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세감면법령의 개정과 납세자의 신뢰보호

        김완석,정지선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학 연구 Vol.37 No.2

        Tax exemption regulations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efficient execution of national policies in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Such tax exemption regulations serve as devices to promote the desirable behavior of taxpayers needed for the state to efficiently achieve national policies. But there are many instances where existing tax exemption regulations are deleted or the conditions are limit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national policies or in realistic situations, thereby reducing the target for application or tax exemption levels, therefore revising tax laws in a way that it puts taxpayers at disadvantages. In this case, there can be taxpayers that have implemented stages that cannot be canceled or withdrawn or be restored such engaging in projects promoted by the state, making investments, receiving construction permits or commencing construction, hiring manpower, etc. during times when former tax laws were implemented with expectations that former tax laws would apply. In this case, though taxation conditions or exemption conditions were not completed at the time of implementing former tax laws, if actions that make up the taxation conditions or exemption conditions were implemented at the time of executing former tax laws, and applying revised tax laws simply according to the time that the taxation or exemption conditions were satisfied, it would significantly infringer upon the trusted interests of taxpayers who participated in behaviors promoted by the state with anticipations on tax exemptions. Therefore, when revising exemption regulations that guarantee existe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rescribed by the current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it should guarantee trusted interest that has value for protecting taxpayers that engaged in such causal behavior. Furthermore, as the protection of trust by taxpayers should be given priority in the state’s legal revision interests by principle, it should have transitional provisions that allow continued application of former tax laws for facts that occurred in the past. When making revisions that place taxpayers at a disadvantage compared to the exemption regulations of former tax laws when the taxpayer engages in causal behavior directly related to satisfying taxation conditions and placing individual transition regulations in bylaws, the taxation regulations of former tax law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regulations. And if separate transition regulations are not set aside in the bylaws of revised tax laws and only regular transition regulations are provided, it should have the existence of trusted interests with protection values, explication that tax exemptions will be given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former tax laws, and have all the conditions such as executing causal behavior based on trust during the execution period of the former tax law. Moreover, even if regular transition regulations are not provided in the revised tax laws that are disadvantageous, i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trusted interests with protection values of taxpayers should be safeguarded when applying exemption regulations according to former tax laws. 조세특례제한법이나 지방세특례제한법 등에서는 국가정책의 효율적인 수행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조세감면규정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조세감면규정은 국가가 국가정책의 효율적인 달성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납세자의 바람직한 행위를 유도하기 위한 유인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국가정책의 변경이나 현실상황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조세감면규정을 삭제하거나 그 적용요건을 제한함으로써 적용대상을 축소하거나 조세감면의 수준을 축소하는 등 납세자에게 불리하게 조세법령을 개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조세법령의 적용을 기대하고 구 조세법령의 시행기간 중에 국가가 유도하는 사업의 착수, 투자의 실행, 건축허가 또는 건축의 착공, 인력의 고용 등과 같이 그 취소나 철회가 불가능하거나 원상회복이 어려운 단계의 행위를 실행한 납세자가 있을 수 있다. 위의 경우 구 조세법령의 시행 당시에는 아직 과세요건이나 감면요건이 완성되지 않았지만 그 과세요건이나 감면요건을 이루는 원인행위를 구 조세법령의 시행 당시에 실행한 경우에, 단순히 과세요건이나 감면요건이 충족된 시기의 개정된 조세법령을 적용하여 과세를 행하게 되면 조세감면을 기대하고 국가가 유도하는 원인행위에 참여한 납세자의 신뢰이익을 현저하게 침해하게 된다. 따라서 현행 조세특례제한법 또는 지방세특례제한법 등에서 정하고 있는 일정기간 존속이 보장된 감면규정을 개정할 때에는 그 원인행위를 실행한 납세자의 보호가치가 있는 신뢰이익이 인정되어야 하고, 원칙적으로 납세자의 신뢰보호가 국가의 법률개정이익에 우선하므로, 과거에 발생한 사실관계에 대하여 구 조세법령을 계속 적용하도록 하는 경과규정을 두어야 한다. 납세자가 과세요건의 충족과 직접 관련되는 원인행위를 할 당시의 구 조세법령상의 감면규정보다 불리하게 개정하면서 개정된 조세법령의 부칙에서 개별적 경과규정을 두고 있다면 그 경과규정에 따라 구 조세법령상의 감면규정을 적용한다. 그리고 개정된 조세법령의 부칙에서 개별적 경과규정을 두지 않고 일반적 경과규정만을 두고 있다면 보호가치 있는 신뢰이익의 존재, 구 조세법령상 장래의 일정기간 동안 조세감면을 부여한다는 명시적인 내용, 구 조세법령의 시행기간 중 신뢰에 터 잡은 원인행위의 실행과 같은 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에 한하여 납세자의 신뢰보호를 위하여 구 조세법령상의 감면규정을 적용하여야 한다. 나아가서 설령 불리하게 개정된 조세법령의 부칙에 일반적 경과규정을 두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위의 적용요건들을 충족한다면 납세자의 보호가치 있는 신뢰이익을 보호하여 구 조세법령상의 감면규정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세감면규모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전병욱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와 회계저널 Vol.10 No.4

        Recent controversy betwee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OSF” hereafter) and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on how to quantify the magnitude of tax credits in the government’s 2008 tax reform plan eloquently shows how the plan’s deteriorating effect on the government’s finance could be understated to taxpayers via inconsistent and incorrect measurement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plans to relieve such problem to help clearly disclose the magnitude of tax credits as follows. First, besides estimated total amount of tax credits, estimated tax credits ratio, the ratio of reduced tax revenues via planned tax credits to utmost future tax revenues in case of no tax credit, should also be presented by the government when announcing the tax reform plan. Second, realized tax credits ratio of corporate income tax in the “Annual Tax Expenditure Budget Report” by MOSF should clearly divide tax credits applied before tax base from those applied after tax base for correct calculation. Last, estimated and realized tax credits ratio of corporate income tax should be decomposed into assumed utmost tax credits ratio under the alternative minimum tax and degree of tax credits to analyze how it is affected by annual changes in corporate income tax law and firms’ tendency to apply tax credits, and to become basis for the government’s fiscal policy to reorganize tax credits. 정부의 2008년 세제개편안의 향후 5년간 감세규모에 대한 국회예산정책처와 기획재정부 간의 최근의 논쟁은 감세에 따른 세수효과를 판단할 때 재정건전성을 저해하는 세법개정의 효과를 정확하게 제시하지 않아서 납세자들에게 동(同)효과를 실제보다 작게 보이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동(同)논쟁을 바탕으로 정부의 세수효과 측정방식의 전반적인 문제점 및 대안과 함께 다양한 조세감면제도가 시행되면서 세액계산방법이 정형화되어 분석이 용이한 법인세를 중심으로 추가적인 문제점 및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세제개편안의 향후 5년간의 감세효과를 단순한 전년 대비 감소폭만으로 누계한 기획재정부의 방식은 실제 조세감면과 큰 차이가 있고 세제개편안의 시행기간 동안의 감세규모가 마지막 연도의 조세감면에 의해서만 결정되고 나머지 연도의 조세감면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정부의 의도에 따라서 감세규모를 조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2008년 하반기 이후 세계경기 침체 등 대내외여건의 악화로 인한 경제위기의 조기극복을 위한 재정의 적극적 역할이 강조됨에 따라 감세를 통한 적자재정의 편성이 불가피한데, 기획재정부의 감세규모 측정방법은 이에 따른 재정건전성의 악화에 대한 비판을 벗어나려는 유인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감세규모의 측정과 관련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조세감면의 총액과 함께 조세감면을 전혀 시행하지 않았을 경우 징수할 수 있었던 최대한의 국세수입 중에서 조세감면을 통해 감소한 국세수입의 비율을 나타내는 국세감면비율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즉, 국가재정법의 국세감면비율 한도제 시행으로 국세감면비율은 이미 연도별 조세지출보고서에 사후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세제개편안으로 인한 장래의 감세규모 측정에서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법인세를 중심으로 추가적으로 분석하면 조세지출보고서의 국세감면비율은 전체 조세감면 중에서 과세표준을 계산하기 전에 적용하는 것들을 세율을 곱하지 않고 조세감면의 규모에 합산하여 정확한 비율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세지출보고서에 보고하는 국세감면비율도 조세감면을 과세표준을 계산하기 전에 적용하는 것과 세액감면 및 세액공제로 구분함으로써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법인세법의 경우 이렇게 수정한 조세감면비율은 최저한세 제도를 이용하여 가능한 최대한의 법인세감면비율 및 전체 법인의 평균적인 법인세감면의 정도의 두 가지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으므로, 연도별로 법인세제 및 법인들의 조세감면 활용도의 변동에 따라 조세감면비율이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알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부가 제공하는 단순한 조세감면비율에 비해 더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조세감면제도의 개편에 관한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법인세 외의 다른 세목에 대해서도 개별 세목의 고유한 계산구조를 바탕으로 조세감면비율을 세부항목들로 분해할 수 있을 것이고, 결과적으로 법인세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 법인세 조세감면의 적극성의 분석 -대기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전병욱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4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rporate tax credits for small-and-mid sized firms (“SMEs”hereafter) are relatively bigger than those for large firms and, as a result, government’s tax policy to support SMEs are effective as a whole. Corporate tax credits ratio, the ratio of reduced tax revenues to utmost tax revenues, for SMEs was 18.7% to 22.3% since 2007, which is much bigger than the ratio for large firms -10.8% to 12.6%. This ratio can be mathematically decomposed into assumed utmost tax credits ratio under the alternative minimum tax (“MAX” hereafter) and willingness for corporate tax credits (“CREDIT” hereaft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both MAX and CREDIT of SMEs are relatively bigger than those of large firms, which implies that tax laws are prone to give relatively bigger tax credits to SMEs and SMEs adopt varios tax credits more willingly than large firms. However, those results are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available tax credits are so plentiful that most firms come under the alternative minimum tax. Therefore, in case available tax credits are restricted, MAX can be lower and CREDIT can be higher than their original values respectively. Chances are that this case happens more frequently to large firms, and the gap of CREDIT has grown smaller. Accordingly, it can be inferred that large firms are rather more inclined to adopt tax credits than SMEs. In view of tax policy,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SMEs are relatively lacking in sufficient knowledge of tax laws, which is needed to prevent serious penalties for inappropriate tax credits, and tax laws should be revised more clearly and unambiguously to reduce that “knowlege gap”. Furthermore, the advance ruling practice should also be applied more actively for this purpose. 본 연구는 전체 법인세 및 중소기업에 대한 조세감면을 개관한 후에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조세감면을 적용받음으로써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조세지원정책이 충분한 효과를 얻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법인세법과 조세특례제한법의 개별적인 조세감면 규정들을 법인세의 세액계산구조와 결합한 본 연구의 분석에 의하면 기업규모별로 법인세 감면비율을 계산하면 2007년 이후 대기업의 법인세감면율은 10.8%-12.6%인 반면 중소기업의 법인세감면율은 18.7%-22.3%로 계산되어서 중소기업에 대한 조세감면의 정도가 대기업에 비해 훨씬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다시 최저한세를 결합하면 법인세감면비율(EXEMPT)은 다시 가능한 최대한의 법인세감면비율(MAX)과 법인세감면의 적극성(CREDIT)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두 가지 세부항목 모두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계산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현행 법인세 및 조세특례제한법에서 중소기업에 대하여 대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조세감면을 적용할 가능성을 제공하고(MAX의 값이 크고) 실제로 중소기업들이 가능한 조세감면의 범위 내에서 대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극적으로 조세감면을 적용했기(CREDIT의 값이 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통해 적어도 외견상으로는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법인세 우대정책이 어느 정도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모든 기업들이 최저한세의 적용을 받을 정도로 충분한 조세감면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개별기업이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조세감면이 제한된 경우에는 가능한 최대한의 법인세감면비율(MAX)도 계산한 값보다는 작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중소기업에 비해 적용가능한 조세감면의 종류가 작고 동일한 조세감면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금액이 적용되는 대기업들에 대하여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능한 최대한의 법인세감면비율(MAX)이 계산결과보다 작아질 경우에는 법인세감면의 적극성(CREDIT)은 계산결과보다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가능성이 높은 대기업들의 경우에는 실제 법인세감면의 적극성(CREDIT)은 계산결과에 비해 더욱 높을 가능성이 크고 그 결과 법인세감면의 적극성이 중소기업들과 비슷해지거나 오히려 중소기업보다 더 높을 가능성도 충분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법인세감면의 적극성의 격차가 점차 줄어들는 추세가 확인되어서 최근에 대기업들이 중소기업에 비해 조세감면을 더욱 적극적으로 적용받으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조세감면을 최대한 적용받기 위한 개별기업의 유인에도 불구하고 세법해석의 잘못으로 인한 부당조세감면에는 감면세액과 함께 가산세액의 불이익이 있기 때문에 조세감면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데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법지식이 더 높은 대기업들이 조세감면 규정을 더욱 적극적으로 적용받으려고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이러한 경향이 최근에 더욱 강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과 같이 세법지식 등의 차이로 인해 중소기업들이 대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세감면을 적 ...

      • KCI등재

        외국인투자 조세감면과 유해 조세경쟁

        이재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6 No.2

        European Union (EU) announced its first list of non-cooperative jurisdictions for tax purpose in the beginning of December 2017. Korea was on the list because tax exemption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s under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Act (exemption provision) fell into harmful preferred tax regime. After Korean government made commitment to revising the exemption provision up to the end of December 2018, it was excluded in that list. Absolutely, amending the exemption provision is a most urgent task and, of course, direction toward the amendment is to completely eliminate all potential harmful elements included in that provi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exemption provision has the two kinds of harmful elements: ring-fencing and lack of transparency. This paper aims to suggest short-term remedies to get ride of them. Removing the harmful element of ring-fencing can be implemented by two sets of measures. First, the tax requirement that the ratio of share held by foreign investor for a foreign invested company is 50% or more should be deleted. Second, entities that are eligible for the benefit of the exemption provision should be modified from foreign invested companies to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e feasible ways to enhance transparency of the exemption provision are directly linked to cut off or reduce administrative discretions. Creating experts group for determining whether technology in question is highly advanced technology can be an effective device to reduce Strategy and Finance Minister’s discretion. The ideal and best method to cut off the special committee’s discretion is to repeal the specially favored tax holidays which means the years of full tax exemption are 5 years. 우리나라는 조세특례제한법상 외국인투자 감면제도(조특법상 감면제도)가 유해 우대조세제도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EU가 2017년 12월경 최초로 발표한 조세분야 비협조지역 명단에 들어갔고, 2018년 말까지 동 제도의 개정을 조건으로 그 명단에서 다시 빠지게 되었다. 따라서 조특법상 감면제도가 유해 우대조세제도에 해당하지 않도록 2018년 말까지 개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개정의 핵심은 조특법상 감면제도에 포함되어 있는 두 가지의 유해 요소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 정비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해요소인 거주자 혜택부여 제한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부 유형의 특정지역 감면제도가 규정하고 있는 감면요건인 외국인투자비율이 50% 이상일 것을 감면요건으로 하는 법적 제한을 삭제한다. 조특법상 감면제도의 혜택을 받는 주체인 외국인투자기업의 투자자로 내국인의 참여를 감면배제사유로 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내국인이 외국인투자기업과 공동으로 출자하면 조세감면의 혜택이 축소되어 내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미미하다면(상황적 전제 조건), 그러한 사실상 제한을 삭제하기 위하여 조특법상 감면제도를 특정기술 감면제도와 특정지역 감면제도로 분리하고(감면제도의 이원화), 조세감면혜택의 주체를 외국인투자기업에서 신설 중소기업으로 변경한다(감면주체의 변경). 두 번째 유해요소인 행정청 등의 재량권으로 인한 투명성 결여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도 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획재정부 장관의 감면결정권은, ① 상황적 전제 조건 충족 시(이원적 감면체계로의 전환) (i) 특정지역 감면제도의 경우 납세자 관할세무서장에게 감면신청하게 하고 감면요건을 충족하면 감면효과를 발생하게 하여 행정청의 감면결정 재량권을 박탈하는 한편, (ii) 특정기술 감면제도의 경우 전문가 위원회를 기획재정부에 설치하여 감면대상 기술 해당 여부에 관하여 전문가 위원회가 심의권을 갖게 하고,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문가 위원회의 심의결과와 기술 외의 객관적 감면요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여 조세감면 결정권을 행사하도록 함으로써 재량권의 범위를 축소한다. ② 상황적 전제 조건 미충족 시(현행 감면체계) 특정기술 감면제도의 경우 전문가 위원회를 기획재정부에 설치하고 감면대상 기술 해당 여부에 관하여 전문가 위원회에 심의권 부여하며 조세감면결정 기준의 대통령령 위임규정을 법률에서 정한다. 위원회의 심의ㆍ의결권은 EU 판정기준에 따를 때 유해 요소에 해당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현행 제도를 유지하되, 위원회의 심의ㆍ의결권의 행사가 투명성을 결여하여 유해하다는 것이 EU의 입장이라면 특정지역 감면제도 중 일반감면만 남기고 특별감면을 폐지한다.

      • KCI등재

        양도소득세 감면제도의 평가

        김남욱(Kim, Nam-Wook) 한국토지공법학회 2018 土地公法硏究 Vol.81 No.-

        최근 정부는 그동안 부동산 거래세 완화라는 조세정책의 기조를 유지하기 보다는 주택 시장의 과열을 고려하여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중과세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부동산의 양도소득세 감면제도는 조세특례제한법상에서 지역균형발전, 공익사업지원과 토지이용효율화, 국민생활 안정의 관점에서 유형화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그 감면범위가 광범위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방만한 부동산 양도소득세 감면제도에 의해 조세지출이 이루어지고 과세형평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부동산 양도소득세에 대하여 담세력에 따라 과세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양도소득세를 감면하여야 할 합리적 이유없이 입법자가 감면제도를 두어 우대조치하는 것은 조세평등주의에 위반되므로 조세특례제한법상 부동산 양도소득세 감면제도의 위법성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양도소득세는 소득세로서 국가목적 달성을 위한 재원마련과 소득재분배 기능보다는 부동산투기억제세로 기능을 하여 오고 있는데, 양도소득세의 본래의 세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양도소득세의 감면제도를 합리적으로 개편이 요구된다. 또한 부동산 양도소득세 감면체계가 복잡하여 조세법률주의의 파생원칙인 명확성의 원칙과 엄격해석원칙에 의하여 부동산 양도소득세 감면제도의 명확성 확보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감면은 신청자의 감면신청이나 특례신청을 하여야만 인정되는데도 조세 특례제한법에서 법률유보원칙에 의해 이를 명문화하여야 하는데도 대통령령에서 정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입법적 개선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소득세법과 조세특례제한법상의 조세감면의 개념과 부동산 양도소득세 감면제도 현황을 검토한 후, 부동산 양도소득세 감면과 과세특례제도를 평가함은 물론, 외국의 입법례등을 비교법적으로 고찰하여 합리적인 부동산 양도소득세 감면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 한다.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shifting the tax on capital gains tax on multi-lenders to heavy taxation, considering the overheating of the housing market, rather than maintaining the tax policy of easing the real estate transaction tax. The transfer tax reduction and exemption system of real estate is being typed in term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ublic utility support, land use efficiency, and national life stability in the Tax Exemptions and Exemption Act, and the range of exemptions is expanding widely. Such disguised real estate transfer and income tax exemption system may cause tax expenditures and hinder tax equality. Even though the real estate transfer income tax should be levied according to the bancassurance, it is a violation of the tax equality principle by the legislator to give preferential treatment to the taxpayer without the reasonable reason to deduct the transfer income tax, so the illegal issue of the real estate transfer tax reduction system . In addition, capital gains tax is an income tax that has been functioning as a means of curbing real estate speculation rather than providing financial resources and achieving redistribution of income for the purpose of the state. In order to realize the original taxation function of capital gains tax, do.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ek clarification of the real estate transfer tax reduction and exemption system by the principle of clarity and strict interpretation principle, which is the principle of deriving the tax legalism because the real estate transfer tax reduction system is complex. In addition, although the exemption of real estate transfer income tax is recognized only after applying for reduction of taxes or special cases, it is necessary to specify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because the Act on Tax Exemptions and Restriction of the Law may stipulate them by the presidential decrees. Therefore, after reviewing the concept of tax reduction and exemption in the Income Tax Law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al estate transfer tax reduction and exemp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al estate transfer income tax exemption and taxation exemption system as well as a comparative legal examination of foreign legislation, find ways to improve the income tax exemption system.

      • KCI등재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의 개편을 통한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개선방안

        이지현,전병욱 한국세무학회 2017 세무학 연구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roblems in the designing of the system for which the currently implemented tax support system and to find the means of improving it to become an effective support system in considerations for the taxation environment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lthough the tax suppor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as the policy purpose from the perspective of fairness in providing support to companies with fundamentally small income, majority of the current policy evaluation is being executed with focus on the effect of the economic improvement from the efficiency perspective without the distinction of the operation or evaluation of the pure management stabilization support system. Exclusion of the overlapped deduction of the system for support with the purpose of promoting investment and employment along with the special tax deduction for the purpose of management stabilization is an excessive limitation that does not consider the policy goals for each of the system and is only degra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for each of the functions on the contrary.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already recognizing the special tax deduction as a general support system that is similar to the application of lower tax. Moreover, operating the systems for each of the functions only for extremely small portion of the companies is highly ineffici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ake improvement in order to entire more extensive range of companies to utilize the economic promotion system by allowing the overlapped deduction. However, loss in tax revenue occurs when the overlapped deduction is allow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method of lowering the special tax deduction rate of the medium sized corporations for the maintenance of tax revenue neutrality. As the results of analysi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eduction level that is similar to the system currently implemented if the overlapped deduction and the lowering of the reduction rate for medium sized corporations by 40% were applied simultaneously. The special tax deduction system needs to be reorganized into general support system with the allowing of support system for each of the functions and overlapped deduction in order for larger number of small enterprises to receive tax support. Moreover, there is a need to design the support system fo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o be convenient and easy to understand in considerations for the environment of the users. 중소기업의 조세지원 적용 행태에 대해서는 투자나 고용 증대를 위한 노력 없이 별도의 요건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 만을 활용함으로써 과세당국의 조세지원 제공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고,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서 중소기업에 대한 조세지원 제도의 개편에 대한 정책적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소기업 조세지원 제도 개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현행 제도를 분석해서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보다 실효성 있고 조세지원의 정책적 취지에 부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분석대상인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은 중소기업에 대한 다른 조세지원 항목과의 중복적용 배제로 인해 투자와 고용증대 등과 같은 바람직한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직접적으로 공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지만 경제적 능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에게 가장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조세지원 제도로 인식되고 있고, 효율의 측면에서는 공헌하지 못하더라도 공평의 측면에서 충분한 공헌을 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장래의 중소기업 조세지원 제도의 개편에서는 보편적 조세지원 제도인 동(同)세액감면 자체를 일부 개편하면서 나머지 기능적 조세지원 제도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율의 측면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중복공제를 허용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동(同)세액감면의 개편방안으로 업종별 차등지원을 배제하는 것과 함께 다른 조세지원 제도와의 중복적용을 제시했는데, 특히 후자의 개편방안과 관련해서 동(同)세액감면의 감면율을 인하하더라도 투자 및 고용증대 목적의 고용창출 투자세액공제 및 중소기업 투자세액공제․증가인원 사회보험료 세액공제의 추가적 적용을 통해 전체적인 활용도의 제고와 함께 바람직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중복적용을 전체 중소기업 중에서 세금부담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소기업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조세지원 제도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효율과 공평의 측면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제도적 개편도 고려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과 함께 이들 세액공제의 중복적용을 허용하면서 동(同)세액감면의 공제율을 현행 수준보다 40% 인하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세수의 중립성도 달성하면서 조세지원 제도의 시행취지에 보다 부합한 중소기업 조세지원 제도의 재설계가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세특례제한법상 비과세 및 감면제도에 관한 연구 -조세공평의 관점-

        최미희,최종국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학 연구 Vol.29 No.4

        In tax exemption and reduction, the strict administration is necessary because they would impede equity in taxation if taxpayers with superior economic power take advantage of them. Tax incentives in connection with the fair tax burden have not been actively discussed. This study, as initial discussion, overviews the current tax exemption and reduction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ir tax burden and in terms of legislation, interpretation and the post-management;and then discusses how to resolve the problems. It is true that the further study on legislation,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postmanagement are required but they are all left for future study. The study, however, shows that the congressmen’s proposals are, from the perspective of de lege ferenda, poorly reviewed than the government bills due to the relatively simple deliberation processes and the absence of the legislation and post-management standard. For this reason, it is hardly expected they will be objectively and reasonably reviewed. Furthermore, it is identified that no criteria of review and procedure for publishing legislation have been established for ‘Tax Reduction Proposal.’As a result, it cannot be verified whether the legislation meets the balancing standard set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absent compelling reason, tax incentives shall not be allowed unless it can offset the sacrifice of tax equality. For this reason,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First, legislative and post-management system should be strictly managed to check whether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fset the cost of tax equality;Second, National Finance Act shall be amended to mandate that Tax Impact Analysis, amended Tax Exemption Proposal, be submitted and published after the review;Third, legislative process similar to the government bills, shall be instituted for the congressmen’s proposals. 조세우대조치의 일환인 비과세․감면은 경제적 우위에 있는 납세자군이 포세할 경우 조세공평의 이념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엄정관리를 요한다. 조세우대조치를 조세부담공평과 연계한 논의는 아직까지 활발하지 아니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試論으로 조세부담공평의 관점에서 현행 비과세 및 감면제도의 전반적 문제를 입법․해석 및 사후관리측면에서 살펴본 후 개선과제를 검토하였다. 보다 심층적인 입법․해석 및 사후관리 관련 분석이 필요하나 이는 향후 과제로 남긴다. 분석 결과, 입법론적 측면에서 볼 때, 관련 법률의 제정과정에서 입법기준 및 사후관리 기준이 부재하므로 도입하는 비과세․감면의 정책목적에 대한 객관․타당한 검토가 미흡하다. 국가재정법에서 규정한 정부제출법안에서 검토해야 하는 ‘조세감면건의서’에 대한 검토기준 및 결과 공표절차를 두고 있지 아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입법과정에서 헌법재판소의 ‘정당한 이유 없는 조세우대조치를 허용해서는 안되며, 조세평등주의를 희생시킨 것과 동 가치의 공헌이 가능한 경우에만활용되어야 한다는 이익형량 기준’을 달성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비과세․감면제도와 관련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비과세․감면이 조세공평을 희생시킨 것과 동 가치의 공헌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입법 및 사후관리 시스템을 엄정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재정법에서의 ‘조세감면건의서’를 보완하여 ‘조세영향평가서’를 제출하여 이를 검토한 후 그 결과를 공표하는 제도로 개정하도록 한다. 셋째, 의원발의법안에 대해서도 정부제출법안과 유사한 입법과정을 두도록 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공평성 측면을 중심으로 -

        서정우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4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SME Special Tax Reduction System, one of tax support measures. Problems, both in the system itself and in its operation, are researched along with solutions in order to seek ways to improve it. It is thought that this is the first research in Korea which studies operational issues. Corporate taxation on standard firms and SMEs, tax reduction and tax deduction are studied in tandem.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otal corporate tax paid by all SMEs which is offset by SME Special Tax Reduction has been analysed in comparison to other tax reductions and tax deductions for SMEs. In particular, of operational issues, the question of equity in tax support has been studies has been framed into the following issues:amendment of application standards for SME under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unfairness in comparison to reduction and deduction for non-SMEs;disparity with regards to other reduction and deduction measures for SMEs;and inequity for SMEs in the capital. For each issue, solutions are proposed. The author wishes that the current line of research will continue to bring about individual assessment, analysis and statistical research on tax support systems under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This paper will be analyze a study of SME Special Tax Reduction System, and also in its pursuit of fairness presents improvement plan. 본 연구에서는 「조세특례제한법」에서 정한 각종 중소기업에 대한 여러 조세지원의 방법 중에서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특별세액감면 조세지원에 대하여 그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문헌적 연구방법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제도상 문제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법조문 제도의 명확화는 관련 법조문의 제목을 ‘중소 제조업 등에 대한 특별세액감면’이라 하여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마치 모든 중소기업에 감면혜택을주는 것으로 오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법 적용의 일몰 적용에서 「조세특례제한법」의 특성을 감안한다 하고 또한 법질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위하여 한시적인 법 규정은 폐지되거나 삭제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운영상 문제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중소기업 개념의 정립과 지식기반산업 적용 업종의확대 개선방안으로 최소한 「조세특례제한법」에서라도 하나의 중소기업 개념을 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중소기업의 적용기준 확대 개선방안으로 중소기업 적용기준을 개정된 「중소기업법」을 준용하던지 아니면 최소한 업종에 구별 없이 매출액규모 1,000억원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감면제도의 단순화 개선방안에서는 먼저 일반기업에 대한 조세지원과 형평성 유지에서 자금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에 보다 더 많은 조세지원을 하여 소비를 늘려 경제 성장을도모해야 할 것이다. 넷째, 경감세율제도의 도입에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특별감면제도를 폐지하고 나머지 중소기업세액감면은 사안별로 세액공제제도로 전환하거나, 일반기업에서 규정한 감면제도를 중소기업에 적용하고 일반기업에 없는 중소기업만을 위한 감면제도는 폐지하고 일반 경감세율 적용하는 제도의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따라서 감면제도를 단순화하여 세액공제제도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특별감면제도의 문제점을 제도상 문제점,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공평성 측면에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연구 공헌점이 있다.

      • KCI등재

        외국인투자 조세감면의 기술이전 및 수출 효과에 관한 연구

        이성봉 한독경상학회 2018 經商論叢 Vol.36 No.4

        This study analyses economic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ax incentives in Korea in terms of technology transfer and export. As the previous studies on effects of FDI tax incentives in Korean dealt with such variables, such as long-term investment, employment,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performances, this study focuses on technology transfer effects and export effects. By analyzing those performances of foreign invested firms in Korea from 1998 to 2006 with random-effects GLS regression models, this study reveals following results:Firstly, regarding the technology transfer, the foreign-invested companies with tax incentive show better performance in R&D and training activities. Meanwhile, in royalty payments, we can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reign-invested companies with tax incentive and without tax incentive. These results implies that the FDI tax-incentive system of Korea achieved the policy goal of technology transfer from technologically advanced foreign companies into Korea. Regarding export effects, we can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reign-invested companies with tax incentive and without tax incentive. 그동안 학계에서는 외국인투자 조세감면제도의 유용성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있었다. 논의의 핵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하나는 외국인투자 조세감면제도가 외국인투자 유치에 기여하고 있는가 하는 조세감면제도의 투자유치 효과성과 관련된 논의였으며, 다른 하나는 조세감면혜택을 받고 한국에 투자한 외국인투자기업들이 혜택에 상응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한국경제에 가져오는지 여부에 대한 것이었다. 전자의 연구주제와 관련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후자의 연구주제에 대해서는 최근에 이루어진 몇몇 연구를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외국인투자 조세감면제도가 한국경제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제도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투자 조세감면제도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관련된 연구 주제 중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다루어지지 않은 기술이전효과와 수출효과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기술이전효과와 관련해서 조세감면을 수혜한 외국인투자 기업들은 연구개발 및 교육훈련을 통해서 국내에 기술이전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로열티지급액이 많을 경우 선진기술을 단순히 국내에서 이용만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조세감면혜택을 받은 외국인투자기업들이 단순히 한국에서 선진기술을 사용하고 그 대가를 해외로 이전하는 것보다는 연구개발 활동과 교육훈련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수출효과와 관련, 조세감면을 받은 외국인투자기업이나 일반 외국인투자기업이나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 분석된 수출의 경우 직접적인 수출금액만을 고려하고 있고, 한국 수출 기업에 대한 소재 및 부품에 대한 공급을 통해서 실행되는 간접수출금액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조세감면혜택을 받은 외국인투자기업의 수출활동에 대해서 어떤 판단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의 조세 감면에 관한 연구

        오기수 한국세무학회 2005 세무학 연구 Vol.22 No.3

        Lee Dynasty is divided into the first-half and the second-half b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tax system in Lee Dynasty reads “The people is the persons to serve and the King is the person to be served, therefore tax is the people’s a natural duty or obligation”, which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It also says that according to the levy “There is a rule in the levy imposed from the King, and there is a limit to the levy imposed on the people”. This suggests that a proper tax degree and a fair levy were difficult for a deficient tax system and various problems in tax enforcement at that time. Jeongjong-sirok has a saying as follows. “How dare could I fulfill my duty as parents if I provide the mercy of tax deductions of one and two things” In this case, the tax reduction was conducted for the cause of the King’s gratitude to the people as parents take care of their children The tax reduction was for the most enforced by orders from the King who intended to provide special favours to the people, so there was no standard regulation on the amount of tax redu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ystem and idea of tax in the second-half Lee Dynasty and then to investigate the system, procedure, and pattern of the tax reduction recorded in Chosunwangjo-silrok.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farm tax, a main tax item in Lee Dynasty. The historical approach to tax has been one of the least explored study fields on tax in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rves as a momentum to a lively upcoming research on the historical division of taxation into Middle, Modern, and Present Times in the perspective of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study in all academic researches is made meaningful through a sociological approach. 조선시대는 임진왜란(선조 25~30, 1592~1597)을 분기점으로 하여 전기와 후기로 나눈다.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정치․경제․사회 전 분야의 급격한 침체를 겪고, 뒤이어 일어난 병자호란으로 국제정치의 질서마저 무너져 전통적 이념과 상반되는 새로운 국력관계를 강요받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고, 국가는 경제질서 재건을 위한 대동법, 균역법 등의 시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의 조세제도와 이에 따른 전세감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점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조선후기의 조세감면은 납세자인 농민에게 진정한 혜택을 주기 위한 제도인가? 둘째, 조세감면의 사유는 무엇인가? 셋째, 조세감면은 공평하게 이루어졌는가? 조선후기 조세감면은 「경국대전」과 「속대전」의 규정에 의하여 특정계층․관아의 특정비용 충당을 위한 궁방전․관둔전 등, 황폐화된 토지로써 유래진잡탈전(流來陳雜頉田), 그리고 재해에 의한 급재면세전(給災免稅田)에 행하여 졌다. 궁방전이나 관둔전의 면세는 현대적 조세개념에서 면세로 해석할 수 있지만, 면세전으로 비중이 높은 진전 등 유래진잡탈전의 면세는 과세소득이 없는 경우에 면세하는 경우로서 진정한 면세라라고 볼 수 없다. 진전 등은 조선후기 감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데 이는 국가의 재정수입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든 전지를 미리 과세대상에 포함시킨 후 황폐화되어 경작하지 못하면 감면하여 주었기 때문에 조세부담자인 농민에게 해택을 주기위한 면세제도라고는 볼 수 없다. 정조8년(1784)부터 현종10년(1844)까지의 과세대상인 전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할 때 출세실결수(出稅實結數)는 총결수 1,453,027결의 절반정도인 767,378결로 52,8%이며, 급재면세결수(給災免稅結數)는 66,298결로 4.6%, 제반면세결수는 619,350결로 무려 42,6%에 달하였다. 제반면세결수를 분석하면 「경국대전」과 「속대전」에서 면세지로 규정하고 있는 궁방전과 관둔전 등 제전(諸田)의 비중은 200,734결로 총결수의 13.9%이며, 황폐화된 토지로써 진전(陳田)등의 면세지는 418,616결로 총결수의 28,8%이다. 조선시대의 조세공평의 개념은 균등이라는 개념과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균등이란 개념은 영조가 직접 쓴 「속대전」 호전의 제목 즉, 「균공애민 절용축력(均貢愛民 節用蓄力)」에서 볼 수가 있는데 이는 “세를 균등하게 하여 백성을 사랑하고 재정을 절약하여 힘을 축적한다”는 뜻이다. 조선왕조실록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세감면에 있어서도 법에 따라 공정하고 공평하게 집행하려 하였다. 하지만 조선후기에는 조세의 징수와 감면하는 집행과정에서 공정과 공평을 해치는 일이 많이 발생하여 전정(田政) 등이 문란해지고 이에 따른 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