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 은퇴계층의 주거이동시 면적의 다운사이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수,성주한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4

        In this study, the retirees of the metropolitan area reduce the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secure a minimum living cost for retirement. In particular, we use four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basis of downsizing in detai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idential mobility characteristics, housing tenure characteristics, and housing types characteristics affect the downsizing of residential area I want to see i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downsizing on the area in residential mobility of the metropolitan retirement clas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retirement age group of 50s and 60s, the size of the housing area is downsized. Especially, the downsizing of the area is dec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s, university graduates, and health. Even if you retire, you will not downsize if you have a large family with a large number of households. Also, among the retirees in their 50s and 60s, if they are university graduates or more, there are many intellectuals in white color. And the healthier you are, the more likely you are not to downsize. However, the residential mobility, housing tenure and housing typ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are considered to be downsizing because they are retirement class in 50s and 60s.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의 은퇴계층들이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생활비를 확보하기 위해 다운사이징을 하게 되는데, 인구통계 특성, 주거이동 특성, 주택점유형태 특성, 주택유형변화 특성이 주거이동시 면적의 다운사이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수도권 은퇴계층의 주거이동시 면적의 다운사이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0대와 60대의 은퇴계층의 경우 주택 면적을 다운사이징하게 되는데, 특히, 가구원수와 대졸이상, 건강에 따라 면적의 다운사이징에 대해 결정되어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은퇴한다 하더라도 가구원수가 많은 대가족일 경우 다운사이징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현재 50대와 60대의 은퇴계층 중 대졸이상인 경우에는 화이트컬러의 지식인층들이 많기 때문에 면적을 줄이면서 남는 돈으로 생활비로 쓰는 현실적이고 빠른 판단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주거이동시 주거이동특성과 주거점유형태특성, 주택유형변화특성들은 면적 다운사이징에 관계없이, 단지 50대와 60대의 은퇴계층이기 때문에 면적 다운사이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은퇴계층의 경우 면적 다운사이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가구원수, 학력(대졸이상), 건강여부 등의 인구통계특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패널로짓분석을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임차인의 주거이동에 관한 연구

        성주한(Sung, Joo Han),김형근(Kim, Hyung Keun)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6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주의 연령에 따라 임차가구의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가구주 의 연령에 따라 인구․사회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주거이동에 있어 다른 선택을 보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령별 임차인의 주거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패널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패널로짓모형을 이용 하여 가구주 연령별 임차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년의 경우에는 주거이동에 지역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이 매우 중요하게 나타나고, 중년과 장년의 경우에는 인구․사회적 특성, 지역적 특성, 경제적 특성의 모든 특성이 중요하며, 노년의 경우에는 지역적 특성은 강하지만 경제적 특성이 주거이동에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모든 연령대에 지역적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이 주거이동에 매우 중요하게 나타난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연령이 들어감에 따라 약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t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sidential mobility according to the head of household age. Because of the different social, region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head of household a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lection of residential mobility (2) RESEARCH METHOD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Mobility was analyed by using penal logit model.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set in 3 groups. Population・society characteristic, regional characterist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 (3) RESEARCH FINDINGS In the case of young peopl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for residential mobility. In the case of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al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social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In the case of old ag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strong, but economic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weak influence on the residential mobility. It can be judged that the regional aspect and the economic aspect are very important for the residential mobility in all ages, but it is getting weaker with age. 2.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 were to influence the choice of residential Mobility. Also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residential Mobility in accordance with another head of household age.

      • KCI등재

        수도권 및 5대 광역시 가구의 주거이동계획 요인분석 : 물리적 특성변수를 중심으로

        김근준(Kim, Geun-Joon),김규남(Kim, Kyu-Nam),노승한(Ro, Seung-Han) 대한부동산학회 202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9 No.1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수도권 및 5대 광역시 거주 가구가 그 외 지역으로의 주거이동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주거환경의 물리적 특성변수를 중심으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와 의의를 요약하면 첫째, 주거환경의 대표적인 물리적 특성변화 중 주택유형과 주택면적의 하향변화는 수도권 및 광역시 거주 가구가 그 외 지역으로의 주거이동을 계획하게 하는 유의한 요인임이 확인된 반면에 주택층수와 방개수의 하향변화는 주거이동 계획을 유발 하는데 있어서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이를 통하여 주거환경의 물리적인 특성변수들의 하향변화도 주거이동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이러한 결과는 지방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 입안과 상대적으로 열위의 환경에 놓여 있는 가구의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제공하기 위한 주거환경의 개선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ouseholds living in the Seoul City and Five Metropolitan areas on the residential mobility plans to outside of metropolitan areas and cities. Thus, we employ a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2010 to 2018 data from the Korea Housing Survey, and focusing on the physical change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following is the major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it presents that in the representative physical changes regard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downgrading change in house type and house size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makes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cities plan to move out. However, the downgrading change in the number of floors and rooms have an in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dential movement plan. Second, from the first result, we find that the physical downgrading chang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an important cause of residential movement. Third, the above mentioned results ma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the formulation of policy to achiev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provide stable residential life for households in relatively undesirable environments.

      • KCI등재

        주택하위시장 여건을 고려한 지역 간 이동 영향요인 분석

        노두승(Noh Du Seung),김리영(Kim Lee Young),양광식(Yang Kwang Sik)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70 No.-

        지역 간 인구이동은 기대소득 또는 절대소득, 취업기회 등과 같은 경제적측면의 이동이 주된 원인으로 설명되지만, 지역내부나 인접지역 간에 이루어지는 이동은 주거이동으로 설명한다. 주거이동은 해당지역이나 인접지역에서 주거조절을 통해 이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인구이동과 차별적이다. 이 연구는 어느 한 지역 내 주택시장여건이나 지자체가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차이가 이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영향 요인은 무엇인지 인구이동과 주거이동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 하에서 이동에 영향을 주는 하위시장여건과 지역특성요인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이동의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인구규모가 큰 지역, 인접한 지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공공시설이나 서비스보다 지역의 주택시장 여건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세가격의 상승에 따른 주변지역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임차가구의 비자발적 이동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적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저렴한 주택공급,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우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housing market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migration.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mainly used spatial analysis and OL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migration. For that, this study obtained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ousing market data. (3) RESEARCH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migration is more clustered in Seoul city that south part in Seoul city and neighbor in Suwon city. 2.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policies were recommended. The policies are needed to reduce the loss of affordable housing and displacement of low income households by increased re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affordable housing supply.

      • KCI등재

        1인가구 연령대와 전입지 특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임태균,김준영,박정호 (재) 인천연구원 2023 도시연구 Vol.- No.23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age of one-person households and a varie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mobility. We use national migration microdata and a regional database to run multiple regression models with interaction terms. First, we found that the youngest one-person households (20–39) were the most frequent movers, while the oldest (60 or older) were stayers, controlling for various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and move-in regions. Second,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local housing stock and the age of oneperson households on their residential mobility, including mid-aged oneperson households (40–59) moving into regions with higher house prices and more apartments, the youngest moving into regions with affordable older homes, and an indifferent preference for small-sized housing across ages. Third, we foun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age of oneperson households and other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job market, education, welfare, land use, and density. 본 연구는 전체 가구의 주거이동에서 차지하는 1인가구의 중요성이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트렌드에 착안하여 1인가구의 연령대와 전입지 특성 간상호작용 효과가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21년 국내인구이동통계 마이크로데이터와 전국 229개 시·군·구 지역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호작용항 다중회귀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가구 주거이동 비율은 1인가구 특성과 제반 전입지 특성을 고려하여도 청년층(20~30대)이 가장 높았으며 고령층(60세 이상)이 가장 낮았다. 둘째, 1인가구 연령대와 주택 재고 특성 사이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주거지 표준공시지가와 아파트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중장년층(50~60대) 1인가구가 전입하는 반면, 저렴한 노후주택 위주 지역으로는 청년층 1인가구가 전입하였고, 모든 연령대에 걸쳐 소형주택 재고가 많은 지역으로 전입하였다. 셋째, 전입지의 일자리·교육·복지 환경과 토지이용 및 밀도는 1인가구의 연령대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연령대별로 차별화된 유입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1인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연령대별 맞춤형 주택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주거특성 변화 연구 – 가구특성에 따른 서울시와 수도권 베이비부머의 2006-2018년 변화 -

        김진후,이재수,조강현 서울연구원 2019 서울도시연구 Vol.20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ing trends of both socioeconomic and housing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qualities including retirement and income in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Firstly, the proportion of retired baby boomers amounted to seventeen percent in 2016 and it has been increasing, implying that it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our society and economy. Secondly, average household income of the baby boomers has not increased; however, the number of retired baby boomers has significantly diminished for ten years. As they continue to be retired from their workplaces, the portion of high-income bracket has decreased and low-income bracket has increased considerably. Thirdly, retired baby boomers has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income and total assets, and higher level of liabilities than general households in the region. It is also expected that low-income baby boomers will suffer from residential instability. Finally, average dwelling area and housing price of retired baby boomers are relatively lower than other households. More studies of residential movement and choices are necessary considering their retirement and income level. 이 연구는 2006년부터 12년 간 우리나라 베이비부머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주거특성의 변화와 가구특성에 따른 차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크게 증가하여 2018년 약 20% 이상 은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의 은퇴 증가는 사회 및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은퇴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규정하고 정기적인 공식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월 평균 가구소득은 증가하지 않았으나, 은퇴 베이비부머의 가구 소득 감소는 뚜렷하다.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고소득층의 비중이 크게 감소하고 저소득층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은퇴한 베이비부머의 가구소득이 감소하고 자산액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부채가 증가하였다. 또한 저소득 베이비부머의 월세 비율이 높고 은퇴 후 저소득 계층의 주거불안 문제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은퇴와 소득계층을 고려한 적절한 주택 및 주거복지 정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은퇴한 베이비부머의 주거면적과 주택가격이 상대적으로 적고, 주거면적이 감소한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베이비부머의 은퇴 이후 주거이동과 주거선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주거환경 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주거보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황윤희,정재호 한국부동산학회 2022 不動産學報 Vol.87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idential actual condition survey conducted from 2006 to 2020 i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using the most recent 2020 data are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ownership awareness and residential movement. (2) RESEARCH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SPSS 21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awareness, and residential mov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3) RESEARCH FINDING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classified into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f use, and each factor influenced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awareness, and residential movement.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ccessibilit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directly affect residential movement, but convenience does not directly affect residential movement because the overall situation does not move as much as before due to COVID-19, and because non-face-to-face consumption culture spreads at home and solves most of daily life. 2. RESULT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housing satisfaction. Therefor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required.

      • KCI등재

        지방 초광역권 인구이동 특성 및 권역 내 지방광역시로의 이동 결정 요인

        김성환 한국지리학회 2024 한국지리학회지 Vol.13 No.1

        최근 지방 인구감소는 전국 인구의 감소추세와 맞물려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여러 광역지자체를 권역으로 묶어 규모의 경제를 도모하는 초광역권 구상을 제시하였으나 지방 초광역권의 인구 이동경향을 심도있게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 초광역권 내 인구 이동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특징적인 흐름을 보이는 지방광역시로의 이주를중심으로 이동 가구의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악할 수 있다. 1)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광역시로 전출한인구의 전출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가족'이다. '직업'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혔던 타 지역과 상이하다. 2) 인구감소지역에서지방광역시로 전출한 가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교육수준과 연령, 그리고 자녀의 수가 통계적으로 가구의 이주 확률을높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직업 수요와 교육 수요가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광역시로 전출하는 가구의 동인이 되고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방의 인구감소 추이를 막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주여건 개선 등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 지역 특성과 초광역권 내 유출입 인구의 유형과 특성을 면밀히 분석해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has become a problem, coupled with the nationwide populationdecline trend. The government proposed the Mega Region concept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 populationdecline in local areas. This study analyzes the population movement within local Mega Regions in detail. The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points. 1)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out-migration of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declining areas to the local metropolitan cities is 'family'.This is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where 'job'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2)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ing households, the educational level and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and the number of children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the household moving.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demand for jobs and education are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migrationof households from the population-declining areas to the local metropolitan cities. Therefore, in order to stop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strategy by carefully analyzing the regional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low and outflow population within the Mega Region,rather than simply applying the existing methods of attracting population such as securing cultural and convenience facilities.

      • KCI우수등재

        수도권 가구의 주거이동 결정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장선영,오주석,김세용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ackground and nature of residential mobil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Seoul metropolitanarea. Spacial range of this study includes from Seoul to Gyeong-in area(Gyeonggi-do and Incheon). To measure this tendency, this studyestablished hypotheses and two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conducted an analysis based on 1,911 and 2,923samples, which experienced inbound and outbound moving between the two areas. This research found that residential mobility from Seoul toGyeong-in and those moving from Gyeong-in to Seoul had some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socio-economic, environmental, and housingcharacteristics that affected the moving to each area, as well as the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Quality of Life(QoL) of the households after the residential mobility was completed. 본 연구는 수도권(서울 및 경인권)의 주거 이동의 배경과 성격을 파악하고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타진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평가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서울-경인, 경인-서울지역으로 주거이동을 실시한 각 1,911명과 2,923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에서 경인지역으로 이사하는 가구와 경인에서 서울로 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인문, 경제, 사회적 특성에 일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사 완료 후 평가하는 가구주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도시 환경에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