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탁 위의 근대

        주영하 ( Young Ha Joo ) 한국사회사학회 2004 사회와 역사 Vol.0 No.66

        This study is about the painting, "Banquet celebrating the Trade-Treat between Joseon and Japan(朝日通商章程) in 1883(owned by the Christian Museum belonging to Unv. Sungsil)" by An Jung-sik(安中植)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ainting described the scene of the banquet held in the Governmental Office of the Trade between Joseon and Japan(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in Jae-dong(齋洞),Seoul, Korea The members of this banquet were eight of the Korean, two of the Japanese, P G. von, Mollendorffthe who played a key role in contracting the treat, and his wife. This painting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the modernistic banquet which originated from the early European modernistic countries. At that time the late Joseon Dynasty was standing in the turning point to the way of the new modernistic country, this treatise, therefore, aims to research the Sociological and Cultural mea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stic banquet held in the royal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etails of the table are following; first, table wares are all in western style. A knife and a fork and three spoons, in front of each guest. On one of the wares, is it likely to be cutler. There are a porcelain caster with red-colored string, likely to be filled with salt, pepper, soy-sauce and vinegar, and a powder-blue porcelain(粉靑沙器) filled with sugar cubes Five wine cups in different shapes and sizes. Beside them, there are a wine kettle porcelain and a bowl with a hexagon-shaped lid. It seems that the kinds of alcohol, whisky and gin were used in the banquet as well as grape wine in view of the different shapes of the cups. Piled-up Korean traditional cookies on the bowl looks likely to be desert. It shows that a style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 was maintained partly in the banquet. The arrangement of the seats reflects partly the order of ranks of the royal in Joseon Dynasty; the seat of the korean host is the highest and those of the other guest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of ranks. So the guest who was in the lowest rank was seated in the farthest from the host. This way of the arrangement of the seats are pretty familiar with that of the royal in Joseon Dynasty. The governmental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were regularly seated in order of the ranks, the head of each Office sat toward the direction of south (主壁),the second, east(東壁),the third, west(西壁) and the lowest rank, north (南床). In the painting, the Japanese guest is seated in the third rank (西壁), lower than that of Korean host and the german adviser(Mollendorf). This arrangement contradicted to the diplomatic courtesy of the modernistic country at that time. This means that the officials and the class of mainstream elites in the Joseon Dynasty did not recognize the contemporary modernistic trend of the world. They thought they could accept the structure of the western technology(西器) and develop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東道). The details of the painting reflects the idea of the conservative elit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ongdoseogiron(utilization of the eastern thought and the western technology 東道西器論)``; the arrangement of the seats, the eastern thought(東道) and the table wares, the western technology(西器). When the modernism of the west arrived in Joseon, it developed in it`s technological way. We can see the scene on the table.

      • 1883년 덴주마루(天壽丸)의 울릉도 목재 불법반출과 조일 간 반환 교섭

        박한민 ( Park Han M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0 사총 Vol.99 No.-

        이 글에서는 1883년 11월 울릉도로 도항하여 섬에 있던 목재를 일본까지 불법으로 반출해 간 사건을 두고 조선과 일본이 교섭한 전말을 외교사료관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 사건을 일으킨 자는 에히메현 출신으로 덴주마루를 운항하였던 무라카미 도쿠하치였다. 무라카미는 세 번에 걸쳐 울릉도까지 왕래하면서 일본 상인에게 고용되어 목재를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 사이에 일본 내무성에서는 히가키 나오에를 울릉도로 파견하여 섬에 체류하고 있던 일본인들을 전원 퇴거시켰다. 무라카미가 목재를 반출했다는 소식을 일본 현지에서 접한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은 가이 군지를 에히메현 현지로 보내어 조사하고 소송을 제기하도록 했다. 조선 정부에서도 새로 체결한 「조일통상장정」을 위반한 것을 거론하면서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재판 진행 과정에서 일본정부도 무라카미의 행위가 조약 위반임을 인정했으며, 규정에 따라 벌금을 징수하고, 목재를 매각한 비용을 정산하여 조선 정부에 건네주었다. 여기서 활용된 조관은 제33관과 제40관이었다. 재판 과정에서 남아 있던 압수물품을 어떻게 처분할지를 두고 일본 정부 내에서 논의가 있었는데, 결과적으로는 무라카미에게 돌려주었다. 조선정부에서는 비개항장의 밀반출 물품에 대하여 청구권을 행사하는 조약상 근거로 「조일통상장정」을 적극 활용하였다. 일본 정부에서는 외무성과 내무성, 사법성 등이 논의를 진행하면서 대응 방향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향후 자국민의 조선도항을 단속하는 기준을 마련해 나가고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 The article review all the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over the illegal shipment of timber from Ulleung island to Japan by sailing in November 1883 based on the documents from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外務省外交史料館). The man responsible for the incident was Tokuhachi Murakami(村上德八) from Ehime Prefecture(愛媛縣) who flew Tenjiumaru. He traveled to Ulleung Island three times, where he was hired by a Japanese merchant to transport timbers. Meanwhile, Japan’s Naimusho (內務省) dispatched officer Naoe Higaki(檜垣直枝) to Ulleung Island to evict all Japanese staying in the island. Kim Ok-kyun(金玉均), a Land-Opening Official for the Southeastern Islands(東南諸島開拓使) who heard that Murakami had shipped out the timber, sent Gunji Gai (甲斐軍治) to Ehime Prefecture to investigate and file a lawsuit. The Joseon government also officially raised the issue, citing the violation of the newly signed Regulations under which Japanese Trade is to be Conducted in Korea and Responses of Various Countries in 1883. In the course of the trial, the Japanese government admitted that Murakami’s conduct was a violation of the treaty, collected fines according to regulations, settled the cost of exporting the timber and handed it over to the Joseon government. The treaty’s articles cited here were the 33th and the 40th. There was discussion within the Japanese government about how to dispose of the confiscated items left over during the trial, which eventually returned them to Murakami. The Joseon government actively utilized the newly signed trade treaty as the basis for exercising its claim against goods smuggled out of non-opening ports. It is noteworth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was setting up a countermeasure as the Foreign Ministry, the Interior Ministry and the Judicial Affairs Ministry were discussing the issue about sailing to Joseon by Japanese, and it was setting a standard to crack down on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어시장의 사적변천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김청열(Cheong-Yeoul Kim),조대훈(Dae-Hoon Cho) 韓國經營史學會 2013 經營史學 Vol.65 No.-

        본 연구는 다양한 고고학 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어시장의 사적변천과 발전과정을 경제 · 경영사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먼저 어시장의 사적변천 과정을 시대별로 개괄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공동어시장(釜山共同魚市場)의 개설과 발전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어업과 어시장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 것은 개항과 함께 일본의 어업 및 상업자본이 우리나라에 진출하면서부터라고 할 것이다. 특히, 조일통상장정(朝日 通商章程)과 조일통어장정(朝日通漁章程)이 체결되면서 일본어민들의 어업활동과 어획고가 증가하게 되자 일부 일본인들이 자국어민이 획득한 어획물의 판매를 위해 어시장을 설립하기 시작했는데, 이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어시장은 부산수산회사(1889.8.5)가 운영한 부산어시장이다. 그런데 부산수산회사가 부산수산주식회사로 흡수 합병(1907.5.1) 되면서 부산어시장은 부산수산주식회사 어시장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다가 해방으로 우리나라에서 일본인이 철수하면서 부산수산주식회사에서 운영하던 부산수산주식회사 어 시장은 부산어업조합이 운영하는 중앙어시장으로 전환되었다가, 1956년 9월 10일부터는 어시장의 운영주체가 부산어업조합 등 5개 수산단체로 변경되었다. 부산에 현대적인 어시장의 설립이 추진된 계기는 미국의 대외 원조기구인 국제협조처 (ICA)의 원조사업 중 어시장 설립을 위한 미화 25만 달러가 배정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957년 3월 13일 부산종합어시장 설립계획이 확정되고 1958년 6월 5일 부산지역 수산단체를 중심으로 부산수산센터 추진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1960년 10월 8일 부산항 제1부두가 어시장 부지로 확정되고 1961년 6월 15일 기공식을 거쳐 1963년 11월 1일 드디어 부산항 제1부두에 대지 1만 4천m², 900톤의 냉동 위판장과 기타 시설을 갖춘 부산종합어시장이 개장되었다. 그러나 1966년 부산항종합개발계획에 따라 부산종합어시장을 현재의 남항으로 이전하는 계획이 수립된 이후 1971년 10월 이 전공사가 시작되어 1972년 12월 29일 준공식이 거행됨으로써 어시장의 남항시대가 본격화 되었다. 한편, 부산종합어시장은 수산업협동조합법의 개정(1970.10)에 따라 1971년 1월 20일에 부산공동어시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종전에는 수산업협동조합법 시행령 제27조 제1항의 단서조항에 의하여 예외적으로 위 사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었으나 1970년 10월 13일 동시행령 개정에서 단서조항이 삭제되면서 신설된 수산업협동조합법 제65조 제 6항의 ‘공동’으로 사업을 한다는 규정에 따라 이 자구(字句)를 삽입하여 어시장 명칭이 부산종합어시장에서 부산공동어시장으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2년 말 현재 부산공동어시장은 총부지 면적 64,274m², 연건평 66,195m², 위판장의 총면적 43,134m², 위판능력 최대 3,200톤/일, 접안선 1,016m, 그리고 냉동공장 6,629m², 기타시설 등으로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주요 사업은 위탁판매사업, 보관수송사업, 냉동·냉장·제빙, 급유·급수, 수산물가공처리 및 기타 공동시설 이용사업, 수산업자 및 종사원의 후생복리사업, 정부업무의 대행 및 보조에 의한 사업, 기타 부대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운영주체는 대형기선저인망수산업협동조합, 대형 선망수산업협동조합, 부산시수산업협동조합, 경상남도정치망수산업협동조합, 서남구수산 업협동조합 등 5개 수산업협동조합이 맡고 있다. It is presumed that in Korea, fishing began earnestly in the New Stone Age. In some remains of the New Stone Age in the country, dead bodies of many different marine creatures, most of which were shells, were found. In the Dongsam-dong shell mound, which is one of the most famous New Stone Age remains in this country, fish spears and harpoons made of stone were excavated. Other similar relics were discovered in most regions whose geographic conditions are good for fishing. Presumedly, it is the New Stone Age when fish and shells began to be exchanged in earnest in this nation. There was the stage of food gathering economics before ancient farming started. It is not possible to presume that in that stage, fish and shells were transacted.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in the stage, some people began to take farming their main job and others, fishing as agriculture developed and, accordingly, the two groups of people who respectively needed grain and fish and shells made exchanges by barter, though might be just a little. And the fact that obsidian from Kyushu, Japan was found in some remains of the New Stone Age in Korea makes it very probable that there were already international trades at that time. This country has numerous ancient records about local markets. A number of ancient literature such as 「Samgukji」, 「Samguksagi」,「Gyerimyusa」, 「Koryo Dogyeong」,「Koryosa」and many different true records of the Joseon period support that it is a long time ago in this country when people of this nation began fishing and formed markets for exchanging various kinds of fish and marine product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tried to comprehensively discuss the opening and development of the Busan Cooperative Fish Market from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economy and business administration on the basis of review on the historic changes and developments of local fish markets with reference to a variety of archeological materials and literature.

      • KCI등재

        1880∼1890년대 울릉도 물산을 둘러싼 분쟁과 조일 양국의 대응

        박한민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8

        1876년 개항 이후 조선 정부는 일본인들이 울릉도로 몰래 도항하여 섬 안의 산물을 채취하려 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조선 정부는 일본 정부에 공문을 보내어 일본인들의 불법 도항에 항의하고, 위반자의 조사와 단속을 요구하였다. 일본 정부는 울릉도 도항 금지령을 내리고, 내무성 관리 히가키 나오에(檜垣直枝)를 울릉도로 파견하여 일본인들을 퇴거시켰다. 이 글에서는 히가키가 울릉도로 건너간 일본인들을 귀국시키는 과정과 도항 일본인들의 상황에 대하여 보고서와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신문 기사에는 울릉도로 도항한 히가키와 일본인 인부들과 관련된 정보가 다양하게 실렸다. 일본인 퇴거 조치 이후 갑신정변 발발 이전까지 일본으로 반출된 울릉도 목재의 소유와 처분 권리를 둘러싸고 분쟁이 발생하였다. 김옥균과 계약을 체결하였던 미국무역회사와 울릉도로 도항하여 벌목을 했던 일본인 업자 사이에 빚어진 소송이었다. 세 차례에 걸친 재판 과정은 방청을 한 기자가 연재 기사로 상세히 소개하였다. 공판 과정에서 조선 정부의 정기적인 수토관(搜討官) 파견, 울릉도 내 물산의 조선 소유 등의 정보가 알려졌다. 1880년대 후반부터 울릉도를 비롯한 조선 연해에 어선을 타고 진출한 일본인들이 증가하면서 조선인들과 마찰을 빚는 일이 늘어났다. 조선 정부는 「조일통상장정」에 근거하여 일본인들의 불법 행위를 조사하고 처벌해 줄 것을 일본 측에 요청하였다. 한편으로는 관리를 파견하여 울릉도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강화하였다. 이 무렵 새로운 어업 기술을 도입하고, 외국인까지 고용하면서 연안 어업에서 이익을 창출하려 한 해산회사의 존재도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운영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를 야기함에 따라 조선 정부는 이 회사를 철폐하였다. 이 글에서는 당시 공문서와 일본 신문 기사에 기초하여 해산회사(海産會社)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1880년대 후반부터 1890년대 초중반까지 조선 정부가 울릉도 개발과 연해 어업에 관여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근대 인천의 개항과 일본 조계지의 확대과정

        김현철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3 No.1

        근대 일본의 조선 침탈시 어느 항구를 개항시키며, 일본인 거주 지역을 어떻게 설치하였는가의 과정은 한반도에 대한 일본의 주요 이해관계를 반영시키는 과정이었다. 한편, 조선의 입장에서는 각 항구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하면서 주권과 영토를 지키기 위해 대응해간 과정이었다. 근대 인천은 서구 근대 국제법이 적용되고, 조일간 외교협상이 진행되어온 역사적 현장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인천의 개항 과정과 일본 조계지 설치에 관련된 조약들을 분석하여 당시 일본 정부의 조선, 특히 인천에 대한 의도와 정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조선 정부는 인천의 지리적 입지와 군사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일본의 개항 요구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조선 해안을 측량하여 제물포를 지정하고 협상에서 관철시켜 인천이 개항장으로 선정되었다. 1876년 ‘조일수호조규’의 체결과정에서 일본정부는 개항이후 거류지 설치를 염두에 두었으며, 조선 정부도 일본인 거류지의 경계 설정에 대해 우려하였다. 1876년 ‘조일통상장정’의 협상시 개항장 내 일본인의 거류지역과활동범위가 쟁점이 되었다. 1882년 ‘조일수호조규속약’에서는 개항장 내 유보범위가10리에서 100리로 늘어났다. 1883년 ‘인천 일본조계에 관한 조약’에서 외국인 조계지중 일정 부분을 일본인 전관조계지로 설정하였다. 일련의 조약체결과정에서 조선 정부가 인천에 대한 개항장 선정과 개항장 내 일본인들의 거주와 통상과 관련된 일본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은 일본의 압력과 강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진행된 인천 내 일본인 조계지의 범위 확장과 구체적운영방식과 관련된 논의는 1897년 ‘일본 거류지 확장에 관한 주한각국사신 의정서’에 반영되었다. 그 체결 과정은 조선정부의 반대와 관여에 의해 지연되었으며, 청일전쟁 이후 인천 내 조계지를 갖고 있는 각국의 이해관계에 의해 조정되는 양상을 띠게 되었다. When modern Japan invaded Joseon, the decision process of which ports to open and where to establish the Japanese residential areas reflected Japan’s major interests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looks into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y intentions and goals in encroaching Joseon, by analyzing treaties related to the opening process of Inche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apanese Settlement(Jogyeji).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strategic importance, the Korean government expressed its opposition to Japan’s request for opening Incheon Port. In the process of concluding “the Korea-Japan Treaty of Amity” of 1876, the Japanese government considered the establishment of a Japanese settlement after opening the port. During the negotiations of “Regulations for the Conduct of Trade by Japanese Subjects in Corea” in 1876, the range and scope of activities of Japanese residents in the opening port worked as the focal point of disagreement and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Appendix to the Korea-Japan Treaty of Amity” concluded in 1882, the range of Japanese activities in the open port increased from 10Li (4km) to 100Li (40km). The “Japanese Settlement Agreement of Chemulpo” of 1883 established a certain portion of the foreign settlements in Incheon Port as exclusive settlement for Japanese. Afterwards, Japan’s plan to expand the settlement area has been delayed by the opposition and reluctance of the Korean government. After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the Protocol of the Conference of the Foreign Representatives on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Settlement” was concluded in 1897 through adjustments among the countries involved, and the coastal landfill was incorporated into the Japanese settlement.

      • KCI등재

        The Endeavour to Revise Unequal Treaties in East Asia in the Early 1880s

        Seunghoon Han(한승훈)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3 No.1

        이 글은 1880년대 초반 동아시아 불평등조약체제의 변화 가능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880년에 조선은 청국과 일본이 5%의 수입관세율과 관세자주권의 상실로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 사실과 일본이 서구 열강에 조약 개정을 준비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에 조선은 일본 측 초안을 근거로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0%로 정하고, 조선의 관세자주권을 보장하는 조약 초안을 작성하였다. 청국은 조선과 서구 열강의 조약체결을 중재하면서 조약 내에 조선이 10~30%의 수입관세율과 관세자주권을 보장받도록 하였다. 그런데 청국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1882)을 통해서 청국과 일본에서 시행중이었던 5%의 수입관세율을 조선에 적용시켰다. 일본 역시 조일통상장정(1883)에서 8%의 수입관세율을 조선에 적용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선의 관세자주권을 부정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조선과 영국은 제2차 조영조약(1883)에서 주요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7.5%로 정하였다. 제2차 조영조약의 7.5% 관세율은 청국과 일본에서 시행중인 5%보다는 높았다. 하지만 7.5%는 5%의 관세율에 2.5%의 내지통행세가 별도로 부과되었던 청국의 실질관세율과 동일하였다. 비록 일본은 5%의 관세율만 부과하였지만, 개항장 이외 지역에서 서양인들의 상행위를 엄격히 금지하였다. 반면에 제2차 조영조약에서는 대다수 수입품에 대해서 5%와 7.5%의 관세율을 부과하였다. 즉 실질적으로 조선에 적용되었던 평균 관세율은 7% 정도에 불과하였다. 더군다나 조선에서 서양인들은 개항장 이외의 모든 지역에서 자유로운 상행위가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1880년 부터 제기되었던 동아시아 불평등조약체제의 개정 가능성은 조선에 불리하게 귀결되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possible changes in the East Asian unequal treaty system in the early 1880s. In 1880, Korea confirmed that China and Japan had suffered from economic damage due to the loss of 5 percent import duty rate and tariff autonomy, and that Japan was preparing the Western powers to revise treaties. Therefore, Korea drafted a treaty that guaranteed the tariff rate of 10% on major imports and Korea‟s tariff autonomy based on Japan‟s draft of a treaties revision toward Western powers. China, which mediated the settlement of the treaties between Korea and Western powers, secured Korea with an import tariff rate of 10-30 % and tariff autonomy. However, China applied a 5 percent import tariff to Korea, which was in effect in China and Japan, through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bjects (1882). Japan also applied an import tariff of 8 percent and denied Korea‟s tariff autonomy in regulations under which Japanese trade is to be conducted in Korea (1883). In the extension, Korea and Britain set a tariff rate of 7.5 % on major imports in the second Korea-Britain Treaty (1883). The 7.5% tariff was higher than the 5% tariff in China and Japan. However, the 7.5% tariff was the amount of the import duties and transit duties of China combined. Although Japan imposed only a 5% tariff, she strictly prohibited Westerners" trade in areas other than the open port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cond Korea-Britain Treaty, Korea imposed a tariff of 5 % and 7.5 % on most imports. The average tariff applied in Korea was only about 7%. Furthermore, Westerners in Korea were free to trade in all areas as well as open ports. The possibility of revising the East Asian unequal treaty system, which was proposed since 1880, ended up being disadvantageous to Korea.

      • KCI등재

        The Endeavour to Revise Unequal Treaties in East Asia in the Early 1880s

        한승훈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3 No.1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possible changes in the East Asian unequal treaty system in the early 1880s. In 1880, Korea confirmed that China and Japan had suffered from economic damage due to the loss of 5 percent import duty rate and tariff autonomy, and that Japan was preparing the Western powers to revise treaties. Therefore, Korea drafted a treaty that guaranteed the tariff rate of 10% on major imports and Korea‟s tariff autonomy based on Japan‟s draft of a treaties revision toward Western powers. China, which mediated the settlement of the treaties between Korea and Western powers, secured Korea with an import tariff rate of 10-30 % and tariff autonomy. However, China applied a 5 percent import tariff to Korea, which was in effect in China and Japan, through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bjects (1882). Japan also applied an import tariff of 8 percent and denied Korea‟s tariff autonomy in regulations under which Japanese trade is to be conducted in Korea (1883). In the extension, Korea and Britain set a tariff rate of 7.5 % on major imports in the second Korea-Britain Treaty (1883). The 7.5% tariff was higher than the 5% tariff in China and Japan. However, the 7.5% tariff was the amount of the import duties and transit duties of China combined. Although Japan imposed only a 5% tariff, she strictly prohibited Westerners' trade in areas other than the open port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cond Korea-Britain Treaty, Korea imposed a tariff of 5 % and 7.5 % on most imports. The average tariff applied in Korea was only about 7%. Furthermore, Westerners in Korea were free to trade in all areas as well as open ports. The possibility of revising the East Asian unequal treaty system, which was proposed since 1880, ended up being disadvantageous to Korea.

      • KCI등재

        함경도 방곡령 실시와 배상을 둘러싼 중앙 정계와 지역사회의 동향(1889~1893)

        박한민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6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merchants, and investigators dispatched to the region who responded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Grain Export Prohibition Order in Hamgyeong province, and their impact on central politic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ac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merchants over the profits from grain distribution and sales cannot be understood as simply to prevent grain outflow from foreign invasion and to protect the local econom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Korea and Japan government dispatched officials to Hamgyeong province. In Joseon, Lim Eung-ho was dispatched as an inspector. During the investigation, local people were forced to spare themselves and avoid trading grain with Japanese merchants, fearing the possibility of retaliation by incumbent officials related to Cho Byung-sik, the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While the investigator worked in the area, some secretly investigated the irregularities under the direction of Cho. The information they collected was later used to impeach and detain Lim in the mediatio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dispatched Ishii Kikujiro to Wonsan. Ishii interviewed local merchants and investigated the books to see if the amount claimed for damages was appropriate and reasonable. During the investigation, he confirmed that it was somewhat difficult to prove the extent of damage claimed by the Japanese merchants in Wonsan, and instructed them to re-assign and submit the whole amount for compensation. Min Eung-sik was the leading figure in Joseon politics defending Cho. Min was against the compensation for the Grain Export Prohibition Order and led the replacement of minister of Foreign Office. After contacting the Japanese legation officials, Daewongun attempted to redeem his political influence by using stalled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leaking the information within the government to the Japanese side. In the compensation negotiation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Grain Export Prohibition, various local and central forces intervened deeply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greatly affecting the grain trade in the local community. It can be seen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Grain Export Prohibition Order and compensation negotiations were a domestic issue closely linked to political forces in the cabinet. 이 글에서는 함경도 지역의 방곡령 실시와 관련하여 지방관과 상인, 지역에 파견된 관리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대응한 양상과, 이들의 활동이 중앙 정계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곡물 유통과 판매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둘러싸고 지방관과 지역 상인이 보인 반응은 방곡령 실시가 단순히 외세 침탈로부터 곡물 유출을 막고 지역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차원만으로 이해할 수 없다. 함경도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서 조일 양국은 관원을 현지에 보냈다. 조선에서는 임응호를 판핵관으로 파견하였다. 조사 과정에서 지역민들은 함경감사와 관련이 있는 현직 관리들의 보복 가능성을 우려하며 몸을 사리고, 일본 상인과의 곡물 거래를 꺼릴 수밖에 없었다. 판핵관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동안 조병식의 지시를 받아 비위를 몰래 조사한 자들도 있었다. 이들이 수집한 정보는 이후 조정에서 임응호를 탄핵하고 구금시키는데 활용되었다. 외무성에서는 이시이 기쿠지로를 원산에 파견하였다. 그는 현지 상인들과 면담하고 장부를 조사하면서 손해배상으로 청구한 금액이 적정하고 타당한지 조사하였다. 조사 중 원산 재류 일본인들이 주장하는 피해액에 다소 증빙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전체 배상액을 재산정하여 제출하도록 지도하였다. 함경감사 조병식을 비호한 조정의 유력자는 민응식이었다. 민응식은 방곡령에 대한 배상 반대론을 주장하였고, 외아문 독판의 교체를 주도하였다. 일본공사관 측과 접촉한 대원군은 조정 내 분위기와 정보를 일본 측에 흘리면서 교착상태에 빠진 조일 간 교섭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만회해 보려 시도하였다. 함경도의 방곡 시행과 배상 교섭에는 지방과 중앙의 여러 세력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개입하면서 지역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방곡령 시행과 배상 교섭은 조정 내 정치세력과 긴밀하게 연동된 내정 문제였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