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가지향성 및 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제품혁신성과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임종화,김병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4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ath in whic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sorptive capacity, whic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SMEs, are mediated through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product speed, product quality). For the empirical study, 233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1775 SMEs including in Daejeon Techno Park start-ups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absorptive capacity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through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sorptive capacity increas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in terms of corporate strategy and external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y,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leads to performance. This paper suggests that entrepreneurial strategy and capacity to utilize external information are important for introducing high quality products faster than others in respon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연구는 기업가지향성과 흡수역량이 중소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품혁신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기업가지향성과 흡수역량이 제품혁신성과(제품속도, 제품품질)를 매개로 성과에 이르는 경로를 규명한다. 실증연구를 위해 대전테크노파크 입주기업 등 총 1,775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집한 설문지 233부의 응답 내용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흡수역량과 기업가지향성이 제품혁신성과를 매개로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지향성과 흡수역량이 높을수록 제품속도와 제품품질을 높이고 제품혁신성과가 기업의 성과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전략 측면과 외부 정보 활용 역량 측면에서기업가지향성과 흡수역량이 제품혁신성과를 높이고, 제품혁신성과가 기업의 성과로 이어진다고 볼 수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외부환경에 대응하여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더 빠르게 창출하여 성과를 높이는 데 기업의 전략과 외부 정보를 흡수・활용하는 흡수역량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기술지향성이 제품품질, 혁신속도, 기술역량 그리고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시장진입순서의 조절효과

        정덕화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논집 Vol.20 No.3

        오랫동안 기술지향성과 제품개발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제품혁신을 매개변수로써 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거나 혹은 기술지향성과 성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주로 국한되어 있어서 제조업체에 성장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제품품질, 기술역량과 혁신속도에 대한 연구결과가 해외나 국내에서도 아직 부분적이고 충분하지 않아서 국내기업의 실무에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시장진입순서(선발진입, 후발진입)가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기업의 기술지향성이 제품품질, 기술역량과 혁신속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기업의 신제품성과에 기여한다는 가설들을 검증하고 둘째, 시장진입순서는 매개변수인 제품품질, 기술역량, 혁신속도와 신제품성과 간의 사이에서 어떠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국내 식품․제약업체를 대상으로 159개 기업을 설문조사하여 SPSS 18.0과 AMOS 7.0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기술지향성 강화를 통하여 성장성, 수익성, 고객만족 등의 신제품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기술역량과 혁신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었지만, 제품품질은 신제품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품품질이 중요하지만 반드시 시장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기술지향성 향상이 제조기업의 기술역량과 혁신속도를 증대시키고 이러한 기술역량 및 혁신속도 증대가 신제품성과를 증대시킨다는 의미이다. 둘째, 신제품의 시장진입순서의 조절효과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장의 선발진입의 경우 혁신속도를 강화하면 신제품성과가 확대될 수 있고, 후발진입의 경우에는 제품품질과 혁신속도를 제고시키면 신제품성과가 확대될 수 있으며, 기술역량은 신제품성과의 관계에서 진입순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제조기업들은 기술지향성과 더불어 신제품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상황에 맞는 시장진입전략에 따라 제품품질과 혁신속도 강화에 투자를 집중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Many researches regarding technology orientation have been published so far. Particularly, the effects of technology orientation on product innovation and marketing capability have been studied much. However, few studies on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impact on product quality,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thereby, NP(new product) performanc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echnology orientation enhances product quality,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thus increases firm's NP performance.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technology orientation on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Seco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order of market entry(early entrant, late entr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NP performance. Hence, order of market entry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which would affect firm's NP performance in the market. The results of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oduct quality, but product qual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o the NP performance. Second,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Third, both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have positive impacts on NP performance. Fourth, order of market entry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quality and NP performance, also innovation speed does. But it is found that the order of market entry has not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NP performance.

      • KCI등재

        전략적 범위와 기업가정신이 제품혁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문창호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3 기업경영리뷰 Vol.14 No.1

        대다수의 기존 연구 문헌에서 제품혁신은 기업의 경쟁우위와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다는 것을 제시해오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실증적인 연구 결과들을 보면 그러한 제품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는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제한점을 인지하여, 본 연구의 주목적은 제품혁신을 창의적 제품혁신과 모방적 제품혁신의 두 유형으로 나누고 상황 이론적 관점에 기반하여 전략적 범위와 기업가정신이 이 두 제품혁신 유형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들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는 데에 있다. 한국기업혁신조사(KIS)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업의 제품라인과 목표 고객 시장의 범위를 나타내는 전략적 범위의 증가가 창의적 제품혁신과 비교하여 모방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더 높은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의적 제품혁신의 경우 전략적 범위의 증가가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을 구성하는 두 변수인 진취성과 위험감수성이 각각 모방적 제품혁신과 비교하여 창의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더 높은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검증 결과, 진취성은 모방적 제품혁신보다 창의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의적 제품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진취성과 두 유형의 제품혁신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제시한 가설은 제한적인 지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두 유형의 제품혁신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에서는, 가설에서 예상한 것과는 반대로 위험감수성이 창의적 제품혁신보다 모방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더 높은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특히 전통적인 경영전략 이론에서 제시하는 일반통념과는 달리 위험감수성이 창의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및 실무적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 검증

        윤현중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4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business ventures. The previous researches on product development has mainly focused on the role of venture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ies or that of entrepreneurship in product development. Although there are many important discussions related to the product development of business venture, a more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product development is needed.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R&D department on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o confirm the model of Day & Wensley(1988) that product novel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of 703 Korean business ventures suggest that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product development such as utiliz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R&D department are more effective for business ventures in terms of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lso product novelty was prove to be a mediator that intervene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lementation of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ose findings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whom has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business ventures. The differences in between new and existing product performance from the implementation strategy of product development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h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에서 제품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검토하고 있다. 벤처기업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벤처기업의 기술력에 초점을 맞추어 보유한 기술 수준과 연구개발 투자가 어떻게 제품개발 성과를 증대시키는 지에 주목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들은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제품개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비록 벤처기업의 제품개발과 관련된 많은 중요한 논의들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품개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개발 기능 분화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제품개발 성과가 높은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며, 조직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제품개발 성과를 달성하게 하는지에 대한 설명 또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기능 분화로 나타난 연구개발 부서의 존재와 벤처기업에 형성된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정(+)의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Day & Wensley(1988) 모형을 적용하여,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간의 관계를 제품 혁신성이 매개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한국의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703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부서의 기능 분화 및 기업가적 지향성 수준과 같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 혁신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 혁신성은 제품개발 전략 실행이 제품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매개하여 성과로 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제품 개발의 경우, 연구개발 부서를 통한 제품개발 전략실행이 제품 혁신성을 높여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제품개발의 경우 기업가적 지향성이 제품 혁신성을 높여 제품개발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벤처기업의 제품개발 전략 실행과 제품개발 성과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과 제품개발 전략이 제품개발 성과로 나타나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시장지향성과 혁신적 기술지향성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윤식,이서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009 상업교육연구 Vol.23 No.2

        신제품 개발은 기업의 주요 성장동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신제품 개발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신제품 개발은 쉽지만 성공률은 낮은 편이다. 신제품 성공을 위해 기업은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반영하는 시자지향적인 활동과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이는 기술지향적 조직문화를 구축하기도 한다. 따라서 신제품의 성공을 위해 기업 내에는 시장지향성과 혁신적 기술지향성이 같은 비중으로 공존할 수도 있고 어느 한 쪽만 존재할 수도 있다. 만일 산업 내에서 기술이 보편화된 경우라면 시장지향성이 높은 기업이 신제품 성과 또한 높을 것이지만, 기술의 격변성이 매우 높다면 시장지향성 보다는 혁신적 기술지향성에 의하여 신제품 성과가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첫째, 시장지향성과 신제품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둘째, 시장지향성과 더불어 신제품 성공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혁신적 기술지향성과 신제품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하려고 한다. 우리나라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시장지향적 조직문화는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적 기술지향성 역시 신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적 기술지향성은 신제품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기술역량을 통해 간접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환경적 격변성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업이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얻기 위해서는 조직문화적으로 시장지향성 이외에 혁신적 기술지향성에도 유의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ceptualize and measu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dimension from the integrative framework of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ve technology orientation, and to analyze its relationship with new product orientation.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innovative technology orientation, this research surveyed totally 141 managers including marketing managers and R&D managers, from manufacturing companies in South Korea by face to face interviews.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such as follows; First, Market-oriented cultu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This finding can empirically suppor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Second, innovative technology-oriented culture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Both most market orientation-new product performance and innovation-new product performance relationship figuring studies has shown confused research results. Therefore, this finding can empirically support the previous marketing and organizational studie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rket orientation, innovative technology orient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hird, innovative technology-oriented culture has not only a direct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but also an indirect effect via technological capacity.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both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ve technology orientation do exist as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 dimensions to acquire th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벤처기업 CEO의 전략지향성과 혁신분위기가 신제품 개발성과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일한 ( Il Han Lee ),한주희 ( Ju Hee Hahn ),황금주 ( Kum Ju Hwa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벤처기업 CEO의 전략지향성과 혁신분위기가 신제품 개발성과와 창업의도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첫째, 전략지향성(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기술지향성)이 혁신분위기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분위기가 신제품 개발성과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기술지향성, 신제품 개발성과, 창업의도에 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벤처기업 CEO 1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전략지향성이 혁신분위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기술지향성이 혁신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분위기가 신제품 개발성과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혁신분위기가 신제품 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지향성, 신제품 개발성과, 창업의도에 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술지향성이 신제품 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신제품 개발성과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 CEO의 전략지향성, 혁신분위기, 신제품 개발성과, 창업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기술지향성이 신제품 개발성과 창업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d the new produc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etween strategic orientation and innovation climate in venture business`` CEO.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rategic orientation(customer orientation, competitor orientation, technology orientation) affected innovation climate, and then analyzed how innovation climate influence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cond, how technology orientation affecte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nd then analyzed how new product performance influenced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 administerd a survey with 150 venture business` CEO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echnology orientation affects innovation clim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innovation climate also affect new product performance, and technology orientation affect new product performance then new product performance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s study shows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cluding strategic orientation, innovation climate, new produc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particular, this finding confirms that technology orientation as one of strategic orientation affects new produc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KCI등재

        벤처중소기업의 일과 생활의 균형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품혁신의 매개효과

        배호영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4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 innovation between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development bal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venture SMEs. We test four hypothesis. First, we test the hypothesis that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Second, we test the hypothesis that product inno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we test the hypothesis that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Fourth, we test a positive mediating role of product innovation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For this research, we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surveys, and got the 162 effective data of korean venture SMEs. We use CFA and SEM analysis of research model by AMOS 18.0. As a result, we can find the four meaningful results. First, work-life balance, especially only work-development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Second, product inno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development bal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are no significant after the mediating variable (product innovation) is added. Fourth, product innovation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work-life balance, especially only work-development bal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Although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because of the limited size of samples, we has meaningful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nture companies in the academic and business field. Additionally, the Multiple Indicator Multiple Cause(MIMIC) model is recommended in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벤처중소기업에 초점을 두고 일과 생활의 균형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제품혁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실증 분석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과 생활의 균형(일과 가정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 제품혁신, 기업성과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한 뒤 각 변수들 간이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1개월간 영남지역(대구·경북지역 및 부산·경남지역) 벤처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 500부를 배포 및 회수하여 162부의 유효 표본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과 생활의 균형의 영역인 일과 가정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 중 일과 성장의 균형만 제품혁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벤처중소기업의 경우 실질적으로 제품혁신에 도움이 되는 것은 근로자들의 자기계발이나 교육훈련임을 시사하며, 기업 차원에서 근로자들에게 교육훈련 프로그램 제공, 자기계발 시간 부여, 자기계발 경비 지원, 지식경영시스템 구축 등이 반드시 필요함을 제시한다. 둘째, 제품혁신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벤처중소기업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성장 또는 생존하기 위해서는 혁신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특히 벤처중소기업의 경우 제품혁신이 다른 혁신에 비해 매우 중요하므로 지속적인 제품혁신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제품혁신이 매개된 상태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의 영역인 일과 가정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 모두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넷째, 제품혁신은 일과 생활의 균형의 영역인 일과 가정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 중 일과 성장의 균형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만 긍정적(+)으로 매개했다. 이는 일과 성장의 균형이 제품혁신을 통해 기업성과로 이어지는 선순환 모델을 제시해 주며, 벤처중소기업의 근로자들이 업무 외 자기계발이나 교육훈련을 할 수 있는 시간과 비용을 지원받을 경우 제품혁신에 도움이 되며 이러한 제품혁신은 결국 기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벤처중소기업의 일과 성장의 균형에 대한 특별한 관리 필요성에 대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으며, 기업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도 행·재정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외식시장지향성과 기술혁신능력의 신제품개발성과에 관한 연구

        김광열 ( Kwang Yeol Ki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외식기업을 대상으로 신제품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요인으로 시장지향성과 기술혁신능력이 신제품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 요인이 신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개념 간 인과관계를 실증분석하고 두 독립변수 간 경로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 대상자는 외식기업 마케팅, 연구개발, 생산, 영업, 기획, 기술부서의 관리자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50부를 배포하여 수거된 182부 중 유효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142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으로 첫째, 신제품의 경쟁우위확보와 신제품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요인으로 시장지향성, 기술혁신능력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되었다. 외식기업의 지속적 성장에 있어 신제품개발은 매우 중요 하지만 개발된 제품이 성공하여 경쟁우위 확보와 경영성과로 이어지기 보다는 실패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기업의 지속적 성장측면에서 시장지향성과 기술혁신능력을 매우 중요하게 관리하여야 하는 중요요인이라 하겠다. 둘째, 시장지향성 활동을 통해 외식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능력은 신제품경쟁우위 및 신제품개발성과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상황과 필요에 의한 개별적인 관리활동을 실행하기 보다는 시장지향성과 기술혁신능력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그 효과성은 높아질 수 있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처음으로 외식기업을 대상으로 내 외부 환경요인, 시장지향성, 기술혁신능력, 신제품개발성과 간의 상호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과 변수 간에 유의한 영향이 실증분석 되었다는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In this study, market-orientation and the capability for technology innovation were suggested as the activity factors influencing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restaur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identify the impact that each factor has on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nd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n the path between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to produce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market orientation and the capability for technology innovation are important activity factors impacting the competitive edge of new products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s integral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restaurants, but it is more likely that the developed products will fail rather than succeed and lead to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enhancing business performance. Hence, market orientation and the capability for technology innovation are important elements that should be very well-managed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growth for a company. Unlike existing researche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to perform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the internal/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arket orientation, capability for technology innov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f restaurants and also empirically analyze the significance effects among the variables.

      • KCI등재

        식품․제약업체의 시장지향성이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기호(Gi-Ho Goh),정덕화(Duk-Hwa Jung),송윤헌(Yoon-Heo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기업에서 시장지향성과 신제품성과간의 관계에서 어떤 변수들이 매개적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규명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문헌에 관한 종합적인 고찰 결과를 토대로 국내제조기업의 시장지향성과 신제품성과를 매개하는 제품품질, 직원만족, 혁신속도 등의 세 가지 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들 간의 순환적인 관계에 대한 구조분석을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국내 100개 식품 및 제약기업(사업부)으로부터 수집된 자료 159부를 바탕으로 Amos12.0K에 의해 구조모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시장지향성 강화를 통하여 제품품질, 직원만족, 혁신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원만족, 혁신속도가 높아질수록 신제품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원만족이 높으면 제품품질과 혁신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제조기업들은 시장지향성을 더욱 강조하고 이와 관련된 제품품질, 직원만족, 혁신속도의 매개변수들의 작용을 이해함으로써 더 높은 신제품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in a manufacturing firms, and examines how product quality, employee satisfaction, and innovation speed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new product performance.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posits three mediators, that is, product quality, employee satisfaction, and innovation speed as key determinants of new product performance. And then we structur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 total 159 usable survey responses of Korean food/pharmaceutical firms have been employ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mos12.0K. The results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rket orien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product quality, employee satisfaction, and innovation speed. Second, two mediators of employee satisfaction, innovation speed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new product performance. Third, employe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product quality and innovation spe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 manufacturing firms have to focus on the market orientation and understand the role of product quality, employee satisfaction, and innovation speed mediators on the process between the market orientation and the new product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