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도시 아파트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심재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6 경영컨설팅연구 Vol.6 No.1

        주거만족도가 “삶의 질”을 결정하는 하나의 중요한 평가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택에 대한 선호도는 경제성, 안전성, 쾌적성, 사회성, 환경성, 외부환경, 편의시설, 접근성 등과 같은 다양한 주거만족도의 결정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정부는 주택보급을 확대할 목적으로 수도권주변에 중소도시들의 급속한 도시화를 지원하고 있으나, 중소도시들은 교통문제, 사회문제, 환경문제, 편의시설이용문제, 주택사후서비스문제 등 다양한 도시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것은 주거만족도의 결정 요인에 대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중소도시의 주택수요자에게 주택의 선호도에 대해 언제나 열등적 위치에 놓이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주변 중소도시의 주거만족도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요인별 및 요인항목별 주거만족도 분석, 인구통계학적변수와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의 집단간 주거만족도 차이 분석 등을 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요인항목들은 기존 문헌연구의 요인묶음 내용과 일치하고 있으며, 요인의 항목들은 8개의 요인들로 구분되어 명명되었다. 둘째, 전체적인 주거만족도는 보통이하로 만족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요인별로는 사회성 부문이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불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편의시설 이용부문과 경제성 부문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각 요인항목들에 대한 만족도가 인구통계학적변수와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의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변수는 월소득수준, 성별, 연령, 학력,직업 등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에서는 이주동기, 주택규모, 맏자녀나이, 거주기간, 주택소유유형 등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거주기간과 주택소유유형은 일부의 항목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가족수, 주택층수, 이주전주택유형 등에서는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상과 같이 중소도시의 주거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주택정책의 시행에 있어서 도시 및 주택개발의 입안자는 이와 같은 사항을 심도 있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 연구논문 :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 국민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이성근 ( Seong Keun Lee ),정시희 ( Sy Hee Jung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 (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08 한국지역혁신논집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조사분석하고 주거만족도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지적 요인, 주택내부 요인, 주거비요인, 단지환경적 요인, 관리적 요인, 공동체 요인의 6개 독립변수를 추출하고 5단계 리커드 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대구지역소재 국민임대 주택 4개단지를 대상으로 2008년 5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주거만족도와 영향요인분석을 위해 t-test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주거만족도의 경우 관리적 요인에서 가장 높은 만족감(3.62점/5점 만점)을 나타냈고, 그다음으로 단지환경적 요인(3.46/5), 입지적 요인(3.4/ 5), 주택내부 요인(3.16/ 5), 공동체 요인(3.15/ 5) 순으로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주거비 요인에서 가장 낮은 만족감(2.91/ 5)을 나타냈다. 한편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입지적요인, 주거비요인, 단지환경적요인, 관리적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주택규모별 분석결과를 보면, 59m2 이하에서는 입지적요인, 주택내부요인이, 그리고 66m2 이상에서는 입지적요인, 주거비요인, 단지환경적요인, 공동체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 주택규모에 따라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4 national rental housing complex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residential satisfaction, 6 independent variables were adopted which are location, interior apartment appeal/satisfaction, rental fee, building exterior/grounds appeal, tenant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 maintenance, and sense of community/cooperatioan/communication. A questionaire was utilized in this study and was administered between May 10 and May 14, 2008 at each of the 4 national rental housing complexes in Daegu. At each complex, no tenants were given the questionaire, a total of 280 questionaires. The Likert scale (1-5) was used and the SAS program and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6 independent variables as surveyed in the questionaire are as follows: management & maintenance 3.62, building exterior/grownds 3.46, location 140, interior appeal 3.16, sense of community 3.15, rental fee 2.91. The analysis revealed that of the 6 independent variables, location, rental fee, building exterior/grownds, and management & maintenance impacted residential satisfaction to the greatest degree. The survey subjects (tenan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ased on the tenant`s apartment area. One category included tenants in apartments of 59m2 or less and the other consisted of tenants in apartments of 66m2 or more. Location and interior appeal impacted more on the tenants`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apartments that were 59m2 or less; location, rental fee, exterior/grownds, and a sense of community/ cooperation/ communication had the greatest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tenants in the apartments that were 66m2 or more.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김선엽(Kim, Seon Yeo),박천일(Park, Chun Il)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과 관련된 제반 요인들이 이들의 주거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의 주거안정 및 주거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적 개선을 모색하고자 한다.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만족도와 관련된 요인들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단위주택요인, 경제적요인, 단지관리요인, 단지환경요인, 친밀도요인, 심리적 만족요인, 쾌적성요인, 사회적 혼합요인 등 8개 요인을 추출한 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임대아파트 거주민들의 전반 주거만족도는 평균 2.73점으로 ‘보통’이하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주거만족도를 구성하는 개별 요인 중에서는 ‘단지환경요인’이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났다. 반면 경제적 요인이나 심리적 만족과 관련한 요인에서는 만족도가 보통이하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조사 대상 임대주택거주자들의 개인적 특성 요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거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위주택요인이었다. 반면, 경제적 요인, 주거환경요인이 단지관리요인, 친밀도요인 보다 주거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개선과 관련하여서는 정책적 개입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옥내설비의 품질을 높이고 관리를 내실화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정부는 공공임대주택단지 내 사회적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거나 단지관리를 보다 충실히 함으로써 어느 정도 주거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주택정책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복지정책 측면의 개입을 통하여 저소득층의 주거만족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one to research the resident satisfaction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its satisfaction valu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im at contributing to stabilize low income resident housing supplies and develop housing welfare police. They were obtained through Factor Analysis. This study use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Regression Analysis for strategic analysis results.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ident satisfaction in public housing achieved a lower mean score value at 2.73. The housing environment factor, however, scored a higher mean value than the average. The satisfaction scores toward economic factor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factor marked lower than those of average valu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Multi-Regression Analysis, Unit housing factor was proven to have impacted significantly on resident satisfaction. Personal factor on the tenants residing in public rental houses had little correlation with the results. The Economic factor and Housing Environmental Factor gave more influence on the resident satisfaction values compared to Economic Factor and Close Relationship Factor.

      • 고령자 1인가구 주거공간의 환경요인개선 우선순위 분석

        반승주(Seoung Ju Ban),정희남(Hee Nam Jung),김재태(Jae Tae Kim)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1 부동산융복합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주택개량 및 보수 등이 필요한 노후 주택에 대한 주거환경의 질을 효과적으로향상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하는 환경요인은 무엇인지, 그 순위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2018년 조사된 주거실태조사를 이용하여 건축연도가 20년초과된 주택에서 혼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주거환경요소의 개선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주택상태의 양호정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전반적인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각 환경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환경요인의 중요도와 주택만족정도를표준화시키고, 표준화된 중요도와 만족도의 표준지수를 결합하여 개선우선순위의 표준지수를산출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분석결과, 주택환경 및 주거만족도는 주택유형(단독주택과 공동주택)에 따라 차이가 있는것으로 분석되었고,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주택환경요인들 중 “집의 구조물”에 대한 중요도는주택유형에 상관없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다른 환경요인들은 주택유형에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분석의 결과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주택상태나 만족정도에 따라 개선행위를 하는 것보다는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중요도를 함께 고려하여 개선우선순위를 파악하고, 그 순위를 적용한 개량 및 보수 등의 개선행위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도권에 택지의 부족과 각종 규제로 신축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어렵고, 노후화된 주택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주거환경개선우선순위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으며,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 환경요인의중요도와 만족도를 함께 고려한 분석은 학술적, 실무적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연구는 수도권 거주의 가구만을 대상으로 전체 가구를 대표할 수 없다는 한계점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각 지역권역별 다양한 비교분석을 통해 고령자 1인가구의 주거환경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는 또 하나의 주요한 연구 과제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improved first and what the ranking should be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n old houses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repaired. For the study, it was conducted on senior citizens aged 65 older who live alone in a house with a building year of more than 20 years.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derived and the degree of housing satisfaction were standardized. The standardiz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as combined to calculate the standard index of improvement priority and prioritiz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considering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n simply applying hous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nly. The priority study o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meaningful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ld houses is being emphasized because of the lack of hous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various regul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build, rebuild, and redevelop.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주거복지요인에 대한 주거만족도 차별성에 관한 연구 - 하남시 미사 13단지를 중심으로 -

        서진형,박재구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3 부동산경영 Vol.28 No.-

        본 연구는 주거취약층인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사회 복지서비스 환경이 영향을 주고 있는지 여부를 밝혀, 공공임대주택 공급계획과 주거복지 서비스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주거취약계층의 주거권 보장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하여 연구 모형을 작성하고 4가지 가설을 설정하 였으며, 영구임대주택과 국민임대주택이 혼재한 하남시 소재 미사13단지 거주자를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중회귀모형을 작성하였다. 이 모형을 근거로 가설을 검증하였 으며, 검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검증 결과 복지시설요인은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제1가설과, 복지시설요인은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제2가설, 복지시설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보 다는 영구임대주택 거주자가 더 클 것이라는 제4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다만, 국민임대 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과 추천의도 결정요인은 유사할 것이라는 제3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를 감안하여 3가지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첫째, 공공임대주택의 건설에서 사회복지서비스와의 연계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공공임대주택이 집중된 지역에서 사회복지시설을 배치할 때는 영구임대주택 등 상대적 저소득층의 접근성 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주거만족도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계속되는 정부 주도의 주 거만족도 조사로 인한 과잉 응답 가능성을 감안하여 추천의도 등 대체 변수의 채용 가능 성도 검토해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복지시설요인이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저소득층일수록 그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밝힌 점에서 연구의 기여도가 인정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적 자료에 과잉 주거만족도가 포함될 가능성도 밝힌 점에서도 기여도 가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welfare service environment affects the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national rental housing. The aim is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plans and improve housing rights for vulnerable populations. For the research, I analyzed previous studies to develop a research model and formulated four hypotheses. Subsequentl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residents of the Misa New Town 13th complex in Hanam, where both permanent rental housing and national rental housing coexist. Then, I develope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based on a previous research model. Using this model, we have verified the hypotheses and summarize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The verification results accepted three hypotheses. Hypothesis 1 was accepted, indicating that factors related to welfare facil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permanent rental housing. Hypothesis 2 was accepted, indicating that welfare facility factors will significantly impact the residents' intention to recommend permanent rental housing. Hypothesis 4 was accepted, which stated that the influence of welfare facility factors on housing satisfaction would be greater for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than for residents of national rental housing. However, Hypothesis 3, which stated that the determinants of housing satisfaction for residents of national rental housing would be similar to those for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was reject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three implications were summarized. First, it is desir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rental housing. Second, when locat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accessibility for vulnerable groups, including permanent residents of rental housing. Third, when conducting research on housing satisfaction, it is advisable to consider incorporating alternative variables, such as the intention to recommend. This will help address the potential issue of excessive response bias that may arise from the ongoing government-led housing satisfaction survey.

      • KCI등재

        1인가구의 주거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남 인구30만 이상 시지역을 중심으로

        박진호(Park, Chinho),김영순(Kim, Youngsoon),양인선(Yang, Inseon),조귀래(Jo, Gwirae)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본 연구는 경남의 인구 30만명이 넘는 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인가구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함이 목적이다. 경남의 1인가구는 현재 약 전체가구의 30.4%를 차지하고 있으며 추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에는 33.4%를 예상한다. 이러한 1인가구에 대한 주거정책은 중요한 이슈이며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택 내부와 외부환경에 따라 다르고, 또한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청년, 중장년, 노년으로 나누어서 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으로 주택내부상태 만족 중 위생상태를 전연령층에서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노년층을 제외한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공원 및 녹지에 대한 만족정도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청년층은 위생상태, 공원 및 녹지의 유무, 그리고 공공기관과 문화시설에 대한 만족을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했으며, 노년층은 채광정도와 상업시설에 관한 요소를 주거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꼽았다. 도시지역의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주거정책을 펼칠 때는 주거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연령별 중요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맞춤형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housing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 which is focussed on urban areas over 300,000 its population in Gyeongsangnam-do, province. A current single-person household with 30.4% of the entire provincial population tends to increase persistently and reach to 33.4% in 2030. Residential policy about one person household arouse main issue in public policy and especially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ir quality of life. Factors influenced housing satisfaction to single-person household variously differed from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housing and also among householder’s ages, the youth, the middle-aged, the aged and total age group.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ygienic conditions factor in total age group, parks and green areas factor in the youth and the middle-aged, public and cultural sectors in the youth, and well-lighting and convenient facility factors in the aged were resulted and valued respectively. In conclusion, housing policy in urban areas for a single-person household should be considered with enhanc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degree setting householder’s ages.

      • KCI등재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 사회적 주거복지요인에 관한 연구 - 하남시 지역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를 중심으로 -

        강병기,박재구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3 부동산경영 Vol.27 No.-

        본 연구는 주거취약층인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사회복지서비스 환경 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여, 공공임대주택 공급계획과 주거복지 서비스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주거취약계층의 주거권 보장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하여 연구 모형을 작성하고 3가지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하남시 소재 국민임대주택단지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중회귀모형을 작성하였다. 이 모형을 근거로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검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정리하 였다. 검증 결과 복지시설요인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제1가설과, 복지시설요인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제2가설은 채택되었다. 다만,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과 추천의도 결정요인은 유사할 것이라는 제3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를 감안하여 3가지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첫째, 공공임대주택의 건설에 서 사회복지서비스와의 연계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주거만족도 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정부 주도의 주거만족도 조사로 인한 과잉 응답 가능성을 감안하여 추천의도 등 대체 변수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공적 자료를 분석할 때에 는 주거만족도에 대한 과잉 응답 가능성을 감안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복지시설요인이 국민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밝힌 점에서 연구의 기여도가 인정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적 자료에 과잉 주거만족도가 포함될 가능성도 밝힌 점에서도 기여도가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social welfare service environment has an impact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of national rental housing, in order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government's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plan and housing welfare service plan, and to contribute to the guarantee of housing rights for vulnerable populations. To conduct the study,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in Hanam City to develop a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hypothesis testing. The hypotheses were then verified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were summari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lfare facility factor was adopted as the first hypothesis, which stated that it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The second hypothesis, which stated that the welfare facility factor would affect the intention to recommend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was also adopted. However, the third hypothesis, which stated that the determinants of hous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would be similar, was partially adopted. Based o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three implications were summarized. First, as social welfare services become more deeply involved in the daily lives of low-income residents, it is desirable to further enhance the linkage between public rental housing construction and social welfare services. Second, in housing satisfaction-related studies,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xcessive response due to continued government-led housing satisfaction surveys and to consider the use of alternative variables such as willingness to recommend. Third, when analyzing public data such a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housing survey data or the Seoul city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 panel survey dat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xcessive housing satisfaction responses and to conduct analysis accordingly. This study's contribution can be acknowledged in revealing that the welfare facility factor, which was overlooked in previous research, significantly affects the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Additionally, the contribution can be acknowledged in revealing the possibility of over-response in housing satisfaction in public data that many previous studies are using.

      • KCI등재

        주거지역 결정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김경덕,김병량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4

        Jeju residents, during the rapid population inflow in the Jeju area is increas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397 residents, which was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in order to analyze the gap in awareness of influencing factors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determinant factors for residential areas of Jeju resi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locational, personal, social and economic factors, set in the study as the influencing factors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al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 Jeju residents put more importance on ‘my health conditions’ of personal factors, ‘a good place for leisure activities’ and ‘distance from friends and acquaintances’ of social factors, and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of locational factors and ‘easier access to convenient facilities’ of locational factors. On the other hand, immigrants put more stress on ‘my job’ of personal factors and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environment’ of educational factor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determinant factors for residential areas between Jeju natives and immigrant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determinant factors for residential areas with four divided categories of northern, southern, eastern and western districts show that all the determinant factor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pleasant natural environment’ of locational facto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a private education’ of educational factors. The study have following suggestions for Jeju residents’ improved residential satisfaction. A comprehension action is needed to improve educational, locational, social, personal and economic factors. Especially, educational benefits should be given to more various social classes, and improved locational environments and employment policies and supports should be offered since most of the surveyed want to continue living in Jeju. Most importantly, building infrastructures is necessary to meet the needs in the areas with rapidly growing popu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지역 인구 유입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 주민의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데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 시민 1,397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 회귀 분석, t- 검정, 분산 분석 등을 통해 제주 주민의 주거만족도 영향과 주거 지역 의사 결정 요인의 차이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교육적, 지역적, 사회적, 경제적 요인 모두 제주 거주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주도민중 이주민들은 개인적요인 인 "직장 (직장, 직장)"과 교육적요인 인 "초등학교 교육 및 중학교 교육 환경"에 중점을 둡니다. 이는 원주민과 이주민 사이의 주거지 사이의 정착 요인간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제주도는 북부, 남부, 서부 및 동부의 4 개 지역으로 구분됩니다. 주거 지역 결정 요인을 분석 한 결과, '쾌적한 자연 환경'과 '사교육을위한 교육 환경'을 제외하고는 4 개 지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 하였다. 특히 다양한 계층에 교육적 혜택을 제공해야하며 앞으로는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가 제주도에 계속 거주 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고용 및 고용 정책 개선 및 지원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지역의 경우,이를 수용 할 수있는 인프라 구축이 진행되어야합니다.

      • KCI등재

        주거비부담요인이 월세거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분석- 가구주·배우자의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 만족도 분석 중심으로 -

        임승학,장희순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In the age of full-scale monthly 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fferences of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overall satisfaction among own house, Chonsei, monthly rent group focusing on householder and spouse and to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the housing cost burden on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overall satisfaction of low income households. In this study, the data of Subjective mental health(fairly depressed) and Overall satisfaction of life, which me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extracted and set as dependent variables. First, examined the differences through ANOVA analysis for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overall satisfaction of the group of own house, Chonsei, monthly rent groupⅠ, monthly rent groupⅡ. Next, disposable income, the amount of housing related liabilities, the monthly rent amount, monthly housing cost, debt interest rate of householder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mpact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factor of the housing cost burden were analyzed between the dependen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nthly rent groupⅡ showed more depression and lower overall satisfaction in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compared to the own house, Chonsei, monthly rent groupⅠ. Second, disposable income (0.289)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housing cost burden affecting subjective mental health, followed by housing related debt (-0.198). Third, disposable income (0.299)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hich affects the overall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amount of housing related debt (-0.263) is in ord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each factor on the housing cost burden of the low income households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health affecting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ncrease in the housing cost burden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necessity of government support to relieve the burden of the rented households with relatively high housing costs and the basis of the government policy proposals that can be provided practically and universally. 본 연구는 본격적인 월세시대를 맞이하여 가구주 및 배우자를 중심으로 자가, 전세, 월세집단 간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고, 저소득층 월세 가구의 주거비부담 요인과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별 상관성 및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6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의 가구용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주관적 정신건강(상당히 우울함), 생활전반만족도의 자료만을 추출하여 먼저, 가구주 및 배우자를 중심으로 자가, 전세, 월세집단Ⅰ, 월세집단Ⅱ의 집단 간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만족도 차이를 ANOVA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월세집단Ⅱ(저소득층 월세 가구)의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거주자의 가처분소득, 주택관련 부채금액, 월세금액, 월주거비금액, 부채이자감당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각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한 영향력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주 및 배우자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주관적 정신건강 부분에서 자가집단 ,전세집단, 월세집단Ⅰ에 비해 월세집단Ⅱ가 보다 더 우울함을 나타내고 생활전반만족도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관적 정신건강(상당히 우울함)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비부담 요인으로 가처분소득(0.289)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다음으로 주택관련부채금액(-0.198)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전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비부담 요인으로 또한 가처분소득(0.299)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주택관련부채금액(-0.263) 순서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월세 거주자의 환경조건을 심층적으로 반영한 저소득층 월세 가구의 주거비부담 요소에 대하여 각 요인별 상관관계 및 영향력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통한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주거비부담의 증가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상대적으로 주거비가 높은 월세가구의 부담완화를 위한 정부지원의 필요성과 실질적이고 보편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정부정책 제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세대주택 구매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이영미(Lee, Young Mi),서진형(Seo, Jin Hyeong),이춘원(Lee, Choon Won) 대한부동산학회 2019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7 No.1

        국내 경기 악화와 급등하는 아파트 가격은 서민들의 주거생활안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주거비에 부담을 느낀 서민들은 주거비가 저렴한 다세대주택을 찾게 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세대주택 거주자들을 상대로 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다세대 주택을 선택했을 때 어떤 요인들을 우선으로 선택해 살고 있는지와 거주하면서 느끼는 주거 만족도는 어떠한지 그 요인들이 구매선택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증분석결과 다세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는 사회·경제적요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았으며 고학력일수록 내부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다세대주택의 내부적 요인이 개선됨에 따라 학력에 구분없이 생활안정을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외부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며 남 성보다 여성이 사회·경제적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세대주택의 주거만족도는 사회·경제적요인, 외부적요인, 내부적요인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회·경제적요인의 가격, 위치, 관리비 저렴, 직장과의 거리·교통, 생활안정 등은 주택수요자들이 다세대주택을 구매할 때 중요한 구매선택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domestic economic downturn and rapidly rising apartment price are enormously influencing the stabilization of the housing for the ordinary people and have become the reason the ordinary people, who feel burdened by the housing price, look for inexpensive multiplex housing.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the factors that primarily concerned them when they chose multiplex housing, the housing satisfaction they feel while living in the multiplex housing, and how such factors influenced the determination factor for the purchase of the multiplex housing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socioeconomic factors, more satisfied when the period of living was shorter, and more satisfied with the internal factors when the residents had higher education, and this indicated the tendency of giving priority to stable living alongside the improvement of internal factors of the multiplex housing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satisfaction with external factors was higher when the period of living was shorter and women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men with socioeconomic factors.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followed by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in respective order. Therefore, it is deemed that the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the price, location, low maintenance fee, distance to work, transportation, and stable living act as important determination factors for consumers when they are purchasing the multiplex ho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