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통의 분배-조세희의 방법에 대하여-

        차승기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0 No.68

        이 논문은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시간 여행,침묵의 뿌리로 이어진조세희의 주요 작업 전체에 관철되고 있는 정신과 실천의 개념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 아래에서, 조세희가 세계와 만나고세계를 인식하고 세계에 발화해 온 ‘방법’의 윤곽을 포착하기 위해, 그의 실험을‘르포적 정신’, ‘지구적 사고’, ‘파편적 실천’, ‘도덕적 목적’이라는 네 가지 차원에서접근한다. 조세희는 독자에게 연민과 분노의 공적 감정을 전달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책임 연관’을 각성하게 하고자 하는 일관된 ‘르포적 정신’을 견지하고 있었다. 또한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에서 큰 영감을 받은 조세희는,그 중에서도 ‘어른과 아이의 단절적 세계상’과 지구 전체를 조망하는 ‘지구적 사고’를 적용해 적대성으로가득찬 세계를 단순명쾌하게 제시하고자 했다.특히 ‘지구적 사고’는 우리 삶의 생태적 연결에 대한 조세희의 통찰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세 번째,이른바 ‘스타카토식 문체’와 ‘몽타주적 구성’으로 특징적인 조세희의 텍스트는 예술적 아방가르드가 ‘파편적 실천’에 부여했던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마지막으로,조세희의 작업전체는 강력한 ‘도덕적 목적’으로 수렴된다. 그는 현실에서 ‘온전한 사람’과 ‘불구자’의 위계를 정반대의 도덕적 위계로 극복하려 한다.이 시도는 자칫 도덕주의적환원으로 흐를 수 있지만,조세희는 그보다 타자의 고통에 응답하는 정동적 실천에 더 주목한다 This paper aims to grasp and understand the concepts of spirit and practice that permeate the major works of author Cho Se-hee, as seen in The Dwarf (1978), Time Travel (1983), and Root of Silence (1985).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paper approaches Cho Se-hee's experiments from four dimensions: “reportage spirit,” “global thinking,” “fragmentary practice,” and “moral purpose,” in order to capture the outline of his “method” of engaging with, perceiving, and expressing the world. First, Cho Se-hee consistently maintained a “reportage spirit” aimed at awakening readers to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s others by conveying public emotions of compassion and anger. Second, he was greatly inspired by Antoine de Saint-Exupéry’s The Little Prince, particularly its depiction of the “disjointed worlds of adults and children” and its “global thinking” that views the entire planet. Cho Se-hee adopted this perspective to present a world filled with hostility in a clear and straightforward manner. This “global thinking” especially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his insights into the ecological interconnectedness of our lives. Third, Cho Se-hee’s texts, characterized by a so-called “staccato style” and “montage-like composition,” share the value that artistic avant-garde placed on “fragmentary practice.” Finally, all of Cho Se-hee's works converge on a strong “moral purpose.” He seeks to overcome the hierarchy between “the able-bodied” and “the crippled” in reality by reversing it into a moral hierarchy. While this attempt could potentially lead to moralistic reduction, Cho Se-hee focuses more on affective practices that respond to the suffering of others rather than on moralism itself.

      • KCI등재

        조세희 문학을 통해 본 1970년대 산업사회와 ‘희망’의 문제

        정주아(Joung, Ju-a) 한국근대문학회 201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9 No.2

        이 글은 1970년대 문단의 총아로 등장했던 조세희의 작품 전반을 대상으로, 급속한 산업화의 흐름에 역행하여 도덕성의 회복과 분배 정의의 실현 등 공동체적 ‘희망’을 기획하는 일의 지난함이 조세희의 소설쓰기를 파국으로 몰고 가는 과정에 대해 논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강력한 도덕주의적 요청 이면에 존재하는 현실적 딜레마와 작가적 혼돈의 지점을 살폈다. 우선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재독을 통해, 생존투쟁에 몰두하는 군중 앞에서 도덕성을 주장하거나, 인류 문명사를 지탱해온 산업화의 비인간적 발전 방향에 항의하거나 하는 서술 내용과는 별도로 텍스트 내부에서 무기력함이나 불안함 등이 표출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조세희의 문학에서 사회 중산층으로 자리 잡은 엘리트가 비판 받는 지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도덕적인 연민을 지닌 지식인 엘리트일수록 그의 소설에서는 비난의 대상이 된다. 이는 세속적인 자기이익의 실현에 몰두하면서도, 도덕적인 연민을 도리어 자기 결백성을 입증하기 위한 근거로서 소비해버리는 행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중산층을 향한 작가의 비판을, 칸트 도덕론의 관점을 차용하여 ‘심정적 전도’라는 개념을 통해 살폈다. 아울러 조세희의 문학의 한계로 비판되곤 하는 선악의 이분법은, 비단 제한적인 현실인식의 결과라 비판될 것이 아니며, 오히려 이분법으로 규정하거나 단죄할 수 없는 현실적 모순을 너무 명료하게 인식한 결과 그 모순 앞에서 주저할 수밖에 없는 태도를 청산하기 위해 요청된 도덕주의적 서술 전략으로 보아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산업사회의 ‘닫힌 프레임’ 속에서 희망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책임감은 결국 조세희의 소설 쓰기를 파행으로 이끈다. 이 글에서는 그의 후기 작품이 도덕성 회복을 향한 강박에 시달린 나머지 사실적 재현의 수준을 벗어나, ‘재현’이 소거된 르포르타주나 ‘사실’이 소거된 신학적 서사로 귀결되었음을 살폈다. 조세희의 문학적 행보는 ‘산업화의 첫 세대’라는 자의식 속에서 공동체의 미래에 대해 고민했던 작가로서 감당해야만 했던 현실적 고투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Based on the overall works of Cho Sehee, who rose in the literary circle as a gifted writer in the 1970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how the nearly impossible task of going against the fast trend of industrialization and planning for communal “hope,” including the restoration of morality and the realization of distributive justice, led to the end of Cho Sehee’s career as a writer of fiction. For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this study initially examined the dilemma behind the strong demand for morality and the point of confusion for the writer. First of all, this study reread the novel The Dwarf and found that aside the fact that while the descriptions in the novel overtly calls for morality in front of the crowd solely focuses on the struggle for survival or protests against the inhuman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which has so far sustained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the text internally expresses emotions such as lethargy or anxiety. This study further examines the passages in Cho Sehee’s novels where middle-class elites are criticized. In Cho’s novels, the elites who are more sympathetic towards the socially vulnerable are more likely to become targets of criticism, since they are hypocrites who do not give up on realizing their secular self-interests and use the sympathy towards the weak as an evidence of their morality. Drawing from Kantian ethics,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author’s criticism of the middle class with respect to the concept of “the perversity of the heart.” Moreover, this study posited that the dichotomy of the good and evil, which i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to Cho Sehee’s literature, was not the outcome of having a limited perception towards reality, but a result of knowing so well about the contradiction in actual life that could not be defined as dichotomy nor be a reason for punishment. Rather,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moral narrative strategy used to free oneself from hesitating in front of a contradiction in reality. However, the responsibility of having to create hope within the “closed framework” of the industrial society leads Cho Sehee’s literary career to a dead end. This study found that his later works displayed signs of an obsession with the restoration of morality that Cho departed from realistic representation to write reportages without “representation” or theologically imaginative works with no “reality.” Cho Sehee’s literary footsteps reflect his real struggle as a writer who considered himself “the first generation of industrialization” and agonized over the future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소외양상 고찰

        배경열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7

        Literature of one era is not natural product created in a flow of time, but a document of struggles in which an author would give an insight into social issues of his contemporary era in acute literary pursuit of reality and thereby communicate them to reader. Author Cho Sae-hee defines 1970's as an era in which ‘evil' was boldly dis-guised as ‘good.' In those days, South Koreans enjoyed economic abundance owing to rapid industrial growth, but were subject to grim control of military dictatorship in political aspect. Besides, good values were reversed with evil ones due to regional and occupational in-equality and disparity. It was an era in which interclass conflicts and confrontation went worse under the influence of scorn and oppression in both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 For this period, author Cho suggested that social members suffer from agony and irrationality due to absurdity of their contemporary era, so it is required to publicly discuss wrong circumstances and negative realities inherent in the era in the interest of seeking possible solutions. The consecutive publications of “The Ball Shot by a Midget”, a series novel of Cho, in mid and late 1970’s are unrelated to realities of the time. And it is ‘fantasy' that this series work suggests so as to overcome those realities. In general, fantasy is unreal world, but paradoxically, it allows us to consider what the reality is all about and reveal the nitty gritty of realty. That is why the fantasy in “The Ball Shot by Midget” makes realities hidden in 1970’s shown unfamiliar in its external aspect, while making us recognize solid aspects of reality and revealing modified appearance of oppressed desires. So the fantasy does not work independently from realities in 1970’s but interacts with the latter. Internally, the fantasy emphasizes reality in the miserable life of midget generation and class-oriented group characters are based on realities, which indicates that realty and fantasy coexists with each other in one framework, not confronts each other as independent element. The alienation-phenomenon in Cho's novel works is different from absurd delusion or imagination far from realities, and is also characterized by stepping up awareness of realities in 1970's. 조세희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비판했던 것처럼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반복해서 다가오는 아픔 속에서 그는 현실의 방향을 잃어버리고 만다. 조세희 소설의 특징 중 하나인 이원론은 소외의식에 기반을 두는 2차원적인 세계이다. 이 세계는 의식과 사물, 세계와 인간, 안과 겉, 현실과 이상,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정상인과 비정상인이 존재하는 현실의 모습을 극단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이원론적 대립이 더 심오한 방향으로 진전되지 못하고, 근로자의 체험이 결여되었다거나 노동자의 생생한 육성이 안 들린다든가, 과도한 추상화로 인해 작위적인 구성으로 문학적 감상주의를 낳을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물론 이러한 비판에도 일리가 있지만 그보다 작가가 3차원의 현실세계에서 의도적으로 2차원적인 대립 구도를 통해서 난장이․꼽추․앉은뱅이․난장이 가족 등 사회․경제적인 여건 면에서 (-)징표를 가진 자들이 현실의 한 차원을 빼앗겨 버렸기에 단조롭고 평면적인 소외된 삶 속에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처지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작가는 부조리한 현실을 ‘뫼비우스의 띠’로 보았고, 이를 입체화시킨 ‘클라인 씨의 병’을 제시하였다. 클라인 씨의 병에서처럼 ‘갇혔다는’ 자체가 착각임에도 불구하고 ‘갇혀있다’고 느낀다면 현실의 의미는 자명해지는 것이다. 우리의 현실 또한 하나의 착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상상의 세계에서만 존재 가능한 세계’가 실재하는 것처럼 현실은 비록 착각, 허상이지만 역시 존재하는 것이다. 바로 착각뿐인 이 현실에서 ‘살기가 너무 힘들다’고 느끼기에 ‘아름답고 순수한 세계’를 더욱 갈구하게 되는 것인데 상상 속에서 존재할 법한 기이한 현실이 엄연히 존재하는 한 난장이가 소망한 또 하나의 상상 속의 세상이 존재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는 것이다. 즉, 뫼비우스의 띠나 클라인 씨의 병과 같은 착각인 듯한 현상이 실재하는 것처럼, 고통스러운 현실에 반하는 희망과 사랑이 넘치는 세상도 지금은 허상에 불과해 보이지만 언젠가는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는 작가의 논리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작가의 인식이 마냥 우화적이고 환상적이라고만 할 수 없는 이유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구체적인 삶의 무게도 지니고 있음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사물을 옳게 이해할 줄 안다는 것은 보이는 것만 보지 말며, 보 이지 않는 것도 존재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어느 것도 홀로 서 있는 것이 아니라 의지하고 있는 것이며,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점이다. 그러기에 시(是)와 비(非), 선과 악, 안과 밖을 구분하는 인간의 대립적 인식을 작가는 경계하고 있다. ‘난장이’와 ‘거인’은 서로를 통해서 존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해가 있으므로 밤이 아니고, 달이 있으므로 낮이 아닌 것처럼. 조세희는 이를 아예 붕괴하고 싶었던 것이다. 대립된 세계가 아닌 사랑이라는 이름의 희망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세계를 조세희는 간절히 꿈꾸었던 것이다. 요컨대 조세희는 가진 자와 못 가진 자가 공간의 안과 밖처럼 분리되어 그 사이에 아무런 소통도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을 일순간에 초극하고 싶었기에, 비현실적으로 보이지만 실재하는 개념인 안과 밖의 구분 없음을 ‘뫼비우스의 띠’와 ‘클라인 씨의 병’을 보여줌으로써 계...

      • KCI등재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소외양상 연구

        정규희(Jeong, Kyu-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2 문화와 융합 Vol.34 No.-

        이 논문은 조세희의 연작소설집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소외양상을 마르크스 소외이론을 이용해 분석한 후 이를 통해 이 작품의 문학적 가치와 의의를 구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마르크스는 노동을 인간적인 생명활동 즉,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파악한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노동은 인간적 본질을 상실하고 소외되기 시작하는데, 그 구체적인 양상을 노동생산물로부터의 소외, 생산행위, 곧 생산 활동으로부터의 소외, 인간으로부터의 인간의 소외, 유적 존재로부터의 소외 4가지로 분류한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1970년대 산업화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그로 인한 도시 빈민 노동자의 비참한 모습과 인간성 파괴를 마르크스의 소외양상을 통해서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프로소설을 비롯해 한국의 민중문학과 노동문학 계열의 소설들은 마르크스의 인간 소외 양상을 통해 자본가에 의한 노동자의 수탈이라는 현실고발에 치중한 나머지 문학적 경직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에 비해,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인간 소외양상을 통해 사회구조적 모순이 인간성을 어떻게 파괴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문학적 성찰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문학의 사회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이루었다. 여기에 조세희 소설의 가치와 의의가 있으며, 조세희 소설의 이와 같은 성과는 한국 리얼리즘 문학의 예술성 확보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s of alienation implied in Cho Se Hee’s a series novel,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by using Marx’s theory, ultimately determining the aesthetic value of the novel. According to Marx, labor is a life activity based on humanity or, in other words, the means of developing human nature that people inherently have. But as capitalism become a social mainstream, labor began to lose humanity and cause isolation which is classified into four, alienation from labor products, alienation from production behaviors or activity, alienation from species being and alienation from human being. So far, Korean realistic novels have mainly focused on two of the forms of alienation suggested by Marx, that is, alienation from labor products and from human being, in order to reveal and criticize social absurdities. But those novels have been less successful in representing the aesthetics of literature because putting too much emphasis on social consciousness, though they have played the social roles of literature enough. The above series novel has social consciousness and aesthetics naturally balanced with each other by representing alienation from species being literally. In literature, purity and engagement should be not confrontational with each other, but mutually complementary, contributing to forming the very sound basis of literature. Cho Se Hee’s novel as mentioned above shows a successful balance between purity and engagement, in which the aesthetic value and significance of that novel lie.

      • KCI등재후보

        소설이 ‘가벼움’을 획득하는 두 가지 방식 - 조세희와 윤대녕의 문체를 중심으로-

        김지영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7 No.-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ain two different ways for a novel to obtain 'lightness,' by analyzing the two representative novels written in the 1970s and the 1990s. The materials I analyzed here were The Ball Shot By A Midget written by Jo Se'hui who was the representative author of the 1970s and The Sweet Fish Fishing Report written by Yoon Daenyeong, who was another representative author of the 1990s. To discuss these novels, I applied the concept of 'lightness' of Italo Calvino to my analysis on these novels. Lightness was the first value of the 5 values for the next millenium, which Calvino brought forward in the un-finished book, Six Memos for the Next Millenium. According to Calvino, lightness was not only the value produced by the desire to deconstruct the weightiness of the reality, but also a kind of literary method to represent the heavy reality through the transparent mirror of literature in weightless way. Both of Jo and Yoon started their novel on the basis of realizing the weightiness of the reality. However, they adapted distinctive and different ways to get lightness while they reproduce the reality in their literary works. In this paper, I tried figuring ou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reality they gave attentions, and the different ways they reacted to the recognized realities, and the specific methods they adapted to embody the world they aspired to, in the perspective of getting lightness. 이 글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과 윤대녕의 『은어낚시통신』을 대상으로 하여 두 작가가 가벼움을 지향하는 문학적 방식의 차이를 고찰했다. 실존적 삶의 무게에 대한 반동으로서 ‘가벼움’은 무거운 현실의 관계망을 의심하고, 새로운 각도에서 현실을 조망하여 투명한 언어구조 위에 그것을 재조합함으로써 무거운 현실의 육중한 무게를 해체하고자 하는 문학적 방법의 하나이다. 총체적인 삶의 대립구도에 주목한 조세희는 대립적 세계인식 위에서 힘의 균형과 자유의 세계를 지향한다. 이 세계에 대한 실천적인 소망들을 총체적인 이항대립의 관계망을 통해 ‘수정’처럼 치밀하게 조각된 세계인식으로 주조해낸 조세희의 소설은 고도로 응축되고 간소화된 문장으로 균제된 의미를 실어나르는 언어 형식을 통해 언어의 무게를 탈각하는 자명성을 획득한다. 힘의 균형과 사랑을 희구하는 인물들의 지향성, 수정과 같이 균제된 세계 인식과 문장들이 조세희 소설에 가벼움을 부여한다면, 윤대녕 소설의 가벼움은 무게 없는 심리적 과정이 반복 기술을 통해 형태지어짐으로써 발생하는 가벼움이다. 『은어낚시통신』의 단편들은 현실에서 이탈한 또 하나의 차원으로 주인공들을 이끄는 세계를 상정하고 주인공으로 하여금 그러한 세계를 찾아 움직이게 함으로써 가벼움을 획득한다. 물화된 세계의 무거운 일상을 초월한 이 시원의 세계를 향한 심리적 동요, 눈에 보이지 않고 쉽게 감지할 수도 없는 섬세하고 미묘한 느낌을 다양한 정황과 감각에 대한 반복 기술을 통해 전경화하면서 현실의 무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윤대녕 소설의 문체는 ‘불꽃’과 같은 정확성의 형태로 가벼움에 다가가는 형식이다. 수정과 같이 절제되고 고도로 압축, 상징화된 조세희의 문장이 조각처럼 균제된 세계인식과 균형 회복에 대한 소망에 대응하는 문학적 기술의 방법이라면, 불꽃과 같이 반복하는 윤대녕의 문장들은 물화된 일상에 대한 탈출의지의 형상이다. 현실 대항과 현실 이탈의 대조적 욕망을 드러내는 세계인식 위에서 두 작가는 이처럼 대조적인 문체와 재현 방식을 채택하지만, 이 대조적인 문학적 형상은 가벼움을 희구한다는 점에서 다시 만난다.

      • KCI등재

        조세희 중⋅단편소설에 나타나는 주거 공간 연구

        모희준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2

        1970년대는 급격한 주거공간의 변화가 이루어진 시기이다. 특히 ‘아파트’의 등장은 당시 우리나라의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을 바꿔놓기에 충분했다. 기존의 ‘집단거주’형식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독립적인 거주공간으로 아파트는 탈바꿈했다. 아파트는 건물들이 군집해 있는 형태였지만, 생활방식 자체는 독립적인 주거형태이다. 1970년을 기점으로 아파트는 이러한 주변의 환경에 방해받지 않는 개인적인 삶을 보장받는 형태로 발전해왔다. 아파트의 발전은 곧 중산층의 등장 및 발전과 그 궤를 함께 했다. 중산층은 사회적으로 경계에 머물러 있는 계층이다. 그들은 빈민층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상류층도 아니었다. 어떤 형태로든 돈을 벌지만 빈민층의 노동과는 다른 형식이다. 그런 의미에서 1970년대 주거공간은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지니고 있었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 1970년대 노동자들의 노동문제, 그리고 경제적 불평등을 다룬 본격적인 작품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한국에서 산업화시대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1970년대에 등장한 조세희의 작품들은 동 시대를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삶, 그리고 이러한 노동자들의 경제적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공장을 운영하는 대기업 일가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묘사하였다. 조세희의 소설 속에는 철거를 앞둔 마을, 공장, 아파트, 부(富)촌, 법원 등의 공간이 등장한다. 이러한 공간은 김우창이 이야기하는 ‘도덕과 생존이 일치하거나, 혹은 일치하지 않는 곳’의 일부분이다. 중ㆍ단편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재개발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빈민층과, 그 이후 지어질, 아파트라는 또 다른 자본주의 적 공간의 탄생을 예견하고 있다. 조세희의 서사는 이와 같은 공간들, 그러니까 무너져버린 마을, 그리고 그 자리에 다시 재생(再生)될 또 다른 마을, 원래부터 존재하고 있던 부유한 마을에 사는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서 무너진, 혹은 철거된 주거공간이 작품집 『난장이 마을의 유리병정』(1979)에 이르러 ‘안다미로 아파트’라는 공간으로 구체화 되며, 「시간여행」(1983)에서는 중산층 계급의 대표적인 주거공간으로 고정된 ‘아파트’로 고정된다. 이 연구는 기존의 조세희 연구의 기반이 되었던 노동문제, 경제 불평등, 이로 인해 소외된 인물들에 대한 논의에 더해 공간,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주거 공간’에 천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조세희 작품의 일면을 다시 살펴보고, 우리가 산업화시대라고 부르던 1970년대가 남긴 잔재들이 현재의 지점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 KCI등재

        시각체험(視覺體驗)과 6 ·70년대 도시빈민(都市貧民) 소설(小說)의 새로운 형식 -박태순(朴泰洵)과 조세희(趙世熙) 소설을 중심으로-

        김주현 ( Kim Ju-hy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2

        이 논문은 6·70년대 대표적인 都市貧民 小說인 朴泰洵의 ‘외촌동 사람들’ 연작과 趙世熙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연작의 독특한 미적 성취의 要因을 視覺體驗으로 파악했다. 視覺體驗은 크게 두 방향으로 전개되는데, 그 첫째는 르포의 영향을 받은 소설 쓰기이다. 이것은 카메라의 告發力을 활용해 抵抗의 敍事를 세워나가나 이 과정에서 도시 공간을 逃走하는 說話的 인물을 강조함으로써 都市貧民의 리얼리티는 약화된다. 두 번째 방법은 르포의 技法을 직접 소설에 가져오는 것이다. 카메라 시점의 다양성에 相應하는 連作 형식은 焦點 話者가 순환하며 새로운 중심을 형성한다. 이것은 또한 異質的 敍事 主體의 竝置와 콜라쥬, 연극 대사 형식 삽입과 같은 서사의 해체로 나타난다. 이 시기 르포의 역할은 二重的이다. 르포는 抵抗의 敍事를 세우는 데 기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도시빈민의 리얼리티를 모더니즘의 차원에서 形式 實驗으로 밀고 나아갔다. The two representative fictions of the poor in a city in the 6070's, the series of ‘The People in Waechon-Dong’ by Pak, Tae-soon and the series of ‘A Small Ball Shot by a Dwarf’ by Cho, Sae-hee, show a distinctive aesthetic achievement that mingles realism and modernism. The thesis presents an assumption that a visual experience, permeating into the daily life of the 60~70's, is a social cause for the compound. The first direction is to a fiction writing affected by reportage, that is to say, a way of building a structure of resisting narration which employs an accusing capability of a camera. The strong narration- oriented series of Waechon-Dong is based on the way. However, in this process, the fiction puts too much emphasis on a narrative figure who escapes from the city, and that makes the fiction weaken the reality of the urban poor. Also, in the process, Waechon-Dong becomes an ideological base that assures the inclination of the narrative subject for the people. The second direction is to bring the technique of reportage into the fiction directly, which is used by Cho, Sae-hee. The form of the serie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points of view of the camera, creates the fiction where each new rotating narrator forms a new center of the fiction. The usage of parallelism of the different narrative subjects, collage, and insertion of theatrical dialogue is one of important reasons why Cho, Sae-hee dissolved the narration and threw himself into the reality. The reportage of the times is a kind of movement writing and performs a double role. On the one hand, it contributes to helping fictions build a structure of resisting narration. On the other, it pushes reality, coming through the gap of narration, into a form experience in the dimension of modernism.

      • KCI등재

        노동(자)의 재현과 고통의 재소유- 조세희의『침묵의 뿌리』에 담긴 ‘사북사건’을 중심으로

        서은주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new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JoSe-hui's “Root of the Silence” within the genealogy of 1980s proletarian(labor) literature/art and labor discourse. The work, penned by anintellectual writer, is based on a photograph. Its complex text,interspersing fiction with non-fiction, was pushed back from theforeground of the impending “movement” by 1980s proletarian literature(theory) emphasizing problems of identity of the “subject of creation” ascharacterized by “laborer's writings” (nodongja geulsseugi) and class partisanshipemerging in the late 1970s. In so far as “Root of the Silence” testified to the facts of the “Sabuk Indicent” (an incident which ruptured the state's political authority) in a period of harshmedia control, it stands as the most radical work of the 1980s. Jo Se-huiproblematized the inhumane, ecologically hazardous aspects of capitalistlab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west rung on the labor hierarchyladder: the coal miners. In representing the lives of the miners engulfed inpoor working conditions, intensive labor, and destitution, Jo hoped theirpain would be “re-claimed” by the public (masses). In testifying to the “pain of the sufferers”, Jo hoped a sense of guilt would be instilled in the public. But when he represented the workers' poverty-rooted anguish, what resulted instead was a fundamental aversion to that labor. When he depicted the laborers' lives saddled with miserable working conditions and poverty, they were not reclaimed but insteadshunned and ruled out. The emphasis placed on “proletarian awakening” and “class solidarity” as proletarian literature's so-called proper mainstream was not without relation to this “dilemma of representation”. As a result, the intended goal of “Root of the Silence”, namely, the “reclaiming of pain”, was turned on its ear, leaving the fundamental question, “Who will claim the pain of the miners if it has been rejected by the nation-state, by the people, and by ideology?” 이 글은 일차적으로 1980년대 노동문학․예술 혹은 노동담론의 계보에서 조세희의『침묵의 뿌리』가 지니는 의미를 재조명하자는 데 있다. 사진을 중심으로 픽션․논픽션이 혼재된 지식인 작가의 이 난해한 텍스트는 1970년대 후반부터 부상한 노동자 글쓰기나, 계급적 당파성에 입각해 창작주체의 신원문제를 강조한 1980년대 노동문학(론)에 밀려 절박한 ‘운동’의 장에서 배제되어왔다. 그러나 국가의 통치성에 균열을 가한 ‘사북사건’의 진상을 엄혹한 언론통제 시기에 증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침묵의 뿌리』는 1980년대 다른 어떤 텍스트보다 급진적이다. 특히 조세희는노동의 위계화에서 가장 밑바닥에 위치하는 탄광노동(자)을 대상으로 자본주의 노동의 비인간적, 반생태적 속성을 문제 삼았다. 그는 열악한 환경과 고강도의 노동에도 불구하고 빈곤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탄광노동(자)의 삶을 재현함으로써 그들의 고통이 대중들에게 ‘재소유’되기를 희망했다. 그런데『침묵의 뿌리』에서 조세희가 증언하고자 한 것은 ‘어려운 사람들의 고통’이며, 그것을 통해 그가 기대한 것은 대중들의 죄의식이지만,빈곤과 결부된 노동(자)의 고통은 재현되면 될수록 어떤 특정한 노동에대한 근본적인 거부감으로 이어진다. 열악한 노동과 빈곤에 시달리는 노동자의 삶은 재현되면 될수록 기피되고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소위 노동문학의 본령이 노동자들의 각성과 그들의 계급적 연대에 초점을 두는 것도 노동의 재현이 처한 딜레마와 무관하지 않다. 결과적으로『침묵의 뿌리』가 의도한 ‘고통의 재소유’는 국민국가의 틀로도, 민족이나 이념으로도 구제하지 못하는 광의의 ‘막장’노동을 과연 누구에게 맡길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차원의 질문으로 전이된다.

      • KCI등재

        1970년대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탄생과 과학기술의 문제 - 조세희 작품을 중심으로 -

        최병구 ( Choi Byoung-goo )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6

        이 글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1978), 『시간여행』(1983), 『침묵의 뿌리』(1985)에 나타난 호모 이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 탄생의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1970년대 도시 재개발 사업을 배경으로 선/악의 순환구조에 경제 문제가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살펴본 작품이다. 노동자 계급을 ‘선’으로 자본가 계급을 ‘악’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선/악의 경계에 대한 성찰과 정동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맥락은 『시간여행』에서 ‘신애’를 통해 더욱 구체화된다. 한편 조세희는 과학과 문학의 통합에 대한 견해를 지속적으로 제출했으며, 기술의 속도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침묵의 뿌리』에서 사진기를 매개로 한 현실 개입으로 전환되었다. 작가는 기술문명의 도구인 사진기로 속도에 뒤처진 현장을 찍어 공유함으로써 현실에 개입하고자 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경제와 기술이 교육, 생태, 정치 등 문화 전반에 걸쳐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는 점이 중요한 성과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of Homo economicus in “The small ball which a pygmy shot up (1978)”, “Time Travel (1983)” and “The Root of Silence (1985)”. “The small ball which a pygmy shot up” investigated how economic problems interfered with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good / evil in 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 in 1970s. It is meaningful not to define the working class as the good and the capitalist class as the evil but to raise the problem of reflection and affection on the boundary of good / evil. This context is further elaborated through 'Shin-Ae' in “Time Travel”. On the other hand, Jho Se-Hee continuously reported his views on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literature, and also made it clear that he was uncomfortable with the speed of technology. It was transformed to reality intervention through camera in “The Root of Silence”. The writer sought to intervene by shooting and sharing the scenery behind the speed using a camera which is a tool of technical civilization. In the process, it was a significant achievement that the economy and technology spread throughout culture including education, ecology, and politics.

      • KCI등재

        1970년대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탄생과 과학기술의 문제 – 조세희 작품을 중심으로 -

        최병구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6

        이 글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1978), 『시간여행』(1983), 『침묵의 뿌리』(1985)에 나타난 호모 이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 탄생의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1970년대 도시 재개발 사업을 배경으로 선/악의 순환구조에 경제 문제가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살펴본 작품이다. 노동자 계급을 ‘선’으로 자본가 계급을 ‘악’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선/악의 경계에 대한 성찰과 정동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맥락은 『시간여행』에서 ‘신애’를 통해 더욱 구체화된다. 한편 조세희는 과학과 문학의 통합에 대한 견해를 지속적으로 제출했으며, 기술의 속도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침묵의 뿌리』에서 사진기를 매개로 한 현실 개입으로 전환되었다. 작가는 기술문명의 도구인 사진기로 속도에 뒤처진 현장을 찍어 공유함으로써 현실에 개입하고자 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경제와 기술이 교육, 생태, 정치 등 문화 전반에 걸쳐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는 점이 중요한 성과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of Homo economicus in “The small ball which a pygmy shot up (1978)”, “Time Travel (1983)” and “The Root of Silence (1985)”. “The small ball which a pygmy shot up” investigated how economic problems interfered with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good / evil in 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 in 1970s. It is meaningful not to define the working class as the good and the capitalist class as the evil but to raise the problem of reflection and affection on the boundary of good / evil. This context is further elaborated through 'Shin-Ae' in “Time Travel”. On the other hand, Jho Se-Hee continuously reported his views on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literature, and also made it clear that he was uncomfortable with the speed of technology. It was transformed to reality intervention through camera in “The Root of Silence”. The writer sought to intervene by shooting and sharing the scenery behind the speed using a camera which is a tool of technical civilization. In the process, it was a significant achievement that the economy and technology spread throughout culture including education, ecology, and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