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레드테이프(red-tape)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혜지(金慧智),모은정(牟恩情),이건(李鍵)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7 No.3

        복잡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현대사회에서 조직이 변화에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 조직의 혁신을 위해서는 구성원의 혁신행동이 필수적인데, 구성원의 사고방식과 행동은 조직문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즉,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자발적으로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국 정부도 조직문화 혁신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레드테이프로 대표되는 공조직의 관료주의적 특성은 구성원들의 혁신행동 의지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uinn의 경쟁가치모형을 바탕으로 중앙부처 소속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조직문화와 혁신행동 사이에서 레드테이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외부지향적인 시장문화와 혁신문화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부지향적인 관계문화와 위계문화는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레드테이프는 혁신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위계문화와 혁신행동 사이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조직 전체에 걸친 조직변화와 혁신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조직문화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조직 내에서 혁신에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장기적인 조직관리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In the contemporary landscape characterized by complexity and uncertainty, organizations must continuously innovate to adapt to change and ensure their survival. The innovative conduct of employees plays a pivotal role in organizational innovation,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mindset and behavior cultivated with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Specifically,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fosters creativity and voluntary engagement is fundamental in encouraging innovative behavior among public employees. Despite the Korean governments implementation of various initiatives for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on, the inherent bureaucratic nature of public organizations, often typified by red tape, diminishes employees inclination towards innovation. In light of Quinns competitive value model,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how public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entral government influences their innovative behavior. Furthermore, it delves into the moderating impact of red ta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The findings underscor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externally oriented market culture and innovation culture on innovative conduct.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s a negative effect of the moderating variable, red tape, on innovation behavior, specifically within the context of hierarchical culture. In order to facilitate comprehensive organizational change and innovation across the board, prioritiz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is imperative. It is essential to formulate long-term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aimed at cultivating an innovation-friendly atmosphere with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

        기술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마케팅혁신, 조직혁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행진,김영준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5

        ‘무엇을 혁신할 것인가?’ 이는 경영자와 학계의 공통의 관심사이다.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최근 3년의 혁신 활동을 보여주는 ‘한국기업혁신조사 2018; 제조업부문’을 활용, 기술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 에서 마케팅혁신과 조직혁신의 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술혁신은 마케팅혁신, 조직혁신, 기업성과에 각각 정(+)의 영향을 보였다. 둘째,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조직혁신의 유의한 매개효과 와, 셋째, 기술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에서 마케팅혁신과 조직혁신의 이중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 이는 기술혁 신이 직접적으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며, 마케팅혁신과 조직혁신에도 영향을 주어 기업성과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과 기업 성과와의 관계에서 마케팅혁신과 조직혁신의 역할과 영향 을 통합적으로 조명한 점에 학문적 차별성이 있으며, 경영자들에게 제품개발과 생산, 판매 및 조직 구조를 통합적으로 고려할 때 기업성과에 기여가 높아진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Which innovation should a company prioritize, given limited resources? This question emerges as one of the most popular topics to the Top Management Team as well as the scholars of business management across the globe. Given the world-class R&D expenditure for innovations taking place in Korea, this issue calls for the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mechanism by which R&D and innovations lead to economic growth and firm performance(Jung, 2020). Recent researches on innovation have evolved from product or process-related innovations to variety types of innovations in organizational innovation, marketing innovation, business model innovation, management innovation, which contribute to the impact of diverse innovations on the firm performance. In line with this research stream,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foundational data to the management and the academia in regards to the management decisions of which innovations to prioritize and how to strategize the chosen innovations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impacts of various innovation types on the company performance. Against this background, our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firm performance and analyzed the roles of marke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the relation of technologicl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utilizing ‘Korean Innovation Survey 2018; Manufacturing Sector’.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2018, the most recent data, reported various innovation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from 2015-2017, based 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innovation types presented in the Oslo Manual (OECD, 2005). The manufacturing data covering +3000 companies was empirically analyzed by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s and Sobel tests. Main findings of our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marketing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higher is the level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the stronger becomes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mpany, which suggests that marke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re required to maximize the benefi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analysis also showed the significant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marke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while marketing innovation significantly impact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a positive(+) manner. This finding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innovation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large data set with detailed innovation types such as technological innovation (i.e.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marke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ncluded in the study model. Secon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was reaffirmed. Process innovation, a compon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rough complete media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which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confirming the central rol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the process of linking technological innovation to firm performance. Thir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marke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was demonst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directly affects firm performance and indirectly affects firm performance by affecting marke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This study has academic differentiation in that it integrates the role and impact of marke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Our finding also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rporate managers that balanced investment in management innovation areas of marketing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critical, in order to improve firm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 KCI등재

        사회혁신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주형 한국상업교육학회 2020 상업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대안으로 나타나고 있는 사회혁신기업을 대 상으로 사회혁신기업의 사회혁신 및 이윤추구라는 설립목적과 일치하고 있는 공유가치창출(CSV)활 동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는 특히 사회혁신 기업의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CSV활동이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관 계로 본 연구에 포함된 사회혁신기업은 기존의 사회적기업과 영리를 추구하면서 사회혁신을 목표로 두고 있는 고령자친화기업 및 매출의 50% 이상을 사회서비스가 차지하는 영리기업을 포함하고 하 고 있다. 조사기간은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2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총 400부를 배포하여 360 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사회혁신기업의 경제적 CSV활동과 사회적 CSV활동을 독립변수로 하여 경로분 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의 CSV활동은 조직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 은 채택되었다. 가설 2는 조직정체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조직성과는 경제적성과와 사회적성과 두 가지 요소로 구분하였다. 실증결과 조직정체성은 경제적성과와 사회적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의 경우 경제적 CSV활동과 경제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경제적 CSV활동과 사회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회적 CSV활동과 경제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사회적 CSV활동과 사회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 체성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회혁신기업의 경영활동이 공유가치창 출활동과 일치성이 높다고 조직원들이 지각할 때, 조직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정체성은 조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어 향후 사회혁신기업의 목적이나 가치에 대한 명확 한 경영활동 수행이 요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Creating Shared Value Activities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ecause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the companies included in the research include existing social companies and profit-making companies such as elderly-friendly companies that are aiming for social innovation while pursuing profits. The survey period lasted for about 2 month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A total of 4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6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e hypothesis that the CSV activity of a socially innovative compan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ty was analyzed by using two elements of the company's CSV activity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hypothesis 1 was adopted because CSV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ty. Hypothesis 2, in the case of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soci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Hypothesis 2 was adopted because organizational ident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In the case of Hypothesis 3,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SV activity and economic performanc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in the 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SV activity and social performance i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SV activity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SV activity and soci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the organization members perceive that the management activity of a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are highly consistent with the shared value creation activity, it affects organization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identity significantly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기업의 조직문화, 흡수역량, 혁신능력과의 관계 : 첨단기술 벤처기업에 대한 실증연구

        정상철,오세구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3

        혁신 역량은 많은 기업들에게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수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혁신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혁신 능력을 보유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의 흡수역량 및 혁신능력을 강화시키는 문화를 만드는 데는 능숙하지 않다. 본 연구는 기업의 조직 문화가 조직의 흡수역량 및 혁신능력에 영향을 미 치고, 흡수역량은 기업의 혁신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제 안을 테스트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덕 연구 개발특구의 하이테크 벤처 기업을 대상으로 총 131 개의 유효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흡수역량은 조직 문화와 혁신능력 사 이의 매개 변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경영적 함의와 간결한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흡수역량이 혁신능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흡수 역량이 기업의 혁신능력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흡수역량이 높을 수록 혁신 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모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조직 문화가 흡 수역량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조직 문화가 기업의 흡수역량을 개발 하고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역량은 외부의 지식을 통합하고 이를 기업의 역량 으로 변환함으로써 조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역량은 학습 지향적인 조직 문화의 결과이며,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창출의 기초가 된다. 셋째, 분석결과에 의하면, 흡수역량은 조직문화와 혁신능력 사이의 매개 변수이며 두 변수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한다. 이는 흡수역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기업의 조직 문화가 기업의 혁신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을 의미한다. 그러나 조직 문화가 기업의 흡수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이는 기업의 혁신능력 강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완전히 매개된 모델은 기업의 문화가 흡수역량을 강화시키고, 강화된 흡수역량은 회사의 제품 및 절차 혁신 능력을 개선하는 핵심 전략 요소임을 나타낸다. Innovation capability is considered as the prerequisite tool for many enterprises to enhance their productivi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capability as a tool for retain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keeps growing. While most enterprises are currently seeking well equipped innovation capability, they are not good at creating the culture for facilitating the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To improve the innovation capability, we propose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and, in sequence, the absorptive capacity affects innovation capability in Hi-tech venture enterprises. To test the above proposi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131 hi-tech venture enterprises in Daedeok Innopolis, the largest and oldest R&D cluster in Korea. In general,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as the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capability. In addition,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Mor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brief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our study suggests that absorptive capac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capability, indicating that absorptive capa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firm’s innovation capability. Thus, the higher absorptive capacity, the higher innovation capability. As predicted in the hypotheses, the research results also reveal that organization cultu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apacity. This is an important finding since it varies from prior studies that treat absorptive capacity as an exogenous variable. Our study finds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an both develop and increase a firm’s absorptive capacity. Absorptive capacity can benefit an organization by integrating external knowledge and then transforming it into the firm’s competence. This ability is part of learning 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and is the basis of the firm creating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bsorptive capacity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capability, acting as a bridg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s means that if absorptive capacity is inadequate, th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a firm will have less direct effect on the firm’s innovation capability. However, if the organizational culture can increase the firm’s absorptive capacity, it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m’s innovation capacity. The completely mediating model foun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absorptive capacity is a key strategic factor in improving a firm’s product and procedure innovation capability.

      • 연구조직의 다양성과 혁신의 관계: 분위회귀분석에 의한 실증연구

        봉강호(Kang Ho Bong),김수민(Sumin Kim),박재민(Jaem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혁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오늘날 연구조직 구성원의 다양성을 통해 지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전략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조직 다양성에 관한 이론적 견해는 여전히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고, 특히 기존의 실증연구들은 조직 다양성의 영향을 평균적으로 추정하여 상이한 혁신수준에서 나타나는 효과 차이를 체계적으로 확인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위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조직 다양성과 혁신 간 관계를 다양한 혁신수준에 걸쳐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구조직의 연령 다양성은 모든 분위에서 혁신과 긍정적 관계를 가지며, 특히 연령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혁신적인 조직에서 더 크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력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는 혁신수준이 높은 조직에서만 발현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연령대에 집중되는 연구조직의 구조가 오히려 혁신을 저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령대의 연구자로 구성하는 조직구조가 더욱 혁신에 긍정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조직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가 혁신수준에 따라 상이한 만큼, 조직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에 기반하여 전략적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As innovation is becoming important, securing intellectual diversity through the workforce diversity of research organizations is being emphasized. However, views on organizational diversity are still not reaching consensus, and existing evidence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empirical approach.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orce diversity and innovation at various levels of innovation using quantile regression. We find that age diversity in research organization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especially the positive effects of age diversity are more pronounced in relatively innovative organizations. This suggests that an organizational structure focused on a particular age group could rather undermine innova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consisting of researchers of different ages is more positive for innovation.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education diversity is observed only in organizations with high levels of innovation. This suggests that, as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diversit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innovation, strategic decisions need to be made based on systematic diagnosis of the organization.

      • KCI등재

        혁신지향적 조직문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와 경영자의 서번트리더십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ZHANG RAN,HUANG FEI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1

        · 연구 주제: 본 논문은 기업의 혁신지향적 조직문화가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또한 기업의 혁신지향적 조직문화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이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한다. 더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혁신지향적 조직문화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경영자의 서번트리더십이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다. · 연구 배경: 혁신지향적 조직문화는 조직이 혁신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문화를 의미한다. 조직의 혁신은 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직무성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리고 혁신지향적 조직문화를 가진 조직의 구성원들은 적극적인 조직의 지원 하에 직무에 몰입하여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리더십 스타일 둥에서 서번트리더십은 조직원들이 자연스럽게 리더를 존경하고 따르게 됨으로써, 혁신지향적 조직문화와 직무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첫째, 본 논문은 혁신지향적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일깨워 줌으로써 기업의 경영자나 조직의 리더에게 혁신적이고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조직문화를 형성해야 함을 상기시킨다. 둘째,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인사조직 분야의 연구영역 확장에 기여한다. 특히, 서번트리더십의 영향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리더십 학술분야 발전에 공헌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실무적으로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전이나 목표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조직문화와 리더십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시한다. · 연구방법: 기업에 근무하는 회사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수행하였다. 총 328명에게 온라인 링크를 생성하여 비대면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한 설문지나 비정상적으로 응답한 설문지는 표본에서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295명이 정상적으로 응답한 설문지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고, 탐색적 요인 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 및 조절 효과 검증을 수행했다. · 연구결과: 연구가설 1인 “혁신지향적 조직문화는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그리고 연구가설 2인 “직무몰입은 혁신지향적 조직문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가설 3은 두 개의 세부가설로 나누어지는데, 연구가설 3-1인 “서번트리더십 중 윤리성은 혁신지향적 조직문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그리고 연구가설 3-2인 “서번트리더십 중 관계형성 및 권한위임은 혁신지향적 조직문화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첫째,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기업의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올바르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본 논문은 인적자원 관리 분야의 연구영역 확장에 기여한다. 특히, 리더십 중 서번트리더십의 효과에 대하여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함 ... · Research topics: This paper studies how a company's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job performance. It also studies whether work commit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managerial servant leadership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performance. · Research background: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refers to a culture in which an organization promotes and support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improv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 and is clos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And members of organizations with a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can align their organizational goals with individual goals by immersing themselves in their jobs with the support of active organizations. In addition, servant leadership in the leadership style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performance as members naturally respect and follow the leader.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First, this paper reminds corporate managers or organizational leaders that an innovative and change-free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formed by awakening the importance of a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area in the field of personnel organization.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academic fields by presenting objective research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Third, useful information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vision or goal to improve job performance practically is presented. · Research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office workers working in companies. A total of 328 people were asked to conduct a non-face-to-face survey by creating an online link, and after removing the questionnaire that responded insincerely or abnormally from the sample, the sampl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the questionnaire that 295 people normally responded to. In this paper,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as follows.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and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 Research results: Research Hypothesis 1,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was adopted. And as research hypothesis 2, "Work commitment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Hypothesis 2 was partially adopted. Finally, research hypothesis 3 is divided into two detailed hypotheses, and research hypothesis 3-1, "Ethics among servant leadership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s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was adopted. And research hypothesis 3-2, "Relational formation and delegation of authority among servant leadership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performance," was reject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Firs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remind us of the importance of corporat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ggest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form a correct and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area in the fie...

      • KCI등재

        조직간 원가관리, 조직간 관계 특성들과 공동 혁신

        최종민 한국산업경영학회 2019 경영연구 Vol.3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organizational cost management (IOCM),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i.e. trust, interdependence, and learning), innovation co-creation with suppliers,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and firm performance. To collect empirical data, post survey method was employed. The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by production department director or factory chief. Finally, 104 valid data were collected. To demonstrate the research hypothe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adopted.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f IOCM on inter-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interdependence and learning on innovation co-creation. It was found that the innovation co-creation with supplier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of manufacturing firms.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innovations of firms positively influence the increase of firm performance. Although IOCM has been considered as a cost reduction too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IOCM reinforces th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of related firms.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a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the empirical result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ew theory about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In the innovation co-creation, the primary point is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from various external sources. This study partially ident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affect the acquisitions of new external knowledge. Accordingly, this results indicate the development of new innovation co-creation theory.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간 원가관리를 통한 공급기업과의 관계 강화가 공동 혁신으로 연결되며, 그러한 공동 혁신이 제조기업 제품 및 과정 혁신을 제고시키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 자료 수집은 우편조사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설문지를 제조기업의 생산담당 부서장이나 공장장에게 발송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04부의 설문지가 회수, 사용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 자료 분석은 다중회귀분석과 집락분석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조직간 원가관리가 심화되면 구매∙공급 기업들 간의 상호의존성, 조직간 신뢰와 조직간 학습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의존성과 조직간 학습은 공급기업과의 공동 혁신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공급기업과의 공동 혁신은 제품혁신과 과정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제조기업 혁신은 기업 성과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조직간 원가관리는 순수한 원가관리, 절감 기법으로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조직간 원가관리는 조직간 관계 관점에서 볼 때 관련 기업들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이는 조직간 원가관리의 또 다른 역할로서, 연구결과는 새로운 조직간 관계 이론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공동 혁신은 외부 지식원천들로부터 필요한 지식을 공급받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외부 지식원천들로부터 지식을 제공받기 위해 이들 외부 조직들과 어떠한 관계가 구축되어야 하는지 부분적으로 파악되었다. 결국,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동 혁신 이론과 관련된 새로운 이론 개발의 여지를 보여준다.

      • KCI등재

        조직혁신의 선행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직요인, 지식요인을 중심으로

        정지윤(Jiyoon Chung) 한국혁신학회 2022 한국혁신학회지 Vol.17 No.2

        조직혁신(organizational innovation)은 기업성과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현상이지만, 기술혁신(technological innovation)에 비해 그동안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조직혁신 도입 결정이 조직요인 및 지식요인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연구한다. 본 연구는 조직혁신을 (1) 업무수행방식, (2) 업무수행조직, (3) 외부조직과의 관계라는 세 가지 부문에서의 변화 도입으로 이해하고, 각 부문에서의 변화 도입 결정과 기업의 조직요인 및 지식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2018 한국기업혁신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산업 전반의 R&D 활동이 있는 중소 제조기업 1,394개를 대상으로 이들 기업의 세 가지 부문에 걸친 조직혁신 도입 결정을 다변량 프로빗 모형(multivariate probit model)으로 동시에 모형화하여 분석한다. 분석 결과,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기업이 업무수행방식과 업무수행조직에 대해 변화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은 대체로 조직혁신을 도입할 가능성을 낮추었으나, 외부 협력파트너가 다각화되어있을 경우에 한해 기업이 외부조직과의 관계에 대해 변화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부문에서의 조직혁신 도입 결정은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졌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부문에서의 조직혁신이 기업의 조직요인 및 지식요인과 차등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조직혁신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Although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firm performance, it has received insufficient scrutiny, relativ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firms’ organizational and knowledge factors are related to their implementation of organizational innovations. We underst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s the implementation of changes in (1) business practices, (2) workplace organization, and (3) external relations. Empirically, we analyze organizational innovation decisions by 1,394 R&D-active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using multivariate probit models. The results suggest that firms are generally more likely to implement organizational innovations when they are larger and when they engage less in open innovation. However, when firms engage in open innovation working with more diversified external collaboration partners, they are more likely to implement changes in external relations. Furthermore, decisions to implement the three type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re interrelated.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manufacturing SMEs’ organizational and knowledge factors differentially correlate with their organizational innovation decisions and thus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조직혁신행동 영향요인 비교분석 : 조직문화 유형의 직접, 간접효과를 중심으로

        최윤희,전세혁,김서용 한국행정연구원 2024 韓國行政硏究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혁신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혁신행동에 대한 연구들이 단편적인 변수에 초점을 두어 다양한 변수들 간 비교분석이 부족하였다는 점, 조직관리의 핵심인 조직문화유형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직혁신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영향요인을 동기요인, 역량요인, 공정성 요인, 업무특성요인, 조직지원요인, 조직문화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직접효과와 네 가지 조직문화유형(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의 조절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공무원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N=4,133)를 분석한 결과, 첫째 조직혁신행동을 유도하는데 있어 동기요인인 공공봉사동기와 성취동기, 역량요인인 업무수행역량과 전문성이 조직혁신행동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조직문화에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는 혁신행동에 正(+) 의 영향을, 위계지향문화는 負(-)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공공봉사동기 > 성취동기 > 전문성 > 업무수행역량 > 위계지향문화 > 역할모호성 > 업무자율성 > 절차공정성=혁신지향문화=관계지향문화순으로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네 개의 문화유형은 조절기능을 수행하는데, 낮은 혁신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는 전문성, 높은 혁신지향 문화와 관계지향문화는 업무부하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낮은 과업지향문화는 성취동기, 높은 과업지향문화는 전문성, 업무부하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높은 위계지향문화가 분배공정성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existing studies on innovation behavior have focused on few variables and lacked comparative analysis among various variables, and have no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which is the cor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Based on the extensive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we class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into motivation, competence, fairness, leadership, work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ulture factors, and compared their direct eff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our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innovation- oriented cultur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task-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 oriented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public employees (N=4,133), we found that, first, motivational factors such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mpetency factors such as work performanc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Seco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has a negative effect. Third, the four culture types perform a moderating function, low innovation-oriented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promotes the impact of professionalism on innovation behavior. High innovation-orientated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increased innovation behavior in workload. A low task-oriented culture moderates the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while a high task-oriented culture does the impact of professionalism on innovation behavior. High hierarchy orientation moderates the impact of distributive justice on innovation behavior.

      • KCI등재

        조직문화와 구성원 혁신행동의 관계 : 조직신뢰와 과업갈등의 조절효과

        최인옥,박지환,선종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1 산업혁신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공군 장교를 대상으로 첫째, 조직문화(개발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의 유형별로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조직문화와 혁신행동 간 조직신뢰와 과업갈등의 조절역할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문화형태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합리문화를 제외한 개발과 집단문화는 구성원 혁신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위계문화는 혁신행동과 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와 구성원 혁신행동 간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조직신뢰는 개발(정(+)적 관계를 강화) 및 위계문화(부(-)적 관계를 약화)와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와 구성원 혁신행동 간 과업갈등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과업갈등은 집단문화와 구성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만 양자 간의 정(+)적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군조직들의 경우 과거의 권위적이고 획일적인 문화에서 현대사회의 특성과 가치관이 반영된 새로운 관리전략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나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국가의 안보와 국민들의 안위,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 한축을 담당하고 있는 군조직의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아울러 현대사회에서 조직생존에 필수적인 변화, 혁신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시기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