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조각의 파편화된 형상과 부분대상에 관한 연구 : 마크 퀸의<완전한 대리석상>(1999-2001) 해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정은영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2 美術史學 Vol.- No.26

        본 논문은 2005년 런던 트라팔가 광장의 제 4 대좌에 세워졌던 <임신한 앨리슨 래퍼>를 포함한 마크 퀸의 <완전한 대리석상>(1999-2001)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조각사적인 위상과 심층심리적인 의미를 고찰한다. 총 열 점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완전한 대리석상>은 장애자의 인체형상을 “[그 자체로] 전체인 사람들의 초상조각”으로, 팔다리가 없는 고대 조각에 찬사를 보내는 사람들이 현실의 파편화된 신체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반응을 보이는 사실에 주목하여 제작된 것이다. <완전한 대리석상>에 함축된 부분과 전체, 주체와 타자, 인체와 대상이라는 문제를 분석함에 있어 본 연구가 핵심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은 현대조각의 담론에서 발견되는 ‘파편화된 형상(partial figure)’과 ‘부분대상(part-object)’이다. 본 논문은 이 두 개념을 각각 형식주의적인 모더니즘 조각과 반(反)형식주의적인 현대조각의 내적 논리이자 작동 방식으로 접근하고, 마크 퀸의 인체조각이 지닌 부분대상적인 특징을 파편화된 형상과의 관계 속에서 분석, 제시한다. 현대조각의 시작을 알리는 로댕의 토르소는 광의의 파편화된 형상과 구별되는 현대성을 지닌다. 즉 완전한 조각이 되기 위해 인체의 전체형상을 최종 목적지로 상정할 필요가 없다는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와, 재료를 다루는 과정을 그대로 드러내어 매체 자체의 물질적인 형식을 강조하는 것이 그것이다. 형식주의 모더니즘 조각의 담론은 로댕의 이러한 파편화된 형상을 추상조각의 출현을 가능케 한 시발점으로 본다. 특히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역사에서 콘스탄틴 브랑쿠시의 추상조각은 로댕이 파편화된 형상을 통해 열어놓은 가능성들을 그 한계까지 밀고 나간 결과로 이해된다. 파편화된 형상에서 추상조각으로 나아가는 형식주의적인 진화 속에서 작동하는 중요한 원리는 바로 본질로의 ‘환원’과 순수로의 ‘승화’이다. 한편 20세기 중반 대상관계이론이 발전시킨 부분대상은 로댕의 파편화된 형상으로부터 브랑쿠시의 추상조각으로 이어지는 모더니즘 조각의 진화론적 발전이론에서 억압되거나 경시되었던 다양한 오브제 작업을 해석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한다. ‘탈승화’를 핵심으로 하는 부분대상의 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축된 현대조각에서 본 논문이 주목하는 것은 마르셀 뒤샹과 루이즈 부르주아의 작업이다. 이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부분대상의 해방적인 탈승화는 크게 두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첫째는 성적 리비도의 고착과 고착대상의 전치, 반복 및 확산을 원리로 하는 양상이고, 둘째는 논리의 침식과 범주의 해체로 나아가는 전격적인 비정형(informe)과 애브젝션(abjection)의 양상이다. 현대조각의 내적 논리와 작동 방식에 대한 이상과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본 논문은 마크 퀸의 <완전한 대리석상>이 파편화된 형상의 논리를 참조하고 나아가 전복함으로써 부분대상적인 충동을 작동시키는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완전한 대리석상>은 퀸의 표현대로 “전통의 무게를 사용하여 전통 자체를 상쇄”함으로써 현대 조각의 환원과 승화의 원리를 효과적으로 전복한다. 특히 <임신한 앨리슨 래퍼>는 문화적인 재현의 영역에서 오랫동안 배제되고 억압되어온 극단적인 타자성을 탈승화의 방식으로 상징계의 영역에 돌출시킨다. 이로써 본 논문은 퀸의 작업이 추상조각의 순수형식과 선험적인 주체에 비판을 제기하고 몸의 정치학과 타자성의 재현 문제를 적극적으로 담론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음을 확인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rich and complex implications of Marc Quinn’s Complete Marbles, a series of ten life-size sculptural portraits of amputees and disabled individuals done between 1999 and 2001. Included in the series is the Alison Lapper Pregnant which was installed on the fourth plinth in Trafalgar Square, London, for eighteen months in 2005-2007. As Quinn stated, he was struck by the fact that people admiring the fragmented marble statuary would have the opposite reaction to real people who have missing or deformed limbs. Intending to reveal this ironic gap between art and life, Quinn created the sculptural images of disabled people in the style and medium of classical antiquity and addressed that they are portraits of whole people, not fragments of people. Attending on such issues as the part and a whole,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body and the object that constitute the core meaning of Quinn’s work, I suggest to position his work within the discourse and practice of modern sculpture, and explore its critical and transgressive implications based on two key concepts: ‘partial figure’ and ‘part-object.’ These two concepts respectively relate to the formalist perspective of modern sculpture (emphasizing the evolution from partial figure to pure abstraction) and the anti-formalist intervention in the modern sculptural practice (desublimating the libidinal drive into the abject or formless). Especially for the sculptural adventure into the realm of part-object, I highlight Marcel Duchamp’s erotic objects, such as Please Touch and Erotic Objects, and Louise Bourgeois’ morphologically ambivalent sculptures including Janus Fleuri and Fillette. This paper situates Quinn’s Complete Marbles and the Fourth Plinth project of Alison Lapper Pregnant within such revised history of modern sculpture. I suggest Quinn’s sculptural portraits have appropriated the elements of partial figure to undermine the logic of abstraction and sublimation, and created a powerful rupture in the symbolic, phallogocentric order by bringing forth the body of the other as part-object. As such, The Complete Marbles has subverted the formalist tradition founded on the idealist notion of wholeness/completeness and activated the anti-formalist impulse to erode the very foundations of normative subjectivity.

      • KCI등재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

        강철하(姜哲夏)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東亞法學 Vol.- No.52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란 위법성조각사유의 객관적 전제 사실이 실제로 존재하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존재한다고 오인하여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하는 행위로 나아간 경우를 말하며, 정당화사정의 착오 또는 허용구성요건의 착오라고도 한다. 즉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는 ‘법 규정 자체’에는 착오가 없고, 다만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가 되는 ‘사실’에 대해서 착오가 있는 경우를 의미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착오는 행위자의 의사가 적법하게 실현될 사태의 실현에 향해져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의미의 인식’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사실의 인식’에 관한 문제라는 점에서 행위자의 주관적 의사의 측면에서 보면 구조적으로 구성요건적 착오와 동일하나 그 착오의 대상이 ‘객관적 구성요건표지로서의 사실’이 아니라 ‘위법성조각사유의 요건인 사실’이라는 점에서 구성요건적 착오와 구별된다. 나아가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는 구성요건적 고의는 있고 구성요건의 위법경고기능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행위자에게 위법성의 인식이 없다는 점에서 위법성의 착오와 유사하지만 위법성조각사유의 “객관적 전제사실을 오인하여” 다시 허용되는 행위를 한다고 믿었던 ‘이중의 착오’가 있다는 점에서 위법성의 착오와 구별된다. 그런데, 우리 형법은 오스트리아 형법 제8조와 달리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에 관하여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므로 그 해결은 학설과 판례에 맡겨져 있다고 볼 수 있고, 이런 점에서 해석에 따라 위 착오를 구성요건적 착오로 파악할 경우에는 형법 제13조를 적용하여 고의를 조각(착오에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과실범으로 처리) 시킬 수 있을 것이나 금지착오로 파악할 경우에는 형법 제16조를 적용하여 ‘그 오인에 정당한 이유가 있는 때’에 책임만이 조각되고 원칙적으로 고의범으로 처벌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형법상 인정되고 있는 구성요건적 착오와 위법성의 착오 중 이러한 착오를 어떻게 취급할 것인지 여부가 문제되고, 착오자에 대한 고의범 또는 과실범 처벌문제가 연결된다는 점에서 그 법적 해석방법 및 형법의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조각의 근대성과 현대성: 한국근현대조각사 서술의 쟁점들

        홍지석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3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6 No.-

        한국 근대조각의 근대성을 관찰한 다수의 미술사가와 미술비평가들은 서구조각의 수용을 통한 전통조각과의 단절을 강조했다. 논자들의 입장은 그 수용을 수동적인 것으로 보느냐 아니면 능동적인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갈라졌다. 전자는 ‘모방과 이식’을 후자는 현실의 리얼리티를 반영한 사실주의를 내세웠다. 좀 더 최근에는 근대조각을 가능케 했던 사회적 조건이나 물적 토대를 강조하는 논의들이 등장했다. 한편 한국 현대조각의 현대성에 관한 논의는 추상조각에 집중됐다. 많은 논자들이 해방 이후 추상조각의 도입과 전개에 각별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추상조각을 근대조각과 구별되는 현대조각으로 내세웠다. 이렇듯 추상조각을 중심에 놓는 한국 현대조각사 서술은 추상조각의 역사-사회적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추상조각의 한국적 변용 내지 재해석을 강조했다. 하지만 현대조각으로서 구상조각의 위상에 주목한 논자들도 있었다. 이들은 구상조각의 크고 작은 변화들에 주목하여 추상조각의 역사와 나란히 구상조각의 역사를 서술했다. 1960년대 이후 현대조각-추상조각의 전개를 다룬 논의들은 추상조각의 역사적 변화에 집중하면서 시대구분을 수행하는 통시적 관찰보다는 그 유형화 양상에 집중하는 공시적 접근에 주력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조각 자체가 그와 유사하지만 동일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비조각, 오브제미술, 입체, 설치미술 등 새로운 미술형태들, 개념들의 등장에 따라 위기 상태에 처하게 된 1970년대~1980년대 이후의 조각사 서술에 보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조각사 서술은 조각 개념의 확장, 다원화, 해체로 지칭된 급격한 변화에 직면하여 ‘조각’이라는 개념을 유지하면서 확장, 다원화, 해체적 양상을 조각사 서술에 반영하는 문제에 골몰해 왔다. Many art historians and art critics who have observed the modernity of Korean modern sculpture have emphasized the disconnection from traditional sculpture through acceptance of Western sculpture. The position of art historians was divided depending on whether they viewed the acceptance as passive or active. The former advocated ‘imit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the latter advocated realism that reflected social reality. More recently, discussions have emerged that emphasize the social conditions and material foundations that made modern sculpture possible. Meanwhile, the discussion on the contemporaneity of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has focused on abstract sculpture. Many art historians put special meaning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abstract sculptures after liberation period and put abstract sculptures as contemporary sculptures that are distinct from modern sculptures. As such, the description of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history, which puts abstract sculptures at the center, emphasized the Korean transformation or reinterpretation of abstract sculptures to claim the historical and social justification of abstract sculptures. However, there were also art historians who paid attention to the status of figurative sculptures as contemporary sculptures. They described the history of figurative sculptures in parallel with the history of abstract sculptures, paying attention to the large and small changes in figurative sculptures. Since the 1960’s,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sculpture have tended to focus on the typification rather than the approach that focuses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sculpture. This trend is more evident in the description of sculpture history since 1970’s~1980’s, when the sculpture itself was in a state of crisis due to the emergence of new art forms and concepts, such as non-sculpture, object art, three-dimensional art, and installation art, which are similar but cannot be said to be the same. Since the 1990’s, the description of sculpture history has been focused on reflecting the expansion, diversification, and dismantling aspects of sculpture while maintaining the concept of sculpture.

      • KCI등재

        충북지역 조각 공원 및 작품의 보존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오승준,위광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조각 공원 및 작품은 공공미술을 통해 자연과 조각 작품이 어우러져 각각의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와 예술 전시및 휴식 공간으로서 자리매김 했을 뿐 아니라 산업화 이후 우리나라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해주었다. 그러나 정책과 대중의 요구에 의해 양적 성장은 빠르게 이루어졌으나 시민 의식과 전문 지식, 예산과 보존관리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조각 공원과 공원 내에 설치된 조각 작품은 훼손되고 방치되어 본래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에 조성된 조각 공원 및 작품의 보존현황을 실사를 통해 조사해보고 보존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충북지역에 조성된 조각공원을 크게 야외, 부설 조각 공원으로 나누어 총 6곳을 선정하여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관리 주체가 명확하였음에도 불구하고공원 정비 및 관리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공원 내 설치된 조각 작품은 보수 및 보존처리가 전혀 이루어지지않아 공원의 보존, 관리와는 다르게 훼손, 방치되어지고 있었다. 이는 야외 조각 작품은 대형 작품이고 현대적작품이라 내구성이 좋으며, 일회성이라는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보수 및 보존처리 등의 사후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조각 공원의 조성 및 설립 의의를 되살리고 작가가 의도한 조각 작품 본래의 예술성, 독창성, 전달성 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보존, 관리가 이루어져야하며, 전문 인력과 예산, 제도적·법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민들의 성숙한 의식과 관리, 감독 기관의의무적인 사후관리 제도가 정비,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hough sculpture park is a space for exhibition and resting,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sculptures remain neglected without citizenship, expertise, and budget in spite of rapid quantitative growth.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culpture parks in Chungbuk to suggest a preservation plan. This study investigated 6 sculpture parks and results show that sculptures are neglected due to the lack of repair and preservation. This is by the lack of management coming from misconceptions that outdoor sculptures are large-scaled with excellent durability for one-time use. To restore sculpture parks, artistic value, originality and transmissibility, continuous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institutional· legal instrument with manpower and budget, shall be prepared. Compulsory follow-up management by managing agencies shall also be repaired and improved with mature civic awareness.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조각과일 이송장치의 낙하 충격량 분석

        강정균 ( Jeong Gyun Kang ),배광수 ( Kwang Soo Bae ),김동억 ( Dong Eok Kim ),진성득 ( Soung Durk Jin ),홍승기 ( Seung Gi H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조각과일은 1인 가구의 증가와 바쁜 도시생활에서 편리함을 추구하는 젊은 층의 소비트렌드 변화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조각과일의 가공공정에서 선별, 세척 작업은 자동화 되어 있으나 계량 및 포장작업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자동화가 필요하다. 조각과일 중 사과의 경우에는 갈변현상이 빠른 시간 내에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늦추기 위해 비타민 C 처리 등으로 코팅처리를 하고 있다. 계량 및 포장작업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포장 과정 중에 조각과일이 충격에 의해 외부가 손상되면 코팅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외부손상으로 인해 코팅 면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각과일을 자동으로 계량하고 포장하는 자동화장치를 개발하는 데 있어 조각과일을 용기에 공급할 때 조각과일의 코팅 면이 깨지지 않도록 낙하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각과일을 용기에 공급시 낙하에 의한 물리적 충격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조각과일 이송장치의 낙하 충격량을 분석하여 적합한 낙하높이 및 이송속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장소은 이엔푸드 회사의 장비 설계공장에서 실시하였고 실험재료인 사과는 일반 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균등하게 18등분으로 조각내어 각 실험마다 사과조각 3개씩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장비는 조각과일 이송장치의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였다. 본 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조각과일을 이송하고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조각과일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각과일의 이송거리를 조절이 가능하여 설정한 위치에 공급이 가능하다. 실험방법은 조각과일 이송장치의 이송속도 및 낙하높이에 따른 충격량을 분석하고자 이송속도 0.10m/s, 0.18m/s, 0.26m/s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이송장치의 낙하지점에는 컵실러를 둔 전자저울(AND, HC-6KW, Japan)을 설치하여 조각과일이 컵실러 안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으며 낙하거리는 낙하지점에서 컵실러의 바닥까지 14cm, 17cm, 20cm로 실험하였다. 전자저울은 RS232C 통신을 통해 노트북 PC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되도록 하였으며 데이터는 초당 10회씩 측정하였다. 또한 조각과일의 낙하를 관찰하고자 카메라(Sony, DSC-RX10 IV, Japan)를 사용하여 슬로우 모션 (960fps)으로 촬영 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조각과일의 평균 무게는 12.7g±1.2g으로 측정되었으며, 전자저울로 측정된 평균 순간 충격량은 낙하높이 14cm에서 이송속도 0.10m/s, 0.18m/s, 0.26m/s 일 때 각각 14.6gf, 14.6gf, 15.0gf, 낙하높이 17cm일 때 16.0gf, 16.7gf, 17.3gf, 낙하높이 20cm일 때 17.3gf, 17.6gf, 18.6gf로 나타났다. 이송속도에 의한 차이는 최대 1.3gf로 나타났으며 높이에 의한 차이는 최대 3.7gf로 나타나 이송속도 변화에 따른 충격량보다 낙하높이에 따른 충격량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슬로우 모션으로 촬영한 영상으로 관찰한 결과 높이가 높을수록 조각과일이 낙하 후 반력에 의해 튀어오르는 높이가 높아 낙하높이 20cm에서는 컵실러 밖으로 나갈 우려가 있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낙하높이 17cm 이내, 이송속도는 0.26m/s에서 작동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계량장치에서 계량 후 투입시 충격량을 측정 할 것이며 갈변현상 방지 코팅을 한 조각과일로 실험하여 코팅의 손상에 대한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 KCI등재

        이승택의 (비)조각 연구: 『세계여체조각』을 중심으로

        임수영(Sooyoung Leam) 현대미술사학회 2021 현대미술사연구 Vol.- No.49

        조각의 전통적 물질성과 개념을 전복한 ‘비(非)조각’으로 대표되는 작가 이승택(李升澤, 1932~)의 작품세계에 대한 역사화와 담론화는 그 어느 때보다 현재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1950년대 후반부터 매체와 장르를 넘나들며 지금까지 왕성한 작업을 이어 온 작가에 대한 논의는 체제에 대한 부정과 실험성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특히 한국의 전위예술과 행위예술의 범주 안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본 논고는 이러한 담론 속에서 지속적으로 배제되거나 간과되어 왔던 이승택의 1976년도 단행본 『세계여체조각(Woman Sculpture of the World)』에 주목한다. 그 방법으로 출판 배경과 제작 의도, 도판 중심의 구성을 분석하고, 책의 주제와 편집과정이 어떻게 ‘비조각’을 향했던 이승택의 초기 작업과 연결되어 있는지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세계’를 대상으로 조각의 역사를 스스로 구축함으로써, 자신의 작업을 맥락화한 다양한 시도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본 논고는『세계여체조각』을 ‘비조각’이라는 표현을 구체화하기에 앞서 ‘조각이 될 수 없는 것’에 지속해서 괄호 치기를 시도한 이승택의 ‘(비)조각적’ 탐구의 일환으로 바라본다. This paper offers a close reading and a ‘deep’ contextualization of Woman Sculpture of the World (sic), a photographic compendium authored by Lee Seung-taek and published by Yeolhwadang in 1976. Best known for his subversive experimentation with traditional materiality and the concept of sculpture, known as ‘non-sculpture’, critical studies on Lee’s artistic practice continue to grow, yet remain fragmented: his non-sculptures have variously appeared in the contexts of Korean avant-garde art, conceptual art, and postmodernism, among others. Futhermore, they have repeatedly undermined the significance and relevance of Woman Sculpture of the World , a magnum opus which contains carefully selected, edited and arranged black-and-white photographic plates of sculptures from different historic periods and cultures. Revisiting this hitherto overlooked publication, this paper examines its objectives, editorial composition, and the ways in which Lee sought to situate his own practice by ‘re-worlding’ the history of sculpture. This paper thus argues that the publication takes part in Lee’s experimentation with sculpture, which arises from bracketing the conventional notion of the genre with that which it is not.

      • KCI등재

        조선시대의 조각보 이미지를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 제안

        서옥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한국 전통공예 부문 중 독자적인 조형미와 예술성이 표현되어 있는 조선시대 조각보의 이미지를 남성복 정장의 필수 아이템인 넥타이 디자인에 응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유물과 문헌을 통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조각보의 유형을 참고하여 조각보 이미지를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을 컴퓨터 포토샵을 통한 시뮬레이션 작업과 넥타이 제작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우리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한국적 디자인의 방향을 모색하는 의미에서 조선시대의 조각보 이미지를 넥타이 디자인에 응용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넥타이 디자인을 제안해 보기 위함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우선 조각보 이미지를 응용한 패턴을 정형화하고 넥타이 디자인에 적용하여 포토샾 시뮬레이션 작업을 하였고, 시뮬레이션 작업의 디자인을 참고로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전사염 기법의 넥타이 7점을 제작해 보았다. 넥타이 디자인1은 사각형식의 조각보, 디자인2는 삼각형식의 조각보, 디자인3, 4 ,5는 자유형식의 조각보, 디자인6는 바람개비 형식의 조각보, 디자인7은 동심결 형식의 조각보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표현, 제작하였다. 본 연구가 우리의 독자적인 전통공예의 예술적 의미를 인식하고 현대적 패션 아이템 디자인에 실용화시킬 수 있는 전통문화 요소의 미적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전통 공예문화 요소를 응용한 디자인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Jogakbo were common in Korea during the Joseon period. It has unique aesthetic and artistic values. This study applied images of such Jogakbo to designs of neckties, which are an essential item of men's formal suits. Theoretical research was done on artifacts and literature about Joseon Jogakbo. The resulting images were applied to necktie designs in both Photoshop simulations and actual neckties. This study seeks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help determine appropriate directions of Korean design for the future. More specifically, it suggests necktie designs that can maintain and emphasize Korean images. The patterns extracted from Jogakbo images were defined and applied to necktie designs initially in Photoshop simulations. Based on the simulations, seven transfer-dyed polyester neckties were made. The first design is based on the designs of square Jogakbo; the second on those of triangular Jogakbo; the third, fourth, and fifth on those of free-style Jogakbo; the sixth on those of pinwheel-style Jogakbo; and the seventh on those of dongsimgyeol (traditional knot)-style Jogakbo. By bringing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into everyday life and commercializing them, this study is intended to recognize artistic values of Korea's unique traditional crafts, apply them to the designs of various fashion items, and thereby recreate and reinforce the value of traditional crafts. Efforts should be made on an ongoing basis to develop designs with traditional craft and cultural elements.

      • KCI등재

        조각의 확장과 비조각의 의미 - ‘부정성(negativity)’으로 존재하는 조각 -

        남인숙 ( Nam Inso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2

        이 연구는 ‘비-조각(not sculpture)’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비-조각이 문제된 배경을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관점으로 정리하고, 초현실주의로부터 비-조각의 전개 근거를 찾아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 점을 뒷받침하기 위해 작품 사례를 제시하여 비-조각의 출현을 초현실주의에서 찾아야 한다는 연구내용을 뒷받침한다. 도널드 저드의 「특수한 물체(specific objects)」에 대한 비판적 논평에서 크라우스는 미니멀리즘이 추구하는 매체 순수성에 놓인 모순에 주목한다. 저드는 회화도 조각도 아닌 3차원의 물체를 ‘특수한 물체’라 명명한다. 특수한 물체의 특징은 즉물적이다. 즉물적인 물체나 구체성은 불가피하게 ‘전시의 형식’으로 관객과 함께 만나게 되므로 상호 침투적인 지각의 발생은 물론 환영의 형성이나 해석의 개입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특수한 물체’는 관계를 통해 혼성의 관계망 속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확장은 댄 플래빈이 시도한 산업재료 사용이나 온갖 플라스틱 재료, 넘쳐나는 이미지들에서 보듯 재료의 확장과 동시적으로 전개되면서 ‘비-조각(non sculpture)’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이다. 로잘린드 크라우스는 ‘조각도 아닌’, ‘회화도 아닌’ 부정성의 방식으로 전개되는 동시대 조각을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으로 분류하고, 건축도 아니면서 동시에 환경도 아닌 것의 구현을 ‘장소-구축물(site construction)’이라 부른다. 이것이 조각의 확장된 장이라 불린다. 따라서 ‘비-조각’은 확장된 관계 속에서, 인간적인 척도를 넘어서는 산업의 규모 속에서, 기능이 박탈된 폐허 속에서 발견된 ‘다른 미적인 가능성’을 겨냥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조각은 부정성으로 존재하는 일련의 작품 경향을 지시하며 이로부터 전개되는 조각의 확장된 장 그리고 혼성적인 설치와 ‘다른 가능성’을 지시하는 용어이다. 예를 들면 양감을 대신하는 분산된 설치나 즉물적 구체성이 연극적인 장면으로 되는 시간의 개입과 같은 사건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비-조각 흐름의 원천 중 하나를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찾고, 비-조각 경향은 기술시대 관객으로서 대중이 출현하고 새로운 매체의 등장(사진)에서 비롯된 예술 분류의 애매성에서 그 단초가 제시되었으며, ‘매체특수성’의 자체 내 모순은 비조각의 전개를 불가피하게 한 요인 중 하나였음을 제시한다. 비-조각 사례로서 보이지 않는 ‘중력과 디지털 언어’를 가시화하는 코헤이 나와와 빛 설치 조각의 부지현 작품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how to understand 'not sculpture'. First of all, it organizes the background of the problem of non-sculpture from Rosalind Krauss's point of view, argues that the origin of the non-sculpture tendency should be found in the surrealist movement, and supports the research by presenting a case of work. Rosalind Krauss points out the contradiction in the media purity pursued by minimalism in critical comments on Donald Judd's article "Special Objects." A three-dimensional object is called a ‘specific object’ in a work that is neither a painting nor a sculpture. The characteristic of a special object is immediate. However, the immediate object or specificity is inevitably placed with the audience in the form of a 'showroom', so intervention in illusion or interpretation as well as the occurrence of a mutually penetrating perception is unavoidable. Thus, 'non-sculpture'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ded sculptural concept aimed at 'other aesthetic possibilities' found in relationships, in the scale of industries beyond the human scale, and in the depleted ruins. Non-sculpture dictates a series of work trends beyond media purity, which in turn dictates the expansion of sculptures and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the hybrid installation. This non-sculpture example presents the approach of Kohei Nawa, which visualizes the invisible ‘gravity and digital language’ and the installation of author Boo Ji-Hyun.

      • KCI등재

        비조각론: 그린버그의 자기부정과 크라우스의 자기모순의 비평론

        유현주 ( Yu Hyunj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1 예술과 미디어 Vol.20 No.1

        본고는 비조각에 관한 매체이론을 다루는 데 있어, 그린버그의 자기부정과 크라우스의 자기모순의 비평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매체의 혼종과 확장에 따라 변화되는 조각/비조각이 어떻게 조각의 장 안으로 흡수될 수 있는가에 있어서,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이론과 크라우스의 구조주의적 비평론은 서로 상충한다. 그린버그에게 있어 예술 매체는 자기부정 즉 자기비판을 통해 고유의 매체특정성을 담지할 때 비로소 예술의 순수성과 자기충족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린버그의 논리는 그럼으로써 회화는 평면성을 획득하는 것이고 조각은 추상조각으로 진화해간다는 역사주의의 개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그린버그의 주장은 60년대 말등장한 대지예술, 미니멀 조각, 개념미술의 구조물 등을 조각의 범주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린버그가 강조하는 물질적 차원의 매체 개념에 반대해, 크라우스는 그린버그의 매체특정성 개념에 있어서 ‘매체’ 자체의 의미를 아예 재규정할 필요성을 지적한다. 크라우스의 매체 개념은 당시 모더니즘 조각에서 중요시 여기는 시각성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즉 논리적 조건의 상황 속으로 들어간 예술들을 포스트모더니즘의 맥락에서 새롭게 예술로 규정해주는 논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크라우스는 모더니즘적 맥락에서의 매체특정적(Media specificity) 조각 개념을 극복한 ‘조각 영역의 확장’ 이론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후 그녀는 포스트-매체(post-medium) 담론을 통해 매체특정성의 개념을 ‘기술적-지지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변주시킨다. 다시 말해 크라우스는 그린버그의 매체특정성을 전용하여 뉴미디어시대의 매체담론으로 활성화하고자 한 것이다. 그런데 크라우스가 ‘자기모순의 비평’에 당착했다는 비판을 받는 지점이 바로 이 매체특정성을 부활시킨 ‘포스트-매체론’ 때문이다. 크라우스가 말하는 매체의 재창안이라는 틀에서 볼 때, 과거의 특정 매체들도 확장된 매체의 영역 안으로 들어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비조각에 관한 한, 구조주의 기호학자 그레마스의 사각형에서 이끌어낸 크라우스의 확장된 조각장은 동시대의 비조각들을 포용하는 데 있어 여전히 유효하다. 그린버그의 매체특정성을 비판했던 지난날 크라우스의 비평이 포스트-매체 담론에서 ‘기억’, ‘기술적 지지체’ 및 ‘재창안’이라는 단어로 과거의 특정적 매체들을 수용한다고 해서 그린버그식으로 보수적 회귀를 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고는,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조각론 즉 예술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펼친 매체이론으로는 수용할 수 없었던 비조각을 크라우스는 구조주의 사각형을 도입함으로써 해명할 수 있으며, 그것이 조각예술의 장을 열었을 뿐 아니라 여전히 많은 동시대 매체들을 포용하는 다이어그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크라우스의 포스트매체이론에서 매체특정성 개념은 예술과 대중매체와의 경계선을 지켜낼 뿐 아니라 끊임없이 확장하는 매체들을 다루는 논리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린버그가 키치에 대한 경계로 아방가르드를 옹호한 것처럼, 매체의 재창안을 통해 크라우스가 예로 든 소수의 예술가들이 보여주는 것처럼, 자본과 시장의 논리에 흡수되지 않으려는 부단한 동시대 예술가들의 노력은 매체의 재창안 이론을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aper seeks to examine Clement Greenberg’s criticism of self-denial and Rosalind Krauss’s self-contradiction in addressing the media theory of non-sculpture. Greenberg’s modernist theory and Krauss’s structuralist criticism conflict in how sculpture/non-sculpture that change as media mix and expand can be absorbed into the sculpture’s field. For Greenberg, art media can only gain purity and self-fullfillingness when it contains ‘self-denial’, that is medium- specificity that cannot be returned to other areas through self-criticism. The logic of Greenberg has thus the concept of historicism that painting acquires flatness and sculpture has been evolving into abstract sculpture. However, Greenberg’s argument resulted in the exclus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s of land art, minimalism, and conceptual art from the sculpture category, which emerged in the late 1960s. Against this materialistic concept of medium, Krauss points out the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medium’ itself in Greenberg’s concept of medium-specificity. This can be called the logic of the medium that newly defines art as art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which entered the situation of logical conditions that cannot be explained in the logic of visuality counts most in modernism sculpture at that time. In this sense of problem, Krauss developed the concept of ‘extension of the sculptural field’ that overcame the concept of medium-specific sculpture in a modernistic context, but later changed the concept of medium-specificity to the name ‘technical-support’ in creating post-medium discourse. Krauss wanted to convert the Greenberg’s medium-specificity to a medium discourse in the new medium era. It is the ‘post-medium theory’ that revived this medium-specificity with which Krauss has been criticized for the ‘criticism of self-contradiction.’ This is because I think Krauss needs to enter the realm of expanded criticism in the framework of reinventing of the medium. In particular, when it comes to sculptures and non-sculptures, I believe that the extended field of sculpture derived from the Greimas square, structuralism semiologist, is still valid in embracing contemporary non-sculptures. It is hard to say that Krauss, criticized Greenberg’s medium-specificity in the past, returns to Greenberg’s medium-specificity conservatively with the words ‘memory,’ ‘technical-support’ and ‘reinventing’ accepting certain medium in the past through post-medium discourse. The essay emphasizes that Krauss’s structuralist square is able to explain the non-sculpture, which was not acceptable to Greenberg’s modernist sculpture theory or medium theory to preserve the purity of art, not only opened the field of non-sculpture but still used as a diagram to embrace many contemporary medium. This is because in Krauss’s post-medium theory, the concept of technical-support can be used as a logic to deal with ever-expanding media as well as protecting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mass media. Just as Greenberg advocated avant-garde as a boundary against Kitsch, the efforts of contemporary artists to not be absorbed by capital and market logic, as Krauss illustrates by a handful of artists, can be seen as supporting reinventing the medium.

      • KCI등재

        조선시대 조각보문양을 활용한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연구

        엄경희(Kyoung Hee Eom),최유미(Yoo Mi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현대 텍스타일디자인은 자연회귀현상, 옛것에 대한 향수의 영향으로 자연적인 모티브와 과거 전통적인 모티브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추세이며, 과거의 장식양식의 이해가 곧 새로운 패턴디자인의 발견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용적 디자인과 추상적 아름다움을 중시하였던 조선시대 조각보에 나타난 전통적인 문양을 고찰하고, 현대 감각에 맞는 모던한 기하학 패턴을 개발하여 한국 섬유산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는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내용은 조선시대 조각보의 개념과 전통 문화재적 의의를 고찰하였으며, 조각보에 나타난 문양의 특징 및 현재 조각보문양이 적용된 제품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기하학적 조형성이 가장 잘 나타난 조선시대의 후기 한국조각보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존 유물에 나타난 조선시대 조각보의 문양을 분석하여 모티브로 추출하여 응용하였다. 모티브제작과 반복패턴제작 시 텍스타일 전용프로그램인 SPD(Surface Pattern Design)를 사용하여 조선시대 조각보 문양 구성을 좀 더 현대적으로 디자인화 하였다. 또한 2012 SS 트렌드 컬러를 적용하여 최신유행 컬러와 조각보 고유의 전통적 컬러를 믹스매치 하여 폭넓고 섬세한 컬러이미지를 연출시켰다. 이러한 다양한 컬러 연출과 실제 제품적용 효과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하여 어도비 일러스트(Adobe Illustrator CS3)및 포토샵(Photoshop CS3)을 활용하였고, 이러한 연구방법으로 용도별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조각보에 나타난 방사형의 사각형문양과 전통와당문양을 응용하여 단순하고 모던한 감각의 침구용 제품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었다. 2012 컬러트렌드 인포카마이유(Faux Camaieu)1) 배색을 적용하여 부드럽고 세련된 컬러와 기하학적패턴을 통해 세련미와 고전미를 동시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둘째, 소파커버링을 위한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은 삼각형 조각보문양 고유의 직선적 조형미를 살리면서 최신 트렌드인클린 캔디컬러를 사용, 조각보의 오방색을 더 선명하고 맑은 분위기로 연출 하였다. 셋째, 조선시대 조각보문양을 이용하여 제작된 홈 인테리어 벽지 제품디자인은 조각보에 나타난 원형 여의주문양의 부드러운 곡선과 현대적 기하학 도트패턴을 겹치기 기법으로 활용하였다. 조각보 고유의 컬러를 포카마이유 배색으로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젊은 감성에 어울리는 홈 인테리어용 벽지 제품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넷째, 커튼을 위한 홈 인테리어용 제품디자인은 조각보의 불규칙적 기하학문양을 바탕으로 오방색의 강한컬러를 중채도로 적용하고, 비슷한 채도와 명도의 포카마이유 배색으로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 감성이 느껴지는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소재는 스웨이드를 사용함으로써 편안하고 실용적인 홈 인테리어용 커튼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특징이 있는 조선시대 조각보는 현대적 응용기법에 적용·개발하기에 적합한 모티브로 제시되었다. 또한,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과거 디자인 작업의 한계에서 벗어나 현대적 감각에 맞춰 형태나 트렌드컬러를 표현함으로써 독창적이고도 실용적인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조선시대 조각보의 문양은 현대 텍스타일 제품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사용범위가 실로 무한하며, 현대 텍스타일 제품디자인의 고부가가치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조각보문양을 활용한 홈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개발이 폭넓게 이루어져 고부가가치 한국 텍스타일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Natural and traditional patterns oriented designs are becoming more popular in modern textile design as a social phenomenon which more people miss the old and nature. Understanding designs and patterns from the past is also helping people to discover new pattern designs. Thus, in this study, we``ll analyze traditional patterns that are shown in Jogakbo,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which emphasized practical designs along with abstract beauty.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develop modern and geometric designs through the analysis that can be applied to home interior designs and contribute to fostering Korea textile industry. We first considered the concepts of Jogakbo in the Joseon Dynasty and its meanings as traditional cultural assets. Characteristics of patterns on Jogakbo and current use of the pattern in modern products are also analyzed. As a method of research, we analyzed Jogakbo`s patterns on existent antiquities and applied the patterns after extracting them as motives. Surface Pattern Design (SPD), am exclusive textile program, was used for making motive and repeated patterns and designing the patterns in a modernization way. The trendy colors of the 2012 Spring Summer seasons were also used for mixing up with traditional colors to make designs more detailed and vivid. In order to display various colors and see simulated products with the designs are applied, Adobe Illustrator CS3 and Photoshop CS3 were used. Through the methods, interior design products are suggested for each u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quare patterns and traditional Wadang patterns on Jogakbo could be applied to bedding products with simple and modern designs. Refined and classical beauty was expressed through smooth and elegant colors along with geometric patterns using Faux Camaieu colors that are one of the color trends in 2012. Second, clean candy colors, one of the newest trends are used for sofa covering products with using patterns on triangle Jogakbo. The Obang colors that are traditional Korean colors on Jogakbo became clearer and more vivid with the new designs. Third, circle patterns and modern geometric dot patterns on jogakbo are used in designing home interior wallpapers. It is especially suitable for young sensibility as traditional colors of Jogakbo were naturally related with Faux Camaieu colors to emphasize feminine images. Fourth, for interior products of curtains, geometric patterns of Jogakbo were used as a background and the Obang colors are applied with middle chroma. Faux Camaieu colors were used with similar chroma and brightness to make modern and classical designs. Suede was used as materials to make comfortable and practical home curtains. Therefore, Jogakbo from the Joseon Dynasty can be practical and creative objects to be developed for modern designs. Thanks to handy and efficient digital technologies, patterns of Jogakbo can be advanced to modern types or trendy colors to make practical and exclusive images. In conclusion, patterns on Jogakbo from the Joseon Dynasty can be used in a number of ways including modern textile product designs. It is an important design factor in modern textile product designs that can create high value products.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textile industry by developing home interior designs using Jogakbo`s patterns from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