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디자인에서 자연의 형태를 이용한 모방적 조형 연구

        왕운비,박억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Living in nature, we humans have always seen objects in nature existing in harmony with their surroundings in certain colors and shapes. Nature imitation design aims to address human's problems in their pursuit for aesthetics through study and imitation of nature's design elements. All shapes found in the nature form a certain rhythm or a regular relationship, thus we can find rational and economic structures in the formative structures in the nature, and new attempts in aesthetic aspects of design is also possible through imitating nature's forms. Nature imitation design i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methods utilized for design problem solving. Its scope of application has expanded from natural science to design study field, being used in a wide variety of product design and formative activ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existing formative methods used in basic design and to study nature imitation design methods in a way to utilize effective design and formative process. It also examines the definition of nature imitation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In addition, it verifie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current nature imitation cases in order to apply them to real-life product design studies. The research cases in this study are divided by types and images, and their nature imitating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for actual applic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is, theories on nature imitation and related product design methodologies are studied, and principles and process of nature imitation in product design are analyzed. The nature imitation application process and design method is also studied. Lastly, the study introduces case studies from Korea and abroad where design problems are solved through nature imitation, and seeks new directions of nature imitation design. 우리 인간은 자연 속에 살면서 그 자연과 모든 물체가 어떤 색과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늘 보아 잘 알고 있다. 자연모방 분야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적 요소들의 연구 및 모방을 통해 인간의 미적 형상을 추구하는 조형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형상은 어떤 리듬이나 규칙적인 상호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 있어 자연이 제시하는 조형적인 구조에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를 발견 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미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다고 본다. 자연모방 디자인은 디자인 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디자인 방식 중 하나로 응용범위는 최초의 자연과학 영역에서 현대 디자인학 영역으로 발전되었으며 제품디자인, 조형 활동에 많이 응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조형방법들을 더 보완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디자인과 조형 프로세스를 활용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자연모방 디자인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시 조형 요소 구성을 위해 자연 형태의 질서를 모방한 조형 접근 방법으로써 조형의 개념과 영역을 고찰하고, 자연 모방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자연모방의 정의와 그 용용 범위에 대하여 검증한다. 또한 자연계에서 발견된 형태 속에서 과학적인 질서의 구성과 활용도를 확인하면서 현 시점에서 나타나 있는 자연모방의 활용 사례를 기본으로 그 발전 가능을 검증하고 실제 제품디자인 연구에 활용케 한다. 이어 조사된 사례들을 유형별, 이미지 별로 분류하고 자연모방을 활용 시킬 수 있는 특징들을 파악하여 실제 적용 가능성을 점검한다. 이를 위해 자연모방에 관한 이론 및 관련 제품 디자인방법론을 고찰, 제품디자인 시 자연모방 디자인 방법의 원칙과 절차를 분석하고 자연모방 방법으로의 응용과정 및 디자인방법을 고찰한다. 끝으로 국내외 자연모방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한 경우와 조형의 특성에 적합한 활용 등 그 성격에 걸맞는 방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굿디자인을 활용한 금속환경조형물 연구

        고승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논문은 외부 설치 금속조형물의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디자인의 범위와 의미가 커지면서 외부 설치 조형물에도 디자인의 개념이 사용되고, 조형물에 주변환경에 어울리면서 설치환경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조형물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념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환경조형물이라고 정의되 고 있다. 환경조형물의 개념은 아직은 대중적이지 않고 학문적 연구 또한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연구자는 외부 설 치 조형물을 환경조형물로 정의하기 위해 굿디자인의 개념과 조건과 환경조형물의 개념과 역할을 이론적 배경으로 알아보고 굿디자인의 개념과 조건, 환경조형물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분류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굿디자인 의 조건과 환경조형물의 역할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디자인 전개 요소를 통해 금속환경조형물로 완성하고 연구작품 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금속환경조형물의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게 되었고 다양한 환경조형물 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 융합적 환경조형물의 다양한 패러다임이 연구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design methodology for externally installed metal sculptures. As the scope and meaning of design grows, the concept of design is also used for externally installed sculptures, and there is a demand for a sculpture design that contains the story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while being suitable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concept is defined as an environmental sculpture only among formative artist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s not fully known and academic research is also insufficiently performed. Therefore, in order to define externally installed sculptures as environmental sculptures, this study elaborated the concept and conditions of good design and the concept and rol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classified the concepts and conditions of good design and the concepts and role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Based on the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by utilizing the conditions of good design and the rol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this study suggested that design development elements were completed as metal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research works were presented. In conclusion, the design methodology for metal environmental sculptures has been presented, and various environmental sculpture design studies will continue and various paradigms of convergence environmental sculptures will be studied.

      • KCI등재

        모듈러 디자인을 기반한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대우항,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모듈화 이론(Modularity Theory)은 최초 경영학 분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초기에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방식이었으나, 후기에는 일종의 공업 디자인 방법으로 제조업에 많이 응용되었다. 모듈화 이론은 시스템을 여러 단위인 모듈러(Modular)로 나누고, 그 모듈러를 다른 시스템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공업화 건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듈러는 대규모로 표준화되어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디자인(Modular Design)이 지닌 미학적 본질은 표준화와 맞춤화 사이의 연결에 있다. 이 개념은 건축 디자인 분야로도 확장되어 모듈러 빌딩(Modular Building)으로 추진되었는데, 최근 등장한 지오 필릭 건축(Geo-philic Architecture) 조형에서 모듈러 디자인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지오 필릭건축이 지형과 주변 환경의 조화를 강조하는 '맞춤형 디자인'과 관련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디자인을 이론적 기반으로 지오 필릭 건축 조형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해석적 연구와 사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먼저, 모듈러 건축의 발전사와 지오 필릭 건축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한 다음, 지오 필릭 건축 조형과 모듈러 디자인의 융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모듈러 건축 발전의 맥락과 관련 이념을 정리함으로써 지오 필릭 건축 조형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양자 간의 응용 범위와 타당성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모듈러 디자인의 영향을 받은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미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셋째, 수집된 디자인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지오 필릭 건축의 모듈러 조형 생성을 도해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듈러 조형 생성 과정을 바탕으로 지오 필릭 건축의 모듈러 조형 특성을 해석하였다. (결과) 첫째, 건축 조형의 요소·단위·조합·질서의 구성 체계가 명확해졌다. 지오 필릭 건축 조형과 모듈러 디자인의 융합이 검증되었다. 둘째, 병치(倂置)·평행 배열·폴딩·착란 중첩 등의 조합형식들이 지오 필릭 건축의 다양한 조형을 생성하는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지오 필릭 건축과 지형의 복잡한 관계를 바탕으로, 모듈러 디자인의 구상은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셋째, 공간의 가변성, 건축과 경관의 모호성 및 조형의 질서적 미의식을 논술하였다. (결론) 첫째,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 디자인은 모듈러 사유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모듈러 사유는 조형 디자인에 미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듈러는 지오 필릭 건축 조형의 혁신적인 디자인에 대한 참고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듈러 디자인을 도입함으로써 지오 필릭 건축 디자인에 더 많은 영감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modularity theory originated in the field of management, initially serving as a mindset for solving complex problems, but later it found widespread application in manufacturing as a form of industrial design method. The modularity theory involves dividing systems into modular units and arranging them within other systems, a characteristic that became standardized on a large scale with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construction technology. The aesthetic essence of modular design lies in the connection between standardization and customization. This concept has also extended to the field of architectural design, driving the development of modular buildings.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of modular design emerging in geo-philic architecture, which emphasizes 'customized design' that harmonizes with the terrai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Based on this tre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modular design on the formative design of geo-philic architecture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Methods) Using analytical research and case analysis methods, this study first organized the development history of modular buildings and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geo-philic architecture, and then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egration between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and modular design. Secondly, by organizing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modular architecture and related ideologies, the scope and validity of the two were explored by deriving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ative aesthetics of geo-philic architecture influenced by modular design. Thirdly, design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generating geo-philic architectural modular formatives. Finally, based on the above process of modular formative generation, the modula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eo-philic architecture were interpreted. (Results) Firstly,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architectural formative elements, units, combinations, and orders became clear. The integration of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and modular design was validated. Secondly, combination forms such as juxtaposition, parallel arrangement, folding, and overlapping have becom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generating various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Based on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geo-philic architecture and terrain, the conception of modular design can effectively address this issue. Thirdly, the variability of space, the ambiguity betwee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formative order were discussed. (Conclusion) Firstly, the formative design of geo-philic architecture can incorporate modular reasoning. Secondly, modular reasoning can impart aesthetic characteristics to formative design. Finally, modular design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innovative design in geo-philic architectural forma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ore inspiration and direction for geo-philic architectural design by introducing modular design.

      • KCI등재후보

        옵티컬 패턴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의 패턴 연구

        김미진(Kim, Mi-jin),안일훈(Ahn, Il-ho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0 조형디자인연구 Vol.13 No.4

        현대는 창의력과 다양성이 요구되는 지식기반의 사회이며 디자인의 사회라 할 수 있다. 디자인 문제가 다면적인 것에서 고도의 기술적인 것까지 범위가 넓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디자이너의 작업 영역은 확대되었다. 디자인은 우리 생활 속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한 측면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디자인은 주어진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조형요소 가운데서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그것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창조활동이며 그 결과의 실체가 곧 디자인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주어진 목적을 조형적으로 실체화하는 것이다. 입체조형 활동은 디자이너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구체적인 형태로 제작해 표현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활동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입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재료나 소재에 따른 적절한 조형 방법을 선택하고, 조형 원리를 응용하여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 분제가 된다. 조형은 형식상 평면조형과 입체조형으로 구분되어지며 이것은 조형의 필수 기초과정으로 미술과 디자인에서 시각적 요소로 나타내어진다. 조형의 기본요소라고 불리어지는 점.선.면은 실제로 존재하는 구체적 대상(Concrete Objects)이 아닌, 인간이 사물의 모습을 인식하는 사유세계의 '추상적 대상(Abstract Objects)'이다. 옵티컬 패턴은 패턴의 구성으로 평면에서 입체효과로 보이는 등의 시각적 착시를 표현하는 것으로 점, 선, 면의 구성요소를 반복과 크기를 변화시키고 공간에서의 돌출, 부풀림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 운동감과 움직임, 리드미컬한 역동감을 보여준다. 이러한 옵티컬 패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시각적 구성을 이용하면 장신구 디자인에 활용 가능한 장식적 패턴과 다양한 입체조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옵티컬 패턴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옵티컬 패턴의 개념을 정리.분석한 후 점.선.면으로 구성되어져 우리의 시각적 착란을 일으키는 2차원의 옵티컬 패턴을 이용하여 입체 형태로 조형화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 이를 장신구 디자인의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Today is a knowledge based society demanding creativity and variety and can be called a society of design. The scope of the design issue becomes wider from many years to advanced technology and accordingly, the work area of designers is expanded. Design is required in the various and comprehensive aspect in our life. Design is a creative activity to intentionally select one of various formative elements and reasonably compose it in order to accomplish a given purpose and its subject of its result is namely design. In other words, it is to substantiate the given purpose formatively. A cubic formative activity is an activity to produce and express the intention of designer's expression in a concrete type to transfer it to the counterpart. This basically is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s of a sold and its important issue is to select a formative method appropriate to materials and apply the formative principle and efficiently express what he/she intends. Modeling is formally divided into the plane modeling and cubic modeling and this as an essential basic course of modeling is expressed as a visual factor in fine arts and design. All the things existing on the earth are 'solids' with various sides and volume in the 3 dimensional space. The point, line and side called the basic elements of modeling are not the concrete objects which practically exist but the ’abstract objects' in the thinking world that human beings recognize the appearances of things. For this formative study, this study is going to search for a method for formalize the two dimensional optical patterns and utilize it as an expression method of accessory design by arrang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of optical patterns and using the two dimensional optical patterns which cause visual distraction which are composed of the point, line and side of the basic elements of modeling.

      •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평면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재성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1999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7 No.-

        평면디자인의 교육 목적은 평면상에 표현하는 조형행위에 있어서 그 구성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창조적 조형능력을 키워주는 데 있다. 창조적인 조형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표현기술의 숙련이나 조형적 경험이 요구된다. 표현기술의 숙련이나 조형적 경험을 위해 여러 가지 표현도구와 매체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위해 표현 도구와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조형표현과 표현도구 및 매체는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현도구와 매체는 현재의 첨단 컴퓨터그래픽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변화, 발전되어 왔다. 따라서 평면조형의 교육과정에서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효과적인 조형표현을 위해서는 컴퓨터그래픽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조형의 속성에 컴퓨터그래픽의 특성을 대입해서 장단점을 분석한 후 평면조형의 교육과정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평면디자인의 기본적인 요소와 컴퓨터그래픽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1. 기존의 평면조형의 표현에서는 주로 2차원적인 정지된 이미지에 한정된 것에 비해 컴퓨터그래픽은 그 표현범위를 확대하고 동적인 이미지 표현과 나아가 상호 반응적인(Interactive) 표현형식을 가능하게 한다. 2. 작업단계별로 전 단계 조형행위에 대한 취소 및 복원 기능은 조형표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3. 컴퓨터그래픽에서는 기존의 조형요소를 토대로 프로그램 되었으며, 따라서 조형표현에 있어서 컴퓨터의 활용 범위는 표현 기술적인 부분으로 제한적인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점차 새로운 개념의 조형표현 기능을 보강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컴퓨터그래픽의 조형표현 범위는 빠르게 확대되어갈 전망이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초적인 평면디자인에 대한 교육과정에 있어 컴퓨터의 활용을 다음의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1. 기존의 평면디자인 교육과정에 표현도구의 한 수단으로서 컴퓨터그래픽과의 관련된 사항을 교육한다. 2. 기존의 평면디자인 교육내용 중 기술적인 부분의 비중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강성적인 부분의 비중을 높인다. 3. 현재 사용중인 각 컴퓨터그래픽 프로그램은 기존 조형요소에 대한 비중치의 차이로 특성화, 전문화되어 있다. 따라서 한 가지 이상의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사용해서 다양한 조형 표현과 창조적인 표현을 유도한다. 4. 조형표현에 있어서 컴퓨터그래픽 활용으로 인한 새로운 조형개념과 문법에 익숙하도록 한다. 위의 내용을 기초로 해서 별첨 교육계획안 시안을 작성하였다. 시안의 내용은 1년을 기준으로 1, 2학기로 나누었다. 각 학기는 15주를 기준으로 했으며 내용에서 기존 조형교육의 내용은 단순하게 항목으로만 처리하고 컴퓨터에 관련된 사항만을 자세하게 기술한 것이다. '실습 및 과제'의 내용은 해당 각 단계별 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도록 설정했다.

      • KCI등재

        미생물 형상을 활용한 기초디자인 콘셉트조형 실험에 관한 연구 -산업디자인전공 수업을 중심으로-

        이길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orporate skills to develop design form as well as design creativity based on emotional preferences in industrial design concepts. To develop such skills, micro-organism based design form fundamentals were used to develop a viable design form. The scope of this study was uniqueness, mysticism as a prerequisite for further investigation and study into the forms of these organisms and how they function from a design perspective as they are applied to an industrial design or even space design context within actualised projects. Fundamental design class industrial design majors were given the task of experimenting with concept and form, with a survey of the validity of micro-organisms as a subject for learning the basics in design. Methodology was visual research through the internet with theory from theses and papers related to the subject. The validity of this paper was researched from other prior papers as well as other publications. Examples were found from the internet with class work from 5 samples with a total of 17 samplings of the fundamental design class students. Based on this survey, 81% of students agreed that the form of an organism unseen by the naked eye was exceptionally intriguing and worthy of further study. In conclusion,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fundamental design concepts based on micro-organisms can provide a unique, compelling, new thinking, diversity of form-making for design form classes is beneficial.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디자인에서 콘셉트 가치의 중요성에 따라 감성적 매력의 선호요소인 디자인조형의 개발능력과 디자인 창의능력을 함양하기 위함이다. 산업디자인의 선호가치 개발을 위한 디자인조형요소로서 미생물 형상을 활용한 기초디자인 콘셉트조형 실험으로 조형가치 유효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미생물 형상의 독특성, 신비감 등의 특징요소가 디자인조형의 다양한 가치가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전제로 미생물 관련이론 및 형상을 고찰하고 미생물 형상 콘셉트를 활용한 실제적 제품디자인과 공간디자인 프로젝트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대학 산업디자인학과 ‘기초디자인’수업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조형감각과 직관능력 함양을 위한 콘셉트조형실험, 설문조사 및 분석으로 미생물 형상의 디자인조형 소재가치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과정까지 연구범위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미생물 형상 조사는 주로 인터넷사이트를 활용하고 이론탐구는 선행연구논문과 문헌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논문의 독창성 검증은 선행연구논문실태를 조사, 대조 하였다. 사례연구는 작품 및 제품사례를 인터넷사이트에서 검색 활용하였고 기초디자인 콘셉트조형실험은 ‘기초디자인’수업 수강학생들의 콘셉트 부여 조형실험에서 5개 표본추출과 17개 조형실험 자료를 제시하였다. 조형실험 후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전체 응답자의 81%가 육안인지가 불가능한 미생물 형상의 조형적 활용에 흥미를 느꼈다는 반응을 보였다. 결론은 본 미생물형상을 활용한 콘셉트 조형실험은 미생물 형상이 디자인조형의 소재로서 생소함, 색다름, 흥미요소, 사고의 전환, 형상적 다양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한 대상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시지각 우선순위에 의한 건축물 조형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콩지역 건축물을 중심으로 -

        김근식,김동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도시 공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로공간은 도로와 대지를 바탕으로 3차원의 물리적 형태로 구성되며, 환경조형물의 형태 및 조형디자인구성에 따라, 그 공간의 특성을 표현한다. 특히 3차원의 환경조형물 중 도시공간의 주된 구성 요소인 건축물은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주요소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물리적 도시성장과 국제주의 양식에 따른 획일화된 건축 디자인 계획으로 인해 정체성을 상실한 도시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즉 전문가, 건축물, 이용자 간의 상호 유기적 작용 및 관계성 또한 약화되고 있는 실증이며, 이를 해결하기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조형디자인표현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주요 도시 중 인지도 높은 건축물들이 집중되어 있는 홍콩 도시공간 건축물을 중심으로, 유형에 따른 각 종 건축물에 대한 조형디자인 구성요소 표현특성을 토대로, 조형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피실험자 대상의 조형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시지각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는 전문가 관점에서의 작품성 위주로의 연구수행이 아니라 향후 이용자 관점에서의 업무 및 상업지역내 건축물에 대한 조형디자인표현특성을 이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향후 조형디자인 계획 방향 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ccording to specific forms of environmental mouldings along with formative design compositions, street spaces which a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ally various physical forms including many different roads and lands are not only occupied lots of portions but expressed as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 a city. Especially architectural buildings among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al mouldings represent truly as a main element in a city. City has been only physically developed with losing identities by uniformed architectural design planning so we are facing with the time to solving all the issues which currently has been disconnected between architects, buildings, and user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provides with aspects of users’ viewpoints for formative design characteristics. In order to find priority of visual perception regarding formative design components from test subjects, we focused on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city, Hong Kong which has lots of different types of formative design characteristic buildings including specific expression methods for formative design components. This study is to be basic research materials suggesting formative design directions which are not from professionals’ viewpoints for design quality but users’ viewpoints in office and commercial district.

      • KCI등재

        위상기하학의 조형적 특성에 따른 패션디자인 연구

        이주영,권순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a new approach of creative design required in an age of sensibility through applying topology for a creative expression of forms via diversified ideas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of the existing fashion design. Besides, it intends to examine topology presented newly as a new methodology of the design field and suggest an alternative for applying fashion design. Theoretical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it analyzes theories from specialized books, theses and scientific journals on definitions and concepts of topology and collects related data. Secondly, it classifies visual forms in terms of a concept of topology analyzed theoretically and derives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Thirdly, it suggest a design direction and produces works through apply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opology. Research findings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opology are as follows. Firstly, topology showed that topology has a lot of potentials to be used as a motive of fashion design in a modern and original expression. Secondly, it revealed that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opology offer a changed and developed morphological approach from standardized forms when manufacturing works. Thirdly, it showed that fashion design according to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opology has a formative possibility as one of compositional methods that may be developed in the fashion field of ingenious expression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findings will be used as a methodological basis for creative fashion design, suggesting new and multi-dimensional design ideas and a frame of interpretation. 현대사회에서 패션의 역할은 단순히 기능성이나 개성 표현 방법을 넘어 예술적 소재로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위상기하학은 형태와 공간의 관계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기존의 기하학과 달리 양과 수치가 아닌 관계에 집중하는 사고방식은 정형화된 형태에서 변화 발전된 형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를 통해 다양한 예술, 건축 분야에도 적용되어 새로운 방법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으로 위상기하학을 적용하여 다각적인 사고를 통한 창조적인 형태 표현 방법으로 기존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전통적 접근방식을 탈피하여 감성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디자인의 새로운 방법과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내용 및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상기하학의 정의와 개념에 대하여 관련된 전문서적, 학위논문, 학술지 등을 통한 이론을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한다. 둘째, 이론적으로 분석된 위상기하학의 개념에 의한 시각적 형태를 분류하고, 조형적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위상기하학의 조형적 특성을 적용하여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작품을 제작한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위상기하학의 조형적 특성을 모티브로 디자인에 접목시켰으며, 색과 소재는 조형적 특성을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제한적으로 사용하여 형태미와 공간미를 강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상기하학은 상대적이고 다차원적인 높은 추상성으로 인해 학문적 경계를 넘어 현대적이고 독창적인 표현이 가능하며 패션디자인의 모티브로써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위상기하학의 조형적 특성은 정형화된 형태에서 변화 발전된 형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위상기하학의 조형적 특성에 따른 패션디자인이라는 하나의 구성 방법을 중심으로 독창적인 표현을 해야 하는 패션분야에 다양하게 전개 시킬 수 있다는 조형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위상기하학의 체계적인 이론을 고찰하고 위상기하학의 시각적 형태를 중심으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여 패션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새롭고 다차원적인 디자인 발상의 방법과 해석의 틀을 제안하고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에 대한 방법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 시대 철릭의 조형미를 응용한 현대패션디자인 연구

        김혜림,김혜연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2

        세계화와 함께 지역화를 추구하는 태도나 사고를 의미하는 글로컬리즘은 오늘날 하나의 사조로 구분될 만큼 괄목할 만한 개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패션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바 우리의 정체 성과 그 근원적인 뿌리에 대한 의미를 되짚어 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창의적 디자인 사고의 영감원으로서 조선 시대 철릭을 조명하고 그것이 지닌 독특한 조형 미를 분석해 그를 새롭게 표출시킨 패션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시각자료 분석연구 방법을 병행했다. 연구 내용은 철릭에 관한 일반적 고찰과 조형미 분석 그리고 작품 계획 및 결과 제시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로 철릭의 조형미를 선적 조형미, 비움과 채움의 공간미, 여유의 미, 비의 미로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패션디자인 작품 3벌을 제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적 조형미는 직선과 곡선의 공존과 조화로 나타났으며 비움과 채움의 공간미는 주름이 없는 공간과 주름으로 채워진 공간의 병치미로 나타났다. 또한 여유의 미는 여유로운 형태와 실루엣으로 나타났으며 비의 미는 가벼운 소재와 투시 소재에 의한 비상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작품에서는 철릭을 디자인 모티프로 하되 분리와 결합, 도치, 방향 전환, 위치 변경, 생략, 중첩의 방법으로 디자인한 결과 선적 조형미, 비움과 채움의 공간미, 여유의 미, 비의 미를 토대로 한 현대적 감성이 나타날 수 있었다. 셋째, 주름진 소재 여러 조각을 겹치며 반복 사용함으로써 풍성한 실루엣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레이어링의 역동적 율동미가 표현되었다. 넷째, 빈 공간과 주름 공간을 병치시킨 결과 흥미로운 공간미가 나타났다. 색채와 재질을 통일감 있게 사용한 경우는 극적 대립보다는 차분한 조화로움이 표현될 수 있었고 색채와 재질의 차를 크게 했을 경우 극적이며 특정 공간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여유 있는 실루엣에 가벼운 흰색 소재의 새 깃털 같은 주름들이 부가적으로 겹쳐짐으로써 비의 미가 강조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적 조형미를 특정한 구성 방법을 적용해 독특하고 현대적인 패션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 의가 있다. 이러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디자인 작품에 대한 발전적 행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oday, Glocalism which means attitudes or ideas pursuing both globalism and localism is rising as an eye-opening concept so it is even specified as the trend of the times. Such a trend has a great effect on the fashion world and there is an emerging need to look back on the meaning of our identity and its underlying roots. Hence, reflecting the current of the times,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Cheollik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s a source for inspiration for creative design thinking, analyzing its unique formative beauty, and present fashion design expressing it in a new manner.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search and visual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together.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it consisted of overall review of Cheollik and analysis of its formative beauty, plan for work and presentation of a resul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the formative beauty of Cheollik as beauty of linear form, that of space emptied and filled, that of composure and that of flight, and 3 fashion design works applying them above were create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eauty of linear form was represented as coexistence and harmony of straight and curved lines, and beauty of space emptied and filled was represented as juxtaposition of spaces with and without pleats. Furthermore, beauty of composure was shown from loose shapes and silhouettes, and beauty of flight was shown from an image of flight by light and see-through materials. With a design motif from Cheollik, the works in the research could express modern sensibility based on beauty of Cheollik as beauty of linear form, that of space emptied and filled, that of composure and that of flight through design by methods including separation and combination, inversion, switch of direction, change of location, omission and layering Thirdly, an ample silhouette was created by layering and repetitive use of several pieces of a pleated material and dynamic and rhythmical beauty of layering was expressed. Fourthly, juxtaposition of empty and pleated spaces resulted in beauty of interesting space. It was possible to express calm harmony rather than dramatic confrontation when using colors and texture in unity. Besides, there was a dramatic effect to emphasize certain space when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between color and texture. Fifthly, beauty of flight was emphasized by layering of pleats like feather from a light and white material on an ample silhouette. Shown from research findings above,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unique and modern fashion design of Korean formative beauty by applying a specific composition method.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a developmental pathway for modern fashion design works.

      • KCI등재

        도시이미지 차원에서 공공 상징조형물 디자인의 전략적 기획 접근사례에 관한 탐색적 연구

        권재경(Je Gyeuong Kw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 차원의 공공 상징조형물 개발에 있어서 어떠한 전략적 방법으로 접근할 것인가 하는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남양주시의 공공 상징조형물의 디자인의 전략적 기획 프로세스 접근사례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방법으로서 디지털 환경에서 공공 상징조형물의 조형적 디자인에 있어서 전략적 기획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도하게 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전략적 디자인 기획 접근방향은 일반적인 전략적 개발 모델을 기준으로 하여 공공 상징조형물 디자인의 전략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였다. 개발목표, 업무수행 범위, 디자인조사,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그리고 현황분석에서는 지리적 위치 및 지역특성, 시정목표 및 방침, 명품과제 방향을 위주로 하였으며, 조사는 남양주시 및 국내. 외 사례조사 등이다. 또한 공공상징물의 전략적 디자인 기획 추진사례에서는 디자인 방향, 디자인 세부추진 내용 및 방향, 포지셔닝, 전략도출 Verbal 컨셉, Mind Map 컨셉, 디자인 접근사례를 중심으로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략적 디자인 기획은 디지털 환경아래 조형원리와 공간형태를 중심으로 한 공공 상징조형물 디자인의 차별화된 조형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감각적 정보에 대한 방법론적으로 유용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It is analytic method of exploratory research through Namyangju City`s strategic planning example of public symbolic sculpture design. This research utilizes to important basic data in public symbolic sculpture design development of urban environment and scientific by various strategic advance and there is sense to act important role that do it to try effective method. Strategic planning access direction did laying stress on development target, business sphere, design research, design process in this research. and analysis did laying stress on geographical position and local citizenry, correction target. Emphasis business contents are fine article subject direction, example investigation etc. Also, strategic propulsion example studied laying stress on design direction, design details propulsion contents and direction, positioning verbal concept, strategy mind map concept and design access example. In this research, had viewpoint to modeling principle of public symbol by digital environment and strategic planning access method to display plastic arts value effectively in spatial form manuf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