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극의 신호강도가 주의 깜박임 현상에 미치는 영향

        어강용,주성준,정상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5 No.3

        The attentional blink (AB) is a high-level phenomenon that is known to occur due to capacity limitations in memory or limited resources in attention. Recent studies, however, have shown that low-level visual features such as the bottom-up saliency of a stimulus can also influence the AB.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an attentional cascade model whi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oth working memory and bottom-up saliency will influence the AB. More specifically, we manipulated the signal strength, one of low-level features, of the second target (T2) and investigated its effect on the AB. In Experiment 1, we were able to observe that a simple orientation detection task produced the AB, suggesting that the AB can occur even for simple orientation stimuli. In Experiment 2, it was observed that the amount of the AB was modulated by the signal strength of T2 both in the orientation detection task (Experiment 2-1) and in the digit detection task (Experiment 2-2).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AB can be regulated by the signal strength of T2. Furthermore, the result for which the effect of the AB varies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of T2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attentional cascade model. 주의 깜박임 현상은 기억 혹은 주의의 용량 제한 때문에 발생하는 상위 영역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주의 깜박임 연구들은 자극의 현저성과 같은 하위 영역 특징 또한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기억 용량 제한뿐만 아니라 자극의 하위 영역 특징도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의 단계 모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하위 영역의 특징들 중 T2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여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순한 방위 탐지 과제도 주의 깜박임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 2에서는 방위 탐지 과제(실험 2-1)와 숫자 탐지 과제(실험 2-2)를 사용하여 T2의 신호 강도가 주의 깜박임 정도를 변화시킴을 관찰하였다. T2의 신호 강도에 따라 주의 깜박임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하위 영역 특징도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의 단계 모델을 지지한다.

      • KCI등재

        돋음색 훈련에 의한주의 능력 향상과 주의 깜박임 제거

        홍락균,최훈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1

        일련의 자극들이 연달아 빠르게 제시되는 신속순차제시에서 두 표적을 식별해내려고 할 때, 첫 번째 표적 제시 후 0.2초에서 0.5초 이내에 제시되는 두 번째 표적의 식별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주의 깜박임이라고 한다. 최근 연구는 식별성이 증가된 두 번째 표적을 사용한 ‘돋음색 훈련’이라고 하는 훈련과정을 통해서 주의 깜박임이 제거됨을 보고하였다. 돋음색 훈련이 우리의 주의통제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기존의 주장에 반해, 훈련 회기 동안의 반복적인 자극 노출이 야기하는 시지각 학습이 그 주된 이유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돋음색 훈련 효과에 대한 시지각 학습 가설을 검증하고자, 사전 검사 1회기 - 돋음색 훈련 2회기 - 사후 검사 1회기로 구성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4회기의 실험 내내 숫자가 표적으로 영어 알파벳 문자가 방해자극으로 사용되었다. 표적으로 사용된 숫자는 총 여덟 개 였는데, 이 중 무선적으로 선택된 절반인 네 개만이 돋음색 훈련에 사용되었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훈련 회기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다른 네 개의 숫자를 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훈련 효과가 발생하여 주의 깜박임이 제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훈련 회기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숫자에 대해서도 훈련 효과가 전이되어 주의 깜박임이 제거되었으며, 이는 돋음색 훈련의 효과가 단지 훈련 기간 동안 표적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에 따른 지각 능력의 향상이 아닌, 주의 능력이 향상된 결과로서 표적을 탐지하고 방해자극을 억제하는 주의 통제 기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When participants are asked to identify two targets embedded in a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RSVP), they hardly identify the second target that is presented within 200-500ms after the first target. This is called an attentional blink (AB).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AB can be removed by the color-salient training in which the second target within 200-500ms is presented in a salient color.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training effect is caused by an improvement of our attentional control mechanism, which is responsible for both target selection and distractor inhibition. Alternatively, however, the training effect might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visual perceptual learning evoked by repetitive exposure to stimuli during the training. The current study tested these two hypotheses through an experiment that consisted of four sessions: a pre-test session, two color-salient training sessions, and a post-test session, in that order. All sessions employed number targets and alphabet letter distractors in RSVP. During the training, only half of eight numbers (from 2 to 9) were randomly selected as targets. Our results showed that even when untrained numbers, which were not used in the training, were employed as targets in the post-test, the training effects occurred, resulting in removal of AB. I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color-salient training effect occurs not as a result of the visual perceptual learning but as a result of improvement in our attentional capacity.

      • KCI등재

        디지털휴먼 대화유형이 정서 및 주의집중에 대한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김국현,류지헌,이선옥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versational styles with digital humans on users' persona perception, emotions, emotional engagement, and attention to enhance experiences in virtual environments, seeking to use the educational advantages of digital human. We categorized conversational style with digital human into social-oriented and task-oriented dialogues. A total of 45 participants (14 males and 31 females) were engaged in both social-oriented and task-oriented dialogues successively and responded to a persona perception survey. Facial expressions and eye information(fixation duration time and blink rate per a minute) collected during the dialogues were used to analyze emotional responses and attention. Findings revealed higher persona perception, more positive emotions, and increased attention concentration during social-oriented dialogues. Th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utilizing social-oriented dialogues with digital humans to foster a more enriched user experience in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nd propose a strategic approach in designing interactive modules involving digital humans.

      • KCI등재

        돋음색 훈련을 통한 주의 깜박임 제거 효과의 전이 가능성

        최훈,홍락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1

        When participants are asked to identify two targets in a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RSVP), wherein a sequence of visual stimuli was presented in rapid succession, they often fail to identify a second target if it is presented within half a second after the appearance of the first target. This deficit, called attentional blink, has been considered to reflect the capacity limitation of temporal attention. A recent study showed that attentional blink can be eliminated through the color-salient training during which a second target can be easily identified by displaying it in a salient color. The current study explored whether the color-salient training effect can occur even in RSVP with an untrained set of targets and distractors. Experiment 1, which employed letter targets and number distractors during training sessions, did not show any effect of the color-salient training, in that attentional blink did not disappear even after the training. In Experiment 2, after the color-salient training employing RSVP with number targets and letter distractors, attentional blink was eliminated not only in trained RSVP with number targets and letter distractors, but also in untrained RSVP with letter targets and number distractors. This result suggested the color-salient training effect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RSVP with an untrained set of targets and distractors, and it wa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color-salient training influences attentional control mechanisms that are related to both target selection and distractor inhibi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that failed to show the color-salient training effect provided clues related to conditions in which the color-salient training can work. 일련의 시각 자극들이 짧은 시간에 연달에 제시되는 신속순차제시에서 두 개의 특정 표적을 식별해 내는 과제를 수행할 때, 첫 번째 표적 제시 후 500ms 이내에 두 번째 표적이 제시되면 두 번째 표적의 식별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주의 깜박임이라고 한다. 최근 연구는 주의 깜박임 효과가 일명 돋음색 훈련이라고 하는 훈련 과정을 거치면 제거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신속순차제시의 두 번째 표적을 다른 자극들과는 다른 색(돋음색)으로 제시하여 현출성을 높여 쉽게 식별되도록 한 후, 반복하여 노출시키는 돋음색 훈련 이 후에, 두 번째 표적이 돋음색으로 제시되지 않아도 쉽게 식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돋음색 훈련의 효과가 훈련에 사용되지 않은 표적-방해자극세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발생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돋음색 훈련 회기에 영어문자표적-숫자방해자극으로 구성된 신속순차제시를 사용한 실험 1에서는 돋음색 훈련 효과 자체가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실험 2에서는 숫자표적-영어문자방해자극을 사용한 돋음색 훈련 후, 영어문자표적-숫자방해자극의 신속순차제시에서도 주의 깜박임 효과가 제거되었다. 이는 돋음색 훈련 효과가 훈련 회기 중 사용되지 않은 조건으로도 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돋음색 훈련이 표적을 탐지하고 방해자극을 억제하는 주의 통제 기제에 영향을 끼친다는 기존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한편, 돋음색 훈련 효과가 발생되지 않은 실험 1의 결과는 돋음색 훈련 효과가 발생하는 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단서를 제공하며, 돋음색 훈련 효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