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Z세대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 20~30대를 대상으로 -

        박정아,정주영,윤효진 한국주거학회 202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MZ세대의 주택선택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 조성에 필요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특성과 주거가치에 따라 주택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차별화된 주택 공급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MZ세대는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주거의 안전 및 휴식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선호와 주거가치의 중요성은 연령, 성별,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은 개인적 요인(교통비, 미래투자가치)보다 공통요인(주택구입가격, 관리비 등)이 더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입지적 요인은 대중교통, 관리적 요인은 각종 설비 및 안전, 환경적 요인은 일조권이 가장 중요도가 높았다. 주거가치와 주택선택요인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항목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주거거치를 독립변수로, 주거선택요인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거가치의 모든 요소가 여가기능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necessary for creating a s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ousing satisfa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housing selection factors of the MZ generation, and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housing selection factor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ousing value and to develop differentiated housing supply meas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Z generation had a strong preference for medium to large-sized apartments and considered safety and relaxation functions of housing to be important. The importance of housing preference and housing value differed depending on age, gender,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of analyzing housing selection factors, common factors (house purchase price, management costs, etc.)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factors (transportation costs, future investment value). Location factors were important, such as proxim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ousing value and housing selection factors, all item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fluence on housing selection fact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as found in the following order: leisure function, relaxation function, work function, importance of ownership, and importance of housing.

      • KCI등재

        수요자 특성별 주거선택 결정요인 분석

        장춘희,김광일,장희순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2 부동산경영 Vol.26 No.-

        이 연구는 주거선택 결정요인의 중요도를 AHP 분석을 통해 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를 밝혀 그 평가체계의 이론적 토대를 제안하고,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여 어떠한 요소들이 주거선택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수요자들은 주거지 선택 시 미래요인보다 현재 요인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요자의 특성에 따라 주거지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 연 령대, 결혼상태, 미성년 자녀 수, 가족 구성원 수, 소득수준, 거주유형, 현재 주거지역에 따라 주거지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수요자들은 기본적으로 현재 요인에 대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여성, 높은 소득수준, 자가 거주, 서울 강남권에 거주 하는 경 우에는 미래요인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HP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eople who made a choice on their place of residence and identify their relative importance to suggest a theoretical basis of their evaluation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residents of apartments, an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what kind of factors were in play when they made a choice on their place of residence and how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decisions. This was followed by the identification of a system of the decision-making factors with their residences based on existing study results.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tential buyers who were living in an apartment considered the present factor to be more important compared to the future factor. Seco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ential buyers, their awareness on the place of the residence turned out to be different. Gender, age, marital status, number of minor children, number of people in the family, income level, type of residence, and the location of their current residences were found to make a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awareness on their place of residence. In conclusion, potential buyers valued the present factors more importantly in general, while females, those with a higher income level, homeowners, or those who lived in Gangnam district of Seoul valued future factors more.

      • KCI등재

        다세대주택 구매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이영미(Lee, Young Mi),서진형(Seo, Jin Hyeong),이춘원(Lee, Choon Won) 대한부동산학회 2019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7 No.1

        국내 경기 악화와 급등하는 아파트 가격은 서민들의 주거생활안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주거비에 부담을 느낀 서민들은 주거비가 저렴한 다세대주택을 찾게 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세대주택 거주자들을 상대로 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다세대 주택을 선택했을 때 어떤 요인들을 우선으로 선택해 살고 있는지와 거주하면서 느끼는 주거 만족도는 어떠한지 그 요인들이 구매선택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증분석결과 다세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는 사회·경제적요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았으며 고학력일수록 내부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다세대주택의 내부적 요인이 개선됨에 따라 학력에 구분없이 생활안정을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외부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며 남 성보다 여성이 사회·경제적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세대주택의 주거만족도는 사회·경제적요인, 외부적요인, 내부적요인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회·경제적요인의 가격, 위치, 관리비 저렴, 직장과의 거리·교통, 생활안정 등은 주택수요자들이 다세대주택을 구매할 때 중요한 구매선택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domestic economic downturn and rapidly rising apartment price are enormously influencing the stabilization of the housing for the ordinary people and have become the reason the ordinary people, who feel burdened by the housing price, look for inexpensive multiplex housing.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the factors that primarily concerned them when they chose multiplex housing, the housing satisfaction they feel while living in the multiplex housing, and how such factors influenced the determination factor for the purchase of the multiplex housing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socioeconomic factors, more satisfied when the period of living was shorter, and more satisfied with the internal factors when the residents had higher education, and this indicated the tendency of giving priority to stable living alongside the improvement of internal factors of the multiplex housing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satisfaction with external factors was higher when the period of living was shorter and women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men with socioeconomic factors.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followed by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in respective order. Therefore, it is deemed that the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the price, location, low maintenance fee, distance to work, transportation, and stable living act as important determination factors for consumers when they are purchasing the multiplex housing.

      • KCI등재

        생활주기에 따른 현재와 미래 주거선택 요인

        서인주,정지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changes in the factors and significance of housing choice according to the life cycl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factors and importance of current and future housing choices and identified the trends by life cycle stages. In other words, after dividing the life cycle into six stages, the present and future housing selection factors and the degree of consider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iving environment factor was the first factor to consider when selecting the residence, but the residential stability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Secondly, in choosing housing,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f the people was in the order of environmental factor> asset factor> social factor. Thirdly, people in all life cycles seem to consider themselves to have better environmental and financial factors in the future than in the present. Fourthly, the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high at the stage until the child graduated from college, but the other stages wa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housing supply and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by supplying appropriate housing according to the life cycle. 본 연구는 생활주기에 따라 주거 선택 시 고려되는 요인과 중요도를 파악하여 그 차이와 변화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더불어 현재와 미래 주거 선택 시 고려요인 및 중요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다시 생활주기 단계별로 추이를 파악하였다. 즉 생활주기를 6단계로 나눈 후 현재와 미래 주거선택 요인 및 고려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주거선택 시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생활환경요인이었으나,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주거안정성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를 선택함에 있어서 사람들의 고려정도는 환경요인>자산요인>사회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든 생활주기의 사람들은 대부분 현재보다 미래 더 좋은 외부환경, 자산가치를 갖고자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가 대학을 졸업하기 전까지는 교육환경에 대한 고려를 많이 하나 그 외의 주기에서는 고려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생활주기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주거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주택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주택공급의 효율성을 꾀하고, 수요자의 주거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주거만족도가 베이비부머의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

        강창호(Kang Chang Ho),박창수(Park Chang Soo) 한국지적정보학회 2009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1 No.2

        우리 사회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베이비붐 세대로 일컬어지는 전후 세대가 거대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고, 이들의 은퇴시기가 다가오면서 우리 사회에 끼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주거만족도와 주거결정요인을 분석하고 그들의 주거수요 변인을 추적하여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위한 주거공급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거만족도는 주거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쳐, 현재의 만족요인에 의해 미래의 주거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베이비부머들은 자기가 태어난 고향이나 지방보다는 수도권 주변의 농촌이나 전원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수요에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aging is on the process at a rapid speed in Korean society. Regarding this, a postwar generation called a baby boomer's generation is building up enormous communities and it is worrisome that coming their retirement time the effects on our society are increasing.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baby boomer and residential decision factor, tracks housing demand variables and suggests housing supply direction for the baby boomers' old 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sibility is high that they choose a future housing by satisfaction factors at present becaus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ffects on housing decision factors. Baby boomers prefer a rural area around the capital area or country house to their hometown they were born or regional area, so it is determined that their demands should be met.

      • 서울특별시 거주자들의 지역별 주거환경 만족도 및 선택요인도 시계열 변화 연구

        최영문;김준환;권해숙 경희대학교 산업관계연구소 2008 産硏論叢 Vol.33 No.-

        최근 서울시 주택시장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특히,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양천구 등 5개 지구의 주택가격 하락과 기타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이라는 이원화 양상을 나타냈다. 주택가격의 변화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나 주거선택요소 중요도에 대한 시계열적인 특성을 분석한 연구는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가격변화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선택요소 중요도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즉, 주택가격 변화에 특징적인 변화를 나타낸 2006년과 2007년의 지역별 주거환경 만족도와 주거선택요소의 중요도 변화 분석을 통해 주택가격의 변화에 따른 시기별․지역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 주거지역에 대한 시계열적인 만족도 수준과 분석기간 동안의 만족도 요인과 수준의 차이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주택가격 상승기대치와 2006년도부터 2007년도 동안 실제 주택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도를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미래주거선택요인의 중요도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향후 서울시의 주택개발에 있어서는 지역에 관계없이 조망 등 자연환경을 고려한 주거환경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며, 기타 강남지역(지역2)과 강북지역(지역3)의 주택개발에 있어서는 주택위주의 개발이 아닌 업무기능을 포함한 개발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강북지역(지역3)의 주택개발에 있어서는 교육 및 문화시설 등을 강화시키며, 대중교통체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주거환경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Recently, Seoul residential real estate market showed a big change, especially in 2007. The residential property price in Seoul had been mainly affected by 5 provideces : Kangnam-Gu, Seocho-Gu, Songpa-Gu, Gangdong-Gu and Yangchun-Gu, but these providences started to show the decrease in price while the other providences ironically showed the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this project was derived from this phenomenon recognition and the necessity as the new market trend requires. The pre-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point of social-population academic view, but this project provides the analysis on the new market trend by simplifying the complex valuation indexes, originated from the pre-research. In result, the aspects of the change could be categorized into time-manner classification and territorial-manner classification, in cope with the chang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election tendency of the residential property. Based on the moving-preferred area criteria, the territorial classification was categorized into 3 areas : 5 providences, which showed the initial decrease in real estate price(area 1), the other Kangnam area(area 2), and Kangbuk area(area 3). The result illustrated the reasonable chang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election tendency of the residential property. This project was able to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 Firstly, the housing development planning should be devised b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cluding the view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ot by the area. Secondly, the housing development planning in the other Kangnam area(area 2) and Kangbuk area(area 3) should embrace the business function, not the housing development only. Last, the housing development planning in Kangbuk area(area 3) should be able to enhance education and culture function and be connected by various transportation system. This project analyzes the chang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election tendency of the residential property. Thereafter, this project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aid in understanding of the basis of housing development information.

      • KCI등재

        수도권 거주 은퇴자의 주거면적 변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현수,성주한,윤영식 한국도시행정학회 2016 도시 행정 학보 Vol.29 No.3

        본 연구는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수도권 거주 은퇴자의 주거면적 변동 결정요인에 관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첫째, 주거면적 요인에서 은퇴 후 경제적 요인(재무능력)이 주거면적 변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경제적 요인(재무능력)에서 은퇴 후 재무능력이 있을수록 주거면적을 증가(확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주거선택 요인에서 주거지역이동, 주거점유형태변화, 주택유형변화, 주거지역이동×주거점유형태변화, 주거지역이동×주택유형변화의 변수들이 주거면적 변동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서울에서 경기도로 주거지역을 이동한 경우에는 주거면적 변동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가에서 전월세로의 주거점유형태의 변화는 자가와 전월세의 가격 차이만큼 주거면적을 늘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파트에서 비아파트로의 주택유형변화는 주거면적 변동에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서, 아파트에 거주하던 은퇴자가 비아파트로 주거이동을 할 경우 그 가격 차액만큼 주거면적을 늘려가는 것을 의미한다. 주거지역이동×주거점유형태변화에서 강남의 자가에서 강북의 전월세로 이동과 강남의 전월세에서 강북의 자가로의 이동은 주거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울의 전월세에서 경기도의 자가로의 변화는 주거면적을 줄여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거지역이동×주택유형변화에서 강남의 아파트에서 강북의 비아파트로의 변화는 주거면적 변동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이가 들어 은퇴 후에는 공기 좋고 쾌적한 지역인 비싼 단독주택(예를 들면, 성북동과 가까운 단독주택 또는 쾌적성 있는 신규주택 등)으로 이동할 경우 주거면적을 줄여서 간다. 하지만 서울의 비아파트에서 경기도의 아파트로의 변화는 주거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그린홈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박창주(Chang-Ju Park),박세운(Sae-Woon Park),신철(Chul Shi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홈 거주자의 주거선택요인이 무엇인지, 이들 선택요인이 주거만족도와 충성도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린홈 거주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주거형태가 주거선택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창원시 단독주택형 그린홈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322장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그린홈 선택요인인 경제성, 지원제도, 유지보수, 설치용이 등은 주거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설비효율 요인은 주거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만족도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 학력, 거주지역, 월 평균 가구소득 등은 선택요인과 주거만족도간에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택크기는 조절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that selection attributes of GreenHome had influence on residental satisfaction and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had influence on loyalty. Data from 322 GreenHome residents in Changwon city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ed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four selection attributes of GreenHome such as economy, support system, maintenance, easy installation, whereas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not influenced by plant efficiency. In addition, loyalty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residential satisfaction. Also the moderating roles of gender, education level, place of residence, and average household income were partially found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체류 외국인의 주거입지 선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 찬(Chan Kim),문태훈(Tae-Hoon Moon) 한국주택학회 2018 주택연구 Vol.26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외국인 밀집지역의 주거선택 요인들 중에서 어떤 요인들이 외국인 주거 입지선택에 주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국적별로 외국인들의 주거지 선택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행정동 단위의 데이터를 구축하여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GIS와 공간계량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양한 주거환경 요인-외국인지원시설, 제조업종사자수, 아파트평균가격 등-이 외국인 주거지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거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국적별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국인 지원센터는 중국인에게는 양의 영향을, 일본인에게는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제조업 종사자의 수는 중국인, 동남 아시아인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북미유럽인과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의 경우 유럽인은 양의 영향, 중국인 일본인 동남아인 모두 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로 주거환경 개선, 외국인 밀집지역 선정에 대한 세밀한 연구의 필요성, 문화적 다양성의 조성, 외국인 들에 대한 포용적 관점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foreign immigrant’s residential location choice and to see if impacts are varied by immigrant’s nationality. For this purpos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location choice were selected bas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the spatial econometrics model was used for analysis.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set to Seoul and data were collected at the ‘Dong’ level, the smallest administrative unit in Seoul.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foreign aid related facilities, number of manufacturing workers, average apartment price were analyzed as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immigrants’ residential location choice. Second, when classified by nationality, impa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was different by their origin. Foreign aid center affects most positively Chinese immigrants while negatively affects Japanese immigrants. Number of manufacturing workers are positively related to Chinese and South-eastern immigrants and negatively affect American and European immigrants. Average price of apartment positively affect European immigrants while negatively influence immigrants from Japan, China, and South-eastern countrie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with regard to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on this issue, and changes in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foreign immigrants.

      • KCI등재

        은퇴 후 주거선택 요인과 은퇴자마을 거주의향 분석

        장학희(Jang, Hak Hee),이한나(Lee, Han Na),김승희(Kim, Seung Hee) 대한부동산학회 2019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7 No.1

        은퇴예정자는 은퇴 후 쾌적한 주거환경에서 제2의 인생 삶의 가치 실현을 위한 욕구가 매우 크며, 은퇴예정자의 다양한 욕구에 적합한 주거환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은퇴자의 주거환경에 대한 연구는 일부 지자체 및 공사에서 다루어 졌으나 사회적 인식이 낮고 운영, 관리 등에 대한 어려움으로 현재 초보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 은퇴예정자를 대상으로 은퇴 후 주거환경에 대한 선택요인을 분석하여, 이의 구체적 대안인 은퇴자마을에 대한 거주의향을 분석하여 은퇴예정자가 선호하는 은퇴자 마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은퇴예정자의 주거선택요인은 ‘생활편의시설’, ‘쾌적한 주거환경’, ‘적정 근로활동’, ‘제2의 인생실현’으로 도출되었다. ‘쾌적한 주거환경’ 요인은 은 퇴자마을 거주에 정(+)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생활편의시설’, ‘제2의 인생실현’ 요인은 은퇴자마을 거주에 부(-)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은퇴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은퇴자 마을의 개발은 쾌적한 주거환경의 제공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tiree has a great desire to realize the value of a second life life in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after retirement, and a residenti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various needs of the retiree is necessary. However, the stud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retirees has been covered by some municipalities and public works, but it is now at a rudimentary stage due to low social awareness and difficulty in operation, management, etc.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choi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fter retirement for those who are planning to retir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alyzed its specific alternative, the residential tendency of retirement village, and examined the preferred retirement village for those who are planning to reti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idential choice factors of the retiree were derived from Facilities for Life , Enhanced Living Environment , Formal Working Activities and Second Life Realization . The factors of fair living environ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tirement village dwellings, but the factors of life convenience and second life realiz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retirement village dwelling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retirement villages for retirees should involve the provision of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