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ffect of Tumor Hypoxia on Efficacy of Tirapazamine Combined with Fractonated Irradiation in Mouse Tumor

        김일한(Il 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 적 : 종양내 저산소상태는 저산소세포치사제에 의하여 극복이 가능하다. 방사선의 반응을 증강시키는 tirapazamine 의 효과가 마우스 종양에서 분할방사선조사와 병용된 상태에서 종양내 산소상태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조군 및 저산소 상태의 종양을 수립하기 위하여 정상 및 4주전에 방사선 조사를 받았던 마우스의 등과 하지에 RIF- 1 종양을 이식하였다. 종양이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면, 대조군 및 저산소 상태 종양에 대하여 생리식염수(0.02 mlg), tirapazamine (0.08 mM/kg), 방사선조사(2.5 Gy), tirapazamine 과 방사선조사의 병용 등을 사용하여 4일간 8회의 과분할 치료를 시행하였다. 등의 종양 체적이 4 배로 증가하거나 하지의 종양 단면이 2배로 증가할때 까지 종양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여 얻은 종양성장의 지연을 기준으로 각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등 및 하지의 정상 및 저산소종양의 평균증식양상으로 부터 tirapazamine이 방사선의 반응을 증강시켰음을 알 수 있다. tirapazamine에 의한 방사선증강효과는 초기의 종양체적 또는 종양단면적을 기준으로 한 증식지연실험 결과 등의 정상종양에서는 1.9배, 저산소종양에서는 2.4배였으며 하지의 정상종양에서는 1.85배, 저산소종양에서는 1.6배였다. 초기종양체적의 4배 증식 또는 종양단면적의 2배 증식까지의 기간을 기준으로 설정한 증식지연실험결과 등의 정상종양에서는 1.48배, 저산소종양에서는 2.02배였으며 하지의 정상종양에서는 1.85배, 저산소종양에서는 1.6배였다. 결 론 : 분할 방사선조사에 tirapazamine을 병용할 경우 방사선조사효과는 증강되며, 저산소상태에 있는 마우스 종양에서의 증강효과가 대조 종양에서의 증강효과와 동일하거나 더욱 양호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Purpose :Tumor hypoxia can be overcome with hypoxic cytotoxin. In mouse tumor, tirapazamine's efficacy of the potentiating radiation effect was tested by the tumor oxygenation status combined with hyperfactionated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trol and hypoxic mouse tumors were established by inoculation of RIF- 1 tumor cells into the normal or previously irradiated back and thigh of C3H mice. When the tumors reached a proper size, both the control and hypoxic tumors were given hyperfractionated treatments (8 fractions/4 days) with saline (0.02 ml/g), tirapazamin (0.08 mM/0.02 ml/kg), irradiation (2.5 Gy), irradiation combined with tirapazamine given 30 minutes prior to each irradiation. The response was evaluated by the growth delay assay by measuring tumor size from day 0 (12 hrs prior to the first fractionation) to the day when the volume had 4- fold increase or cross sectional area had 2- fold increase. Results :Overall growth pattern showed that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in back and thigh tumors grew in the normal and preirradiated tumor bed. With growth delay assay using reference point of initial tumor volume or cross sectional area,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1.9 times for the control and 2.4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in back, and 1.85 times for the control and 1.6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With reference of 4- fold increase of the initial volume or 2- fold increase of the cross sectional area,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1.48 times for the control and 2.02 times for the hypxic tumors in back, and 1.85 times for the control and 1.6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Conclusion : Present result indicated that radiation response of hypoxic tumors was potentiated by tirapazamine in the back or thigh tumors grew in the control or preirradiated tumor bed, and potentiation of the hypoxic tumors was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tumors in the back or thigh.

      • 족부 및 족관절에 발생한 종양

        신규호,박홍준,김종민,한수봉,강응식,Shin, Kyoo-Ho,Park, Hong-Jun,Kim, Jong-Min,Hahn, Soo-Bong,Kang, Eung-Shic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2

        목적 : 족부 및 족관절에 발생하는 종양은 다른 부위에 비해 그 발생 빈도가 낮으며, 특히 악성 종양은 매우 드물고 양성 종양으로 간과되는 경우도 있어 족부 및 족관절에 발생한 종양의 임상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부터 1998년까지 10년 동안 족부 종양으로 진단받은 7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남자가 40예, 여자가 32예였다. 양성 종양이 53예(74%)로, 연부 조직 종양이 30예, 골 종양이 23예였다. 악성 종양은 19예(26%)였으며, 연부조직 종양이 17예, 원발성 골종양이 1예, 전이성 골종양이 1예였다. 양성 종양은 연부 조직에서는 섬유종이, 골종양에서는 골연골종이 가장 많았다. 악성 종양은 악성 흑색종이 7예로 가장 많았다. 호발 부위는 양성종양의 경우 족지부, 악성 종양의 경우 발 뒤꿈치 부위였다. 악성 종양 19예 중 국소 재발은 3예, 원격 전이는 8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 악성 종양이 26%였으며 원격 전이가 42%로 높았다. 따라서, 족부 종양의 경우 악성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치료 시에 병리학적인 확진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Purpose :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are uncommon compared with those arising in the other sites, and the malignant tumors are rare. We analyzed the data of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a tumor of the foot and ankle.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1989 and 1998, we treated 72 patients and analyzed on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retrospectively. Results : Fifty-three cases were benign. Included are 30 cases of soft tissue tumor and 23 cases of bone tumor. Malignant tumor was in 19 cases (26%), including 17 cases of soft tissue tumor, one cases of metastatic tumor.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was fibroma in soft tissue and osteochondroma in bone. Malignant melanoma wa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of the foot (7 cases). The predilection site for benign tumors was around toes while for the malignant tumor mostly arises in the heel. Among 19 malignant tumors, local recurrence developed in 3 cases and the distant metastasis occurred in 8 cases. Conclusion : The ratio of malignant tumor and metastasis was high. Therefore, when we faced with a tumor of the foot and ankle, the histopathologic confirmation is essential through biopsy before the definite initial treatment.

      •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혈관종, 연골-골종과 불확실한분화종에 대하여

        서경진,Suh, Kyung-J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연조직종양의 분류는 종양학에서 영상의학과의사와 임상을 담당하는 정형외과의사, 종양학자 그리고 병리학자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이다. 연조직종양의 이해는 과거 10년 동안에 걸쳐 주요 변화와 더불어 진보가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분류가 WHO에 의해 2002년에 이루어졌다. 이 개정은 이전에 발표된 분류와 많은 부분에서 다른 내용의 접근을 하였고, 이 작업에는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그리고 임상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여기에서는 과거에 알고 있었거나 특성이 알려진 종양을 포함하여 새로운 큰 변화나 작은 변화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다. 이러한 내용의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혈관종, 연골-골종 그리고 불확실한분화종을 중심으로, 큰 변화와 작은 변화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새롭게 소개되는 병명을 정리하였다. 이 새로운 WHO의 연조직 종양의 분류를 이해하여, 종양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oft tissue tumor classifications should be an important part of radiology, oncology and, for orthopedic clinicians and pathologists, they provide diagnostic instruction and prognostic guidelines. In soft tissue tumor classification system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lassifications have become dominant, enabled by the timely publication of new blue books which included detailed text and numerous good illustrations. The new WHO classification of soft tissue tumors was introduced in 2002. Because the classification represents a broad consensus concept, it has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around the globe. This article reviews the changes which were introduced the vascular tumors, chondroid-osseous tumors and tumors of uncertain differentiation which have been first recognized or properly classified during the past decade.

      •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전영수,백종훈,이승혁,이충환,한정수,Chun, Young Soo,Baek, Jong Hun,Lee, Seung Hyuk,Lee, Chung Hwan,Han, Chung 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1

        목적: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의 치료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과 더불어 술 후 보행 등의 기능회복이 중요하다. 대퇴골 근위부의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 대하여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시행 후 임상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대퇴골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20예(19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1세(범위 35-86세)였으며 남자가 14예, 여자가 6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1-94개월)이었고, 전이성 골 종양 15예,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1예였으며, 전이성 병변의 원발 암은 폐암 4예, 간암 3예, 신장암 3예였고,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전립선암, 악성 방추 세포암이 각각 1예씩 이었다.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가 3예에서 사용되었고,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다. 수술 전 후의 동통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VAS)로 평가하였으며, 술 후 하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MSTS) grading system 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20예(19명) 중 11예(10명)가 생존하고 9예(9명)가 사망하였으며 사망한 환자의 술 후 평균 생존기간은 10.1개월(1-38개월) 이었다.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8.40점(5-10점)에서 술 후 평균 1.35점(0-3점)으로 호전 되었고, 수술 후 MSTS 기능적 평가는 평균 19.65점(65.50%) (7-28점)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국소 재발 2예, 혈종 3예, 감염 3예, 음낭 종창 2예, 탈구 1예였고 치환물 주위 골절이나 해리는 없었다. 결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조기의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Purpose: As well as patient survival, the restoration of postoperative function such as ambulation is important in limb salvage operations for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The authors analyzed clinical outcomes of limb salvage operations using tumor prostheses for metastatic or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proximal femur.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5 to January 2014, 20 cases (19 patients) with malignant bone tumor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with pain or complicated pathologic fracture were treated with segmental resection and limb salvage operations with tumor prostheses. Mean age was 63.1 years (range 35-86). Fourteen patients were male and six ones were female.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1-94 months). There were 15 cases of metastatic bone tumor, 4 cases of osteosarcoma, and 1 case of multiple myeloma. The primary tumors of the metastatic bone tumors included 4 lung cancers, 3 hepatocellular carcinomas, and 3 renal cell carcinomas. Other primary tumors were breast cancer, thyroid cancer, colon cancer, prostate cancer, and malignant spindle cell tumor, each in 1 case. Modular tumor prostheses were used in all cases;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 in 3 cases,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 in 17 cases). Perioperative pain was assessed with Visual Analogue Scales (VAS).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 was assessed with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grading system. Results: Out of 20 cases (19 patients), 11 cases (10 patients) survived at the last follow-up. Average postoperative survival of the 9 deceased patients was 10.1 months (1-38 months). VAS score improved from pre-operative average of 8.40 (5-10) to 1.35 (0-3) after operation. Average postoperative MSTS function score was 19.65 (65.50%, 7-28). The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2 local recurrences, 3 hematomas, 3 infections, 2 scrotal swellings, and 1 dislocation. There was no case of periprosthetic fracture or loosening. Conclusion: Limb salvage operation with tumor prosthesis is an appropriate treatment for early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restoration in malignant bone tumors in the proximal femur with pain an/or complicated pathologic fractures.

      • SCOPUSKCI등재

        Hypoxic Tumor Can be More Responsive to Fractionated Irradiation Combined with SR 4233 (Tirapazamine)

        김일한(Il Han Kim),J. 마틴 브라운(J. Martin Brow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1

        마우스 종양인 SCCVⅡ과 RIF-1에서 선택적 저산소세포 치사제인 SR 4233(tirapazamine)과 분할 방사선조사를 병용하면 저산소분획이 큰 종양에서 방사선 감수성이 더욱 증강될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종양세포 이식이전에 방사선조사를 받은 정상조직에서 성장한 종양의 저산소세포 분획이 크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저산소세포분획이 큰 종양 모델을 수립 사용하였다. 일정 용적의 (100mm³) 종양에 대하여 1회 2 Gy를 1일 2회씩 6회 또는 1회 2.5 Gy를 1일 2회씩 8회 조사하는 등의 분할조사법을 사용하여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다. SR 4233를 병용한 경우에는 매회 방사선조사 30분 전에 0.08mmol/kg를 복강내 주사하였다. 정상조식에서 성장한 종양에 비하여 방사선 조사를 받은 조식에서는 성장한 종양은 분할 방사선조사에 대하여 약 5배으 ㅣ내정을 보였으나 SR 4233분할 치료에 대하여는 약 5배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정상 종양 및 저산소 세포 분획이 큰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은 공통적으로 SR 4233의 병용후 증강되었으며 저산소세포 분획이 큰 종양에서는 증강율이 정상종양에서의 증강율과 동일하거나 더욱 높았다. 따라서 선택적 저산소세포 치사제인 SR 4233과 분할 방사선조사를 병용할 경우 저산소분획이 큰 종양에서 치사효과가 더욱 증강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저산소세포 분획에 의한 방사선내성을 보이는 종양중 일부는 저산소세포치사제와 방사선치료를 병용함으로써 국소적 종양관해 실패의 요인인 저산소 세포를 극복하는 임상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Hypothesis that hypoxic tumors should be more responsive to the addition of preferential hypoxic cell cytotoxin SR 4233(tirapazamine) to fractionated irradiation was tested in the mouse SCCVⅡ carcinoma and RIF-1 sarcoma. Model of hypoxic tumor was established using the tumor bed effect; tumors growing in the preirradiated tissue (preirradaited tumors) were more hypoxic than tumors growing in the unirradiated tissue (preirradiated tumors) were more hypoxic than tumors growing in the unirradiated tissue (unriiadiated tumors). When the tumors reached a mean volume of 100mm³, both unirradiated and preirradiated tumors were treated with a fractionated course of 6X2 Gy in 3days or 8X2.5 Gy in 4 days with SR 4233 (0.08mmol/kg/injection) given 30 minutes before each irradiation or without SR 4233. compared to the unirradiated tumors, hypoxic preirradiated tumors were approximately 5 times more resistant to fractionated irradiation alone but were approximately 5 times more responsive to SR 4233. Adition of SR 4233 potentiated the effect of fractionated irradiation in both unirradiated and preirradiated tumors. Potentiation in the preirradiated tumors was mor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in the unirradiated tumors and seemed to be higher for more fractionated treatment. We confirm the hypothesis in a transplantable mouse tumor.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radioresistance of some hypoxic tumors can be overcome with hypoxic cytotoxin.

      • 족부의 종양

        신덕섭,박성혁,안종철,Shin, Duk-Seop,Park, Sung-Hyuk,Ahn, Jong-Ch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의 임상적 특성과 병리학적 특성 및 분포 등을 조사하여, 족부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부 종양 환자 141명의 142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된 환자들이었다. 대상이 되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영상 검사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종양의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과 수술의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양이 발생 위치는 Kirby 등이 제안한 구역(zone)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여자는 75명이었고 남자는 66명으로 여자가 조금 많았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3.2세였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68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이 57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 12예, 악성 골종양이 5예의 순이었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는 결절종이 36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 중에서는 조갑하 외골종이 18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서는 편평 상피 세포암이 7예, 악성 골종양으로는 폐암의 전이 병소가 2예였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으로 통증은 악성 골종양 환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호소하였고, 증상 발현 기간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가장 길었고, 신경학적 증상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만 3예가 있었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악성 골종양이 가장 크고, 양성 골종양이 가장 작았다. 구역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5 구역에 59예로 가장 많았고, 4 구역에 10예로 가장 적었으며, 양성 골종양에서는 5 구역,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1 구역, 악성 골종양에서는 1, 2 구역,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5 구역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 방법으로 병소내 혹은 변연부 절제술,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 수술, 족지 절단수술, 슬관절 하 절단술과 사지구제술 등이 있었다. 결론: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드물고 종류가 다양하면서 대부분(88%) 양성 종양이었으나,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나이, 통증 유무,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크기 및 발생 구역 등을 고려하여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data bas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foot tumor by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Materials and Methods: 142 foot tumors of 141 patients were studied.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urgical biopsy. We investigated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ic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imaging materials. The location of the tumors were classified with zone of Kirby et al. Results: 75 patients were female and 66 were male.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3.2 years old. Benign soft tissue tumors were the most as 68 cases, and followed by 57 benign bone tumors, 12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nd 5 malignant bone tumors. Ganglia were the mo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s 36 cases, subungual exostoses in benign bone tumors as 18, squamous cell carcinomas in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s 7, and metastatic lung cancers in malignant bone tumors as 2. The rate of pain complaints was the highest in malignant bone tumors, the duration of symptom was longe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the size of the tumor was the biggest in malignant bone tumors. Neurological symptoms were found in only 3 benign soft tissue tumors. For the zonal distribution, zone 5 was the most in 59 cases and zone 4 was the least as 10. The most numbers of the benign bone tumors located in zone 5,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in zone 1, of malignant bone tumors in zone 1 and 2, and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in zone 5.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included intralesional or marginal resection, curettage with or without bone graft, toe amputation, below knee amputation and limb salvage. Conclusion: The tumors of the foot were rare and various, and mostly benign (88%), but we can do proper treatment of those tumors without excluding malignant tumors by considering the age of patients, pain, duration of symptom, size of the tumors, and zonal distribution.

      • KCI등재후보

        Ginkgo Biloba Extract가 C3H 마우스 섬유육종의 분할 방사선치료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Jong Hoon Kim),하성환(Sung Whan Ha),박찬일(Charn 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Ginkgo biloba extract (GBE)는 혈액순환개선효과가 있어 기존의 방사선민감제와 달리 혈류저항이 높은 악성종양에서 저산소세포 분획을 줄일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저선량 분할 방사선조사시에도 GBE가 방사선조사 효과의 증대를 나타내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선량 분할 방사선조사시 GBE가 방사선조사효과증대를 나타내는지, 또한 정상조직과 악성종양의 혈류량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통상적인 범위의 저산소세포 분획을 가진 C3H 마우스의 섬유육종(FSaII)을 마우스 우측하지에 이식한 후 종양직경이 7 mm에 도달하였을 때 마우스 체중 kg당 100 mg의 GBE를 방사선조사 25시간 전과 매회 1시간 전에 복강내 투여 후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3 Gy 내지 12 Gy의 방사선을 일회 조사시 GBE투여군과 방사선단독조사군의 종양성장지연기간을 비교하여 GBE에 의한 방사선효과 증강율을 구하였다. 3 Gy씩 10회의 분할 방사선조사시 방사선 단독조사군의 방사선량-종양성장지연기간(tumor growth delay, TGD)의 관계식을 구하여 두 실험군의 선형회귀직선 기울기의 비율, 즉 GBE에 의한 방사선효과 증강율을 구하였다. 같은 종양을 이용하여 레이저 도플러 혈류측정기로 정상근육과 종양의 혈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저혈류 분포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고, GBE 투여에 의한 혈류량분포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결 과 : 3 Gy 내지 12 Gy의 방사선을 일회 조사시 GBE투여군의 종양성장지연기간이 방사선단독조사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증가되었으며(p<0.05), GBE에 의한 방사선효과 증강율은 3일 종양성장지연 기준으로 1.16이었다. 3 Gy씩 10회의 분할 방사선조사시 방사선 단독조사군의 방사선량-종양성장지연기간(tumor growth delay, TGD)의 관계는 TGD (days)=0.26×D (Gy)+0.13, GBE 병용군의 경우 TGD (days)=0.30×D (Gy)+0.13이었고 두 실험군의 직선 기울기의 비율, 즉 GBE에 의한 방사선효과 증강율은 1.19 (95% 신뢰구간; 1.13∼1.27)로 나타났다. 같은 종양을 이용하여 레이저 도플러 혈류측정기로 혈류량을 측정한 결과, 혈류량의 분포는 모두 Poisson 분포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정상근육의 혈류량은 평균 10.15 mL/100 g/min, 종양의 혈류량은 평균 7.78 mL/100 g/min으로 종양의 평균 혈류량이 근육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고(p=0.0001), 2 mL/100 g/min 이하의 저혈류 분포는 정상근육에 비하여 종양에서 높게 나타났다(0.5% 대 5.2%, p=0.005). 정상근육에서는 GBE 투여에 의하여 혈류량 분포에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종양에서는 2 mL/100 g/min 이하의 저혈류량 분포가 감소하였고, 평균 혈류량은 23.5% 증가되었다(p=0.0004). 결 론 : GBE는 방사선 일회 조사시 뿐만 아니라 분할조사시에도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정상근육에 비하여 종양의 혈류량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킴이 확인되었다. Purpose : A ginkgo biloba extract (GBE) has been known as a hypoxic cell radiosensitizer. Its mechanisms of action are increase of the red blood cell deformability, decrease the blood viscosity, and decrease the hypoxic cell fraction in the tumo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effect of GBE on 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to clarify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GBE by estimating the blood flow in tumor and normal muscle. Materials and Methods : Fibrosarcoma (FSaII) growing in a C3H mouse leg muscle was used as the tumor model. When the tumor size reached 7 mm in diameter, the GBE was given intraperitoneally at 1 and 25 hours prior to irradiation. The tumor growth dela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various doses of radiation (3, 6, 9, 12 Gy and 15 Gy) and to the fractionation (single and fractionated irradiation) with and without the GBE injection. The radiation dose to the tumor the response relationships and the enhancement ratio of the GBE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blood flow of a normal muscle and a tumor was compared by laser Doppler flowmetry according to the GBE treatment. Results : When the GBE was used with single fraction irradiation with doses ranging from 3 to 12 Gy, GBE increased the tumor growth delay significantly (p<0.05) and the enhancement ratio of the GBE was 1.16. In fractionated irradiation with 3 Gy per da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adiation dose (D) and the tumor growth delay (TGD) were TGD (days)=0.26×D (Gy)+0.13 in the radiation alone group, and the TGD (days)=0.30×D (Gy)+0.13 in the radiation with GBE group. As a result, the enhancement ratio was 1.19 (95% confidence interval; 1.13∼1.27). Laser Doppler flowmetry was used to measure the blood flow. The mean blood flow was higher in the muscle (7.78 mL/100 g/min in tumor and the 10.15 mL/100 g/min in muscle, p=0.0001) and the low blood flow fraction (less than 2 mL/100 g/min) was higher in the tumor (0.5% vs. 5.2%, p=0.005). The blood flow was not changed with the GBE in normal muscle, but was increased by 23.5% (p=0.0004) in the tumor.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BE enhanced the radiation effect significantly when used with fractionated radiotherapy as well as with single fraction irradiation. Furthermore, the GBE increased the blood flow of the tumor selectively.

      • SCOPUSKCI등재

        Effect of Tumor Hypoxia on Efficacy of Tirapazamine Combined with Fractionated Irradiation in Mouse Tumor

        김일한,Kim, Il-Ha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적 : 종양내 저산소상태는 저산소세포치사제에 의하여 극복이 가능하다. 방사선의 반응을 증강시키는 tirapazamine 의 효과가 마우스 종양에서 분할방사선조사와 병용된 상태에서 종양내 산소상태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조군 및 저산소 상태의 종양을 수립하기 위하여 정상 및 4주전에 방사선 조사를 받았던 마우스의 등과 하지에 RIF-1 종양을 이식하였다. 종양이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면, 대조군 및 저산소 상태 종양에 대하여 생리식염수(0.02 mlg), tirapazamine (0.08 mMkg), 방사선조사(2.5 Gy), tirapazamine 과 방사선조사의 병용 등을 사용하여 4일간 8회의 과분할 치료를 시행하였다. 등의 종양 체적이 4 배로 증가하거나 하지의 종양 단면이 2배로 증가할 때 까지 종양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여 얻은 종양성장의 지연을 기준으로 각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결과 : 등 및 하지의 정상 및 저산소종양의 평균증식양상으로 부터 tirapazamine이 방사선의 반응을 증강시켰음을 알 수 있다. tirapazamine에 의한 방사선증강효과는 호기의 종양체적 또는 종양단면적을 기준으로 한 증식지연실험 결과 등의 정상종양에서는 1.9배, 저산소종양에서는 2.4배였으며 하지의 정상종양에서는 1.85배, 저산소종양에서는 1.6배였다. 초기종양체적의 4배 증식 또는 종양단면적의 2배 증식까지의 기간을 기준으로 설정한 증식지연실험결과 등의 정상종양에서는 1.48배, 저산소종양에서는 2.0배였으며 하지의 정상종양에서는 1.85배, 저산소종양에서는 1.6배였다. 결론 :분할 방사선조사에 tirapazamine을 병용할 경우 방사선조사효과는 증강되며, 저산소상태에 있는 마우스 종양에서의 증강효과가 대조 종양에서의 증강효과와 동일하거나 더욱 양호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었으나 $7.4\%$만이 심한 증상을 보였고, 만성 합병증은 $7.9\%$에서 관찰되었으며, 장폐색, 비뇨기계증상의 악화, 방사선 방광염등의 순이었다.전에 예방하기 위해 중점 관리해야 할 지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이었고(p<0.01) 포장에 대해서는 주택형태에 따라 농가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에 거주하는 주부보다 더 나쁘게 평가하는 경향이었다. (p<0.05) (9) 조사대상주부들은 시판제품의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위생성(37.0%), 가격(23.8%), 포장(15.6%), 맛(11.1%), 저장성(10.1%) 및 색(2.4%) 등의 순으로 지적하였고 주부의 거주지에 따라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위생성을, 농어촌에 거주할수록 가격을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보는 경향이었다. (p<0.05)3.2%는 채소에는 cholesterol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채식이 건강에 좋다고 하였다. 또한 질병치료에 유효한 채소는 당근 등 42가지, 질병을 유발시키는 채소는 고사리 등 10종을 지적하였으며 이들은 과학적 증명이 가능하거나 민간요법으로 전해지고 있는 내용이다. 이상과 같이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의 채소 소비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가공된 채소반찬과 김치의 구입은 현재까지 일반화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김치보다 채소반찬의 구입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에 다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계층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폭 넓은 채소소비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할 경우 적정 첨가 수준으로 Purpose : Tumor hypoxia can be overcome with hypoxic cytotoxin. In mouse tumor, tirapazamine's efficacy of the potentiating radiation effect was tested by the tumor oxygenation status combined with hype facti on ated rad iotherapy .:The control and hypoxic mouse tumors we established by inoculation of RIF-1 tumor cells into the normal or previously irradiated back and thigh of C3H mice. When the tumors reached a proper size, both the control and hypoxic tumors were given hypefractionated treatments (8fractions/4 days) with saline (0.02 ml/g), tirapazamin (0.08 mM/0.02 ml/kg), irradiation (2.5 Gy), irradiation combined with tirapazamine given 30 minutes prior to each irradiation. The response was evaluated by the growth delay assay by measuring tumor size from day 0 (12 hrs prior to the first fractionation) to the day when the volume had 4-fold increase or cross sectional area had 2-fold increase. Results : Overall growth pattern showed that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in back and thigh tumors grew in the normal and preirradiated tumor bed. With growth delay assay using reference point of initial tumor volume or cross sectional area,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1.9 times for the control and 2.4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in back, and 1.85 times for the control and 1.6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With reference of 4-fold increase of the initial volume or 2-fold increase of the cross sectional area, tirapazamine potentiated radiation effect 1.48 times for the control and 2.02 times for the hypxic tumors in back, and 1.85 times for the control and 1.6 times for the hypoxic tumors. Conclusions : Present result indicated that radiation response of hypoxic tumors was potentiated by tirapazamine in the back or thigh tumors grew in the control or preirradiated tumor bed, and potentiation of the hypoxic tumors was eD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tumors in the back or thigh.

      • 전이성 척추 종양의 수술적 치료

        한정수,김기택,소재호,이정희,신동준,Han, Chung-Soo,Kim, Ki-Tack,Soh, Jae-Ho,Lee, Jung-Hee,Shin, Dong-J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1

        목적 : 전이성 척추 종양은 가장 흔한 전이성 종양 중의 하나로 치료에 있어 보통 보존적 요법이 선호되어 왔으나 신경학적 증상과 삶의 질의 개선이 극히 불량하였다. 수술적 치료 후에 신경학적 증상의 변화와 임상증상의 개선정도, 생존 기간의 증가 등에 대해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8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본원에서 경험하였던 전이성 척추 종양 중 수술적 치료 후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4례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검사 등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연령별, 성별, 해부학적 발생 부위별 분포와 각각의 원발 종양에 따른 골 전이의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고, 방사선 치료로 도움이 안될 때,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될 때, 척추 불안정성이 있을 때, 원발 종양을 알지 못할 때, 병적 골절이 있을 때, 기대여명이 6주 이상일 때, 만성적인 통증이 있을 때 시행하였던 수술적 치료 전후의 증상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 전이성 척추 종양은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고 30대에서 70대까지 연령이 다양하였으며 원발 종양으로 여자는 유방암, 남자는 폐암이 가장 많았고 가장 흔한 전이 부위는 흉추부였다. 수술 전 마비의 정도가 수술 후 임상 증상의 호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술 후 전이성 척추 종양의 평균 여명은 사망한 11례에서 8.9개월, 살아있는 3례에서 14.7개월이었다. 결론 : 전이성 종양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전이성 척수 종양이 의심될 때, 치료와 동시에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그 방법과 관계없이 동통과 신경학적 증상의 회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고, 초기의 적극적 치료로 삶의 질과 생존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후 원발 종양의 종류에 따른 전이성 척수 종양의 분류와 이에 따른 수술적 치료의 역할에 대한 평가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Spine is one of the most common sites of the metastatic bone tumors. Conservative management such as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has been preferred in most cases. However, the neurologic deficit has not been usually improved, and the quality of life was po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icacy of the surgical treatments for metastatic spinal tumors in terms of postoperative improvements of neurologic deficit and survival time. Materials and Methods : Authors have reviewed the literatures and analyzed 14 patients of metastatic spinal tumors who were received operative treatments between August 1991 and June 1999 at the our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Results : The most frequent primary tumor was breast cancer in women and lung cancer in men. The thoracic region was the most common site. There was a preponderance of females over males, and the age ranged between 4th and 8th decade. The indications of surgical treatment comprised instability, progressive neurologic findings, resistance to radiotherapy, pathological fracture, long life expectancy( >6weeks), isolated metastasis and need for pathological diagnosis. The degree of preoperative neurological deficit migh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after surgery. Conclusion : The surgical treatment reduced the neurological deficit and pain regardless of the operative methods. In the early stage of neurological deficit, the surgical treatment was important for better prognosis. Recently early active operative treatment was performed for metastatic spinal tumor to minimize the intractable pain and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the neurologic deficit. Early intervention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long term survival.

      • KCI등재

        위암에서 종양 크기의 임상적 의의

        김학진 ( Hak Jin Kim ),장유진 ( You Jin Jang ),김종한 ( Jong Han Kim ),박성수 ( Sung Soo Park ),박성흠 ( Sung Heum Park ),김승주 ( Seung Joo Kim ),목영재 ( Young Jae Mok ),김종석 ( Jong Suk Kim ),박중민 ( Jung Min Park ),양경숙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1

        배경 및 목적 : 현재까지 위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종양의 침윤 깊이와 림프절 전이여부 이지만 이밖에 종양크기가 예후를 결정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최근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적응 증을 결정하는데 종양 크기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에서 종양 크기의 예후적 중요성 및 림프절 전이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고려대학교 병원에서 근치절제술을 시행 받은 위암 1기에서 3기까지의 9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다변량 위험도 비교분석의 결과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을 구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병리학적 인자와의 관련성 및 예후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림프절 전이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을 ROC curve 를 사용하여 전체 및 각 종양 병기(pT)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다 변량 위험도 분석상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종양 크기의 기준 값은 7 cm 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종양의 위치, 침윤 깊이, 림프절 전이 및 세포 분화도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 변량 생존 분석 결과 나이, 침윤 깊이, 종양 크기 및 림프절 전이가 독립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종양크기와 림프절 전이와의 관련성에서는 전체 환자군 및 종양 병기 1기(pT1), 3기(pT3)에서 유의하였으며, 이를 결정하는 기준 값은 전체 환자군 3.3 cm, 종양 병기 1기 1.5 cm, 종양 병기 3기 6 cm이었다. 결론 : 위암에서 종양 크기는 의미 있는 예후 인자이며 림프절 전이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조기위암에서 내시경적 절제술 시행 여부 및 진행성 위암에서 향후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umor size on survival of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n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92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1992 to 2002. The cut-off value of tumor size was decied as the smallest value that showed significantly survival difference by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umor size were analyzed by using univat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And ROC curves were applied to measure cut-off value of tumor size that impact on lymph node metastasis. Results: In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 the cut-off value of tumor size was 7cm that impact on prognosis. The tumor location,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cell differenci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umor size. The Age, depth of invasion,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analyses. In Releavance between the tumor size and lymph node metasta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stage I, III, and whole patients group. And the each cut-off values were 1.5cm, 6cm, and 3.3cm Conclusion: Tumor size w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nd important predictive value for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So tumor size will useful parameter to perform EMR in early gastric cancer or to plan further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