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칭역량연구에서의 Q방법론적 접근

        김경미,정희정 한국코칭학회 2019 코칭연구 Vol.12 No.1

        This research shows the introduction to Q-methodology as a coach individual Q methodological study of subjectivity on coaching competencies and the study design of Q methodological study of subjectivity of on coaching competencies. The perception of coaching competencies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subjective criteria of the coach, which directly affects on the coaching process. Therefore, that can be used to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measure the coach's subjectivity about coaching competencies through the Q-methodological approach to coaching competencies. The Q-methodology is an approach, a research method , and an analysis method to be used throughout social science about subjectivity study of human. The Q-methodology applies a small number of samples to address the intraindividual difference significance rather than between individuals and it is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 to objectively measure the subjectivity which an individual has about particular targets in small number of sample analysis and audience analysis. Procedures for coaching competency applying the Q-methodology are carried out in five steps; literature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analysis of results, Q population construction and extraction, P sample selection and Q classification and processing, analysis and typification, and conclusions. Q-methodology, which is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 for objectively measuring the subjectivity of an individual to a particular subject, is not only applicable to the coaching competency, but also particularly useful in studying individual subjective traits in all field of coaching. Based on this research, the research using the Q-methodology in the domestic coaching research would be expanded, and the coaching research and discussion of diverse topics using an active Q-methodology for in-depth coaching research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본 연구는 코칭역량에 대한 코치 개인의 주관성 연구로서 Q방법론의 소개와 코칭역량에 대한 주관성연구의 연구설계를 제시하였다. 코칭역량에 대한 인식은 코치의 주관적 준거에 따라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코칭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코칭역량에 대한 Q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코치역량에 대한 코치의 주관성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Q방법론은 인간의 주관성 연구를 위해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접근 방법, 연구방법이며 분석방법이다. Q방법론은 소수의 표본을 적용하여 개인 간의 차이가 아닌 개인내의차이의 중요성을 다루며 소규모 표본분석과 수용자 분석 면에서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특정대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다. Q방법론을 적용한 코칭역량에 대한 연구절차는 문헌연구 및 표적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와 결과분석, Q모집단 구성 및 추출, P표본 선정과 Q분류 및 결과처리, 해석및 유형화, 결론의 다섯 가지 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특정대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인 Q방법론은 코칭역량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코칭의 모든 분야에서 개인적인 주관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국내 코칭연구에서 Q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확대되고, 다양한 주제의코칭 연구와 논의가 Q방법론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활발히 수행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복지이데올로기에 대한 주관성 연구

        박순우(Park, SoonWoo),이도희(Lee, DohHee)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8 No.-

        본 연구는 오늘날 사회복지와 관련을 맺고 있는 사람들이 복지사상 혹은 복지이데올로기에 대하여 어떠한 이해와 사고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 및 사회학 전공자, 그리고 실무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자료 분석은 인식유형화를 위한 질적연구방법인 주관성연구의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유형이 규명되었다. <유형 Ⅰ>은 주로 사회복지공무원과 사회복지사로 현장근무자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유형 Ⅱ>는 대학교수 및 대학원생으로 구성되었고, <유형 Ⅲ>은 대학재학생 중심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따라, <유형 Ⅰ>은 ‘실무자형’, <유형 Ⅱ>는 ‘이론가형’, <유형 Ⅲ>은 ‘학습자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Ⅰ>인 ‘실무자형’은 ‘부의 재분배’, ‘노후생활’, ‘취약계층’, ‘적극적 복지’ 등의 사회복지 현장의 지극히 실무적인 용어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 Ⅱ>는 ‘이데올로기’, ‘복지사상/ 철학’ 등의 이론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를 강조하였고, <유형 Ⅲ>은 ‘사회민주주의’, ‘소득보장’, ‘사회보험’ 등의 교과서적 용어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사상 및 이데올로기는 생활 및 사고와 인식의 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인식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주관성연구는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기에 향후, 보다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가설검증적 계량연구로의 확장을 기대한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explore what types of welfare Ideologies are perceived among those in the arena of social welfare. For that, it employed the Q methodology , a subjectivity study, as to develop a typology of their welfare perceptions. Three following types were identified. <Type I> consisted mainly of field workers such as social welfare officers and social workers; <Type Ⅱ> university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and <Type Ⅲ>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ly, <Type I> was named worker type ; <Type Ⅱ> theorist type ; and <Type Ⅲ> learner type . It was found that <Type I> put an emphasis on the practical terms of partial redistribution , old life , vulnerable class , and active welfare , while <Type Ⅱ> stressing the terms, commonly used in theoretical studies, of ideology and welfare ideology/philosophy . Finally, <Type Ⅲ> was identified to generally acknowledge such textbook terms as social democracy , income guarantee and social insurance . Due to the subjectivity methodology we used, this study targeted a limited number of people who are working in social welfare-related fields. Is suggests a future study expand its horizon to cover more numbers and wider range of people.

      • KCI등재

        21세기 전통시장, 존재의 이유를 생각해보다!: 주관성연구, Q방법을 활용하여

        이원기,이도희,유영설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2

        [Purpose]The Korean traditional market has not been able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is still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cessity of diagnosis of consumers’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market. [Methodology]In this study, Q methodology, which is a subjective study was used. The Q method here identifies the respondents’ perceptions and re-types them to identify the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In addition, it is a methodology beyond the research method of deriving the results more deeply by grasping the various perceptions and opinions that respondents think. [Findings]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ype Ⅰ> is named ‘Human Enjoyment Tradition Market Type’ and <Type Ⅱ> is named ‘Product Positive Traditional Market Type’. <Type Ⅲ> is called ‘Discriminative Recreation Oriented Type’ and <type Ⅳ> is named ‘Traditional Market Constraint Recognition Type’. In other words, the analysis shows that consumers in the traditional market in the 21st century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Implications] So, with the big marts near our life, we come to think about the reason for their presence again, recalling the five-day market or the traditional market. Let’s thinking about the existence reason of the traditional market. [연구목적]우리나라 전통시장은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아직도 현상유지에만 급급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유통현대화 과정 및 시설 등에서 계속 낙후되어 가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은 과연 전통시장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진단의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을 활용하였다. Q방법론은 먼저 주제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다시 유형화하며 각 유형별 응답내용과 응답자의 특징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Q방법론은 응답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다양한 인식과 의견을 파악함으로써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도출하는 연구방법 이상의 방법론(methodology)이다. [연구결과]<유형 Ⅰ>은 ‘사람냄새강조형’으로, <유형 Ⅱ>는 ‘전통시장긍정형’으로, <유형 Ⅲ>은 ‘차별화육성지향형’으로, <유형 Ⅳ>는 ‘전통시장제약인식형’으로 명명하였다. 21세기 전통시장에 대한 소비자는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을 모두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는 대형마트와 더불어 5일장 또는 전통시장을 다시 한 번 떠올리며, 그들의 존재 이유를 생각해보게 된다. 과연 그들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 KCI등재

        특수체육학에 있어서 Q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현수 ( Hyun Su Lee ),김소형 ( So Hyung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0 No.4

        2000년대에 이르러 특수체육(Adapted Physical Activity)은 그 패러다임이 변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특수체 육학에 다양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중, 질적 연구는 사용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연구방법으로 써 인간의 내면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당위성을 갖고 있다. 그와 동시에 학계에서는 질적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 본연의 가치 및 연구자의 준비, 연구방법의 혼란 등과 관련하여 우려의 목소리 역시 끊임없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이분법적 구조 대립에 대해서 주관성과 객관성 사이의 긴장을 해소시킬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서 스티 븐슨은 Q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1970년대 국내에 소개되어 광고학, 정치학, 정책학, 간호학 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Q방법론을 특수체육 분야의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 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고 최근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 결과물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특수체육연구에 Q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심리적 세분화, 가설 발견적 연구, 효과검증 연구, 연구대상자의 확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체육에서 Q방법론은 특수체육의 다양한 욕구나 기대, 의견대립 탐색에 대한 기여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체육에서 다루는 중요한 연구 분야의 하나인 인간의 가치나 장애인을 둘러싼 타자의 태도, 장애 관련 종사자의 신념 등 과 관련된 주관성을 보다 과학적으로 접근하는데 있어 Q방법론의 유용성과 기여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이 에 추후 특수체육학 연구에 있어서 Q방법론을 이용한 주관성 연구가 보다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round the time of 2000, adapted physical activity is freed from the past paradigm focused on rehabilitation and training but has the altered frame of view grounded on the various research of the disabled to realiz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with minimized limited environment and let the disabled participate in society. Among them, qualitative research is a method of research constantly increasing and has the appropriateness from the viewpoint to see the inside of human beings. Along with this, the academic circles have also continually made voices of concern regarding the ultimate value of research, preparation of researchers, or confusion of research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to get rid of such tension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regarding such dichotomy structural contrast, Stephenson suggested Q methodology. As it was introduced in the 1970`s into Korea, it has been used for the research in the areas of advertisement, politics, policy science, or nursing. Thereupon, with the research method of reviewing,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d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Q methodology to adapted physical activity. To attain the research goal concretely, this study considered diverse books and analyzed various research results we have recently acquired. And this study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garding the area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that can apply Q methodology, this study implies it can be appropriate to psychological specification, research for discovering hypotheses, research for verifying effects, or the expansion of research subjects. Second,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Q methodology will contribute to exploring various needs or expectation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or conflic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ground to approach more scientifically to subjectivity related with the mankind value or the others` attitudes towards the disabled, one of the crucial research areas dealt with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or the beliefs of disability-related workers. And it is hoped that in the research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this kind of subjectivity research will be performed more often afterwards.

      • KCI등재

        대학경영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이도희(Lee, Doh Hee),장민호(Jang, Min Ho),정재용(Jung, Jae Yong) 한국관리회계학회 2016 관리회계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대학의 변화와 위기환경 속에서 대학이 살아남기 위한 고육지책은 무엇인지를 대학경영에 대한 인식의 파악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양적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주관성연구인 Q방법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총 28개의 진술문을 바탕으로 3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4가지의 유형으로 대학경영의 인식을 설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형Ⅰ>은 대학의 핵심은 교육서비스 제공임을 강조하고 있고, 응답자는 주로 국립대소속의 응답자로 구성하고 있어, 「교육서비스강조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Ⅱ>는 대학의 회계관리 투명성, 충분한 교육서비스 제공 등을 강조하고 있어, 「관리통제강조형」으로 명명하고, P표본 구성 역시 국립대소속의 응답자로 구성되었다. <유형 Ⅲ>은 대학경영자의 경영철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경영자철학형」으로 명명하였고, 주로 사립대소속의 응답자로 구성되었다. <유형 Ⅳ>는 대학의 환경변화에 발 빠른 대응 방안으로써 자구적 노력의 필요성과 시장원리를 제고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어, 「시장원리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인 주관성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가설발견적 접근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즉, 분석결과 4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고, 각 유형의 P표본의 구성은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의 소속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응답자의 소속에 따른 차이에 대한 가설을 설계함으로써, 가설발견적 접근의 유용성을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jectivity on University Management by making use of Q methodology. The first step is defining the concourse. The concourse here refers to the collection of all the possible statements that the respondents can make about University Management. From the concourse, twenty eight statements, called Q-sample. were developed, and the Q-sample was sorted by thirty respondents, or P-sample. who are composed of respondents working in university. So, 28 Q statements were sampled from the Q-concourse and sorted by 30 people called P-samples or P-sorters. 30 P-samples are composed of university officials like professors and officials. By Q-factor-analysis, P-sample is sort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Type Ⅰ shows strong perception about education service of university. So, type Ⅰ is named 「Education Service Emphasize Type」. Type Ⅱ shows strong perception about accounting transparence. Type Ⅱ is named 「Management Control Type」. Type Ⅲ shows stronger perception about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university manager. So, type Ⅲ is named 「Philosophy of Ownership Type」. Finally, Type Ⅳ shows strong perception about market principles of university. Type Ⅳ is named 「Market Principles Type」. And then,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ce of significantly on P-samples distribution among the Typ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t expects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qualitative methodology as an abductive study for the empirical study.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후보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안종순(Jongsun A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1

        이 글은 아동상담 대학원생이 타 대학원의 질적연구방법론 수강에 대한 경험을 자문화기술로 탐구한 내용이다. 나는 2022년 2학기 질적연구방법론 과목을 수강한 약 4개월간의 이야기를 위해 강의계획서, LMS 게시판, 과제, 필기 노트, 교수자 피드백, 성찰일지, 수업 활동 사진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전사하여 목록화한 다음 내용분석과 분류분석하여 주제를 구성하였다. 고백적, 에믹과 에틱적 글쓰기를 하였고, 질적연구 수업자와 동료 간 협의를 3회 하였다. 동료 수강생에게 발표를 하며 타당도와 연구윤리를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세 개의 주제와 아홉 개의 하위 범주로 결과를 논의하였다. 첫째, 생활세계와 친숙한 질적연구에서는 색다른 수업 경험과 질적연구방법론 수업과 가까워지기, 주변의 모든 것이 연구주제가 될 수 있는 경험을 탐색하였다. 둘째, 체험으로 출발해 이론에 도착하는 수업에서는 인터뷰 실습에서 나의 일깨움과 타인의 논문을 비평하는 나의 인식과 안목, 아주 커다란 포스트 잇을 해체하였다. 셋째, 상호작용이 있는 질적연구방법론의 힘에서는 먼저 열어 보이는 k선생님, 목소리 좀 낮추고, 함께해서 의미 있는 질적연구방법론을 논의했다. 타과의 질적연구방법론 수업 경험을 다룬 이 글이 질적연구를 어려워하거나 질적연구방법에 사소한 오해를 가진 연구자들의 편견을 깨는 연구사례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xperience of child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tak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t other graduate schools with self-ethnography. I collected data with syllabus, LMS bulletin boards, assignments, notes, instructor feedback, reflection journals, and class activity photos for four month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ur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I have peer reviewed three times between instructor and colleagues to increase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were discussed in three topics and nine subcategories. First, qualitative study familiar with the living world, a different class experience, getting closer to the clas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an experience where everything around them can be a research topic were explored. Second, class star s from experience and reaches to theory, I dismantled my awakening in interview practice, my perception and perspective of criticizing other people’s papers, and a very large post. Third, in the power of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ith interaction, we first discussed a meaningfu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y matching the open k teacher and voice. It is expected that this article will be used as a research case that breaks the prejudice of researchers who have difficulty in qualitative research or have minor misunderstanding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KCI등재

        비대면 상담에 대한 상담자의 주관성 연구

        정미라,이송이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비대면 상담에 대한 상담자들의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여, 양질의 전문화된 비대면 상담 서비스를 내담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상담자들의 비대면 상담에 대한 주관성의 유형을 구분하고 살펴보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Q 표본은 상담자에 대한 심층 면접과 비대면 상담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종 40개를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P 샘플은 상담자 29명이었 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상담에 대한 상담자들의 주관성 유형은 4가지로, 첫째, 상담효과성 담보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을 언급한 상담환경 우선형, 둘째, 내담자와 상담자를 위해 더 개발되어야 함을 언급한 필요 맞춤 개발형, 셋째, 정보통신기술의 편리함을 받아들이는 온라인 효과 수용형, 넷째, 자기 역량을 더 키우기 위해 교육을 탐색하는 대처 교육 탐색형으로 주관성 유형의 특성 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비대면 상담에 대한 유형화된 상담자의 주관성 특성을 바탕으로 발전적인 비대면 상담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새 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counselors about non-face-to-face counseling,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non-face-to-face counseling services to clients. Q methodology was appli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Q-concourse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sand in-depth interviews of non-face-to-face counseling for counselors, resulting in the final statements which are Q-sample. The P sample participating in the study was 29 counselors. Then, data was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Our research results showed four types of perceptions. Type 1 participants believe it is necessary to reduce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the counseling environment for counselors. Type 2 participants think that customized preparation should be further developed for clients and counselors. Type 3 participants see that the online counseling system is convenient regarding smooth interaction, time utilization, and comfortable environment. Type 4 perceive that counselors need to develop their capabilities of using the technology system. Consequently, the four types’ of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counseling were discussed for developing future non-face-to-face counseling.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에 대한 교사의 인식유형 연구: 교육에서 추구하는 역량의 담론을 중심으로

        남상선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7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and classifying common characteristics of a leadership model based on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of how they consider leadership model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search method employs Q-methodology to comprehend teachers’ perception on a leadership model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Q sample, a total of 33 Q-statements are adop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precedent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perception. P samples for the research are 3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have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 in education, while Q-sorting and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QUANL program to analyze main factors and related types. The results suggest four types of teachers’ perception on a leadership model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irst type of the leaders has emotional empathetic intelligence, the second type has convergence thinking intelligence, the third type has revolutionary challenge intelligence, and the fourth type has comprehensive thinking intelligence. Th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eachers’ perception types on a discourse of new leadership model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identified with a subjective point of view and a search for new methods on leader education is discussed in public. In additio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development and support of education programs, a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본 연구는 교사들이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의 주관적 인식을 토대로 인재상에대한 공통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교사들의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표본은 인식과 관련된 문헌고찰, 선행연구, 심층인터뷰내용 등을 종합하여 총 33개의 Q진술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P표본은 10년 이상 경력의 초⋅중등 교사 30명이며, Q소팅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주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관련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차 산업시대 인재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유형은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은 정서적 공감지능 인재형, 유형 2는 융복합적 사고지능 인재형, 유형 3은혁신적 도전지능 인재형, 유형 4는 종합적 사유지능 인재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 새로운 인재상의 담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형을 주관적인 관점으로 파악하고, 인재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안 모색을 공론화 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재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들에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경영교육, 밥상머리교육에서 시작하다: 주관성연구,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이도희,조민호 한국경영교육학회 2017 경영교육연구 Vol.32 No.2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21세기의 밥상머리 교육은 과연 존재하는가에서 출발하여, 밥상머리 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질적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Q방법론은 피험자의 인식을 파악하고, 그 인식을 유형화하는데 유용한 기법의 주관성 연구이며, 또한 가설발견적 접근방법이다. 즉, Q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계량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질적연구방법이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방법론(methodology)이다. [연구결과]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유형화되었다. <유형Ⅰ>은 ‘소통’, ‘인성’, ‘소통’, ‘사랑’ 등의 단어를 강조하고 있어, 「소통공간형」으로 명명하였고, <유형Ⅱ>는 ‘필수교육’, ‘인성’, ‘학습’ 등의 단어를 강조하고 있어, 「교육지향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Ⅲ>의 경우에는 ‘소통’과 함께, ‘행복’, ‘건강’ 등을 강조하고 있어, 「건강가족형」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유형별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과 가족과의 식사환경에 따른 교차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의 시사점]따라서, 주관성연구인 Q방법론의 ‘가설발견적 접근’으로써의 유용성을 설명하였고, 21세기 경영환경에서의 경영교육을 위한 밥상머리 교육에 대한 존재의 이유를 다시한번 생각해보고자 한다. [Purpose]This study is to start form the problem of table Manners Education from the large family of the 20th century to the small family of the 21st centur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jectivity perception of the table manners education for Management Education. It’s called “Pabsang Mury Kuhyuk” in Korea. [Methodology]For this purpose, the first step is defining the concourse that refers to the collection of all the possible statements that the respondents can make about terminology in all table manners education. From the concourse, 30 statements, called Q-sample. were developed, and the Q-sample was sorted by 30 respondents, or P-sample who are composed of respondents working in various areas that they getting 40-50s years and students or others 20s years. [Findings]By Q-factor-analysis, P-sample is sorted into three categories as follows: Type Ⅰ shows strong perception about ‘communication’ and ‘character’. So, type Ⅰ is named 「Communication Type」. Type Ⅱ shows strong perception about ‘education’, ‘character’ and ‘learning’. So, type Ⅱ is named 「Education Intention Type」. Type Ⅲ shows stronger perception about ‘communication’, ‘happiness’ and ‘health’. So, type Ⅲ is named 「Health-Table Type」. [Implications]This study is to emphasize that there i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on the eating table manner education for management mind and entrepreneurship. Because there is a reason why our eating table education 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