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참조적 의사소통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숙진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참조적 의사소통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참조적 의사소통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의도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 인가? 참조적 의사소통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사고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가? 참 조적 의사소통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감정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가? 를 연구문제 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도 C군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 대상 학생 중에서 주 장애가 지적장애인 학생 30명을 의도적으로 선정하 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정하고, 실험집단에 주 3회씩 7주 동안 총 21회기의 참 조적 의사소통훈련을 시행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사후검사로 조망수용능력검사를 실시한 후 각 검사별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효과 차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참조적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의도 조망검사 점수와 사고조망검사 점수의 향상도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참조적 의사소통훈련은 지적 장애학생들의 의도조망수용능력과 사고조망수용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밝혀졌으나, 감정조망검 사 점수의 향상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참조적 의사소통훈련은 지적장애학생들의 감정조 망수용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참조적 의사소통훈련 이 지적장애학생의 의도조망수용능력과 사고조망수용능력 향상에는 효과적이나 감정조망수용능 력 향상을 위해서는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정신지체학생과 뇌성마비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 특성 비교

        유별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정신지체학생과 뇌성마비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정신지체학생과 뇌성마비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특성의 차이와 정신지체학생과 뇌성마비 학생의 자기결정능력 특성에 차이, 그리고 정신지체학생과 뇌성마비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 간에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를 연구문제로 선정하고,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과정까지의 학생 중 정신지체 학생 25명과 뇌성마비 학생 25명을 선정하여 학생들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지체학생이 뇌성마비학생에 비해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지체학생이 뇌성마비학생의 자기결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지체학생과 뇌성마비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타인에 대한 생각과 의도, 감정을 이해하며 이를 조화롭게 수용하는 사회인지영역인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이 높을수록 교육, 독립생활, 사회적 기술, 고용의 영역에서 자기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자기결정능력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뇌성마비학생에 비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은 정적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뇌성마비학생들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이 고안되어 뇌성마비학생들에게 지도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에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으므로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자기결정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응 프로그램들이 현장에서 요구된다.

      • KCI등재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른 또래교수 상황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

        신효현(Shin, Hyohyun),김희진(Kim, Heeji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0 육아지원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과 또래교수 상황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라 교수자로서의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학급 유아 64명이다. 인지조망수용능력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상 ․ 하위 20%의 유아에게는 교수자 역할을, 나머지 60%의 유아에게는 학습자 역할을 부여하여 교수자-학습자 쌍을 구성한 후, 또래교수 과제를 통해 인지조망수용 능력이 높은 유아와 낮은 유아의 교수자로서의 능력을 평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범위, 평균(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양한 수준의 인지조망수용능력을 가진 만 4세 학급 유아는 또래 교수 상황에서 효과적인 교수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에 따라 또래교수 상황에서 교수자로서의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를 가르치는 현장의 교사에게 유아 또한 효과적인 교수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함으로써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서 유아의 역량과 주체성을 높이기 위한 토대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nd their teaching capability in a peer tutoring situ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ormer on the latter. A total of 64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ll four-year old and enrolled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cognitive perspective-taking test results: 1) a teacher group (the top and bottom 20% of the test), and 2) a learner group (the middle 60% of the test). Teacher-learner pairs were created and then each pair were given a peer-tutoring task, during which teaching capabilities of those taking a teacher’s role were evaluat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range valu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examin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children with high and low levels of cognitive perspective-taking were able to teach effectively in peer tutor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teaching capabilities depending on their levels of cognitive perspective-tak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hildren’s role and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es should be expanded considering their observed competencies and agency as an effective teacher.

      • KCI등재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백향기,이재영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조망수용능 력과 정서조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두려움, 흥분, 기쁨 상황의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 력이 수준에 따라 감정조절능력의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각 요인 간의 상 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망수용능력의 하위 요인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탈중심 화, 조직이해와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탈중심화, 조직이해가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 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두려움, 충격, 기쁨의 상황에서 유의하였으나, 흥분 상황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망수용능력 중 자기이해능 력은 두려움, 충격, 기쁨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타인이해는 기쁨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 부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spective taking ability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ample of 305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one-way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turn analysis through SPSS 23.0.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trol abilities in fear, excitement and jo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level of the child-care teacher.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in the emotional situation showed that the subfactors of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between self-understanding, others-understanding,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mong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understanding and others' understanding was high, and there was a high level of correlation between self-understanding and decentralization, others-understanding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self-understanding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nd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Third, the influence of self-understanding, others-understanding,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on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was noted in situations of fear, shock and joy, but not in excited situations.

      • KCI등재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

        김희진,한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This research aims for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forty eight children who are 4 or 5 years ol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veral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hildren graded the highest score for empathy among subordinate positions of moral self, compensation, interests about good emotion with parents, sensitiveness about violating rules in the order named. On the other hand, children graded the lowest score for guilty conscience and emotional anxiety after violating rules.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the average of 15.38(SD=9.35) on a scale of 24.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got a better grade than that about one's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thei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confession, one of the moral self's subordinate moral positions, seems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mong the total of children's moral self's mark and their subordinate positions, confession, compensation, and interest about other people's misconduct seem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As a result of analyzing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former seems to posses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one subordinate factor among the latter's type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만 4세, 만 5세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도덕적 자아,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의 관계에서 도덕적 자아의 하위 도덕적 차원 중 고백이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 총점과 도덕적 자아의 하위 차원 중 고백, 보상, 타인비행관심이 정서조절능력 총점과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성을 한 가지 측면으로 분리한 개념이 아닌 통합적 개념으로서의 도덕적 자아를 연구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유아의 도덕교육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도덕성 연구와 도덕성 교육에서에서 유아의 정서발달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유아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성인순,이승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의 양상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반 유아 102명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여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관찰범주를 통해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을 관찰하였고, Denham과 Couchoud(1990a)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감정조망수용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또래놀이접근 시 진입 요청하기를, 또래놀이수용 시 적극적 수용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또래놀이 접근행동과 수용행동 간에는 유아들의 적극적.소극적인 성향에 따라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개별 유아마다 자주 사용하는 1~2개의 상용적인접근 혹은 수용행동이 있었다. 둘째, 또래놀이 접근행동 중에서는 제안하기만이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또래놀이 수용행동 중 적극적 수용 및 조건부 수용은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정적상관이, 소극적 수용 및 무시는 감정조망수용능력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general trends in young children’s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s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subjects were 102 four-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in Seoul, Korea,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of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s and tests of a modified ‘Ability to Identify Emotion in Equivocal Situations’ developed by Denham and Couchoud (1990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year-old children showed ‘entry request’ most when accessing peer play and displayed ‘active acceptance’ most when accepting peers in play; partial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ccess behaviors and acceptance behaviors, reflecting the child’s active or passive disposition. In addition, it seems that each child had one or two special access/acceptance behaviors in his/her habitual use. Second, among peer play access behaviors, only ‘suggest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mong peer play acceptance behaviors, ‘active acceptance’ and ‘conditional acceptan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while ‘passive acceptance’ and ‘ignor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t.

      • KCI등재후보

        생활창의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권윤선(Kwon, Yoon-sun),이경화(Lee, Kyung-Hwa)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0 창의력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생활창의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활동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조망수용능력이 유사한 만 5세 유아 38명이며, 대상 선정 후 각 16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조망수용능력 측정도구는 Hudson, Forman과 Brion(1982)의 조망수용 도구를 신현옥(1996)이 번역하여 수정ㆍ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생활창의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와 다른 장르의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 유아들에 대한 12차시 실험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유아들에게 생활창의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 즉 인지 조망수용능력(타인 의도조망능력, 타인 사고조망능력)과 감정 조망수용능력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생활창의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이 다른 장르의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에 비해 조망수용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생활창의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한다면 유아들의 조망수용능력을 증진시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적절한 교수방법이 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orytelling activity using creative storybook on young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so set the two research problems and verified.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1. Will the story telling activity using creative storybook effect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2. Will the story telling activity using creative storybook effect on fostering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thirty eight 5 years old children were selected randomly a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nd then random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qually. Pre and post test were performed on the two groups. The 12 creative storybooks that were related to the child’s everyday life for experiment were carefully selected. The story telling activity using the creative storybook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gular program of kindergarten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otal 12 sessions were performed and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t-test) using SPSS 14.0.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tory telling activity using creative storybook was effective on the fostering of young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Hence, utilization of such the story telling activity using creative storybook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fostering a child’s perspective-taking ability, providing the users with an apt teaching method for developing a child’s social ability.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경험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선정,이소은 한국아동권리학회 2012 아동과 권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The subjects were forty 5-year-old children from 2 public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N-Gu, Seoul. Twenty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integrated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for 7 weeks whereas children of control group read the same books without related activities. For analyzing data, Mean, SD, t-test, and ANCOVA were use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their language abilities, including decoding skill, comprehension skill and vocabulary, than their counterpart. Secon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affective and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respectively, than their counterpart. Third,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was found related to language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However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in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ccording to sex, and boys of experimental group tended to show higher improvement than girls.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경험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N구에 위치한 두 곳의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총 40명이며, 한국판 K-ABC의 습득도 검사 중 문자해독 하위검사, K-WPPSI의 어휘검사, AST(Affective Situation Test) 및 인지조망능력척도(Kurdek & Rodgon, 1975)가 연구도구로 사용되었다. 실험은 예비조사과정을 포함하여 2011년 1월 넷째 주부터 4월 첫째 주까지 이루어졌으며,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처치단계에서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일과 중 그림책 읽기만을 실시한 후 활동경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언어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통합적 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문자해독능력, 문장이해력, 어휘력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실험집단 유아의 인지조망수용능력과 감정조망수용능력이 통제집단 유아보다 높았다. 셋째, 언어능력과 조망수용능력에서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조망수용능력에서는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남아의 인지조망 향상 정도가 여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따른 시각적, 인지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김은하(Eunh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1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따른 시각적, 인지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차이를 초 등학생(일본 청각장애 아동) 1학년에서 6학년의 100명을 대상으로 조망수용능력 과제의 수행 결과로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조망수용능력은 정적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읽기능력 에 따라 각 조망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 련성을 경로 분석을 통해서 검토한 결과, 인지적 조망수용능력에서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으로 향하는 경로가 나타났으며, 읽기능력에 따라 구분되었다. 읽기능력이 낮은 청각장애 아동은 1 차 틀린 믿음 과제에서 맥락적 감정 이해 과제로 향하는 경로가 나타났고, 읽기능력이 높은 청각장애 아동은 2차 틀린 믿음 과제에서 맥락적 감정 이해 과제로 향하는 경로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읽기능력이 높은 청각장애 아동은 맥락적 감정 이해 과제 해결에 이차적 추측 능 력을 사용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deaf children. Participants were 100 deaf children (Japanese) from the first to sixth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for the deaf. Each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an appare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patterns of correlation between visual,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ading ability.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a first path through first-belief tasks to contextual emotion tasks, and a second path through two-level tasks to second-belief tasks and to contextual emotion tasks. The low reading ability group showed the first path. On the other hand, the high reading ability group showed the second path of more difficult tasks in perspective-taking. This indicates that the high reading ability group uses high level of recursive thinking for contextual emotion task.

      • MeFOT기반 타인 마음읽기 훈련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행숙(Kim Haeng-Sook) MeFOT창의인성학회 2018 MeFOT 창의인성연구 Vol.6 No.1

        마음읽기 훈련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만 5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이중 23명은 MeFOT기반 타인 마음읽기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에 배정하고 나머지 23명은 통제집단에 배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도구는 MeFOT기반 타인마음읽기훈련이며 측정도구는 감정조망수용능력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타인마음읽기훈련은 감정조망수용능력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단순상황보다 복잡상황에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타인마음읽기훈련은 기쁨정서와 공포정서 조망수용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노정서 조망수용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복잡상황보다 단순상황에서 나타났으며, 슬픔정서 조망수용능력은 복잡상황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MeFOT-based mind reading training on young children s perspective-taking ability, in this study, 23 out of 46 young children aged 5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23 ones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and th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MeFOT-based other s mind reading training was used as an experimental tool,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tool was used as a measuring tool.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ther s mind reading training in this study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this effect occurred in the complex situation rather than in the simple situation. Second, other s mind reading training didn t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y and fear perspective-taking ability. However, it significantly affected anger perspective-taking ability. This effect occurred in the simple situation rather than in the complex situation, and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lex situation of sadness perspective-tak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