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호학이론을 중심으로 중국 명(明) 시대의 팔걸이의자의 조형요소 분석

        동리준,박용진,김진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Product style design is an important part in product design. There are several functions of a product style, one of which is to transmit some information to the users through product form elements. In this process, product form elements play a role as a media between designers and users. The process of product information transmission can be taken as a process of a sign transmission based on Shannon’s basic model of communication and Sean Hall’s sign transmission model. In this process, a sign’s intention, transmitter, destination refers to a product’s design concept, product’s form elements and product’s visual performance. Therefore, a research model is made based on these Semiotics theories. Meanwhile, as to the analysis of a product’s visual performance, Saussure’s Semiotics theory is used. A product’s form elements are taken as the signifier while a product’s visual performance is taken as the signified. As a result, the product form is not a separate existence, it should be analyzed from the view of product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subjects in this journal are the typical arm chairs in Ming Dynasty which reached the peak of China’s furniture history.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 style of Ming style furniture has formed a specific quality so that there were a lot of studies on them in China most of which were in the fields of history and culture, archaeology and furniture style. However, in terms of product style design, there is no reasonable research methods or theories which are accepted widely. In this journal, the form elements of Ming Dynasty arm chairs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 from Semiotics theories. According to this stud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ng Dynasty arm chairs is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method for analyzing a product style is practiced. 제품 조형은 제품 디자인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제품의 조형은 다양한 역할을 하는데, 그 중 하나가 제품의 조형 요소를 통해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이다. 이 과정에서 제품의 조형 요소가 정보 전달 매개체 역할을 한다. Shannon의 일반적인 정보 전달 모델과 Sean Hall의 기호 전달 모델을 통해 제품 정보 전달 과정을 기호 전달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기호의 의도, 전송 방식과 목적지는 각각 제품의 디자인 콘셉트(concept), 제품 조형 요소와 사용자의 시각적인 인지이다. 따라서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제품 조형을 분석하는 모델을 정리할 수 있다. 동시에 Saussure의 기호학 이론을 통해 제품의 조형 요소와 제품의 시각적인 표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다. 제품의 조형 요소를 기호의 기표로 보고 제품의 시각적인 표현을 기호의 기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스타일은 독자적인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제품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스타일을 분석해야 한다. 본고에서 선택한 연구 대상은 중국 명(明) 시대의 팔걸이 의자이다. 명(明) 시대의 가구는 중국 고대 가구 역사의 정점을 이룬다. 명(明) 시대의 가구 공예와 스타일은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명(明) 시대의 가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중국에서는 고고학, 역사문화, 가구 조형적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제품 조형 디자인 분야에서 통일된 연구 방법과 이론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호학 이론을 통해 연구 모델을 만들어 명(明) 시대 팔걸이 의자의 조형 요소를 전면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를 통해 명(明) 시대 팔걸이 의자의 조형의 생성, 특징 그리고 효과를 전면적으로 분석하고 제품 조형의 연구를 위한 체계적인 기호학적 연구 방법을 제시했다.

      • KCI등재

        한국 현대조형도자의 재현성과 표현성에 관한 연구

        이훈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sculptural ceramics in terms of reproducibility and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bstract approach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artists who have lectured at universities since the 1980s and a number of Korean artists who won the Korean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ical reproduction, expression concept, modern extension, and expression concept, Shin Sang-ho and Yeo Seon-gu's sculptures are interpreted as ‘Simulakr’ by Bodriyas, ‘Designation’ by Choi Kwang-jin, and ‘Denotation’ by Goodman. Meanwhile, the sculptural ceramic works by Jang Su-hong, Shin Kwang-seok, and Seo Byung-ho are analyzed as ‘Denotation, Metaphorical denotation’ by Goodman and ‘Designation, Exmaple’ by Choi Kwang-jin. Lastly, the ceramic sculptures of Kwon Oh-hoon and Lee Chun-bok were understood as ‘Example’ by Choi Gwang-jin and ‘Metaphorical denotation’ by Goodma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culptural ceramic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reproductive sculptural ceramics, expressive sculptural ceramics, and sculptural ceramics mixed with reproduction and express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abstract approach. Reproductive sculpting ceramics are mainly used as motifs of visible objects, but the subjective intervention of writers is important, and some expressive sculpting ceramics, which are mainly used as motifs of non-visual objects, are included as visible objects. Visual and non-visual elements tended to be used equally as motifs in sculptural ceramics mixed with reproduction and expression.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the more reproducible to expressive implementation, the more likely the geometric tendency was to increase.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도예계에는 기능성이 배제된 조형도자가 활발히 제작되고있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조형도자의 성격을 추상적 접근 정도에 따른 재현성과 표현성에 대한 관점으로 분석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현성과 표현성은 고전적 개념에 더해 현대의 확장된 개념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1980년대 이후 대학에서 교육한 작가와 ‘이천세계도자비엔날레’에서 수상한 국내 작가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연구작품을 고전적 재현, 표현개념과 현대의 확장된 재현, 표현개념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신상호와 여선구의 조형도자는 보드리야스의 ‘시뮬라크르’, 최광진의 ‘지칭’, 굿맨의 ‘지시’란 개념으로, 장수홍, 신광석, 서병호의 조형도자는 굿맨의 ‘지시, 은유적 예시’ 최광진의 ‘지칭, 예시’란 개념으로, 권오훈과 이춘복의 조형도자는 최광진의 ‘예시’, 굿맨의‘은유적 예시’적 성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현대조형도자의 성격은 추상적 접근 정도에따라 재현적 조형도자, 표현적 조형도자, 그리고 재현과 표현이 혼재하는 조형도자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재현적 조형도자는 주로 가시적 대상이 모티브로 사용되나 작가의 주관적 개입이 중시되며 일부표현적 성향을 내포하였고, 주로 비가시적 대상이 모티브로 사용되는 표현적 조형도자는 가시적 대상이 포함되어 일부 재현적 성향을 내포하였다. 재현과 표현이 혼재된 조형도자에는 가시적, 비가시적요소가 비등하게 모티브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형태적 측면에서 보면 재현적에서 표현적으로 이행할수록 기하학적 성향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작품에 담겨진 추상적 정서는 생명, 마음의 고향, 자연, 환생, 하늘, 신, 어머니, 기억, 목가적 정서, 바람, 빛, 경계 등의 동양적 성격이 주류를 이룬다,

      • KCI등재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심미성과 실용성의 균형을 고려한 디자인 입체조형 수업 방법 제안

        이영은,정의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teaching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perform modeling work considering both aesthetics and practicality by using virtual reality for 3D formative education. 3D formative is an important basic course in design education, and it trains the basics of making, which is the basis of product and space related majors. In class, students learn various physical manufacturing methods, and it takes time and effor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t was determined that virtual reality was appropriate as a way to practice modeling, and an research plan was established. As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view, experimental design and implementation, questionnaire survey, and group discussion were conduct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3D formative in the design major were exam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function was summarized. After examining the content arrangement principles to enhance the spatiality of virtual reality, some of the 3D modeling outputs were made into virtual content so that the students could experience their design. In virtual reality, students could walk directly into the virtual space where their design model is placed, so they could recognize and experience the relative size of the modeling based on themselves, which made them easily imagine the practicality of the modeling work.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experiment with various possibilities by making modifications as they imagined on the screen and immediately experiencing the results. Students had many positive opinions that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s were excellent in immersion and that the scale trans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modeling were easy. In addition, it was evaluated as a good tool to raise interest in the task and propose various modeling concept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basis for raising the level of the 3D formative class by proposing a practical imagination training metho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이 연구는 입체조형 교육에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심미성과 실용성을 같이 고려하여 조형 작업을 할 수 있는 디자인 수업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입체조형은 디자인 교육의 기초과정으로, 제품과 공간 관련 전공 분야의 기반인 만들기의 기초를 훈련하는 수업이다. 수업에서는 다양한 물리적 제작 방식을 익히며 시간적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 수작업에 기반한 반복적 심미적 조형훈련의 필요성을 실용적 관점에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실용적 관점으로 조형을 실습하는 방법으로 가상현실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연구 계획을 수립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고찰, 실험 설계 및 실행, 설문 조사와 그룹 토의 등을 실시하였다. 먼저, 디자인 전공에서 다루는 입체조형의 특징을 살펴보고 형태와 기능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가상현실의공간성과 사용자의 입체감을 높이기 위한 콘텐츠 배치 원칙을 살펴본 후, 입체조형 수업에서 진행하는일부를 가상 콘텐츠로 제작하여 실험 참여자들이 디자인한 조형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가상현실안에서 학생들이 제작한 조형을 체험해보면서 학생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상현실에서 조형이 놓인 내부 공간에 직접 들어가 걸어 다닐 수 있어 체험자 기준으로 조형의 상대적 크기를 인지하고 경험할 수 있어 조형 작업의 실용성을 쉽게 상상할 수 있었다. 또한, 화면에서 상상하는 대로 수정하고 결과를 바로 경험할 수 있어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할 수 있었다. 실험 참여자들은가상현실 경험은 몰입감이 탁월하고, 조형의 스케일 변형과 구현이 쉽다는 긍정적 의견이 많았다. 또한, 과제에 대한 흥미를 높여 다양한 조형 콘셉트를 제안하기에 좋은 도구라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통해 실용적 상상 훈련 방법을 가상현실의 특징을 활용하여 제안함으로써 디자인 입체조형 수업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환경조형물의 조형적 특성요인이 가로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건희,장영호,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Environmental sculpture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n important factor in providing rest and comfort through visual senses to citizens who want a better place to live in urban spac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one of the components of urban street scenery, and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that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more than just decorations for urban surroundings. Based on this, it started with the expectations and wishes of the local street environment, which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nd high-rise buildings and will be built as the largest key point in Korea in the future. (Method) The main scope of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armony of lateral environment through visual perceptual methods by components such as color, texture, quantity, location, and shap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Result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shape and quantity of buildings in the collection are relatively influenced by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culptures, and the color, shape and size of object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sculptures should be installed in crustal form, size, and color to harmonize with the street environment of Yeongdong-daero, where the largest floating population is concentrated on weekdays and Korea's highest-rise building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case study,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mall park-type space and install sculptures in urban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user's access, viewing, and improving the street environment. Second, when installing an object-shaped sculpture, the size, shape, and color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user next to it, so a lot of consideration and consideration are required when installing the sculpture. Third, as a building, users can feel and experience the sculptures directly at close range, so they have to install the works by fully utilizing aesthetic factors in terms of volume due to various textural expressions. Fourth, it should be installed away from the building. This is because sculptures enhance public nature and serve the purpose of resting pedestrians around the building. Fifth, with the development of links between the largest skyscrapers around Yeongdong-daero and the surrounding MICE industry in mind, efforts should be made to harmonize with the street environment so that citizens can fully enjoy comfort and rest from environmental sculptures. However,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street environment of Yeongdong-daero centered on COEX in Gangnam-gu, and there are spatial restrictions such as specific districts and distances, and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ame results will occur depending on the street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regrettable that a comprehensive analysis is needed on various street facilities that affect the street environment of the research site. In the future, we are throwing new tasks that need to be studied in more diverse cases, so comprehensive research is expected to proceed. (연구 배경 및 목적) 환경조형물은 도시 공간에 있어서 보다 나은 삶의 현장을 원하는 시민에게 복잡한 도심 환경을 시각적 감각을 통하여 휴식과 위로를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조형물이 도시 가로경관을 이루는 구성요소의 하나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환경조형물이 도시의 주변 경관을 위한 단순한 장식물이 아닌 그 이상의 것이며 공공성을 지닌 미술작품으로 건축물은 주변 환경 디자인과 더불어 도심의 환경적 조화를 더욱 성숙시키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 많은 유동 인구와 초고층 빌딩이 자리한 향후 국내 최대 요충지로 세워져 가는 지역의 가로환경의 기대감과 바람으로 출발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의 주된 범위 환경조형물의 색채와 질감, 양감, 장소, 형태 등 구성요소가 시각적, 지각적 방법을 통한 가로환경의 조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조형물의 장소에 따른 3가지 카테고리별로 건축물의 소장건축물에 있어서는 형태와 양감 질감이, 건축물의 건축물에 있어서는 형태와 크기와 형태가, 오브제형 건축물에 있어서는 색감과 형태, 크기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평일에 유동인구가 가장 많이 모이는 코엑스 주변과 국내 최고층의 건물과 지상 및 지하 복합개발이 진행 중인 영동대로의 가로환경과 조화될 수 있는 환경조형물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 지각적 형태와 크기, 색감으로 조형물을 설치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사례연구 결과 첫째 도심 환경에 있어서 조형물은 이용자의 접근과 관람, 가로환경의 개선 측면을 두루 고려하여 소공원 형태의 공간을 확보하여 조형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오브제 형의 조형물을 설치 시에는 크기와 형태, 색상이 가로의 이용자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조형물 설치 시에는 많은 고려와 배려가 있어야 하겠다. 셋째 건축물로서의 조형물은 이용자가 지근거리에서 직접 만져보고 느끼고 체험을 하기 때문에 질감의 표현이 다양하고도 양감에서도 심미적 요인을 충분히 살려서 작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넷째 건축물과 이격을 둔 위치에 설치 할 필요가 있다. 조형물이 공공성을 제고하고 또한 건물 주변을 이용하는 보행자의 휴게 적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향후 영동대로 주변의 최대 초고층 건물과 주변의 MICE 산업과의 연계 개발을 염두에 두고 가로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도심 안에서 충분히 시민이 환경조형물로부터 위로와 쉼을 얻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강남구의 코엑스를 중심으로 한 영동대로의 가로환경에 관한 연구로서 특정 지구와 거리 등 공간적인 제한이 있고 또한 연구의 대상지에 설치된 시설물을 범위로 하고 있어서 대상지의 가로환경에 따라서 동일한 결과가 나타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고 하겠다. 아울러 연구대상지의 가로환경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가로시설물에 대하여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한 다는 점에 있어서 연구의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향후 더욱더 다양한 사례를 대상으로 연구해야 할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어서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 KCI등재

        도시 환경조형물의 조형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강남대로 및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류영희,김근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는 패러다임에 의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여 서울 강남의 강남대로와 테헤란로의 가로변에 위치한 160개의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도시공간의 조형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조형물의 조형적 표현특성은 유형적 특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구조-재료 지향적 특성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도시공간의 연속성 및 맥락적 측면에서 볼 때 업무지구라는 도시공간의 특성에서 유추한 박스형태의 건축물과 건축기술의 발전에 따른 하이테크적인 구조 및 재료가 특히 많은 비중으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환경조형물의 조형특성에 따른 조형의장구성요소는 형태, 선, 면의 순으로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조형의장 구성원리로는 강조, 균형, 반복의 원리가 주로 적용되었다. 조형의장 구성기법에서는 장식적 기법이 주로 표현되었고, 그 이외에 면적, 선적 기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표현방법으로는 구상적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공간 내 환경조형물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환경디자인에 있어 업무지구가 가지는 보편적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도시 환경조형물이 지역적 특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조형물의 형태와 장식적인 표현으로 도시 맥락적이며 최첨단의 건축기술 적용에 있어서 조형성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입체적 공간표현에 있어 섬유조형의 구성적 특징 연구

        박민경(Park, Min-ky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0 조형디자인연구 Vol.13 No.4

        현대미술에 있어서 조형개념의 다변화로서 과거로부터의 그 개념과 양식에 구애받지 않고, 표현재료와 표현영역의 확장으로 섬유조형은 평면적 시각에서 입체적 공간으로, 더 나아가 환경조형으로 확대해 가고 있다. 인간정신은 자유로운 주관을 표현하려는 조형의지를 나타낸 많은 예술작품 중에서도 특히, 섬유조형은 섬유만이 갖고 있는 특성인 풍부한 질감과 재료자체의 친밀감으로 인해 많은 작가들에게 소재로 선택되고 있다. 섬유조형은 실용적 의미를 넘어서 미적 수단으로서 공간과 함께 입체구조를 가지는 환경조형으로서도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고 있다. 섬유조형의 경향은 작가의 자율성이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태 추구에 의해 그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새로운 공간의 인식과 공간 이미지의 확산으로 탈장르의 경향을 띄며, 새로운 소재 개발의 방법론으로 섬유조형은 표현양식으로서 총체적 예술 영역의 자리를 굳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조형이 과거의 단순한 공예적 차원에서 벗어나 폭넓은 창작활동의 수단은 물론이며, 상업적 공간에서도 기능적 역할과 공간조형예술로서 인식을 새롭게 해석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오늘날 섬유조형은 인간의 환경에 적극적인 개념으로 섬유 특유의 재질감과 현대 산업 사회의 테크놀로지가 융화되어 여러 분야에 어울리는 조형 예술로 창작되어지고 있음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입체적 공간표현에 있어 섬유조형의 구성적 특징을 살펴보고, 환경과 공간조형을 통합한 종합예술로서의 가능성과 가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Diversification in concepts of Fiber Plastic art makes the boundary of expression and material can be used expended, not being overcome by old concepts and forms. Depending on this diversification, the trend of textile art and design is moving from 2nd dimension to 3rd dimension. futhermore proceeding to environmental plastic art. Especially textile art is choose by many artists among arts being used to express natural human will toward free subjectivity by. Because textile has rich texture and intimacy. Textile art is creating new concept connected with environmental art which has space and dimensional structure to be mediums of art. The t rend of textile art is expending its boundary by pursued more various and more free style because autonomy of artists is being considered importantly more and more. Textile art is likely to include all genre of art and new textile material is invented so that textile art is making its own position in area of total art as an expressional demarche Textile art is a creating method to be used widely getting out from old simple role of its own And it is newly considered as a space plastic art can proceed functional roles in commercial space. I wanted to show that textile art is created as a genre of plastic art which can be used suitably in any field by fusion between the feel of textile material and technology provided from modern industry. Also I was meant to show you contemporary feature, potentiality and value of textile art as a genre of total art.

      • KCI등재

        조형(造形)개념 수용의 역사 : 조형에서 디자인까지

        박지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is study is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the word, ‘Johyung(조형)’ in modern Korea. The research attempts to borrow the constellation method that finds new meanings by connecting and reconstructing terms translated into historical and national contexts in the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ceptance process of ‘Johyung’ and expand its meaning.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cepts of ‘Johyung’ and examine the usage of ‘Johyung’ used in Korea before the modern period. In addition,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Johyung’ is examined by tracing the usage of terms surrounding ‘Misul’ coined in the Meiji period. As a result, ‘Johyung’ comes from ‘Bildende Künste’, a concept formed in Germany in the 19th century. However, after Bauhaus was introduced to Japan, its meaning was changed into ‘Gestaltung’. The term ‘Johyung’ cannot be properly translated. This is because Korean modernity is a ‘triple-translated modernity’ in the West, China, and Japa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clearly only with translation. Rather, reading it as a cultural translation that pays attention to ‘difference’ between cultures would be appropriate to understand ‘Johyung’ today. Even if cultural translation already includes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anguages through the acceptance of conceptual words becomes the history of modernity itself. Hence,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each era as a humanities. All the processes of this reasoning could provide a clue for solving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term ‘Johyung’ today. 본 연구는 조형(造形)용어를 근대기 한국에서 개념어 수용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으로 ‘조형’의 수용과정을 재검토하고 의미를 확장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문헌들에서 시대적 상황 또는 국가적 맥락으로 번역된 용어들을 언표로 연결하고 재구성해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 성좌적 글쓰기 방법을 차용하였다. 연구내용은 먼저 ‘조형’의 개념과 어원과 문화별로 달라지는 어휘들을 찾아보고, 근대기 이전 한국에서 쓰인 ‘조형(造形)’의 초기 용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형’ 개념 수용의 역사를 19세기 개항기의 일본에서 서구문화를 수용하면서 나타난 메이지기 신조어 ‘미술’ 을 둘러싼 용어들의 용례들을 추적하며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이지기(1868-1912) 일본을 경유해 한국으로 수용된 ‘조형(bildende Künste)’은 19세기에 독일에서 형성된 개념으로 형상으로제작하는 것을 넘어 구성하고 이야기를 담는 과정과 활동, 인간문화에서 구체적인 예술작품의 결과물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회화, 조각, 건축, 공예, 디자인을 아우름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쇼기(1912-1926) 바우하우스가 일본에 소개된 이후 ‘조형’의 의미가 ‘gestaltung’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근대기의 용어들이 혼용되거나 명확한 의미에 닿지 않고 미끄러지는 이유는 한국의 근대가 서구, 중국, 일본 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삼중 번역된 근대(triple-translated modernity)’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 간의 ‘등가성’에 맞춘 번역으로는 명확한 의미파악이 어렵고, 오히려 문화 간의 차이에 주목하는 ‘문화번역’으로 읽어내는 것이 오늘날 ‘조형’을 파악하는 방법일 것이다. 물론 문화번역이‘번역불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개념어 수용에서 나타난 근대어 성립에 대한 과정을고찰하는 것은 곧 근대 자체의 역사 연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근대번역어들의 수용사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각 시대마다의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인문학적 연구방법이 요청된다. 이와같은 추론과정은 오늘날 ‘조형’ 용어를 둘러싼 문제들을 풀어가기 위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동주택 단지내 옥외공간을 위한 환경조형작품 제작 및 설치에 관한 연구

        변건호(Byun, Kun-h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2 조형디자인연구 Vol.15 No.3

        오늘날 도시를 중심으로 대규모 공동주택단지의 조성과 보급이 크게 늘어나게 됨으로서 주거환경 또한 당연히 문화적 공간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크게 확산되었다. 주거공간에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여러 가지 복합적 욕구가 증대된 것이다. 독특한 외관의 건물이나 편히 쉴 수 있는 환경, 놀이와 문화예술 그리고 쾌적한 자연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복합문화 공간개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하중동 101번지 한강밤섬자이아파트의 공동주택단지 내에 환경 조형물〈지혜의 문〉제작 및 설치에 관한 연구이다. 〈지혜의 문〉의 주제 및 표현은 우주와 대자연 그리고 인간을 조화시킨 문주형 사각기하조형으로 공동주택단지 내 옥외 수변 데크 산책 공간에 설치함으로서 주민들의 활기찬 커뮤니티 공간의 환경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역점을 두었다. 〈지혜의 문〉은 비교적 한강에 가까이 위치한 공동 주택단지 내 옥외공간에 설치해야 하는 장소성을 고려하여 사용재료로는 연구자가 그동안 선행 연구하였던 흑화 스테인리스 스틸재료를 적용하였다. 흑화 스테인리스 스틸은 조형재료로서 자연부식과 손상에 강하여 반영구적으로 안정성과 관리성, 심미적 측면에 유용한 내기후성 조형 재료이다. 또한 조형물 몸체 상단전후면에 부분적으로 색유리 모자이크기법을 사용하여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기하조형의 변화와 주제표현에 심도를 더하였다. 또한 조형특성으로는 전체 형태를 지탱하는 별도의 내부 뼈대 없이 외형구조물 그 자체가 전체구조역학의 강도를 탄탄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분할절곡 채결기법을 고안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야외 조형물의 특성상 돌연히 발생하는 손상이나 훼손에 대하여 부분수리 및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환경조형물〈지혜의 문〉”은 공동주택의 주거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조성목적에 걸맞게 심미성과 실용성을 함께 적용함으로서 주민들의 정서적 친근함과 문화적 공동체의식을 자연스럽게 향유할 것을 기대하였다. With a rapid increase in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large-scale multi-housing complexes in the city today, people have widely believed that residential environments should be a cultural space. There have been increased various multiple desires as a way of upgrad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sidential space. A new concept of multiple cultural spaces has been demanded, in which people could have buildings with unique appearances, comfortable environments, and enjoy diverse entertainment, culture and arts, and pleasant n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cre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environmental sculpture entitled 〈Gate of Wisdom〉 located within the multi-housing complex of Hangang Bamseom Xii Apartment, 101, Hajung-dong, Mapo-gu, Seoul Metropolitan City. The theme and expression shown in 〈Gate of Wisdom〉 constituted a quadrilateral stainless form harmonizing the universe, Mother Nature and humans, and it included a strolling space near the water's edge outdoors within its multi-housing complex, thus focusing on its role as an eco-friendly icon of vigorous community space for citizens. In light of the location of 〈Gate of Wisdom〉 that had to be in outdoor space within the multi-housing complex relatively close to Han River, black treated stainless steels that had been studied previously by the artist were used. Black treated stainless steels were weather-resistant sculptural materials with semi-permanent stability, manageability and aesthetic advantage, resistant to corrosion and damage. In addition, the change in its seemingly monotonous geometric sculpture and the depth of its subject matter expressions were improved by partially applying a colored glass mosaic technique to the upper parts of the front and back sides of its sculptural body. Besides, in terms of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 partition bending connection technique was devised and employed in a way that the external structure could firmly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entire (structural) dynamics without having additional internal frames that would support the entire form. This technique had an advantage of partial repair and replacement for the damages that could occur suddenly, such as in some cases of outdoor sculptures. It is expected that “environmental sculpture 〈Gate of Wisdom〉” will naturally provide its residents with emotional intimacy and a sense of cultural community thanks to the applications of aesthetics and practicality appropriate to its purpose of creating the residential community of the multi-housing complex.

      • KCI등재

        제품디자인을 위한 조형사고력 학습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정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It is quite frequent that many students arrive at accidental formative products completely different from intended concept at a product design site. The formative thinking ability required in product design is very complex thinking process different from the result intuitively seen; therefore, the thinking ability of a design major student to develop specific intention into a creative product is very essential and it should be learned professionally as an expertise. Accordingly, this study did exploration, development, execution and examination with the study purpose on suggesting a product formative thinking ability learning program. In the exploration study, the importance of product design and the creative formative thinking ability of a designer are emphasized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It has been contemplated and suggested that a designer should have planned, detailed and objective formative thinking ability since product design has the features different from accidental creative formation. In the development study, the issues were found from the planned model production, which was done for 2 years as a model case. Then a planned formative thinking ability learning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accidental formation, was developed as an education following the general and basic formation education class. The execution study was the execution of the developed learning program for 15 weeks in a semester with 170 sophomore students, who entered 3-year design major class. The examination study was an unreg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ith study participants and it verified that the learning program has the expected effect. The developed program will help the product design students in learning how to have planned formation inspiration and get formative thinking ability with stepwise formation control as a foundation in learning product design and overcoming the fear and ambiguity on formation plan execution. 제품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많은 학생들이 의도한 콘셉트와 전혀 다른 우발적인 조형 결과물에 이르게 되는 것은 매우 빈번하다. 제품디자인에서 요구되는 조형사고력은 직관적으로 보이는 결과와는 달리 매우 복합적인 사고의 과정이기에 전공 학습자에게 특정의도를 창의적 조형 결과물로써 구체적으로 전개하는 사고력은 매우 기본적이고 전문적으로 학습 되어져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 조형사고력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하여 탐색, 개발, 실행, 검증연구를 진행하였다. 탐색 연구에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제품디자인의 조형과 디자이너의 창의적 조형사고력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제품디자인 조형은 우발적인 창작 행위 조형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기에 디자이너는 계획적, 구체적, 객관적 조형 통제력을 지녀야한다는 점을 고찰하고 주장 하였다. 개발 연구에서는 2년간 시범 실시한 계획모형제작학습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편적인 기초조형 학습 다음 단계의 우발적인 조형 행위와 구별되는 조형교육으로써 계획적 조형사고력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연구는 개발한 학습프로그램을 3년간 전공에 입문한 대학 2학년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15주간 실행하였다. 검증연구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 후 무기명 설문조사와 느낀 점을 통하여 학습 프로그램의 기대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제품디자인 입문 학생들이 제품디자인을 학습하는데 토대가 되는 계획적 조형 발상과 단계적 조형 통제의 디자인 조형사고력을 학습하고 디자인 조형계획실행에 대한 막연함과 두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반영지표 vs. 조형지표

        김중인(Joong In Kim)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4

        그동안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대부분의 실증연구들에서는 무조건적으로 반영지표(reflective indicator)를 적용하거나, 조형지표(formative indicator)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면서도 반영지표를 적용하거나, 조형지표를 적용하여 잠재변수의 상대적 영향력(표준화된 경로계수)뿐만 아니라 더 구체적으로 측정지표의 상대적 영향력까지도 분석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형지표의 적용이 드물었다. 그 이유는 그동안 조형지표에 관한 통계프로그램의 지원여부, 모형설정오류(model misspecification), 모형식별(model identification), 반영지표에서 사용되던 확인적 요인분석과 적합도 분석 방법과의 차이, 다중공선성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 조형지표의 적용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지금은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이 거의 대부분 제시된 상태이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들도 있다. 한편,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잠재변수보다는 측정지표의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이 더 구체적이고 유용하며, 상위수준의 잠재변수보다는 하위수준 잠재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이 더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대부분 반영지표를 사용하여 온 반면에, 실무에서는 대부분 조형지표를 사용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가설검증은 향후 연구과제로 필요할 것이며, 만일 그러하다면 학계와 실무 간에 괴리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반영지표와 조형지표에 관해 이론적인 측면에서 논의하고, 하나의 연구모형에 대해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실무적 유용성과 판단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론적 논의는 공분산구조모형(Covariance Structure Model: CSM)과 PLS(Partial Least Square)를 함께 논하였으며, 실증비교는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지원하고 모형식별문제가 없는 PLS를 사용하였다. 실증비교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의 각 차원과 고객만족 간의 인과관계 연구모형에 대해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적용하여 이론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비교하고,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비교한 모형설정의 판단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논문은 그동안 조형지표 적용의 걸림돌이었던 이론적인 문제점들(모형설정오류, 모형식별,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경로계수, 다중공선성 등)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들,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들, 아직까지 개발이 안 된 분석방법 등을 공분산구조모형과 PLS에서의 조형지표모형과 반영지표모형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조형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이론적인 측면에서만 논의하고 있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와 같이 조형지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측정지표 수준에서 제공되는 연구결과의 실무적인 유용성을 고려한 판단방법을 제시하고, 반영지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잘못된 마케팅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발견하여 제시한 논문은 그동안 전혀 없었다. 셋째, 반영지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잠재변수간의 인과관계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던 기존 실증연구의 한계를 뛰어 넘어, 앞으로는 조형지표를 사용함으로써 더 구체적으로 조형지표와 잠재변수간의 인과관계까지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영지표를 사용한 기존 연구들도 재검토하여 조형지표를 사용한 추가 연구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하나의 연구모형에 대해 두 가지 측정모형을 적용하여 비교하는 실증분석 과정과 결과를 PLS를 사용하여 제시함으로써 문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PLS를 사용한 실증적인 비교연구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그동안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사용한 측정모형에 관한 비교연구는 거의 대부분 해외학술지에서만 다루어진 반면에 국내학술지에서는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거의 없었으며, 특히 PLS를 사용한 반영지표와 조형지표의 실증적인 비교는 해외학술지에서도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Most of the empirical research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unquestioningly used reflective indicators, employed unintended reflective indicators in spite of the theoretically better fit of formative indicators than reflective indicators, or rarely used formative indicators regardless of the need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measurement indicators as well as the relative effects of latent variables. The reason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formative indicators due to the lack of the supports in statistics software, model misspecification, model identification, differenc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goodness-of-fits betwee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and multicollinearity. The solutions for most of these problems have been provided, but some specific problems still remain. Meanwhile, it is more useful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compare not only the relative effects of measurement indicators rather than latent variables but also the relative effects of low-level latent variables rather than high-level latent variables. However, there is an argument that academia has mostly used reflective indicators, whereas practitioners have mostly used formative indicators. If the argument proves to be true through empirical investigations as a further study, there is a gap between academia and business practic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oretical discussion o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empirical comparisons betwee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applied to the same research model, and practical usefulness and assessment of the research findings. The theoretical discussion includes issues and opinions on CSM (Covariance Structure Model) and PLS (Partial Least Square), but the empirical comparison involves only PLS which supports both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without model identification problem. The empirical study compared formative indicators with reflective indicators applied to the sam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dimens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s, and suggested a criterion on model spec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prior research.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five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comprehensively discusses the barriers, solutions, remaining unsolved problems, and undeveloped analysis methods in CSM and PLS for applying formative indicators such as model misspecification, model identification, differenc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goodness-of-fits betwee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and multicollinearity. Second, there is no paper addressing the practical assessment and usefulness of the relative effects of formative indicators as well as empirically showing the possibility of wrong marketing decision making with reflective indicators, while most previous research on formative indicators focused on theoretical perspectives. Third, this study show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more specific empirical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formative indicators and factors beyond the limitation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using reflective indicators, but also the possibility of further studies using formative indicators on the existing research using reflective indicators. Fourth,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PLS for applying and comparing both indicators so as to act as a guideline for further comparative studies using PLS which are hard to find in the extant literature. Fifth, it is hard to find papers not only on the comparison of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in the domestic literature, but also on the use of PLS for the empirical comparison betwee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even in the international jour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