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특성 및 직무환경이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중소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

        박준원,이선규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조직적응성에 관한 연구는 대기업이나 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개인특성과 직무환경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개인특성에서는 하위변수를 자기효능감, 낙관성, 회복 탄력성으로 설정하였고, 직무환경 요인에서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로 설정하였다. 표본 자료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방문, 전화 통화, 전자메일, 팩스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98부였다. 통계분석은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요인의 자기효능감, 낙관성, 회복탄력성은 구성원의 조직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고, 직무환경의 조직공정성은 조직적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직무환경의 조직문화는 조직적응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소기업의 구성원들에게는 임금수준, 업무량, 보상, 의견반영 등의 공정한 적용은 구성원들의 조직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조직적응성을 대기업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adaptation among the members of SMEs. Until now, research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large corporations or public institutions.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ME members. Facto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employees were set by individual factors and job environment factors. In the individual factors, the sub-variables were set as self-efficacy, optimism, and resilience, and in the job environment factors,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sample data were surveyed using a survey method such as visit, telephone call, e-mail and fax. 98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self-efficacy, optimism, and resilience of individual factors were analyzed as positive variables for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fairness in the job environment was analyzed as variables that did not positively affect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employees. However,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job environment was analyzed as a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employe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air application of wage level, workload, compensation, and opinion reflection did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adaptation of employees. On the other hand, in the preceding studies, organizational adaptability was conducted mainly in large corporations, but this study was able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in analyzing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mong SME members.

      • KCI등재

        조직원들의 경력적응성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역할명료성의 매개효과

        손수진,김수영,김은지 한국성인교육학회 201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6 No.4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career adaptability and their perceive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chanism beyond the relation between employees’ career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role clarity. We collected data from one chemical company and 131 responses were include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employees’ career adaptabi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role clarity. In addition, the role clarity was fou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employees’ career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적응성이라는 조직원들의 개인적인 특성이 실제 조직 내에서 조직원이 인식하는 조직사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경력적응성과 조직사회화의 과정에서 역할명료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경력적응성과 조직사회화와의 관계에서의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에 있는 한 석유화학계 회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131명의 응답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력적응성은 조직사회화와 역할명료성에 모두 정(+)의 관계가 있으며, 역할명료성은 경력적응성과 조직사회화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개인-조직 적합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팀 동적역량의 교차수준 조절효과 연구

        제갈란,김학수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6

        지난 30년간에 걸쳐 개인-환경 적합성에서 개인-조직 적합성이 중점적으로 논의되면서 조직구성원의 행동등에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조직 적합성과 창의성, 혁신 간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논할 수 있는 ASA(Attraction-Selection-Attribution)이론, 유사성-매력이론과 긍정적으로 논할 수 있는 사회교환이론, 사회정체성이론, 긍정적 정서의 확장-형성이론 등이 있으며 실증 분석 결과에서도 혼재된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을 해소할 수 있는 상황적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조직의 기본적 업무 단위로팀이 제시되었다는 측면과 더불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팀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팀 동적역량에 관심을두게 되었다. 이에 팀 동적역량이 높으면 긍정적 정서의 확장-형성이론에서 논의된 유연성, 개방성 등이 높아지면서 개인-조직 적합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가 긍정적일 수 있지만 팀 동적역량이 낮으면 ASA이론에서 논의된 동질성이 높아지면서 개인-조직 적합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가 부정적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52개팀의 팀장과 210명의 팀원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로 통계 검증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팀 동적역량은 유의한 교차수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팀 동적역량이 높은 팀에서 조직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은 창의적 행동을 향상시키는 반면 팀 동적역량이 낮은 팀에서 조직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은 창의적 행동을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검증을 통해얻을 수 있는 기업경영의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변혁 리더십, 조직의 민첩성과 적응성, 디지털전환이 디지털혁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기창,서영욱 대한경영학회 2024 대한경영학회지 Vol.37 No.6

        현대 비즈니스 환경은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급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의 디지털역량과 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변혁 리더십이 조직의 민첩성과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민첩성과 적응성이 디지털 전환 및 디지털 혁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탐구하였다. 또한, 조직민첩성이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혁신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Smart PLS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변혁 리더십은 조직의 민첩성과 적응성을 모두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직 민첩성은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혁신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적 역량 이론을 기반으로 디지털 변혁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맥락에서 조직 민첩성과 적응성이 디지털 전환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면적 데이터에 기반한 연구로 시간에 따른 인과관계를 충분히 분석하지 못한 점도 한계로 남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산업과 국가를 포함한 표본을 활용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 modern business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mportance of an organization's digital capabilities and leadership is being emphasized to respond to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agility and adaptability and explored how such agility and adaptability contribute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innovation. In addition, we also examined whether organizational agil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innov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Korea,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mart PLS 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improves both organizational agility and adaptability, thereb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innovation. In particular, organizational agility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innov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based on dynamic capability theory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gility and adaptability 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in a digital context. This provides the strategic insights needed to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digital era. However, the fact that this study was based on cross-sectional data and did not sufficiently analyze causal relationships over time also remains a limitation. Future research should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and use samples including various industries and countries to increase the generalizability of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와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김은석,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etermining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of clerical employees at large corporations in South Korea an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instrument of investigation, surveys consisting of employees’ protean career attitudes, individual characteristics(demographic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go-identity,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organizational structure, fairness in personnel management, organizations’ perception of support, continuous learning culture) were used. 660 surveys were distributed to 33 large private corporations. From among these, surveys completed by 463 staff members from 31 large private corporation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for data analysis, HLM 6.0 for Windows program were used to conduct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First, as for differences in protean career attitudes found among clerical employees at large private corporat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t first. However,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rganizational level, differences in protean career attitudes must be explained also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Second, from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sex,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voluntary department transfers, ego-identity, learning adaptability, and interpersonal adapt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s’ protean career attitudes. Third, from amo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organizational struc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s’ protean career attitu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research.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와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은 31개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 463명이며, 측정도구는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 개인 특성(인구통계학적 특성, 직업적 특성, 자아정체감, 적응성), 조직 특성(조직구조, 인사관리 공정성, 조직지원인식, 지속적 학습 문화)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HLM 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HLM)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에게서 나타나는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의 차이는 일차적으로 개인 특성 변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지만, 조직수준에서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조직 특성 변인을 통해서도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의 차이가 설명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특성 변인 중 성별, 학력, 직위, 자의적 부서 이동, 자아정체감, 학습적응성, 대인관계 적응성이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특성 변인 중 분권화된 조직구조가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 및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 증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기업 근로자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적응성의 매개효과

        김은지(Eun-jee Kim),김수영(Soo-young Kim)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들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학습목표지향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의 경력적응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A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131명의 유효 응답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활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및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근로자들의 학습목표지향성은 경력적응성과 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들의 경력적응성은 학습목표지향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추후 관련 HRD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learning goa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plore the mechanism beyo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learning goa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adaptability. Employees at a large chemical company in South Korea were solici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for the study. A total of 131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mployees learning goals were predictive not only of career adaptability but also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career adaptability was found to be a partial mediator between employees learning goa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기업가 정신, 경영활동, 조직문화와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정영민,김현정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5 창조와 혁신 Vol.8 No.1

        지금까지 기업가 정신과 기업성과, 조직문화와의 각각의 관계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서 규명되었지만 기업가정신이 경영활동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며 어떤 과정 또 는 매개를 통해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의 개념을 사용하여 Pfeffer 의 인간중심경영과 조직문화, 경영성과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Pfeffer(1998)의 7가지 인간중심경영의 실천활동(practices) 지표항목을 사용 하여 한국에서의 인간중심경영과 기업의 경영성과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 였으며, 조직문화 변수로는 Denison의 조직문화의 적응성을 사용하였다. 결과변 수로는 지속가능 경쟁우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구조방정식을 이용해 기업가 정신, 인간중심경영, 조직문화 및 기업의 경영성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 련변수 간에는 상당히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둘째, 인간중심경영은 기 업가정신의 재무적 성과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feffer의 인 간중심경영 활동이 기업의 지속가능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인간중심경영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조직문화의 적응성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유용성은 기업가정신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인간중심경영의 매개역할 을 확인하였고, 기업의 재무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규명한 것에 있다. 따라서 인간중 심경영을 실천한다면 기업가 정신을 활성화하여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에 기여할 것 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간중심경영의 실천수준이 산업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가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향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보다 산업별 특성에 부합하는 인간중심경영의 실천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primarily the correlation of entrepreneurship, human-oriented management, organization culture and perceived financial performance. By focusing Pfeffer’s seven HRM practices for human-oriented management, this paper develops dynamic model of specialized resources for competitive advantage, and uses together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nd adaptive organization culture trait proposed by Denison. The entrepreneurship consists of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entrepreneurship and human-oriented management affect to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positively, and identify that human-oriented management plays mediating rol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i.e., sales, profit, market share, ROI). However, the corporate adaptive culture does not show direct impact to the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Significantly, it is further no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seven HRM practices proposed by Pfeffer empirically are validated in Korea. This paper provides new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 to HR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formulating company strategy to achiev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market place.

      • KCI등재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효과성

        김진아 ( Jin Ah Kim ),이종희 ( Jong Hee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care centers in Korea.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seven hundred fifty seven administrators and teaching staffs participated to answer survey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previous related studies. the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85 public and private children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the child care practitioners was high in general. That is, the statistics revealed that the average perception scores of child care practitioners on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organizational productivity,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higher than 4 on the scale of 5, and the average of job satisfaction was slightly lower than those in the other three factors. Seco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enter variables as well as staff variables. Third, from the interview data, everyday phenomena of child care centers forming or hindering the four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mer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