중력이 효과적이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시발점에 있는 저학년 학생들은 스토리를 통해 쉽게 접근하고 성취감이 높아야 흥미를 느끼며 주의집중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사전에 주의집중력이 높아도 접근이 쉽지 않고 어려움이 있으면 사후에 주의집중력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성취감을 높여주며 학생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도움을 주는 방향의 다양한 숨은그림찾기는 교육적인 측면과도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숨은그림찾기는 어렸을 때 즐겼던 놀이중의 하나가 아닌 그림이 주는 메시지전달과 주의집중력과 관련하여 저학년만이 아닌 많은 학생들과 어른들이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숨은그림찾기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present study, we will look at the attention focus to target the low-grade through the play with the hidden image search. Children who will enter to school age, to experience the early education for new learning, to liv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high-speed environment. Many of the activities and experience a variety of experience, such as over a about concentration in front of the school-age is, will be an emphasis by the study of subjects for the study of subjec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school-age Finding hidden picture is anyone theater also has tried to once an early age. Has been suggested in other papers that are hidden image search of training is effective for the formation of the attention concentrated action.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the configuration and type of best-selling hidden image search of the books of a large bookstore, and select the image search image hidden divided into four types, it was carried out attention concentration inspection. One day over the two days, conducted a pre-test, after carrying out the hidden image search the next day, was immediately entered the inspection. First grad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year students by type, the difference of gender, and without that there is a story that we discussed the attention concentr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grade, by grade via a hidden image search of a simple picture and complex imag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whether the difference is due to the propensity. Story is there, a simple finding hidden picture was higher girls than superiority and male students to the attention focus of the first year. Story is there, complex finding hidden picture was found that the dominant and female students to the attention focus of the second-year students had an impact. Story does not have, complex finding hidden picture is the second-year students was dominant, attention concentration in the lower grades was not effective. In this study, low-grade students at the starting point that requires careful concentration force, with easy access through the story,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force felt the high interest is a sense of achievement increases. If there is a pre problem it is not easy at most accessible care concentration has been found that post to the attention concentration is low. To enhanc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to grasp the trend of the students, a variety of finding hidden picture of support direction, it will be able to connect to the educational aspect. Various hidden finding hidden picture is not in one of the play, which enjoyed a kid, that not only the lower grades in conjunction with the message transmission and attention concentration indicated by the picture, it is possible that many of the students and adults to access image search is expected to come out with.

      • 주의집중력 훈련으로서 뇌교육 명상의 주의집중기제 탐색

        고건영 ( Ko Geon-young ),신혜숙 ( Shin Hye-so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7 뇌교육연구 Vol.20 No.-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끊임없이 발생하는 자극은 주의집중력 결핍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어 주의집중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기존의 주의집중력훈련은 인지능력 중심의 특정기법을 주로 활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뇌과학의 발달로 명상이 뇌의 전반적인 기능 향상을 가져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주의집중력 훈련에 명상을 활용하는 흐름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교육 명상의 주의집중 기제 탐색을 통해 다중작업을 요구받는 환경에서, 자가훈련(self-training)이 가능한 인간능력향상에 기반한 통합적 개념의 주의집중력 훈련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의집중의 개념 및 요소를 살펴보고, 뇌교육 명상을 포함한 명상을 활용한 주의집중력 훈련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뇌교육 명상경험에서 축적된 연구자의 실천지를 분석하여 뇌교육 명상의 주의집중기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뇌교육 명상이 기 에너지를 활용한 이완된 집중을 통해 쉽게 내부의식으로 들어가고, 신체와 정서, 인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뇌의 전반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며, 집중명상과 통찰명상의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어 반복적인 실천이 용이하며, 크고 가치 있는 꿈을 통한 몰입을 유도하는 특징을 확인하였고, 이는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자가훈련(self-training)이 가능한 통합적 주의집중력 훈련이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The constant irritation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ass media has caused the lack of concentration, this has made concentration more important. Although the existing concentration training mainly uses specific techniques based on cognitive abilities, recentl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has shown that meditation brings about improvements i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brain. There also is a flow of use of meditation in concentration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the search of the concentration mechanism of brain education meditation. is to present an integrated conceptual a concentration training method based on the improvement of human mental ability capable of self - training in an environment requiring multiple tasks. For this purpose, after considering the concept and elements of concentration, examined the precedent study of the concentration training method of meditation including brain education meditation, and analyzed practical knowledge of brain education meditation, and then the concentration mechanism of brain education meditation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it easy to go into the inner consciousness through relaxed concentration using the energy, improve the general function of the brain by utilizing the interaction of the body, emotion, and cognition, and have a cyclic structure of concentrative meditation and insight meditation, induces immersion through a large and valuable dream. This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train integrative concentration training which can provide self-training to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concentration.

      • SVM기반의 선택적 주의집중을 이용한 중첩 패턴 인식

        배규찬,박형민,오상훈,최용선,이수영,Bae, Kyu-Chan,Park, Hyung-Min,Oh, Sang-Hoon,Choi, Youg-Sun,Lee, Soo-Young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5

        본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학습 이론인 SVM을 기반으로, 인간의 인지 과학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선택적 주의집중을 응용한 중첩 패턴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선택적 주의집중 모델은 SVM의 입력단에 주의집중층을 추가하여 SVM의 입력을 직접 변화시키는 학습을 하며 선택적 필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주의집중의 핵심은 학습을 멈추는 적절한 시점을 찾는 것과 그 시점에서 결과를 판단하는 주의집중 척도를 정의하는 것이다. 지지벡터는 주변에 존재하는 패턴들을 대표하는 표본이므로 입력 패턴이 초기상태일 때 주의집중을 하고자 하는 클래스의 가장 가까운 지지벡터를 기준으로 그 지지벡터와의 거리가 최소가 되었을 때 주의집중을 멈추는 것이 적절하다. 일반적인 주의집중을 적용하면 주의집중 척도를 정의하기가 난해해지기 때문에 변형된 입력이 원래 입력의 범위를 넘지 않는다는 제약조건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척도를 정의하였다. 이때 사용한 정보는 변형된 입력과 원래 입력의 유클리드 거리, SVM의 출력, 초기상태에 가장 가까웠던 히든뉴런의 출력값이다. 인식 실험을 위해 USPS 숫자 데이터를 사용하여 45개의 조합으로 중첩시켰으며, 주의집중을 적용시켰을 때 단일 SVM보다 인식 성능이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제한된 주의집중을 사용하였을 때 일반적 주의집중을 이용하는 것 보다 성능이 더 뛰어났음을 확인하였다. We propose a recognition system for superimposed patterns based on selective attention model and SVM which produces better performance th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proposed selective attention model includes attention layer prior to SVM which affects SVM's input parameters. It also behaves as selective filter. The philosophy behind selective attention model is to find the stopping criteria to stop training and also defines the confidence measure of the selective attention's outcome. Support vector represents the other surrounding sample vectors. The support vector closest to the initial input vector in consideration is chosen. Minimal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e modified input vector based on selective attention and the chosen support vector defines the stopping criteria.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confidence measure of selective attention if we apply common selective attention model, A new way of doffing the confidence measure can be set under the constraint that each modified input pixel does not cross over the boundary of original input pixel, thus the range of applicable information get increased. This method uses the following information;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an input pattern and modified pattern, the output of SVM, the support vector output of hidden neuron that is the closest to the initial input pattern. For the recognition experiment, 45 different combinations of USPS digit data are used. Better recognition performance is seen when selective attention is applied along with SVM than SVM only. Also, the proposed selective attention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common selective attention.

      • KCI등재

        색안경이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재신,송현미,전병진,정주현,김지현,이경자,이지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안경의 렌즈색상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주의집중력 변화를 전산화인지기능검사(CNT)와 뇌파측 정을 통하여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대전광역시 W동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렌즈색상에 따른 주의집중력의 변화 를 알아보기 위해 전산화인지기능 평가도구를 시행하면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색안경을 착용 하지 않은 경우와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검은색 색안경을 착용한 전산화인지기능 평가도구의 주의집중수행도(CPT)와 뇌파의 변화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성별에 따른 주의집중력 및 뇌파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과잉반응수와 스트레스 영역에 서 높게 나타났다. 렌즈색상에 따른 주의집중력 컴퓨터 과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이때 뇌 파 활성도를 비교해본 결과 상대알파와 주의집중력 뇌파에서 안경 미착용에 비해 각 색상이 있는 경우에서 활 성도가 높았으며, 특히 파란색과 검은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색안경 착용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각 4 가지 렌즈 색에 대한 상대알파,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안경의 색상에 따라 상대알파와 상대베타, 학습, 주의집중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 라서 작업치료사가 임상에서 주의집중력 결핍아동을 비롯한 인지손상의 주의집중력 훈련을 실시할 때 작업수 행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색상 환경을 고려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of atten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lor of their eyeglass lense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omputerized Neurocognitive-function Test(CNT) and measured Electroencephalogram (EEG) to investigate changes of attention based on the eyeglass lens color of the subjects. A total of 30 1st to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W-dong,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tested. The CPT was measured a total of five times, when glasses with no tint were worn, and when red, yellow, blue, and black tinted glasses were worn. Results : Based on the EEGs taken during the CPT, which compared cases when glasses with and without tinted lenses were worn, and the lens color when tinted glasses were used, each of 4 areas, relative alpha, beta relative, learning, and attention, showed levels of p< .05 ,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Black and blue tinted lens glasse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ttention.

      • KCI등재

        학습문제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증진 방안에 대한 고찰 : 통합학급의 국어 읽기수업을 중심으로

        서선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수업시간에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이 보이는 소극적인 활동참여와 잦은 과제이탈행동은 이들이 학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습득하고 숙달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 아동들의 수업 참여와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학업 수행과 성취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학교생활에 보다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국어의 읽기 영역은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상당수가 가장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교과의 한 분야로,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에 별로 흥미를 갖지 못하고 쉽게 수업 활동에 몰입하지 못하며 주의집중을 유지하기 어려워한다는 연구결과는 우리로 하여금 이들이 읽기수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의집중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수전략에 관심을 돌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최근 통합학급에 학습문제 아동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이러한 관심은 더욱 더 중요하다. 본 고에서는 학습문제 아동이 포함된 읽기수업에서 매우 뛰어난 학생참여와 주의집중을 이끈 일반 및 특수교사의 수업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교과에서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로 거듭나도록 도와줄 수 있는 7가지 교수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습문제 아동의 읽기수업 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은 (1) 흥미롭고 실생활에 관련이 있는 이야기, 활동, 예시를 활용하고 (2) 아동에게 참신하고 다양한 과제와 활동을 쓰며 (3) 필요한 읽기 기술을 직접 교수하고 읽기에 필요한 학습전략을 가르치며 (4) 읽기 수업에서 학생이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5) 수업의 학습목표와 활동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6) 학생의 읽기 수행에 대하여 칭찬, 보상과 함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7) 국어, 읽기 학습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있다. 이상의 교수전략을 실행하기 위하여 읽기를 가르치는 교사는 무엇보다도 아동이 가지는 학업적 어려움과 이에 수반하는 사회-정서적 고충 및 학습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을 통일성 있고 체계적으로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고 모든 아동의 학습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학급 내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며 학부모와 학교 내 다른 영역의 전문가(예 특수교사 혹은 일반교사)와 협력적 관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often suffer from engag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tasks, which often result in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or low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of thes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particularly, have difficulty in engaging them into class instruction. It is needed for teachers to know which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in facilitat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their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learning problems. Thu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s, especially in reading. Relevant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ollow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1) using relevant and interesting tasks and/or activities,(2) using novel tasks and activities, (3) applying direct instruction and strategy instruction, (4)supporting student autonomy, (5) identifying instructional goals and objectives, (6) using reinforcement with clear feedback, and (7) creating an instructional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reading.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should understand these students' difficulties and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using strategies listed above cohesively, build a learning community, and collaborate with the parents and other educato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tudent engagement of all students.

      • KCI등재

        아동 · 청소년 대상 주의 집중 능력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이명경,김아름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4

        Despite the high interest in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here are few tools to measure this ability objectively. In this study,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is divided into four factors; visual attention, auditory attention, learning concentration and continuing concentration. Finally, it was developed a total of 50 items of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e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 It was conducted this test of 1,626 students from 4th to 9th grade nationwide. Through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were found in this test. Learning concentration which is no level of difficulty is single factor, whereas visual-auditory attention and continuing concentration which is existed level of difficulty are classified according to level of difficulty; visual-auditory attention: high level, visual-auditory attention: low level, continuing concentration: high level, continuing concentration: low level. The amount of explanation of high level in visual, auditory attention and continuing concentration are larger than low level of the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ed the validity of this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is affected by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kind of stimulus and this ability is needed to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is clearly measured by responses to a high level of tasks utilizing memory strategies than those to a low level of simple tasks. Thus, it is needed to use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for concentrating complex information over short-term memory capacity.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est would be able to not only measure selective response ability for simple stimulus, but problem solving ability performing complex tasks. 주의 집중 능력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를 종합적,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 집중 능력을 정보처리과정을 근거로 시각 주의력, 청각 주의력, 학습 집중력, 지속적 집중력 4개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아동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전체 50문항의 주의 집중 능력 검사를 개발하였다.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 1,626명을 대상으로 주의 집중 능력 검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한 결과 5개의 요인이 발견되었다. 문항별 곤란도 차이가 없는 <학습 집중력>은 하나의 요인으로 묶인 반면, 문항별 곤란도 차이가 있는 시각 주의력, 청각 주의력, 지속적 집중력의 경우 문항의 곤란도에 따라 <시청각 주의력; 높은 수준>, <시청각 주의력; 낮은 수준>, <지속적 집중력; 높은 수준>, <지속적 집중력; 낮은 수준>로 나뉘었고, 시청각 주의력과 지속적 집중력 모두 낮은 수준보다는 높은 수준의 설명양이 컸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본 검사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주의 집중 능력이 자극의 종류보다는 과제 곤란도의 영향을 더 받으며, 학습 능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주의 집중 능력은 낮은 수준의 단순한 과제에 대한 반응보다는 기억 전략을 활용해야만 더 잘 수행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과제에 대한 반응을 통해 더 잘 측정되는 특성을 발견하였다. 즉, 단기 기억 용량을 벗어나는 복잡한 정보에 주의 집중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학습 전략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주의 집중 능력 검사는 단순 자극에 대한 선택적 반응 능력뿐만 아니라 복잡한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문제해결에 이르는 능력까지 측정할 수 있는 종합적, 과학적 주의 집중 능력 측정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주의집중력 결핍 유아의 집중능력향상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

        김희수(Kim, Hee-Soo),전재선(Jeon, Jae-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주의집중력 결핍 유아들을 대상으로 집중능력향상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과 정서적 안정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 주의집중력 결핍 유아들의 집중능력향상 및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연구자가 Y학습클리닉센터에서 직접 진행한 집중능력향상(주의집중훈련 프로그램) 단기 프로그램 과정에 참여한, 전남 M시의 5-6세 남녀유아 36명을 대상으로 2개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8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개시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4주 후에 중간검사를, 실험이 종료되는 8주차에는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측정에는 집중력결핍검사, 주의집중력검사, 정서안정검사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집중능력향상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 결핍 유아들의 학습에 대한 주의집중력과 정서안정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고 둘째, 집중능력향상 프로그램은 시간량보다 지속적인 훈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중능력향상 프로그램은 짧은 기간 훈련으로도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었으나, 이를 지속적으로 적용할 경우에 주의집중력 결핍 유아들의 주의집중력과 정서적 안정에 더 도움이 됨을 밝혔다. 이에 본 연구의 집중능력향상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 결핍 유아들의 주의집중력과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ention ability development program(AADP) on attention and emotional stability among attention deficit childre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AADP on attention and emotional st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 the effects of AADP on attention and emotional stability for which the test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 whole 8 weeks were significantly more positive than those of the program carried out for the first 4 weeks, thereby implying that the attention and emotional stability of attention deficit children continued to improve significantly as the AADP extends longer. Third,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AADP minute per class session(60 or 30 minutes) and AADP learning. Both the 3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60 minutes per session programs continued increasing program duration(4 or 8weeks) were both important factors in influencing the attention and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ir influence positively on both the attention and the emotional stability as these AADP were being kept longer during the 8 weeks program period.

      • KCI등재

        주의집중에 대한 교육신경학적 해석

        조주연,이은정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4

        Educational activities begin as learners are motivated to give attention to educational contents. Atten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process and state in which the nervous system induces electric and chemical neural signals regarding particular subjects. If the process of attention is observed in detail with regard to educational activities, it can be divid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passive attention, active attention, monitoring attention, selective attention, and divided attention. Therefore, attention emerges as the complex function results of various attention processes. This study adheres to the combined positions of research in Education and Neuroscience for the integrated discussion and approach of attention components based on aspects of complex attention processes while progressing with an interpret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Neurology. This study made observations after classifying the components of attention into the four types of selectivity, centralization, sustainment, and control based on perspectives of the Educational Neurology. These components of attention, which compose layers, function synthetically based on complex attention processes and affect the quality of attention. Within educational activities, these components of attention are affected by factors such as the external propertie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ternal propertie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Therefore, attention is dynamically revealed according to integrated functions among affected attention components and interactions among various factors such as education activitie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교육활동은 학습자가 교육내용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유도하면서 시작된다. 주의는 특정 대상에 대 하여 우리 몸의 뇌를 비롯한 신경계에서 전기·화학적인 신호가 유발되는 과정 및 상태로 볼 수 있다. 주의의 과정을 교육활동과 관련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수동적 주의(Passive attention), 능동적 주의 (Active attention), 간과적 주의(Monitoring attention),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 다중주 의(Divided attention)와 같이 여러 종류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주의집중이란 여러 주의과정의 복합 적 작용 결과로 드러나게 되는 상태와 관련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주의과정의 양상에 기반하여 주의집중 구성요소들에 대한 통합적 논의 및 접근을 위해 교육학과 신경과학 연구들 간 통섭적 입장을 견지하며 교육신경학(Educational Neurology)적 해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신경학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주의집중의 구성요소들을 선택성, 집중성, 지속성, 통제성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살 펴보았다. 먼저 선택성은 학습자가 교육적으로 의미있는 내용 및 활동에 주의의 초점을 얼마나 잘 맞 추는지와 관련된다. 그리고 집중성은 학습자가 선택한 내용 및 활동에 대하여 얼마나 깊이있게 몰두하 는지를 일컫는다. 다음으로 지속성은 학습자가 선택한 내용 및 활동에 대한 몰두의 상태를 얼마나 오 래 유지하는지와 연관된다. 마지막으로 통제성은 앞에서 살펴본 선택성, 집중성, 지속성 모두에 대한 상위 요소로써 주의 초점의 이동 순서, 타이밍 등을 얼마나 적절하게 잘 조절하는지를 나타낸다. 이렇 게 층위를 이루는 주의집중의 구성요소들은 복합적인 주의과정에 기반하여 통합적으로 기능하며 주의 집중의 질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교육활동 속에서 이러한 주의집중의 구성요소들은 교 육활동 외적 특성, 교육활동 내적 특성, 학습자 특성과 같은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주의집중 이란 교육활동 및 학습자 특성과 같은 여러 요인들 간 상호작용과 이에 영향을 받는 주의집중 구성요 소들 간 통합적 기능에 따라 역동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주의집중력에 따른 Red, Blue, Green, White 색자극에서의 생리반응에 관한 기초연구

        이진숙(JinSook Lee),이희원(HeeWon Lee),김한나(HanNa Kim),류지선(JiSeon Ryu)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1

        최근 청소년 주의집중력결핍 환자의 증가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청소년시기에 학습부진, 자존감저하를 비롯 사회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한 색채분야에서의 대안으로 색채의 생리적인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파란색과 초록색의 색자극은 이완과 함께 안정과 주의집중도를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 색채 환경제어기술 개발을 목표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주의집중력에 따른 색자극에서의 생리반응에 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중·고등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주의집중력검사를 실시하여 주의집중력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2)실험공간은 Red, Blue, Green, White의 색자극공간에 대한 크기가 1500㎜×1500㎜×2400㎜의 공간에, 조명기구의 사이즈는 600㎜×600㎜의 D65표준광원, 100㏓로 조성한 실물대 Mock-up을 제작하였다. 3)생리반응측정은 10%-20%국제표준전극 부착법을 이용하여 전전두엽과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좌우 귓불에 전극을 부착한 후 뇌파를 측정하였다. 4)White공간에 기준으로 Blue와 Green, Red 색자극공간에서의 두 그룹의 생리반응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록색에서 주의집중력이 높은 그룹의 경우에는 주의집중력이 감소하였고, 주의집중력이 낮은 그룹은 주의집중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주의집중력이 낮은 그룹의 경우에는 초록색이 다른 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주의집중에 도움이 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수가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후속연구에서는 피험자의 수를 보완하여 제시하도록 하겠다. Lately, increase of adolescent attention deficit patients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t can lower academic performance, compromise self-esteem, and have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life in the adolescence. To come up with alternatives that address the issue, results of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colors suggest that color stimulation in blue and green induce tranquilization and concentration. Therefore, with a view to developing indoor color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I have conducted in this study a basic study on adolescents" physiological responses to color stimulation in accordance to their concentration. 1) Attention test was conducted on fourt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divide them into the group with good attention and the other group with poor attention. 2) In a space with a size of 1,500 mm x 1,500 mm x 2,400 mm with color stimulation in red, blue, green, White, I created a life-size mock-up with 100 lx of D65 standard light source with a size of 600 mm x 600 mm. 3) F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response, 10%-10% standard electrodes were attached to prefrontal lobes, frontal lobes, parietal lobes, occipital lobes, and both earlobes to measure brainwaves. 4) With white space as the standard, the two groups" physiological responses in space with color stimulation in blue and green, red. The analysis ha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In green, the concentration of the highly-focused group decreased, while the concentration of the group with low focus increased. It suggests that green helped the group with low focus concentrate better, more so than any other color. However, s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not appropriate to be generaliz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ill be increased in the follow-up study.

      • MeFOT기반 주의집중훈련이 유아의 주의집중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김보경 mefot창의인성학회 2014 MeFOT 창의인성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MeFOT 창의성 사고훈련에 근거한 주의집중훈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능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2 학급 50명을 선정하여, 이중 25명은 MeFOT기반 주의집중 훈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에 배정하고 나머지 25명은 일상적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통제집단 에 배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유아의 주의집중력은 곽소영(1998)이 제작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력검사는 Kendall과 Wilcox(1979)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유혜정 (1998)이 번안하고 이지현(2001)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도구는 모두 8차시로 구성된 MeFOT기반 주의집중 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MeFOT기반 주의집중훈련은 유아의 성별에 관계없이 주의집중 전체 및 시각적 주의집중, 청각적 주의집중, 지속적 주의집중 등 모든 하위요인 향상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MeFOT 기반 주의집중훈련이 유아자기조절 전체와 자기통제, 충동성, 주의집중 등 모든 하위요인의 향상에 유 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중 충동성은 성별에 따른 효과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