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국문학과 조선어문학의 분단: 설립 초기 국립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의 비교연구

        정종현(Jeong, Jong-Hyun)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3 No.-

        본 연구는 1946년 9월과 10월에 각각 설립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의 제도적 편제와 교원 집단, 교과목 등을 비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두 대학교의 교사(校史), 미군의 노획문서, 초창기 학생들의 회고 등을 분석했다. 이 두 제도의 토대가 되었던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 전공이 해방 이후 두 대학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이후 분단된 두 국가의 이념이 두 대학의 차이를 어떻게 만들어갔는가 등에 대해 ‘식민지-탈식민지의 연속과 비연속의 겹눈의 독법’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미국식 대학이념의 영향을 받으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으로 재편되었다. 김일성종합대학의 문학부는 소련식 제도인 까페드라, 아스삐란트라 등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두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조선어문학 전공 교수진은 경성제대 법문학부 조선어문학 전공 출신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조선어문학 전공은 경성제대에 유일하게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 국어학과 고전문학 중심이었던 제국대학 제도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어서, 설립 초기에는 현재와 같은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의 3분 체계가 아직 마련되진 않았다. 그렇지만, 두 대학 모두 제국대학의 외국문학 전공자들에 의해서 현대문학 교육이 시작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nstitutional framework & teacher"s group, curricular subject & academic atmosphere betwee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or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Faculty of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朝鮮語文學部) at Kim Il Sung University (金日成綜合大學), which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in September and October of 1946. For this, an analysis was made on a school history (校史), the U.S. military"s captured documents and the early students" retrospection of two universities. The aim was to approach with ‘the continuous and non-continuous double-eyed dogma of colony-decolonization’ as for how a major in Joseon Language & Literature (朝鮮語文學) at colonial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which had been the foundation of these two systems, had influence upon two universities after the liberation, and as for how the ideology of two divided nations after this proceeded with making a difference between two universities. With being affected by the ideology of American university, the Faculty of Law and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was reorganized into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literature department at Kim Il Sung University (金日成綜合大學) was made up in the combined form of kapedeula and Aspirantra of corresponding to a Soviet-style system. The teaching staffers with a major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in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朝鮮語文學) of two universities were formed the principal axis by those with a major in Joseon Language & Literature (朝鮮語文學) for the Faculty of Law and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This was probably natural because a major in the Joseon Language & Literature (朝鮮語文學) was only established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The influence of Imperial University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and classical literature formed the center remained strongly. Thus, the three-division system in Korean Linguistics,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like now was not arranged yet in the early days of its establishment. However, both universities could be confirmed to have been begun the modern literature education by the foreign literature majors at Imperial University.

      • KCI등재

        국고(國故)와 문고(文庫)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중심으로

        이용범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ublishing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AKL) in the 1930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heritage arrange movement(國故整理運動). Unlike Japan and China, Sinographic texts, not Hangeul texts, was considered to be the main national heritage in colonial Korea. The publication work of the AKL was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publishing industry. The first publications of the AKL were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報) and a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朝鮮語文學叢書).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has a high proportion of primary sources and tends to gradually expand, and a change of direction to the collection of primary data is also observed for the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 As the research level of the AKL participants deepened, it is believed that they began to focus on the basic work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primary data, avoiding the presentation of substandard research results. The commercial success enjoyed by Shinseonsa(新朝鮮社)’s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was to show the marketability of the national documents. The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朝鮮文學全集)> of the JoongAng Inseogwan(中央印書館) was a project aimed at the proven marketability. Lee Byung-gi(李秉岐, 1891~1968) and Kim Tae-joon(金台俊, 1905~ 1949), who were named as proofreaders, were also the most widely known scholars in the Korean Literature study of the time. In contrast to the early publication works of AKL, which relied heavily on their own account, import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investment of publishing capital in collaboration with the JoongAng Inseogwan. ‘Chunhyang fevor(春香熱)’ in the mid to late 1930s gave great strength to the editor’s <Korean library(朝鮮文庫)>. The publication of <Korean library>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academic society to reunite by reuniting those who had been distant from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as a venue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with the help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ecturer Kim Tae-joon. Lim Hwa(林和, 1908~1953), the editor of <Korean library>, als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training and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his later writing in the New literature hitsory(新文學史). <Korean Library> was written in Hangeul, so that the readership of the “imagined nation” was broader than the former Sinographic-based publications in the national heritage. The release and commentary by professional scholars added along with the Hangeul notation suggested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wide social spread of the most advance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ime, <Korean library> showed the most ideal form of the National Treasury Reorganization Movement. 이 논문은 1930년대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국고정리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국문’ 문헌이 논의의 중심이 된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식민지 조선에서는 한문문헌 중심성이 두드러진다. 조선어문학회의 출판작업은 당대 조선 출판계의 동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학회의 최초 간행물은 기관지 조선어문학회보 와 <조선어문학총서>였다. 조선어문학회보 는 1차자료의 비중이 높고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며, <조선어문학총서> 또한 자료집으로의 방향전환이 관찰된다. 동인들의 연구수준이 심화됨에 따라 수준미달의 연구성과 발표를 지양하고, 1차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토대작업에 힘을 쏟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조선사의 여유당전서 가 만끽한 상업적 성공은 국고문헌이 지닌 시장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중앙인서관의 <조선문학전집>은 검증된 시장성을 노린 기획이었다. 교열자로 이름을 올린 이병기와 김태준은 당대 조선문학 연구의 가장 널리 알려진 학자이기도 했다. 조선어문학회의 초기 출판작업이 자비(自費)에 크게 의존하는 것이었던 것에 반해, 중앙인서관과의 협업에서는 출판자본의 상황판단과 투자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1930년대 중후반의 ‘춘향열’은 학예사의 <조선문고>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조선문고> 간행작업은 한국문학 연구에서 멀어졌던 동인들이 재결집하여 학회가 재생하는 계기이자, 경성제대 강사 김태준을 매개로 학문 후속세대들을 육성하는 장이기도 했다. 학예사 편집인 임화 또한 학문적 훈련에 함께 매진하며 훗날 신문학사 서술의 기초를 닦을 수 있었다. <조선문고>는 한글표기를 전면화하여 기존의 한문 위주의 국고 간행작업보다 더 폭넓은 ‘상상된 국민’을 독자층으로 삼았다. 한글표기와 함께 부가된 전문학자의 해제와 해설은 국고문헌 해석의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당대 가장 고도화된 학문적 성과의 폭넓은 사회적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조선문고>는 국고정리운동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김강사와 T교수 조선어문학회의 한국문학연구 정초(定礎)

        이용범 ( Lee Yong-beo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8 No.-

        이 논문은 1930년을 전후한 시기 경성제국대학 조선어학조선문학 제1강좌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조선문학 연구를 중심축으로 놓고, 조선문학의 체계를 조선인 스스로의 손으로 만들어내고자 한 조선어문학회 동인들의 학문적 고투의 자세한 양상을, 중층적인 식민지 학술사회 속에서 자신이 결정할 수 없던 식민지 현실에 ‘던져진’ 조선인들의 학문적 자아의 추구라는 관점에서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언어, 제도, 매체 등의 기준으로 분열된 식민지 학술사회는 중국과 일본과는 달리 자국학 형성에 있어서 식민자와 피식민자가 끊임없이 길항해야하던 공간이었다. 이러한 ‘식민지 국학’의 특성은 조선어문학회 동인들에게는 커다란 부담이었지만, 조선문학의 권위가 부재하는 가운데 식민지관학과 민간학술사회 양자 모두를 상대해 나가는 것은 성장의 기회이기도 했다. 조선문학과 교수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享)의 전문영역은 사상사로, 개교 초기 조선문학에 대해서는 이론적 체계화는 물론 자료의 수집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다카하시는 대표적인 식민지 관학의 이데올로그로 활동하였다. 다카하시의 도쿄제대 후배이자 사문회(斯文會)라는 인적관계로 엮인 예과 교수 다다 마사토모(多田正知)는 식민지 관학의 구도는 괄호에 넣은 채 그 내부를 학문의 언어로 채워나가는 ‘실증주의’의 작업을 충실히 수행했다. 조선어문학회 동인들은 식민지 관학자에 의해 조선이 정의되고 판단되는 학문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동작업을 시작했다. 그들은 경성제대와 식민지 민간학술사회에 의해 ‘지나’에 속하는 것으로 배제되었던 한문학을 조선문학의 범주로 끌어들이는 것을 비롯하여, 표기체계의 경계를 넘나들며 ‘국민’의 상상을 가능케하는 장르로서 소설에 주목하기에 이른다. 이 시기 조윤제와 김태준이 보여주는 간곡한 이중부정과 미괄식의 논지 전개는 일본인 교수들과 조선인 선배학자들의 기성논리들을 극복하기 위한 고육책이었다. 조선문학사의 구도 중 한문학사와 소설사의 구성은 허술하나마 두 편의 조선어문학회 총서의 간행으로 일단락되는 가운데 조선연구의 초점은 민요연구로 이동한다. 다카하시 도오루는 ‘지나’를 배제한 ‘자연 그대로의 조선’을 민요를 통해 보고자 했다. ‘지나’=한적(漢籍)을 조선의 범주 밖으로 손쉽게 내버림으로써, 조선의 대부분의 전장(典章)·제도, 문화유산들은 부정당하게 된다. 다카하시는 ‘지나’를 잘라낸 이후에도 극히 협소하게 민요를 범주화하며, 오리엔탈리스트로서의 욕망을 모성(母性)에 투사한다. 그에게 ‘지나’를 벗겨낸 진정한 조선은 모녀간(間)의 민요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었다. 조선어문학회 동인들은 조선어문학과의 민요조사사업에 동원되면서도 동인내부에서 자료를 공유하고 주요 주제에 대한 논쟁을 전개하는 가운데 조선문학사의 구도를 그려내고자 했다. 동인들은 다카하시의 단순한 방법론을 극복하기 위해 서구, 일본, 중국의 연구서들을 참조하며 이론적 층위와 작품분석 능력을 키워 나간다. 그들의 노력이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김태준의 시가사연구였다. 이 시기 김태준은 동인들의 협력을 얻어 1차자료와 각국의 연구서들을 섭렵하는 가운데, 중국경험을 통해 유물사관 등의 학문방법론에까지 관심을 갖게 된다. 이러한 조선어문학회의 연구성과는 역으로 다카하시 도오루의 민요 연구에 영향을 끼치기에 이른다. This article analysis early trajectory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es done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1930s. Its focus lies in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hereinafter AKL) which is organized by Korean students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They were literally ‘Being thrown’ since there were literally no established Korean study in the university. AKL challenges Professor Takahasi Toru and Tada Masatomo, whose researches were explicitly ingratiating to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lonial Academic society, divided by nationality and medium, however, colonizer and colonized begin to confront each other in the field in 1930s. AKL members had to overcome Japanese professors and Korean amateur scholars have strong foundation in mass media. It is quite hardship, but, opportunity to take leadership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KL members face the crisis of being defined and judged by colonizer, they start cooperation to overcome established theories. First, they embrac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side of Korean Literature, by doing so, re-define boundaries of Korean literature, contrary to Japanese professors and Korean senior scholars claimed that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s not Korean literature. Second, they made detour around obsession of Korean Character, could write Korean historia novella(1930). AKL can imagine ‘nation people(國 民)’ with quite long literary history frequently cross the border of languages. After the publication of Korean Historia novella, main theme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became folksongs. Professor Takahsi Toru have very Orientalistic-in Said’s manner- perspective, he was looking for ‘natural’ Koreanness in primitive. He fantasizes Koreness as Femininity, in his manner, pure Koreanness only exist in mo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 clearly castrated. AKL members were mobilized for folksong collecting projects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however, they share their materials internally, sometimes have trouble with Japanese professors. They not only share materials, but also develop ideas via academic discussions on public media. The members want to overcome Japanese professor, so they actively adopt extensive reading on publications originated from Europe, Japan, China, etc., by doing so, they could nurture capability on materials and theories by themselves. The summary of their efforts could be thesis of Korean verse written by Kim Tae-joon. He was able to access rare materials by cooperation of AKL members, and also develop theoretical approaches by discussion with them. He had attitude very eager to learn, so he even started to learn historical materialism at that time. This kind of Koren-national-cooperation done by AKL, eventually affect professor Takahashi Toru’s folksong research.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어문학 : 유진오의 이중언어문학에 투영된 조선 표상 -일본어 작품 <황률(かち栗)>, <기차 안(汽車の中)>, <할아버지의 고철(祖父の鐵屑)>을 중심으로- (兪鎭午の二重言語文學に投影された朝鮮表象) (-日本語作品の<かち屑>を中心として-)

        김욱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7

        본 연구는 일제의 식민지 통치 하에 있었던 한반도에서 한국어 및 일본어로 문학 활동을 했던 한국인 작가 유진오에게 이중어 글쓰기와 이중언어문학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 알아보고, 유진오의 일본어 작품 <황률(かち栗)>, <기차 안(汽車の中)>, <할아버지의 고철(祖父の鐵屑)>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그의 일본어 소설 텍스트가 그 당시 ``조선``에 대한 어떠한 표상을 발신하고 있으며 과연 친일문학이라고 하는 정의가 타당한지 규명해보았다· 먼저 유진오가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어떻게 이중어 글쓰기를 내재화했는지를 밝히고, 그의 일본어 문학이 당시의 시대상과 작가 개인의 기록을 토대로 미루어보아 그가 조선 표상에 대한 끝임 없는 재고 발신을 요구하고 조선에 대한 애착을 드러내었던 이유를 규명해보았다· 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유진오의 일본어 작품 중 한글 원작이 있으면서 개작과정을 거친 <황률>을 먼저 살펴보았다· 이 작품은 원작보다 ``조선``에 대한 부정적묘사를 줄이고 긍정적 묘사를 더했으며 이를 통해 유진오가 일본인을 수신 주체로 상정하여 자신의 일본어 문학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진오의 일본어 창작의 과도기에 놓인 <기차 안>은 조선의 동아시아 역할에 대한 낭만성과 실질적으로 조선에 입혀진 부정적 표상 사이에 대한 괴리를 좁히기 위해 화가지망생인 ``조선인 청년``의 입을 빌려 유진오가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발신하는 소설이었다· 특히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직접적으로 다루며 서로 동등한 위치에 두고 차별을 지양하자는 취지의 글로 마무리한 점은 작가의 당대 조선표상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할아버지의 고철>에서는 조선에 대한 표면적 이해에서 보다 정신적이고 심층적인 영역으로 이행해가는 발전을 보여주었으며, 조선민족의 정신에 대한 고찰은 물론 작품에 나타난 문학적 기교 또한 뛰어났다고 평가할 수 있다· 주로 조선의 절약정신과 예의범절을 근대를 살아가는 조선인을 화자로 하여 제사에 대한 근대적 환기와 할아버지가 모은 고철에 대한 회상으로 나타내었다· 本硏究では, 朝鮮半島が帝國日本に植民地として統治された時期に, 韓國語及び日本語で文學活動を行った韓國人作家の兪鎭午(ユ·ジンオ)において, 二言語書きや二重言語文學がどのような意味を持っていたのかを探り, 兪鎭午の日本語作品<かち栗>, <汽車の中>, <祖父の鐵屑>に對する分析を踏まえることで, 彼の日本語小說のテキストが當時の「朝鮮」とどのような意味の網を構築していて, 果たして親日文學だという定義が正しいかについて究明してみた。 最初に, 兪鎭午が植民地の知識人として, どのように二言語書きを身につけたかを明らかにし, 彼の日本語文學が當時の時代相や作家個人の記錄をもとに推して, 彼が何故朝鮮表象に對する肯定的な再考を作品の中で促したのか, 何故朝鮮への愛著を絶え間なく示したのかを究明した。作品分析においては兪鎭午の日本語作品の內, 韓國語原作が存在しながら多くの部分が改作された, 「かち栗」を先に調べた。この作品は原作より「朝鮮」に對する否定的な描寫を減らし, 肯定的描寫を加えた。これを基づき兪鎭午は日本人を受信主體と想定したことで, 自分の日本語文學に對する方向性を探索したと言える。また, 日本語創作の過渡期においた「汽車の中」は, 朝鮮の東アジアにおける役割に對する浪漫と, 實質的に朝鮮にかけられた否定的表象の間に存在する乖離を埋めようとする小說であった。畵家誌願者の「朝鮮人靑年」の口を借りて兪鎭午が直接的にメッセ-ジを發信する形で, 特に朝鮮人と日本人の間に存在する問題點を取り上げ, お互い同等に位置付けて差別を止揚する趣旨を示したことは, 作家に當代朝鮮表象の問題意識が明らかに見られる。最後に「祖父の鐵屑」では, 朝鮮についての表面的理解のうえ, より精神的かつ深層的な領域に至るまで文學化しようとしたという發展過程を見せており, 朝鮮民族の精神に對する考察は言うまでもなく, 作品に現れた文學的技巧も優れたと評價せざるを得ない。主に朝鮮の節約精神と禮儀作法を, 近代を生きる朝鮮人を語り手のして書き入め, それを祭祀についての近代的喚起と祖父が集めた鐵屑の意味に對する回想を通じて表せた.

      • KCI등재

        20세기 국어학과 진단학회

        안예리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9

        진단학회는 일본인 학자들이 중심이 되었던 청구학회를 견제하며 조선인에 의한, 그리고 조선어를 매개로 한 조선학 연구를 지향했다. 국어학은 1934년 진단학회의 출범 당시부터 역사학, 민속학, 국문학과 더불어 조선학의 주축이 되었고, 진단학회의 국어학자들은 학문적으로뿐 아니라 학회의 경영과 행정의 제반 측면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했다. 『진단학보』에 실린 국어학 논문들은 서구의 언어학 이론을 적극 수용한 연구들로, 경성제대 조선어 전공의 학풍을 반영한 것이었다. 경성제대 조선어문학과 출신들은 진단학회 설립 이전에 조선어문학회를 조직하고 학술지 『조선어문학회보(조선어문)』를 간행하였지만, 조선어문학회는 진단학회의 설립을 계기로 이론적 연구 중심의 진단학회와 실천적 연구 중심의 조선어학회로 분리되었다. 한편, 조선학 연구는 1920년대부터 민족주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화두가 되었는데 진단학회의 조선학은 조선을 절대화하거나 특수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었다. 진단학회 소속 국어학자들도 조선어를 세계 여러 언어 중 하나로 상대화하고 언어학의 방법론에 따라 국어를 연구하며 그 연구 결과를 여타의 언어와 비교함으로써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일본 학계의 왜곡된 연구에 대항한다는 진단학회의 문제의식은 국어학 논문들에서는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았지만, 람스테트의 연구에서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 바로잡거나, 오구라 신페이가 아직 다루지 않은 문제를 깊이 파고드는 등 외국 학자들의 연구를 뛰어넘고자 하는 의지와 자신감이 확인된다.

      • KCI등재

        ‘조선’에서 ‘우리’로 - 경성제대 조선문학 전공 졸업생의 세대론 재고 -

        이용범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1

        This paper seeks to reconsider the generational theory of first- and second-generation researchers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who have been perceived as being separated based on liberation. The first generation researchers were researchers who formed the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AKL, 朝鮮語文學會), Kim Tae-joon, Jo Yoon-je, Kim Jae-cheol, and Lee Hee-seung. The second generation is a group of researchers who formed the Association of Our Literature and Language[AOL, 우리語文學會] in 1948 and is led by Bang Jong-hyeon, Koo Ja-gyun, and Go Jeong-ok. The first generation researchers took lectures on Confucian thought during their semester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It was not until the second generation that lectures on Korean literature began, but the main focus was on Sinographic literature. Afterwards, folk songs we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thi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Kim Sa-yeop, Ko Jeong-ok, and others. Korean researchers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honed their academic skills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private academic societies outside the university. This paper specifically uncovered the activities and exchanges of second-generation researchers through various materials. The works of the AOL published after liberation had the characteristic of excluding Sinographic literature from the category of Korean literature and emphasizing the ‘oral nature’ of literature. In addition to rigid language nationalism, it was also the logic of a desperate measure to fill the void in Sinographic literature. The AOL's policy of emphasizing Korean-language-written literature was, paradoxically, to revive the literary theory of Toru Takahashi, a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이 논문은 그간 해방을 기준으로 단절된 존재처럼 인지되어 왔던 경성제국대학 출신 1세대와 2세대 연구자들에 대한 세대론을 재고하고자 한다. 1세대 연구자들은 김태준, 조윤제, 김재철, 이희승 등 조선어문학회를 결성했던 연구자들이다. 2세대는 1948년 우리어문학회를 결성한 연구자들로 방종현, 구자균, 고정옥 등이 주축이다. 1세대의 재학기 경성제국대학 조선문학 전공에서는 思想 관련 강의가 행해졌다. 1세대가 졸업하고 2세대의 재학기 조선문학에 대한 강의가 시작되었으나 대부분은 한문학이었다. 뒤늦게야 커리큘럼에 민요가 포함되었고, 이는 김사엽, 고정옥 등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경성제국대학 출신 조선인 연구자들은 대학 외부의 민간학술사회와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학술을 연마해나갔다. 본고는 특히 식민지시기 2세대 연구자들의 활동과 교류 양상을 다수 확인하였다. 해방 후 간행된 우리어문학회의 저작은 국문학 범주에서 漢文學을 배제하고, 문학의 口演性을 강조하는 특징을 지녔다. 그것은 딱딱한 언어 민족주의의 제약을 받아들이면서 文學史上 한문학의 공백을 채워보고자 하는 궁여지책의 결과물이었다. 그들의 국문학은 한문학을 배제하고자 했지만, 한문학에 반복되어 붙은 배제의 꼬리표는 역설적으로 국문학을 자기완성적인 존재로 만드는 것을 방해했다. 구연성은 국문학과 국어의 결합을 목표로 한 것으로, 해방 이후 국민의 창출과도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는 것이었다. 한편, 우리어문학회의 한문학 배제와 구연성에 대한 집착은 학문분야에서 탈식민(decolonization) 과제의 수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을 암시한다.

      • KCI등재

        해방 직후 국문학 연구의 전개 양상 -‘우리어문학회’를 중심으로-

        김용찬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2 No.-

        국문학 연구는 일제 강점기 시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이제 막 한 세기를 지나고 있다. 그동안 국문학 연구사를 정리하는 작업은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사 정리가 필요한 이유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면밀하게 점검하여, 새롭게 연구 방향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사를 정리할 때, 시대적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사 정리 성과를 충분히 활용하여, 해방 직후 ‘우리어문학회’를 중심으로 한 국문학 연구의 양상을 점검하도록 하겠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이 시기를 간략하게 언급하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일제 강점기 국문학 연구의 동향을 개관하고, 한국전쟁 이후 설립된 국어국문학회의 활동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또한 해방 직후 국문학 연구사의 전개 과정을 검토하고, 특히 우리어문학회의 연구 성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일제 강점기의 국문학 연구는 크게 두 갈래로 진행되었다. 하나는 1926년에 설립된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 산하에 ‘조선문학’ 전공을 통해서 이뤄졌다. 경성제국대학에서는 담당 교수가 임의로 개설한 교과목을 학생들이 수강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체계적인 국문학 연구가 진행되기 힘들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경성제대에 재학하고 있던 학생들에 의해 ‘조선어문학회’가 결성되었다. 또 하나의 갈래는 ‘국학파(國學派)’라 칭했던 일군의 학자들을 주목할 수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연구 활동을 일제에 대항하는 운동의 일환으로 여기면서, 우리 문학과 문화에 대한 의미를 적극적으로 펼쳤다. 초창기 학자들의 활동으로 인해 국문학 연구의 기초가 다져졌고, 그 결과로 산출된 성과들은 연구사를 서술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해방 직후 이후 대학이 설립되었고, 대학마다 국어국문학과의 개설이 이뤄졌다. 이로써 국문학 연구에 대한 본격적인 토대가 마련되었다. 대학에서 국어국문학과가 개설되면서 교수진이 갖추어졌지만, 체계적인 교육 과정(curriculum)부터 학과 운영에 이르기까지 미비한 상태였다. 교수들은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했다. 무엇보다도 가장 시급한 교과 과정을 확립하고 그에 걸맞은 교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당시 대학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학자들이 모여 결성한 모임이 ‘우리어문학회’이다. 이들의 연구 활동을 살펴보고 국문학 연구사에서의 위상을 따져보겠다. 일제 강점기와 분단이라는 시대적 상황은 국문학 연구사에서 거대한 장애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1950년 발생한 ‘한국전쟁’으로 인해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이후 한반도는 적대적인 이념적 대결의 장으로 변했다. ‘우리어문학회’의 구성원들 가운데 일부가 한국전쟁의 와중에 북으로 가면서, 학회는 사실상 해체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또한 ‘국어국문학회’가 1952년에 결성되면서, 이후에는 국문학 연구의 주도권이 이들 후속 세대에게 넘겨졌다. 후속 세대들에 의해 ‘우리어문학회’가 극복의 대상으로 여겨지면서, 이들의 연구 성과는 검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어문학회’의 활동과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국문학 연구사에서의 위상을 정립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작업이다.

      • KCI등재후보

        유진오의 일본어 문학에 나타난 조선적 가치의 재고 ―일본어 소설 「南谷先生」을 중심으로―

        김욱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a modern intellectual writer of Chosun, Yu, Jin-oh advanced into Japanese creation in the Chosun literary circl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ow he reflected things of Chosun like his identity while writing in Japanese through a Japanese novel 「Mr. Namgok」. While dra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of Chosun and modern culture through the story of the protagonist Sudong and Mr. Namgok, 「Mr. Namgok」 is deriving the value of things of Chosun in it. This novel shows the process of going to a more mental and in-depth domain than his Japanese previous novels. In particular, this novel is thought to have the value of the literary history in that the value of things of Chosun was topicalized literarily in detail in a way of understanding‘Mr. Namgok’depending 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characters in the story. In addition, setting Western modernization forc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s its counterpart, it urges the rediscovery Chosun’s value and those valu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various aspects of positive traditional culture of Chosun that Yu, Jin-oh tried to convey to Koreans or Japanese readers through ‘Mr. Namgok.’As an educator and lawyer of colonial Chosun, a bilingual writer who is fluent in Japanese as well as Korean and an elite intellectual noted by Japanese authorities as a figure representing Chosun, Yu, Jin-oh can be seen to have internalized the awareness that he is a representative of Chosun by his willingness and external recognition. Thus, in the painful history of Chosun at that time, colonial rule, he tried to defend his identity of a colonial intellectual by elevating positive Chosun representation discourse to the mental area through Japanese language literature. 본 논문은 조선의 근대 지식인 작가 유진오가 일제강점하 조선 문단에서 어떻게 일본어 창작으로 나아갔는지, 일본어로 문학을 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다름없는 조선적인 것들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일본어 소설 「남곡선생(南谷先生)」을 통해 살펴보는 글이다. 「남곡선생」은 주인공 수동과‘남곡선생’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적인 것과 근대문화의 관계도를 그리며 그 안에서 조선적인 것의 가치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소설은 그의 일본적 전작 소설들보다 정신적이고 심층적인 영역으로 이행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작중인물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남곡선생’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조선적인 것의 가치를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주제화시켰다는 점에서, 이 소설이 문학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강요되었던 서구적 근대화를 대타항으로 설정하면서 조선적인 가치의 재발견을 촉구하고 있으며, 그 가치들은‘남곡선생’으로 하여금 조선인 혹은 일본인 독자가 느꼈을 긍정적인 조선성의 여러 면모들에 다름없다. 식민지 조선의 교육자이자 법률가로서, 한국어는 물론 일본어도 유창한 이중언어작가로서, 일제 당국이 조선을 대표하는 인물로 주목했던 엘리트 지식인으로서 유진오는 본인의 의지와 외부의 인식에 의해 조선의 대변자라는 의식을 내면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식민지 지배라는 당시 조선의 뼈아픈 역사 속에서 일본어 문학을 통해 긍정적인 조선 표상 담론을 정신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것으로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정체성을 지키려 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진오의 일본어 문학에 나타난 조선적 가치의 재고 -일본어 소설 「남곡선생(南谷先生)」을 중심으로-

        김욱 ( Wook Kim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1 No.-

        본 논문은 조선의 근대 지식인 작가 유진오가 일제강점하 조선 문단에서 어떻게 일본어 창작으로 나아갔는지, 일본어로 문학을 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다름없는 조선적인 것들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일본어 소설 「남곡선생(南谷先生)」을 통해 살펴보는 글이다. 「남곡선생」은 주인공 수동과‘남곡선생’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적인 것과 근대문화의 관계도를 그리며 그 안에서 조선적인 것의 가치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소설은 그의 일본적 전작 소설들보다 정신적이고 심층적인 영역으로 이행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작중인물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남곡선생’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조선적인 것의 가치를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주제화시켰다는 점에서, 이 소설이 문학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강요되었던 서구적 근대화를 대타항으로 설정하면서 조선적인 가치의 재발견을 촉구하고 있으며, 그 가치들은‘남곡선생’으로 하여금 조선인 혹은 일본인 독자가 느꼈을 긍정적인 조선성의 여러 면모들에 다름없다. 식민지 조선의 교육자이자 법률가로서, 한국어는 물론 일본어도 유창한 이중언어작가로서, 일제 당국이 조선을 대표하는 인물로 주목했던 엘리트 지식인으로서 유진오는 본인의 의지와 외부의 인식에 의해 조선의 대변자라는 의식을 내면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식민지 지배라는 당시 조선의 뼈아픈 역사 속에서 일본어 문학을 통해 긍정적인 조선 표상 담론을 정신적인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것으로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정체성을 지키려 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a modern intellectual writer of Chosun, Yu, Jin-oh advanced into Japanese creation in the Chosun literary circl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ow he reflected things of Chosun like his identity while writing in Japanese through a Japanese novel 「Mr. Namgok」. While dra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of Chosun and modern culture through the story of the protagonist Sudong and Mr. Namgok, 「Mr. Namgok」 is deriving the value of things of Chosun in it. This novel shows the process of going to a more mental and in-depth domain than his Japanese previous novels. In particular, this novel is thought to have the value of the literary history in that the value of things of Chosun was topicalized literarily in detail in a way of understanding‘Mr. Namgok’depending 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characters in the story. In addition, setting Western modernization forc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s its counterpart, it urges the rediscovery Chosun’s value and those valu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various aspects of positive traditional culture of Chosun that Yu, Jin-oh tried to convey to Koreans or Japanese readers through ‘Mr. Namgok.’As an educator and lawyer of colonial Chosun, a bilingual writer who is fluent in Japanese as well as Korean and an elite intellectual noted by Japanese authorities as a figure representing Chosun, Yu, Jin-oh can be seen to have internalized the awareness that he is a representative of Chosun by his willingness and external recognition. Thus, in the painful history of Chosun at that time, colonial rule, he tried to defend his identity of a colonial intellectual by elevating positive Chosun representation discourse to the mental area through Japanese language literature.

      • KCI등재

        고정옥의 민요 연구에 나타난 ‘조선민요(朝鮮民謠)’의 ‘암음(暗陰)’

        김영희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70

        Go-Jeong-Ok majored in Korean oral literature, especially folksongs, and he studied about ‘Joseon-literature’ in Kyeong-seong(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in 1930s. When he graduated from university in 1939, he wrote the thesis about Joseon-folksong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finished, he re-wrote his graduation thesis and then published the book entitled, the study on Joseon-folksongs(朝鮮民謠硏究) in 1949. Then he went to North Korea, and had written the book, the study on oral literature of Joseon(朝鮮口傳文學硏究) in 1962. He had studied and had written about the orality and the collectivity of ‘the people(民)’ presented in Korean folksongs and folktales, which made an influence to the studies of oral literature in North Korea. Go-Jeong-Ok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folksongs, divided into the brightness and the darkness, in the end of the thesis of the study on Joseon- folksongs(朝鮮民謠硏究, 1939). The mentions of the darkness of Joseon- folksongs were longer than ones of the brightness. He remarked the decadence and the primitiveness as the darkness of Joseon-folksongs. The mode of the argument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discourse field of Japanese colonialis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culture as ‘the cultural femininity’. In this context, the femininity of Joseon-culture was interpreted as representing the aboriginality and the uncivilized of the colony Joseon. 고정옥의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선어문학 강좌 졸업논문인 <조선민요에 대하여>는 1930년대 말에 등장한 ‘조선민요’에 대한 체계적 연구서로서, 식민지 제국대학에서 이루어진 근대문학 교육의 효과로 드러난 연구 성과였다. 이 저작에 나타난 고정옥의 ‘조선민요’ 인식은 식민지 시기 ‘조선민요’에 대한 ‘제국’의 왜곡된 시선을 답습하는 한편, 식민주의에 동화된 지식장에서 벗어나려는 ‘탈식민’의 단초를 드러낸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고정옥이 논문 말미에 언급한 조선민요의 ‘암음면(暗陰面)’에 관한 그의 민요 인식이다. 조선민요의 ‘어둠’을 기술하는 대목에서 그는 조선을 ‘제국’의 한 ‘로컬(local)’로 바라보며 조선민요에서 ‘토속성’과 ‘원시성’을 발견하려 했던 ‘제국’ 학문의 시선을 답습한다. 민요의 어떤 자질들을 ‘토속적이고 원시적인 것’으로 재발견하면서 이를 식민지 조선의 반문명성, 혹은 전근대성을 입증하는 근거로 해석하려는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조선민요의 어둠을 ‘여성적’ 자질로 기술하고 이를 통해 식민지 조선의 ‘여성성’을 민요를 통해 규명하려는 태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