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거여론조사의 매체보도태도와 제3자 효과가 후속행동인 방어적 투표와 보도제한 정책 지지에 미치는 영향

        김용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9 No.-

        제3자 효과 연구의 최근 흐름은 다른 사람들과 응답자 자신에 미치는 매체효과의 지 각편향보다는 지각편향에 따라 행동효과를 중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제3자 효과 연구 의 전통에 충실하면서, 그 후속 행동결과로 개인수준의 방어적 투표성향과 사회수준의 여론조사보도 제한정책에 대한 지지를 포함하였다. 특히, 열세후보의 지지자들은 여론 조사결과의 매체보도가 유력후보들에 집중하는 경향, 소위 경마식 보도(horse race coverage)를 편파적 매체보도로 인식할 것이며, 그에 따른 제3자 효과와 후속 행동결과 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우선, 열세후보의 지지자들은 우세후보의 지지자들보다 여론조사결과의 매체보도태도를 편파적이라고 인식하였고, 그에 따른 제3자 효과(제3자 효과지각-제1자 효과지각)를 보였다. 하지만, 제3자 효과의 행동결과에 해당하는 방어 적 투표성향(개인수준)과 여론조사보도 제한정책에 대한지지(사회수준)에 있어서 1차와 2차 조사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1차 조사(천안지역)에서 행동결과에 있어서 지지후보 별 차이는 없었다. 2차 조사에서 부산지역의 지지후보별 응답자들의 차이는 없었으나, 울산 지역의 열세후보 지지자들은 우세후보의 지지자들보다 더 큰 방어적 투표성향을 보였다. 부산과 울산지역의 2차 조사자료에 대한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의 결과,열세후보 지지자들의 방어적 투표성향과 여론조사보도 제한정책에 대한 편파적 보도태 도와 제3자 효과의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부산지역자료의 열세후보 지지자들 자료에 대 한 회귀분석결과, 공정한 보도태도(편파적 보도태도가 아니라)의 제3자 효과가 종속변 인인 방어적 투표성향과 보도제한정책 지지의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울산지역 에서는 열세후보 지지자들의 편파적 보도태도와 그에 따른 제3자 효과가 방어적 투표성 향에 대해서는 강력한 예측변인이었지만, 보도제한정책 지지를 예측하는 데에는 기여하 지 않았다. Literature regarding the indirect influence of mass mediated election polls on the third person effect abounds in communication studies. That for behavioral consequences of the third person effect is sparse and scattered. We focused in this paper on the losing candidates at a national parliamentary election in Chunan city and two gubernatorial elections in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Several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Do respondents supporting losing candidate perceive media coverage of election polls as biased against themselves? And does this perceptions affect the third-person effect? The third person effect refers to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others and themselves regarding to the perceived media effect by the biased media coverage. Further, does the third-person effect in turn lead to bring about behavioral consequences either at personal level or at the social level? At the individual level, it is assumed that people perceiving offensive media coverage and the exaggerated effect on others may lean toward defensive vote, and at the social level, those people agree on so called 'poll-free election' policy which constrains the publication of election polls during some part of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if not all. Our findings are: 1) Respondents who chose losing candidate to the questionnaire item asking 'who are you going to vote this time?' expressed their more negative feeling to the media coverage of election polls than others which included winning candidates, floaters as well with non-voters. 2) Respondents' perceptions on the biased coverage of election polls and the third person effect seemed to affect behavioral consequences such as defensive voting tendency, stinging to most preferred candidate with a very low level of viability and/or support for the so called 'poll-free election' policy.

      • KCI등재

        국회의원 선거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연구 -제19대 총선에 대한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임양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대학생 수용자를 대상으로 2012년에 실시된 제19대 총선과 관련하여 미디어 여론조사 보도에 미치는 제3자 효과 지각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미디어의 총선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자신과 타인, 자신과 친한 친구 대학생들 간의 제3자 효과는 실증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멀수록 자신보다 타인이 더욱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 연구결과와는 반대로 나타났다. 둘째, 총선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대학생들의 승자편승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총선 전 사회적 논란이 되었던 한・미 FTA와 북한 위성발사 사안의 경우 승자편승 효과가 나타났으나, 제주 해군기지와 고리 원자력 발전소 안전 논란 사안은 승자편승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들의 총선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인식과 미디어 이용이 제3자 효과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결과, 텔레비전, 인터넷 그리고 트위터 이용이 제3자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미디어에 대한 이용이 적을수록 제3자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제19대 총선과 관련한 선거법 108조와 관련한 수용자들의 제3자 효과 지각을 분석한 결과, 특정 미디어를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 수용자일수록 여론조사 보도규제에 대하여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hird-party effects on Press media poll conducted in 2012, the 19th general election for bandwagon effect, media use, the third-person effect and censorship of Election Code 108 CMR.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 affected the third-person effect. Student responded that those who used new media had more effect than their peer group who used less. Second, the phenomenon of bandwagon effect appeared partly, only if respondents were unfamiliar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such as Korea-US FTA and the North Korean satellite launch of the matter. This finding suggested that the bandwagon effect by the polls was not the general phenomenon. Third, the impact of third-party effects reported television, Internet, and Twitter using third-party effects on variables affecting appeared, and these media was proven in the use of third-party effects appeared smaller. Finally, the respondents those who used more pot cast than others were against the censorship of open poll to the public before the official election begin.

      • KCI등재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가 규제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성적소구 강도(强度),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김봉철,김유미,안주아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광고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나는지, 만일 나타난다면 성적소구의 강도에 따라 제3자 효과의 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제3자효과가 성적소구 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성적소구 광고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보다 일반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성적소구의 강도(약, 중, 강)에 따른 제3자 효과는 세 개의 강도 모두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났고, 성적소구 약보다 성적소구 중과 성적소구 강에서 제3자 효과가 더크게 나타났으나, 성적소구 중과 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소구에 대한 제3자 효과는 나와 가까운 사람인 가족 및 친구보다 나와 상관없는 타인인일반인에게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적소구 광고의 제3자 효과는 성적소구 광고를 규제해야 한다는 규제인식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람들은 비록자신은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인식하면, 그 문제를 제한 또는 제재하는 조치에 더욱 적극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e third-person effect is usually known as an important variable to affect media message. The current research is about that (1) the third-person effec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2) the third-person effect according Intensity of sex appeal of advertisements and social distance, and (3) The impact of third-person effect on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Experiment of 464 university students were conducted to do research. The research found that, first, the third-person effect ha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Second, the third-person effect according intensity of sex appeal ha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last,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sex appeal advertisement have different according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sex appeal advertisement are more likely to support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research conclude that people who think I have not impact on sex appeal advertisements is more likely to support sex appeal advertisements restriction if sex appeal have negative effect on others.

      • KCI등재

        제 3자 효과 : 인간 이성의 한계와 매스 커뮤니케이션

        정성욱 한국소통학회 2002 한국소통학보 Vol.1 No.-

        본 연구는 제3자효과의인지적기초에관한연구인 동시에제3자효과를인간이성의 한계라는 맥락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다. 제3자 효과의 원인에 대한 전통적인 심리학적 설명은 동기론적이었는데,이에 따르면 제3자 효과는 자기 자신을 타인에 비해 영리하다고 보려는 이기적인 심리의 발로로 해석되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자신을 타인에 비해 더 낫게 보려면 우선 자기 자신과 타인을 인지적으로 구분해야 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실험 연구의 핵심은 제3자에게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과 자기 자신에게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 사이의 인지적 구분을 방해함으로써 제3자 효과를 줄일 수 있는지를 관찰하는 것이었다.실험 결과, 주요 가설이 기각되어 제3자 효과가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사회적 판단에 있어 자기 자신과 타인이라는 인지 범주의 대조와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프라이밍 효과로 설명되기 어렵다는 점이 밝혀졌다.그러나 제3자 효과가 프라이밍 효과로 환원될 수 없다는 본 연구의 실증은 제3자 효과가 단순히 질문 순서 효과가 아니라는 제3자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이기도 하다.다른 한편,본 연구는 제3자 효과가 일어나는 과정이 인간 이성의 한계와 연관될 수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였고 본고는 이와 관련하여 제3자 효과의 의의를 인간 이성의 한계와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관계라는 맥락에서 논의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ognitive foundation of the third-person effect theory, which asserts that others are perceiv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media than the self. The traditional psychological explanation about the third-person effect has been motivational one, which argues that the egoistic human tendency to put the self in a positive light with respect to others is responsible for the third-person effect. In contrast, this study newly focuses on the cognitive aspect of the third-person effect, drawing on the priming effects theory from cognitive psychology. It seems quite natural that in order for the self to be put in a positive light vis-à-vis others, the self should be cognitively distinguished from others in the first place. All the manipulations employ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aim at blurring or enhancing the cognitive distinction between the self and others. A main hypothesis was that when the cognitive capacity to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lf and others is constrained, the third-person effect as a contrast priming effect will decreas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it was not the case. However, the very falsification of the main hypothesis denies that the thirdperson effect arises due to the way questions about the media influence are asked. That is, the perceptual gap between the self and others is not related to the impact of question order, which is ultimately nothing other than a contrast priming effect. This result coincides well with previous studies that refu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person effect and the question order effect. Lastly, the third-person effect is discussed as an illustration of the bounded rationality that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mass communications processes.

      • KCI등재

        지각대상자에 따른 제3자 효과 지각 변화의 원인

        정일권(Ir-Kwon Je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5 No.-

        이 논문의 목적은 제3자 효과 지각에 초점을 맞춰 효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의 쟁점에 대한 관여도와 수용자와 지각대상자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를 통해 제3자 효과 지각의 근본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미국 중서부의 오하오주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03년에 실시된 전화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졌다(n=524). 대부분의 제3자 효과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 가설을 지지했다. 응답자들은 미디어의 흡연자에 대한 부정적 묘사와 천주교 신부의 성추문 뉴스보도의 두 경우 모두에 있어 미디어의 효과가 자신들보다는 타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제시된 5개의 연구 가설 모두가 지지되지는 않았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정한 지각대상자와 메시지의 관계가 분명할 경우 수용자의 미디어 효과 예상은 동기적 요소보다는 인지적 요소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사회적 거리는 무시되고 쟁점에 대한 관여도와 같은 지각대상자 고유의 특성이 중요시 되며 수용자의 관여도는 인지적 요소에 의한 제3자 효과 지각의 강화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 결과는, 수용자나 지각대상자가 메시지와 잠재적인 연관성을 지닐 경우, 제3자효과 지각은 그러한 연관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현저화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 지각이 프라이밍 효과 또는 틀 짓기 효과와 관련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sue involvement and relation of perceivers to comparison targets on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perceptions. The investigation was expected to help u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process of third person effect hypothesis. Data was collected from adult residents in Ohio, United States by telephone survey in 2003(n=524). Like most other third person effect studies,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s: Respondents perceived more media effects on others than themselves for both 'Negative media portrayals of smokers' and 'News coverage of Roman Catholic priest's sexual scandals'. Results of five hypothesis tests suggest that when relationship between a perceiver and a particular comparison target is present third person perception is explained more by cognitive components than motivational components. In this case, third person perception varies with comparison target's issue involvement while it is independent of social distance between the perceivers and the comparison target. Also, perceivers' issue involvement positively correlates with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effect.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when perceives or a comparison target is involved in a message cognitive processes accounting for the relationship can impact the magnitude of third person effect. An important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ird person effect is, to some extent, related with framing effect and priming effect.

      • KCI등재

        A Study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Third-Person Effect in Alcohol Product Placements in Movies

        김준교,차영란 한국방송광고공사 2009 광고연구 Vol.0 No.83

        본 연구는 논란이 되는 영화 속 술 음료 간접광고를 다루면서 매스미디어의 제3자 효과이론을 확장한다. 술 광고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영화 속 간접광고의 윤리적, 심리학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염려를 고려하면서, 본 연구는 제3자 효과를 이론적 배경으로 청소년 영화 속 술 브랜드 간접광고를 살펴보았다. 제3자 효과이론은 매스미디어의 영향이 자기 자신보다 제3자인 남들에게 더 클 것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하는 메시지가 자기 자신보다 남들에게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사회적 부작용을 초래하는 제품들의 광고를 금지하는 것은 청소년과 어린이 같은 광고에 취약한 수용자 집단을 보호해 줄 수 있다는 믿음에서 기인한다. 본 연구는 제3자 효과 연구의 틀을 적용해서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영화 속 술 브랜드 간접광고에 대한 인지적 차원의 효과를 살펴보고, 광고규제에 대한 지지도를 측정하여 행위적 차원의 효과를 아울러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비확률 표집으로 선택된 미국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과정에서는 지각된 메시지의 바람직성, 이슈 관여도, 자존심, 그리고 사회적 거리와 같은 상황적 변인들을 제3자 효과의 방향과 크기 등과 연관해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세가지 중요이슈를 다루었다: (1) 청소년 영화 속 간접 술 광고의 지각된 제3자 효과, (2) 청소년 영화 속 간접 술 광고의 제3자 효과 예측 변인, 그리고 (3) 지각된 제3자 효과와 청소년 영화 속 간접 술 광고에 대한 규제 지지의 관계. 분석결과, 청소년 영화 속 술 브랜드 간접광고에 대해 자기 자신보다 타인들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제3자 효과가 밝혀졌다. 또한,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클수록 청소년 영화 속 술 브랜드 간접광고의 규제를 지지할 것이라는 행위적 측면의 효과도 입증되었다. The third-person effect framework assumes that people attribute different effects of mediated messages on themselves vs others, and that they perceive persuasive media messages to have greater effects on other than on themselves.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s of possible effects of alcohol product placement in youth films on different target groups, thereby extending current third-person effects research to a medium other than the traditional forms of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1) whether and to what degree the third-person effect functions in the special case of alcohol product placement in youth movies; (2) the influence of selected demographic, perceptual, and attitudinal variables on consumer perceptions of third person alcohol product placement effects,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hird-person effects and support for alcohol product placement regulation in youth movies. We found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perceived effect of alcohol product placement in youth movies. We found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perceived effect of alcohol product placement in youth movies on self and others, and further provided empirical support for the theoretical link between third-person perception and pro-censorship attitude.

      • KCI등재후보

        선거여론조사의 매체보도태도와 제3자 효과가 후속행동인 방어적 투표와 보도제한 정책 지지에 미치는 영향

        김용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Literature regarding the indirect influence of mass mediated election polls on the third person effect abounds in communication studies. That for behavioral consequences of the third person effect is sparse and scattered. We focused in this paper on the losing candidates at a national parliamentary election in Chunan city and two gubernatorial elections in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Several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Do respondents supporting losing candidate perceive media coverage of election polls as biased against themselves? And does this perceptions affect the third-person effect?The third person effect refers to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others and themselves regarding to the perceived media effect by the biased media coverage. Further, does the third-person effect in turn lead to bring about behavioral consequences either at personal level or at the social level? At the individual level, it is assumed that people perceiving offensive media coverage and the exaggerated effect on others may lean toward defensive vote, and at the social level, those people agree on so called 'poll-free election' policy which constrains the publication of election polls during some part of the election campaign period, if not all. Our findings are: 1) Respondents who chose losing candidate to the questionnaire item asking 'who are you going to vote this time?' expressed their more negative feeling to the media coverage of election polls than others which included winning candidates, floaters as well with non-voters. 2) Respondents' perceptions on the biased coverage of election polls and the third person effect seemed to affect behavioral consequences such as defensive voting tendency, stinging to most preferred candidate with a very low level of viability and/or support for the so called 'poll-free election' policy. 제3자 효과 연구의 최근 흐름은 다른 사람들과 응답자 자신에 미치는 매체효과의 지각편향보다는 지각편향에 따라 행동효과를 중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제3자 효과 연구의 전통에 충실하면서, 그 후속 행동결과로 개인수준의 방어적 투표성향과 사회수준의여론조사보도 제한정책에 대한 지지를 포함하였다. 특히, 열세후보의 지지자들은 여론조사결과의 매체보도가 유력후보들에 집중하는 경향, 소위 경마식 보도(horse race coverage)를 편파적 매체보도로 인식할 것이며, 그에 따른 제3자 효과와 후속 행동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우선, 열세후보의 지지자들은 우세후보의 지지자들보다여론조사결과의 매체보도태도를 편파적이라고 인식하였고, 그에 따른 제3자 효과(제3자효과지각-제1자 효과지각)를 보였다. 하지만, 제3자 효과의 행동결과에 해당하는 방어적 투표성향(개인수준)과 여론조사보도 제한정책에 대한지지(사회수준)에 있어서 1차와2차 조사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1차 조사(천안지역)에서 행동결과에 있어서 지지후보별 차이는 없었다. 2차 조사에서 부산지역의 지지후보별 응답자들의 차이는 없었으나,울산 지역의 열세후보 지지자들은 우세후보의 지지자들보다 더 큰 방어적 투표성향을보였다. 부산과 울산지역의 2차 조사자료에 대한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의 결과,열세후보 지지자들의 방어적 투표성향과 여론조사보도 제한정책에 대한 편파적 보도태도와 제3자 효과의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부산지역자료의 열세후보 지지자들 자료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공정한 보도태도(편파적 보도태도가 아니라)의 제3자 효과가 종속변인인 방어적 투표성향과 보도제한정책 지지의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울산지역에서는 열세후보 지지자들의 편파적 보도태도와 그에 따른 제3자 효과가 방어적 투표성향에 대해서는 강력한 예측변인이었지만, 보도제한정책 지지를 예측하는 데에는 기여하지 않았다.

      • KCI등재

        언론의 자살사건 보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강태현,유홍식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3 No.-

        본 연구는 언론의 자살사건 보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3자 효과가설을 중 심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원주지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신보다는 또래 청소년이, 또래 청소년보다는 자신들보다 어린 청소년들이 언론의 자살보도에 부정적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것이라고 편향 지각하는 제3자 효과가 나타났다. 수용자 특성 변인 중 연령과 성별, 우울과 같은 변인들이 지각적 편향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V를 통한 자살보도 노출도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파 악되었다. 이와 함께 자살보도 규제라는 제3자 효과가설의 행위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 변인 은 자살보도에 대한 부정적 태도였다. 자살사건의 반복 보도에 대한 규제의 지지는 자신보다 어린 청소년에 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편향적 지각, 신문을 통한 자살보도 이용정도에 의해 서도 설명되었다. 자살보도에 대한 법적 규제는 인터넷에서 자살보도를 접촉하는 정도에 의 해서도 설명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negatives effects of suicide news to adolescents with the perspective of the third-person effect hypothesis. A survey conducted on a sample of 319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er adolescents are likely to be negatively influenced by suicide news. The suicide news caused perceptual bias to other adolescents, especially to younger adolescents than themselves, which indicates the third-person effects of suicide news reports increased by social distance. Our study also identified differential third-person effects in terms of levels of depression, indicating importancy of recipients’ psychological conditions in identifying perceptual bias toward potential negative media messages as well as grade in school and gender, at least negative effects of suicide news reports. In addition, supports for regulating suicide news were mainly explained by negative attitudes towards suicide news reports.

      • KCI등재후보

        공포소구를 이용한 음주운전방지캠페인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연구

        차동필(Dong-Pil Cha)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3

        본 연구는 공포소구를 사용한 음주운전방지캠페인 광고가 수용자의 성별과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제3자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주운전방지캠페인 광고를 접하고 난 후 남성은 제3자 효과를, 여성은 역3자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3자 효과는 남성의 경우 사회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증대될 것이며, 여성의 경우 역3자 효과가 감소될 것이라는 가설을 추가로 수립하였다. 분석결과 가설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남성은 음주운전방지캠페인 광고를 접하고 난 후 제3자 효과를, 여성은 역3자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남성 집단에서는 사회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제3자 효과가 증대되었지만, 여성 집단에서는 사회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역3자 효과가 감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역할 가설이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적 근거로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hird-person effects of anti-drink driving advertising which uses fear appeal strategy. Specifically, it was examined how the third-person effect was varied with the gender difference and the social distance of participants(N=62).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established four hypotheses. The first hypothesis predicted the third-person effects will happen for male participants after they viewed the anti-drink driving advertisement. The second hypothesis predicted reverse third-person effects will occur for female participants when they watched the anti-drink driving advertisement. The third hypothesis expected the third-person effects for male participants will increase as the social distance increases. And the last hypothesis expected reverse third-person effects for female participants will decrease as the social distance increases. All the hypotheses except the last were supported. Gender role hypothesis was taken to expl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 질문지 순서 효과를 통한 제3자 효과과정 연구

        정일권 한국언론학회 2005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5 No.-

        본 연구는 특정한 지각대상자에 대한 프라이밍(priming)의 단서가 일반 사람들에 대한 제3자 효과지각(third-person perception)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설문지 응답자를 질문순서(question order)에 의해 주어지는 프라이밍의 단서(특정 사회범주)에 노출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로 나눠 비교조사 하였다. 524명의 미국 오하이오주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전화질문지법을 통해 미디어의 흡연자에 대한 부정적 묘사와 천주교 신부의 성추문 사건에 대한 뉴스보도의 영향력에 대한 지각을 측정하였다. t검증의 결과를 보면, 미디어의 흡연자에 대한 부정적 묘사의 경우 비흡연자의 제3자 효과지각은 특정 사회적 범주(흡연자 대 비흡연자)의 단서에 영향을 받았다. 한편, 천주교 신부 성추문 사건에 대한 뉴스보도의 경우 이러한 효과가 천주교 신자 지각자와 비천주교 신자 지각자 모두에서 발견되었다. 회귀분석의 결과는 사람들이 미디어 효과를 지각할 때 사회적 범주의 단서가 프라이밍 효과를 제시했다. 그러나 그러한 프라이밍 효과는 이슈토픽과 지각자에 대한 이슈연관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질문지 순서효과(question order effect)를 제3자 효과지각의 진정성(robustness)에 대한 부정적 증거로서 뿐만 아니라 제3자 효과의 과정을 조사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