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가문화의 전승기반과 변화양상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이 논문에서는 종가문화의 전승기반인 고택과 사당, 그리고 종손과 종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고택을 보유하고 있는 사례는 90종가로, 전체 49%이다. 나머지 51%는 한옥과 양옥, 아파트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고택은 종가의 위상을 드러내는 대표적 상징물이다. 따라서 고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문중 행사가 종가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종가의 접빈문화가 자연스럽게 창출되면서 독자적인 가통으로 자리잡아 가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당의 경우 전체 182곳 중에서 161종가에서 사당을 구비하고 있으며, 비율로는 88%이다. 문중 시조의 신주를 모신 사당인 만큼 보존과 관리가 매우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고택과 사당이 아무리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더라도 이를 활용하는 주체자가 없으면 그야말로 무용지물이다. 즉, 종손과 종부가 종가에 거주함으로써 고택과 사당에 생명력이 부여되면서 다양한 종가문화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종손과 종부가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84곳으로, 전체 46%이다. 나머지 98종가(54%)는 종손과 종부가 외지에 거주하면서 불천위 제사나 집안의 대소사 등에만 종가로 돌아오는 경우이다. 그런데 더욱 심각한 것은 종손과 종부가 종가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종가문화를 이어받을 차세대 종손과 종부가 외지에 진출해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현재 종손과 차종손이 함께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7사례로, 전체 4%에 불과하다. 또 같은 지역 내에서 따로 살고 있는 경우는 3사례이고, 비교적 근거리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3사례이다. 이들 전체를 합하더라도 13사례로, 7%를 넘지 않는다. 이로써는 종가문화의 안정적인 계승을 기대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그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혈족(후손) 중심의 법인을 설립하여 종가에 부여된 이른바 ‘조상제사권’을 양도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는 곳도 있다. 어차피 종손과 종부가 거주하지 않는 종가에는 시조를 위한 제례문화만이 남아있는 까닭에, 그 역할을 법인 단체가 담당하더라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이를 통해 오히려 안정적인 계승을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그야말로 차세대 종손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종가문화가 출현할 날이 멀지않은 듯하다.

      • KCI등재

        안동 종가(宗家)음식 산업화사업 CI, BI 개발연구

        이정희,노시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4

        지방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향토 지적 재산으로서 종가(宗家)의 가치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함께 산업화 요구가 증 대되고 있다. 또한 종가(宗家)음식은 지역의 경제적인 자산으로서 과학성과 기호의 우수성이 증명되고 있다. 하지 만 후손들의 고령화로 종가문화의 명맥이 차단될 위기에 처해져 종가음식에 대한 발굴, 보존대책이 필요하다. 일반 에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만드는 비법에 대한 체계적인 기록 관리도 없고 산업화 전략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 하여 안동 종가음식의 자랑거리가 사장될 우려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CI, BI 디자인 개발 정립을 통해 지역 특화상품 보호 및 안동만의 차별화를 추구하여 안동 종가음식의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여 안동 종가음식 산업화사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는 컨셉 연구, 컨셉 도출, 명칭 개발, 종합분석, 디자인작업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새롭게 정립되는 CI, BI연구 결과를 통해 ‘안동 종가음식’이 한식의 중심에 위치하며, 한류의 중심으로 한식 세계화 에 걸맞은 차별화된 아이덴티티를 구축됨을 기대한다. With the arrival of the regionalization era, there is increasing awareness of the value of head families as a traditional intellectual property and demand to industrialize it. Also, food made by head families has been proven to have scientific excellence as an economic asset of the region. However, as the offspring ages, they are facing the threat of discontinuation, which necessities discovery and preservation of food made by head families. It is highly possible that Andong head families’ food will become extinct because there is no systematic record management of the recipes and widespread awareness of the industrialization strategy. In this study, the industrialization project of Andong head family food will be promoted by establishing CI and BI design, in order to differentiate Andong, protect regional specialty products, and create a new brand value for Andong head family fo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erms of concept study, concept development, name development, overall analysis, and design in the order. Through the findings of CI and BI development research, the author anticipates to place ‘Andong Head Family Food’ at the center of Korean food and build a differentiated identity suitable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 KCI등재

        종가문화의 전승기반과 변화양상―경북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and meaning of old houses, shrines,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fe of the oldest son of the head family as a foundation for transmission in the head family culture. First of all, there were 90 head families that possessed old houses among total 182 head families constituting 49%. The remaining 51% turned out to be Korean traditional houses, western- style houses, and apartments. Old houses are the typical symbol in representing the status of head families. Therefore, most of the family events tend to proceed based on head families if possessing old houses. In addition, culture for entertaining guests is naturally created in this course settling unique family lineage. As for shrines, among 182 head families, 161 of them ended up possessing shrines constituting 88%. As mortuary tablets of the progenitors of families were enshrined, they turned out to be well managed and preserved. Even if old houses and shrines are well-preserved, they are useless if there is no one to use them. In other words, various head family cultures are created as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fe of the oldest son of the head family reside creating liveliness to old houses and shrines. In regard of this issue, among 182 head families in Gyeongbuk areas, 84 of them turned out to be where the eldest grandsons and the wives of oldest sons of the head family resided together constituting 46%. The remaining 98 head families (54%) were where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ves of the oldest sons of the head family resided outside of old houses or shrines merely participating in rites with ancestral tablets or all sorts of matters of families. However, what was even worse was that the eldest grandsons and the wives of the oldest sons of the next generations who were supposed to be handed down with head family cultures resided outside of old houses or shrines even though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fe of the oldest son of head family resided in old houses or shrines. In fact, among 182 head families in Gyeongguk areas, there were only 7 head families where the eldest grandsons resided together constituting merely 4%. In addition, there were 3 cases where they lived separately in the same area, and 3 cases where they turned out to live in a relatively short distance. They all added up to 13 cases constituting less than 7%. This makes it difficult to stably pass down the head family culture and also to guarantee the future of i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places pursuing to create a plan for passing down ‘ancestral rite right’ that is granted to the head family by establishing blood relative (descendent)-based corporations. As only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culture is left for the progenitors in the head family where the eldest grandson and the wife of oldest sons of the head family do not reside together, it seems that corporate is eligible to serve the role of them without causing much problem. There are also views where they can stably pass down head family culture. It seems that new head family culture is about to emerge along with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of the next generations. 이 논문에서는 종가문화의 전승기반인 고택과 사당, 그리고 종손과종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고택을 보유하고 있는 사례는 90종가로, 전체 49%이다. 나머지 51%는 한옥과 양옥, 아파트 등의 형태로나타났다. 고택은 종가의 위상을 드러내는 대표적 상징물이다. 따라서고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문중 행사가 종가 중심으로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종가의 접빈문화가 자연스럽게 창출되면서 독자적인 가통으로 자리잡아 가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당의경우 전체 182곳 중에서 161종가에서 사당을 구비하고 있으며, 비율로는 88%이다. 문중 시조의 신주를 모신 사당인 만큼 보존과 관리가매우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고택과 사당이 아무리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더라도 이를 활용하는주체자가 없으면 그야말로 무용지물이다. 즉, 종손과 종부가 종가에거주함으로써 고택과 사당에 생명력이 부여되면서 다양한 종가문화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경북지역 182종가 가운데 종손과종부가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84곳으로, 전체 46%이다. 나머지 98종가(54%)는 종손과 종부가 외지에 거주하면서 불천위 제사나 집안의대소사 등에만 종가로 돌아오는 경우이다. 그런데 더욱 심각한 것은종손과 종부가 종가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종가문화를 이어받을 차세대 종손과 종부가 외지에 진출해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경북지역182종가 가운데 현재 종손과 차종손이 함께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7사례로, 전체 4%에 불과하다. 또 같은 지역 내에서 따로 살고 있는 경우는 3사례이고, 비교적 근거리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는 3사례이다. 이들전체를 합하더라도 13사례로, 7%를 넘지 않는다. 이로써는 종가문화의 안정적인 계승을 기대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그 미래를 보장할 수없다. 이런 상황에서 혈족(후손) 중심의 법인을 설립하여 종가에 부여된 이른바 ‘조상제사권’을 양도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는 곳도있다. 어차피 종손과 종부가 거주하지 않는 종가에는 시조를 위한 제례문화만이 남아있는 까닭에, 그 역할을 법인 단체가 담당하더라도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이를 통해 오히려 안정적인 계승을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그야말로 차세대 종손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종가문화가 출현할 날이 멀지않은 듯하다.

      • KCI등재후보

        포은종가의 계승과 세거지

        홍순석(洪顺,,) 포은학회 2013 포은학연구 Vol.11 No.-

        포은종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종가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포은의 위상에 비해 종가의 실상은 극히 미미하다. 여말선초의 벌족 가운데 포은종가처럼 부침(浮沈)이 많은 종가는 없으리라 본다. 포은의 순절 이후, 세조 때 손자 보(保)의 참화, 성종 때 증손 윤정(允貞)의 참화 등으로 역대 임금의 시혜(施惠)에도 불구하고 고려말기 포은종가의 성세를 회복할 수 없었다. 포은종가의 봉사손은 조선 태종 때 포은이 신원되고 추증된 이후, 조선 말기까지 역대 임금으로부터 여러 차례 복호(復戶)와 녹용(祿用)의 시혜를 받았다. 숙종 재위 기간에는 이정구, 송시열의 각별한 배려로 봉사손의 녹용은 물론, 포은의 현양을 위한 여러 사업이 추진되었다. 무엇보다도 단종 복위와 함께 정보에게도 이조참의에 추증되었다. 이때에 이르러 포은과 설곡의 충절이 크게 부각되고 칭송되었다. 충렬서원의 건립, 포은영당의 중건 등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재위기간의 이 같은 특별한 배려로 16세기에는 무관직으로 겨우 명맥을 유지해온 영일정씨 포은공파 가문이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여러 명의 명망 있는 인물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종가의 봉사손에서는 명망 있는 인물이 배출되지 않았다. 포은 봉사손의 입계 양상에서 살폈듯이 포은종가는 11세손 찬광(纘光) 이후 22세손 의열(義烈)까지 13대에 걸쳐 6차례나 입계하여 봉사손을 계승하는 불운을 겪었다. 이 같은 불운이 포은종가의 위상을 회복하는데 큰 장애가 되었던 것이다. 포은종가의 통혼관계에서도 조선 전기에는 포은의 명성이 그대로 반영되었던 반면, 후기에서는 한미한 가문으로 몰락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포은의 장남 종성(宗誠)은 정종의 4남인 선성군(宣城君)과 양녕대군의 장남인 순성군(順城君)을 사위로 맞아 왕실과 혼척관계를 맺었다. 이 당시야말로 통혼관계에서도 영일정씨 포은공파의 최대 성세였다. 손자 보(保)의 당대까지도 통혼관계는 벌족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다. 설곡의 참화 이후에는 그같은 성세를 살필 수 없다. 포은공파 종가의 경우 죽산박씨, 경주이씨, 창녕성씨, 전의이씨, 청주한씨 등의 가문과 통혼하였다. 그 가운데 용인지역에 세거하는데 상호 영향을 미쳤던 가문은 죽산박씨, 용인이씨, 연안이씨, 순흥안씨, 한양조씨 등이다. 특히 연안이씨 저헌공파(樗軒公派)와의 통혼은 모현면 능원리에 정착하여 세거하는데 상호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조선 후기에는 은진송씨(恩津宋氏)와의 통혼관계가 주목된다. 포은종가 봉사손의 세거지는 조선 건국 이래 말기까지 한양 도성 안에 있었다. 세조 때 정보가 참화를 당하기 이전에는 중부 견평방(堅平坊) 의금부 자리에 거주하였다. 정보의 참화로 포은종택이 적몰된 이후, 두 아들 윤정(允貞)ㆍ윤관(允寬)은 정보의 적소(謫所)인 단성(丹城) 문태촌(文泰村)에서 함께 거주하였다. 정보가 단성 적소에서 졸한 이후에는 장남 윤정은 선조의 향사를 모시기 위해 용인에 거주하였으며, 3남 윤관은 단성에 남아서 정착하였다. 5세손 희(熹)가 성종의 시혜로 사옹원 참봉으로 탁용되면서 다시 한양 도성 안에 거주하게 되었으며, 7세손 진(震)의 집이 한성의 남부 낙선방(樂善坊)에 있었다는 기록을 전제하면, 희(熹)-세건(世健) 부자가 거주한 곳도 낙선방이었을 가능성이 짙다. 8세손 응선(膺善)ㆍ명선(明善)ㆍ종선(從善) 모두 낙선방에서 출생하였다. 1640년(인조18)경 9세손 준(儁)의 집을 방문한 정극후(鄭克後)는 <쌍봉정사부극후시병서(雙峯鄭師傅克後詩幷序)>에서 포은종손이 대를 이어 '남산골'에 2백여년간 거주하고 있음을 칭송하였다. '남산골'은 바로 낙선방을 지칭한 것으로 생각된다. 정준의 다음 세대인 운한(雲翰)-원징(元徵)-찬광(纘光) 까지도 낙선방에 출생하여 세거하였다. 1679년(숙종5)에는 민정중(閔鼎重)의 건의에 따라 묵사동(黙寺洞)에 사당을 건립해주고 자손을 녹용하게 하였다. 1706년(숙종32)에는 포은의 봉사손 호(鎬)가 사당 및 영당을 호동(壺洞)에 옮겨 세웠다. 19세기까지 포은종가가 한성에 있었음을 증빙한다. 1865년경 해주에서 거주하던 종손 정규화(鄭奎和)가 비로소 모현면 능원리에 전입하여 머물게 되었다. 이후로 지금까지 모현면 능원리에 포은종가가 세거하고 있다. 포은의 묘하에 세거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불과 150여년에 지나지 않는다. 圃隐世家可谓是韩国代表性的世家. 虽然和圃隐在韩国的地位相比世家的状况还是微不足道的. 处于15世纪丽末鲜初的名门望族中像圃隐世家这样历经多次浮沉的不多见. 圃隐殉节以后, 经历过世祖时期郑保的惨祸, 成宗时期郑允贞的惨祸之后尽管历代王不断加恩施惠,但是高丽末期圃隐世家的盛况一去不复返了. 自从朝鲜太宗时期为圃隐伸冤, 并使之受到推崇之后到朝鲜末期,圃隐世家的奉祀孙屡次受到復户和祿用的恩惠. 肃宗在位期间受到李廷龟, 宋时烈的特别照顾不仅奉祀孙得以录用,对推崇圃隐思想也起到推进作用. 端宗復位同时对郑保追赠李朝参议的名号. 使得圃隐和雪谷的忠节思想被重点突出一再称颂. 忠烈书院的建立, 圃隐影堂的重建等也都是在这个时期完成. 端宗在位期间的特别优待让16世纪勉强维持着武官职的迎日郑氏圃隐公派家门到了17世纪出了许多有名望的人物. 但是世家的奉祀孙中并没有出有名望的人物. 原因是圃隐世家从第11代的世孙郑纘光到第22代的世孙郑义烈这13代曾经6次入系, 导致奉祀孙继承上的不幸. 圃隐世家的通婚关系在朝鲜前期是反映了圃隐的名望. 后期则显现出了寒微家门的没落现象. 圃隐的长男郑宗诚和王室通婚. 这种通婚在当时也是迎日郑氏圃隐公派最大的盛势. 孙子郑保维持着和当代名门望族通婚的位相. 圃隐宗派世家和竹山朴氏, 庆州李氏, 昌寧成氏,全义李氏, 淸州韩氏等家门通婚. 其中在龍仁地区居住并相互影响的家门有竹山朴氏, 龍仁李氏, 延安李氏, 顺兴安氏, 汉阳赵氏等. 特别是和延安李氏的通婚使得其得以扎根慕贤面陵院里世代居住, 并深受影响. 朝鲜后期和恩津宋氏的通婚关系更是令人瞩目. 圃隐世家奉祀孙的居住地从朝鲜建国以来到末期一直在汉阳都城内. 世祖时期孙辈郑保在遭受惨祸之前在中部坚平坊居住. 郑保发生惨祸之后圃隐宗宅被没收, 长子允贞和三子允宽在郑保的謫所丹城文泰村一起居住. 郑保去世以后长子贞为了祭祀先祖搬到龍仁居住, 第五代世孙郑熹又重新搬回汉阳都城. 有记录显示第代7世孙震在汉城的南部樂善坊居住, 由此郑熹-郑世健父子在樂善坊居住的可能性很高. 第8代世孙郑膺善ㆍ郑明善ㆍ郑从善也都是在樂善坊里出生. 之后的子孙郑儁-郑云翰-郑元徵-纘光也都是在樂善坊出生并居住于此. 1679年(肃宗5)由閔鼎重建议下在黙寺洞建立祠堂并且录用圃隐子孙. 1706年(肃宗32)圃隐的奉祀孙镐把祠堂和影堂搬到壶洞. 直至19世纪有圃隐世家在汉城居住的证据. 1865年郑奎和第一次搬入慕县面陵院里居住.

      • KCI등재

        종가음식의 혈연공동체성 변화와 전승 과제

        배영동(Bae, Young-Dong)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6 No.-

        오늘날 종가음식이 세인들의 주목을 받는 이유는 오래된 전통음식에 대한 기대가 크고, 귀감이 되는 역사적 인물의 삶이나 사상과 관련된 음식에 대한 기대도 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종가에서는 봉제사와 접빈객을 하기 위한 음식의 조리법을 중요하게 여겼고, 한편으로 음식을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배분하고 누구와 어떻게 먹을 것인가 하는 방식을 소중하게 인식하였다. 오늘날 종가음식으로 명명되는 종가의 전통음식은 조상을 섬기는 음식, 손님을 환대하는 음식, 조상의 정신과 취항을 담고 있는 음식, 나눔과 베풂의 음식, 정성과 예법을 중시하는 음식, 지역마다 종가마다 차이 있는 음식, 고춧가루를 쓰지 않는 음식,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음식이라는 성향이 두드러진다. 현대사회에서는 증가문화의 전승력이 약화되면서 종가음식은 차세대로 순조롭게 전승되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는 유교문화의 퇴조와 더불어 혈연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종가문화의 약화, 농촌 인구의 도시유출과 같은 사회문화 변동에 따른 것이다. 그리하여 종가음식 전승주체인 종부와 차종부(次宗婦) 사이의 전승관계가 해체되고, 종가음식 조리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문중 여성들의 수도 급감하여 결과적으로 종가음식의 혈연공동체성이 약화되기에 이르렀다. 이 상황에서 연구자들의 종가음식에 대한 관심, 매스컴의 영향, 가족공동체 문화 악화 등으로 인하여 지역의 종가와 종부들은 종가음식을 새롭게 발견하여 전승하려고 노력하기 시작했다. 종가음식의 전승이 재맥락화 되고, 종가음식의 전통이 재구성되고 있다. 종가음식도 그 나름의 역사 · 문화적 의미가 있으므로 한 갈래의 음식으로 전승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노종부(老宗婦)가 스스로 자신의 조리법을 정리하여 자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종가의 음식문화에 대하여 체계적인 학술조사와 연구를 해야 한다. 일반인들이 종가음식에 거는 기대는 종가에서 느낄 수 있는 인문정신과 문화적 가치에서 비롯되는 것이므로, 어떤 인물의 기념할만한 정신이 돋보이는 음식과 개별 종가에서 역사 · 문화적 의미가 큰 음식을 우선적으로 전승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종가음식을 일정하게라도 보전하기 위해서는 종가마다의 음식조리와 나눔의 개성을 살려야 하며, 종가마다의 예법과 문화에 따라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가의 특색 있는 음식이지만 단절된 경우에는 재현을 해서라도 전승할 필요가, 있고, 지속가능한 가치, 미래지향적 가치, 공생적 가치를 가진 종가음식을 정립하여 전승하고, 여러 사람들이 차별 없이 종가음식을 맛볼 수 있도록 해야 좋을 것이다.

      • 한국 종가음식의 문화적 의미와 가치

        주영하 ( Joo Young-ha ) 한국계보연구회 2012 한국계보연구 Vol.3 No.-

        이 글은 최근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종가음식에 대해 그 문화적 가치와 의미가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두고 서술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종법제도의 맥락을 살피고, 이것을 기반으로 조선시대 종가와 종가음식의 함의를 살폈다. 조선시대 종가음식은 다음과 함의를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 조선시대 종가음식은 지역의 여러 가문이 서로 연계하여 구성된 지역 공동체의 속성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종손과 종부의 친인척 관계에서 맺어진 음식의 조리법은 지역적 체계 속에서 공유되고 있었다. 두 번째, 지역적 체계 속에서도 종가마다의 예법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4가가례(家家禮)’로 나타났다. 이 ‘가가례’는 종가마다 서로 다른 의례음식의 종류와 조리법을 만들어냈다. 세 번째, 성리학적 ‘식치(食治고와 ‘절음식 (節飮食)’의 관점 이 조리 법에 관통하고 있다는 점이다. 적게 먹고, 음식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관념이 종가음식에도 적용되었다. 네 번째, 종가의 상차림에 올라가는 음식의 식재료는 곡물과 채소는 물론이고 가금류ㆍ조류ㆍ어류가 망라된 식단 구성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간장ㆍ된장ㆍ고추장과 같은 장류와 각종 김치류는 종가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소스였다. 하지만 일제시대와 농지개혁, 한국전쟁과 근대화와 같은 한국사회가 20세기에 겪어온 역사적 경험은 전근대시기의 종가가 유지되었던 사회경제적인 기반을 뒤흔든 사건들이었다. 이로 인해서 종가의 해체와 종가음식의 쇠퇴가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종가는 여전히 농촌에서 지속되고 있기도 하다. 21세기에 와서 지속되는 종가와 그들의 종가음식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몇 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첫째 불천위(不遷位) 제사를 모시는 조상을 가진 문중의 적장손(嫡長孫)이 거주하는 집을 종가라고 정의해야 한다. 둘째 농촌에 기반을 둔 종택에서 종가 구성 원이 거주하면서 각종 의례에서 소비하는 음식을 종가음식이라고 정의해야 한다. 셋째 가능한 범위 내에서 종가음식의 식재료는 종가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I want to focus on the cultural meaning and value of Korean head family(宗家)food that has lately become an social issue. Investigating the context of clan rule from the ancient Chinese era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Joseon dynasty head family and food based on its clan rule. The head family food of Joseon has a specific meaning. First, it has the property of one regional community that connects several families together. Especially, the cookery is shared with the relative of the grandnephew and grandmother within the social system. Seco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courtesy in the social system shows ’Each Family Manners(家家禮)’.It makes each different ceremonial food and art according to the head family in each clan. Third, the conception of Neo-Confucianism influences the cookery of ‘food control(食治)’ and ‘food moderation(節飮食)’. This rule of small-eating and preventing disease applies to head family food. Fourth, the food materials in setting table contain a variety of food such as the grains, vegetables, poutry, fowls, and fishes. Moreover, the traditional Korean sauces like soy sauce, soy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and the kimchi group reflects the taste of head family food. However, the many events of 20th century of Korean society like the Japanese colonial era, agrarian reform, Korean war and modernization changed the pre-modem social-economic base sustaining the head family. This has resulted in the head family disorganization and the decline of head family food. Nevertheless, some head family has kept on their legacy in the rural areas. Such conditions like the following have been required to sustain the heritage of the head family and food in the 21st century. First, the head family is where the right grandson has persistent ancestral rites(不遷位祭祀). Second, the definition of head family food is the food consumed by the family members in the clan house based on rural area. Third, ingredients of head family food must be produced and obtained in the same region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종가(宗家)의 조상을 향한 헌다(獻茶)에 대한 생활문화적 고찰

        최배영(Bae-you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47 No.-

        본 논문은 종가에 대한 사례조사를 토대로 기술된 문헌인 『대한민국 명문종가 100』에서 조상을 향한 헌다(獻茶)의 내용이 담긴 7종가를 고찰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종가의 생활사적 특징과 헌다의 상황별 양상을 분석하고 그에 내재된 생활문화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종가의 헌다는 생활문화의 산물로 종가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삶의 정신적 뿌리에 대한 후손들의 의식을 강화하는 매개가 되고 있었다. 둘째, 종가의 생활문화로서 헌다는 발전적인 변화가 모색되기도 했는데 이는 이전 세대의 전례(前例)를 답습하기보다는 조상을 향한 헌다의 역사성을 되찾고자 하는 종손이나 종친회의 결단력 있는 노력에서 비롯되었다. 셋째, 조상에 대한 제례(祭禮) 가운데 유사고(有事告), 차례(茶禮), 기제(忌祭), 시제(時祭)는 종가의 헌다가 계승되는 문화적 지표가 되고 있었다. 이를 위해 종가의 자연환경과 후손들의 재능을 활용하는 모습은 헌다의 생활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의지를 반영하였다. 결론적으로 생활문화의 관점에서 살펴본 종가의 헌다는 조상의 생애와 유훈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현재의 후손들이 조상을 향해 차를 올리는 의례를 통해 종가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재확인하고 그를 후대로 전승해가고자 하는 책무의 실천 노력에 기반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inherent in the living culture of tea offering to ancestor in the head family in Korea. For this purpose, seven cases were selected for consideration in 『100 prestigious head families in Korea』, a document based on a case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ffering of tea to ancestors in each head family was a product of living culture, and it was a medium for preserving the identity of the head family and strengthening the consciousness of the descendants of the spiritual roots of life. Second, the tea offering to the ancestor as the living culture of the head family originated from the decisive efforts of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and the clan gathering to restore the historicity of the ritual. Third, the use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talents of descendants to offer tea to the ancestor of the head family reflected their willingness to creatively inherit such living culture. In conclusion, the tea offering to the ancestor of the head family from the perspective of living culture is based on the efforts of the current descendants to reconfirm the identity and historicity of their head family through the ritual and to pass it on to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종가(宗家)의 접빈(接賓)을 위한 찻상차림 연구

        최배영(Bae-you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48 No.-

        본 논문은 종가(宗家)의 접빈(接賓)을 위한 찻상차림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에 내재된 생활문화적 가치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종가에 대한 사례조사 내용이 기술된 『대한민국 명문종가 100』을 고찰하여 차(茶)를 활용해 접빈의 찻상차림을 이행한 7종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각 종가의 가력(家歷)을 살펴봄으로써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의 역사적 배경을 파악하였으며, 찻상차림의 계절별 문화적 특징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은 자연과 공존의 삶을 살아온 종가의 역사를 한 잔의 차(茶) 속에 담아내는 지혜의 문화를 반영하였다. 둘째,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 가운데 차와 함께 준비되는 병과(餠菓)를 문헌으로 기록하거나 내림음식으로 전수하는 종가의 정성이 깃든 문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접빈의 찻상차림에는 인간관계의 정심(正心)을 중시하는 종가의 예(禮) 교육의 문화가 내재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가의 접빈을 위한 찻상차림은 한국의 차문화와 관련하여 변화, 발전되어온 유·무형의 생활양식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in the head family and to investigate the values of living culture inherent in it. For this purpose, seven head families that prepared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were selected from『100 prestigious head families in Korea』, a document based on a case study. In additi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of each head family was identified,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season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showed a culture of wisdom that contained the history of the head family who had lived a life of coexistence with nature in a cup of tea. Second,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culture of the head family s sincerity, which was written in literature or passed down as the inheritance food on rice cakes and cookies prepared with tea for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Third, in the tea table setting for guest hospitality, there was a culture of courtesy education in the head family that emphasized the right mind of human relations. In conclusion, the tea table setting for the guest hospitality of these head families has value as a tangible and intangible lifestyle that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 relation to Korean tea culture.

      • KCI등재

        종가 문화유산의 구심적 가치 보존과 원심적 활용 방안

        조정현 ( Cho Jung-hyu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0

        경북지역을 비롯해서 각 마을의 종가에서 전승해오고 있는 유무형의 문화는 세계유산이라는 인류보편적 관점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재탐색작업은 기존 종가와 관련한 한국적 담론 속에서 주목하지 못한 다양한 측면을 발견할 수 있는 계기일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한 새 시대의 종가문화 창조로 나아갈 수 있다. 즉 지역적(local) 시각에서 바라보면 자연스럽고 평범한 전통에 불과한 문화로 보일 수 있지만, 인류보편적 혹은 세계문화유산적 시각에서 바라보면 훨씬 더 그 가치가 높은 한국적 문화 전통이자 현상이 바로 ‘살아있는 종가문화’이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종가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종가문화의 관광자원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장 큰 문제점은 종가문화체험을 고택에서의 숙박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지역 소재의 종가를 보존, 관리하는 지자체 역시 건축물로서의 종택이나 관련 유적 등 유형의 자산에만 주목할 뿐, 해당 종가가 보유하고 있는 무형의 콘텐츠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무형유산의 가장 큰 장점은 살아있는 문화재로서 생생하게 느끼고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종가문화의 전통은 종택이나 사당으로만 표상될 수 없는 ‘가통’ 등 문화적 전통을 포괄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있다. 기본적으로 종가의 유무형 유산은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개념이다. 따라서 무형유산의 가치와 활용을 논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동체가 굳건하게 지속되어야 함을 전제로 한다. 종가를 중심으로 한 문중과 당내, 마을공동체라는 버팀목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만 종가문화가 존재할 수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종가의 유무형 문화유산은 끊임없이 해당 마을 및 지역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종가 유산의 유무형적 전승양상을 살펴보고, 실제적인 보존 및 관리 실태를 검토하는 가운데, 종가 유산의 구심적 가치를 높이고 원심적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길을 찾고자 한다. A history, culture and life of Jong-ga(宗家) a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ransferred down from the traditional local society, it should have been a exemplary model for beautiful and fine customs, but in reality, it shows the aspects of a community as leader group armed with confucianism spirit. Likewise, there is a need to mention that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value as a traditional culture that is alive merely by pushing towards one specific direction on the policy level without having secured the live passing down capability. A transmission of Jong-ga(宗家) culture has two methods of practical way. One is centripetal transmission, the other is centrifugal utilization. A centripetal transmission focus in traditional aspects and try to preserve the archi-type. While a centrifugal utilization focus in developmental aspects and try to recreate new version. The subject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Jong-ga(宗家) should focus and try to practice all ways. After all, Jong-ga(宗家) as each lineage groups include rural district can said to have the proper functions as a transmission group of community life and also the adverse effects as an exclusive politic group within the village. The aspects of a culture change of Jong-ga(宗家) are explicit mirrors of traditional culture reflecting th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its side effects.

      • KCI등재

        종가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방법 연구

        백두현 ( Paek Doo-hyeon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0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유산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본고는 우리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필요한 추진 방법을 연구하여 구체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먼저 우리는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한국의 종가문화’는 종가 공동체와 이에 관련된 사회집단이 그들의 관습을 통해 형성해 온 것이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국의 종가문화’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에 부합하고 있다. 또한 무형문화유산의 특성과 공능으로 제시된 세대 간의 지속적 전승, 관련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문화적 다양성 존중, 공동체간 상호 존중심 고양 등은 오늘날 ‘한국의 종가문화’가 구현하고 있는 특성과도 명확히 일치한다. 한편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 목록을 ‘긴급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목록’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나누어 등재하도록 규정해 놓았다. 이 중에서 ‘한국의 종가문화’는 주로 후자의 등재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어서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있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과 ‘김치와 김장문화’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김치와 김장문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추진 과정을 참고하였다. 아울러 ‘종가문화보존회’(가칭)를 중심으로 종손 및 문중, 각 지방자치단체, 대학 및 연구소 등 다양한 단체들이 역량을 모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구체적실행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대체로 세 단계의 준비가 필요하다. 첫째, 종가문화를 중요무형문화재 혹은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이다. 둘째, 종가문화를 문화재청 .무형문화유산 예비목록.에 등재하는 것이다. 셋째,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하는 단계이다. 특히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한국의 종가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관련법 제정, 문화재청 및 유네스코 관련자 초빙, 중앙 정부 및 관련 사회단체들과의 협력 관계 구축, 등재신청서 작성을 위한 실무진 구성 등이 요구된다. 끝으로 ‘한국의 종가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필요한다음 다섯 가지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종가 관련 단체 및 종가 공동체와의 협력 방안을 구축. 둘째, 종가 구성원 및 관련 단체에 대한 설문조사의 진행. 셋째, 종가문화 관련 홍보물 제작 및 관련 행사의 개최. 넷째, 종가문화와 관련된 학술 아카이브의 구축. 다섯째, 종가문화의 가치 발굴과 이론적 정립을 위한 국내외 학술대회의 개최. 이러한 방안들이 점진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한국의 종가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 역시 높아질 것이다. Toda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re facing fierce competition to have elements of their cultural heritage inscrib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refore, we need to intensify efforts to map out a strategy to succeed in this endeavour. This paper thus presents a promotional strategy to inscribe the typical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Jongga) on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of all, this paper assesses whether the tradition of Jongga meets the criteria for being consid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has been kept alive thanks to a social stratum that has preserved the customs of the Jongga community. In that sense,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does fit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iven by UNESCO. Moreover, the ess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consists in handing down custom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ging the identity of the particular community, appreciating cultural diversity, and raising a sense of respect between communities, also closely coincides with the very nature of the Jongga Tradition. As UNESCO provides two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s,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and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 need to establish which list the Jongga tradition is most suitable to be inscribed on. It appears that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fulfils the criteria of the latter list. Secondly, this paper verifies the probabilities for the inscription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this purpose, we have examined the cases of the ‘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and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found out the importance of the promotional stage to the inscription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especially in the latter case. If the same applies to our own case, it will entail gathering the competence of various groups to form a ‘Preservation Society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provisional name), from local governments, universities, research centres to the clans concerned and their eldest grandsons. In addition to this, we examine in details the procedure of inscrip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rocedure consists of three steps. First,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must be designated either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Korea or as a Loc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econd,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must be inscrib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liminary List manag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rd, a nomination file is submitted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More specifically, this step entails, inter alia, enacting the related laws to preserve the Jongga tradition, inviting the related staff member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UNESCO, foster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elated social groups, forming a team to draw up the nomination fil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practical strategies for a successful recognition of the Korean Jongga tradi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of all, a collaboration scheme with the Jongga community and the social group related to them must be designed. Second, a survey of the Jongga members and related parties Head Family must be conducted. Third, promotional materials concerning the Jongga tradition must be produced and related events must be held. Fourth, an academic archive of the Jongga tradition must be built up. Fif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must be held in order to publicize the value of the Korean Jongga tradition and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s for the study of the Jongga tradi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steady and systematic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methods will greatly help in the successful inscription of ‘Jongga, the Korean Tradition of the Head Family’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