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민과 제주방문 도보여행객의 제주올레에 대한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 비교

        유원희 ( You Won-hee ),서세진 ( Seo Se-ji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1

        제주올레는 2007년 제1코스 개장을 시작으로 2017년 2월 현재 총26개 코스가 제주전역에 퍼져있으며 매년 1백 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제주 올레를 걷기 위해 제주를 방문하고 있다. 제주올레는 환경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도보 여행으로서 제주의 자연과 생태계를 지킬 수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 여행 형태라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제주올레에 대한 연구는 제주방문 관광객 위주로 진행되어 제주올레의 또 하나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제주도민의 제주 올레 여행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 방문 올레 도보여행자들과 제주도민을 함께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제주올레에 대한 여행 행태와 여행 만족도, 친환경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수집한 총 29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민은 제주방문 올레 도보 여행자에 비해 평균 동반 인원수가 더 많은 반면 제주올레 여행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 점수는 제주방문 올레 도보 여행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도민이 제주방문 올레도보 여행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친환경 행동을 보인 본 연구 결과는 제주전체의 환경문제와 연관되는 것으로 친환경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주도민 대상의 지속적인 환경 교육 프로그램과 홍보가 필요한 때이다. The Jeju Olle Trail Route No. 1 has opened in 2007, and over one million visitors per year trek total of 26 Olle trails throughout the island of Jeju as of 2017. The Olle trekking is one of eco-friendly tourism activities in the era of social issues with environmental collapse and threats. Up until now, studies on the Jeju Olle trail are focused on the visitors while the studies on residents who are the other major pillar of Jeju Olle trail have been limited. The study aims to compare the visit types, satisfaction level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between the visitors and residents on Jeju Olle trails. Total of 290 survey was collected in three month period from December, 2016 to February, 2017. The survey result indicates the Jeju residents trek the Jeju Olle in a larger group than the Jeju Olle visiting trekkers and show lower level in the visit satisfac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 noticeable lower level in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s of residents can directly connect to the issue of Jeju environment as a whole, and the continu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promotion for residents to improve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level is essential.

      • KCI등재

        제주올레에서의 자연과의 교감과 편익인지가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이보미,오문향,김자현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1

        This study intends to know about the impacts of communication with nature and perception of benefits on place attachment at Jeju oll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differences on communication with nature, perception of benefits, and place attachment between resident visitors and non-resident visi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April 24, 2010 and May 1-9, 2010) at course 14-1 and 7 in Jeju Olle, collect 339 copies, and used 298 for analyzing.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of all, 3 specific factors (consentience with nature, new experience and learning, health promotion) affect place identity. Second, 2 specific factors (consentience with nature, health promotion) affect place dependence. Finall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health promotion, improvement of social bond, and place dependence between resident visitors and non-resident visitors. Resident visitors show high perceptions on those factors than non-resident visitors.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events, festivals, and experience programs of Jeju Olle. Also, marketing plan for both residents and non-resident visitors could be established by using preliminary data. 본 연구에서는 제주올레를 방문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제주올레라는 장소에서 느낀 정서적이고 상징적인 경험의 과정들이 장소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제주올레를 방문한 제주도민과 타지역민을 구분하여 장소공급자이자 이용자인 제주도민과 단순 장소이용자인 타지역민 간의 제주올레에서 느끼는 자연과의 교감, 편익, 장소애착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총 2회(2010년 4월 24일, 1차 조사; 2010년 5월 1일-9일, 2차 조사)에 걸쳐 제주올레 14-1코스와 7코스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400부를 배포, 339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유효표본 298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자연과의 일치감, 새로운 경험과 배움, 건강증진의 3개 요인이 장소정체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과의 일치감, 건강증진의 2개 요인이 장소의존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도민과 타지역민 간 제주올레 경험 후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에는 건강증진, 사회적 유대감 증진, 장소의존성 요인으로서 3개 요인 모두에 대해 제주도민이 타지역민에 비해 높은 지각수준을 보였다. 첫째, 제주올레에 장소애착을 갖게 만드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제주도민과 타지역민이 제주올레에서 느끼는 감정, 추구하는 편익, 장소애착의 정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제주올레의 체험프로그램, 이벤트 개발, 도내 마케팅과 전국단위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언론의 특정 지역공간 담론화에 대한 분석 -"제주올레"를 중심으로

        이영윤 ( Young Yun Lee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6

        본 논문은 특정 지역공간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는 주체로서 언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다. 연구를 위한 사례는 `제주올레`다. 제주올레는 현재 제주가 자랑하는 전국적인 관광상품이다. 제주올레가 전국적 인기를 얻은 배경에는 언론의 역할이 컸다. 언론이 적극적으로 제주올레에 담론을 형성하면서 제주올레는 `길`을 넘어 관광상품으로까지 정체성을 확대하였다. 한편 담론을 통해 일상에서 누구나 걷고 체험하는 `길`이 `상품`으로 재생산되면서 제주인이 제주의 길에 소외되는 현상이 벌어지는 것 아닌지 연구할 필요가 제기됐다. 이에 본 논문은 언론이 형성하는 담론에 따라 길에서 출발한 제주올레가 관광상품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언론이 담론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주체가 된 권력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언론과 특정 권력관계가 형성한 담론에 따라 제주의 길이 분할, 배제되고 있지 않은지 탐색하였다. 궁극적으로 제주올레를 둘러싼 담론에 제주주민이 제주의 길에 소외되지 않은지 파악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mass media as the subject of producing a discourse of a certain regional place-Jeju Olle. The pathway walking, Jeju Olle, is a popular tourist commodity of Jeju Province. The mass media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commodity. As they produced a discourse of Jeju Olle trekking that aroused the public attention, the trekking has been extended beyond simply a pathway walking to a tourist attraction. However, the study raised the question "Is the value proper to Jeju pathways rightly understood by tourists and Jeju citizens?" because Jeju Olle trails, along which the citizens of Jeju walk in their everyday life, were transformed into goods and as a result they could be alienated from their road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through which Jeju Olle tails which used to be ordinary pathways have been changed into a tourist commodity by mass media discours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so-called power, or the subject of discourse, which is influential in forming a discourse, with the aim of seeing if Jeju Olle was structured in social discourse produced by mass media and groups of power, and ultimately if the citizens of Jeju was excluded from such a discourse and distant from their roads.

      • KCI등재

        제주 올레에 대한 장소 애착심이 친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세진 ( Seo Se-jin ),서용건 ( Suh Yong-k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7 탐라문화 Vol.0 No.54

        제주도는 섬이라는 고립성으로 인해 환경문제에 대단히 민감하며, 증가하는 국내·외 관광객으로 인한 쓰레기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장소인 제주올레를 꾸준히 방문하는 도보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제주올레에 대한 장소 애착심이 친환경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관광객들의 친환경행동의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의 하나로 장소애착심 향상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제주올레 도보여행자들의 여행 행태를 살펴보고, 제주올레에 대한 장소 애착심의 구성 요인을 검토하였으며, 제주올레에 대한 친환경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밝혔다. 2016년 9월부터 두 달간에 제주올레 1, 2, 15, 16코스의 도보 여행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제주올레 도보 여행자들의 장소 애착심은 장소 공감성, 장소 정체성, 장소 의존성, 장소의 사회적 유대감으로 구성되며, 특히 장소 공감성과 장소 의존성은 여행자의 평상시 친환경태도와 더불어 제주올레에 대한 친환경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의 청정 자연을 보존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지역주민의 노력뿐 아니라 제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장소 애착심을 높여 관광지에서의 친환경행동의도를 유도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has investigated Jeju Olle travelers` place attachment in their pro-environmental behavioural intention for Jeju Olle trail.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lle trail No 1, 2, 15, and 16. The results support Jeju Olle travelers` dimensions of place attachment, including place identity, place affect, place dependence, and place social bonding. The results also indicate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place attachment in the pro-environmental behavioural intentions, (a) a significant influence of place affect on pro-environmental behavioural intentions, (b) a significant influence of place dependence on pro-environmental behavioural intentions. In order to maintain and further improve the environment of Jeju island, the visitors` efforts in pro-environmental behavioural intentions are essential as much as local residents` efforts in a sound management and improvement.

      • KCI등재

        집단 효능감과 주민주도형 마을공동체 활성화 : 제주올레의 활용과 관련하여

        김태윤(Tae Youn Kim),김진영(Jin Young Kim)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8 No.-

        이 논문은 제주지역에서 추진하여 왔던 마을 만들기의 성공적 사례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 인식하에 집단 효능감 개념과 제주올레 활용을 통해 주민주도형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질문지 면접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대상은 3개 마을 올레 탐방객과 지역주민들이었다. 논문에서는 올레탐방객과 지역주민의 제주올레에 대한 인식, 마을공동체 활성화에 대한 올레 역할, 집단 효능감 수준에 따른 마을 공동체 활성화 내용(삶터 만들기, 주민공동체 만들기, 인재 육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주도형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 지역주민의 집단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운영, 제주올레를 이용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대한 지역주민간 자발적인 논의의 필요성, 숙박시설·체험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생산품 판매 전략 등 올레탐방객이 선호하는 컨텐츠를 활용한 마을공동체 사업 모색, 인재육성과 주민공동체 만들기에 대한 주민간 인식 격차 해소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some directions to vitalize residents` initiative community in terms of collective efficacy and the utilization of Jeju Oll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data with samples tatalled to 402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y are composed of 302 residents and 100 visito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ollective efficacy is very important in finding directions to vitalize communities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Second, the residents with high degree of collective efficacy think that Jeju olle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village development. Third, the village development based on residents` initiatives canbe composed of making life space(economic factor), making residents` community(social capital factor) and cultivation talented personnel(organizational factor). It is shown that the higher residents are in collective efficacy, the more positive their consciousness is in these factors. Finally, it is required tha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to improve collective efficacy as it operates significantly in community vitalization.

      • KCI등재

        제주방언 ‘올레’의 어휘사

        배영환(Bae Younghwa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3

        이 논문은 제주 방언형인 ‘올레’와 관련된 어휘의 형태와 의미 변화를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방언 ‘올레’에 대응하는 중세국어 형태는 ‘오래’이다. ‘오래’는 「천자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 나타난다. 중세국어 ‘오래’의 본래 의미는 ‘문’이다. 특히 밖에 있는 문[外門]을 뜻하였다. 아울러 중세국어에서 당시에 이미 ‘오래’와 ‘문’의 의미적 유연성이 약화되어 ‘오래’는 또 다른 의미인 ‘거리’[巷]의 의미도 갖게 되었다. 근대국어 자료에서는 ‘오래’의 형태가 좀처럼 확인되지 않는다. 현대국어에서 ‘오래’가 확인되는 곳은 함경도와 평북 등 북한 지역이다. 아울러 제주방언에 ‘올레’로 남아 있다. 함북 방언에서 ‘오래’는 ‘동네’나 ‘마을’, ‘이웃’의 의미를 보인다. 제주방언의 ‘올레’는 ‘오래’에서 ‘ㄹ’이 첨가된 형태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ㅐ’와 ‘ㅔ’를 구분하지 않고 ‘ㅔ’로 발음하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다. ‘올레’는 ‘큰길에서 대문까지의 골목길’이라는 의미이다. 더불어 ‘올레’는 ‘올레 주변이나 그 일대’의 의미를 갖고 있다. 중세국어의 ‘오래’는 기본 의미가 ‘문’, 또는 ‘외문’이었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일차적으로 ‘거리’, 나아가 ‘이웃’이나 ‘마을’, ‘종중’ 등으로 점차 파생되었다. 중세국어에 ‘오래’가 ‘오래문’과 같은 동의 중복 형식이나 합성 형식으로밖에 나타나지 않은 것은 이미 ‘오래’와 ‘문’의 유연성을 잃어 버렸기 때문이다. 이렇게 ‘오래’와 ‘문’의 유연성이 사라진 이유는 한자어 ‘문’의 영향 이다. 일음절 한자어라는 특징은 고유어 ‘오래’가 세력을 잃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hange in the form and meaning of vocabulary related to Jeju dialect Olle .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form corresponding to Jeju dialect Olle is Orae . Orae appears in various literature including Cheonjamun. The original meaning of Orae , medieval Korean language, is Mun(Gate) , especially 外門(exterior gate). In addition, the meaningful motivation of Orae and Mun(Gate) had already weakened in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and Orae had another meaning of 巷[Street] . In modern Korean language data, the form of Orae is rarely found.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Orae is found in North Korea including Hamkyeong Province and Pyeongbuk, and it remains Olle in Jeju dialect. Orae , in the dialect of North Hamgyeong Province means neighborhood , village or neighbor . Olle in Jeju dialect is a form of Orae inserted with ‘ㄹ’. And the change of Olrae to Olle reflects the fact that ㅐ and ㅔ are not distinguished in this area. Olle means an alleyway from the main road to the main gate . In addition, Olle has the meaning of around Olle or its vicinity . The basic meaning of Orae in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gradually derives from Mun(Gate) or 外門 (Exterior Gate) to firstly Street , then Neighbor , Village , and ‘Clan’. The reason why Orae in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h as only appeared in a tautology or synthesis form such as Oraemun is that it has already lost the flexibility of Orae and ‘Mun’. And the reason for the missing flexibility of Orae and ‘Mun’ is due to the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 Mun . Mun featured by a one-syllable character played a crucial factor for Native Korean word Orae to lose power.

      • KCI등재

        제주 Place Branding을 위한 올레길의 가치 창출 연구

        성용석,임경호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1

        Products and attractions creat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lace Branding' are recalled as one value. As a result, Jeju's attractions have the advantage of creating the value of Jeju's image in increasing originality and affinity. In this study, we want to actively enhance Jeju Olle-gil, a representative place built with differentiated images, by using it as a success story. Place Branding in Jeju is a way of establishing Jeju's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Place Branding by clarifying brands with identity, symbolism and originality using natural resources. The place where the brand has been materialized provides a symbolic means of lifestyle and self-expression. In Jeju, however, it is also an inevitable reality to spend time and budget trying to create and build a visible type of thing without any specific vision or strategy. It is drawing attention as a place to maximize and preserve the existing given value elements, a common feature in the cases of Jeju Olle-gil and overseas Olle-gil, adding a groundbreaking strategy. If the "Place Branding" value creation study continues to be applied simultaneously to brand development, improving the nation's brand and image will be a great advantage in promoting Jeju tourism.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inue to demonstrate specific expected effects and produce successful 'Place Branding' values. ‘Place Branding’의 도입을 통하여 만들어진 상품 및 명소는 하나의 가치로 상기된다. 그 결과 제주의 명소는 독창성 및 호감도가 상승함에 있어 제주의 이미지의 가치를 창출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차별화된 이미지로 구축된 대표적 플레이스 제주 올레길을 성공사례로 두어 적극적으로 제고하고자 한다. 제주에서의 ‘Place Branding’은 자연 자원을 활용한 정체성, 상징성, 독창성을 지닌 브랜드의 구체화를 통해 제주를 찾는 관광객의 요구를 ‘Place Branding’의 가치에 부합시켜 제주의 이미지를 설정해 나가는 하나의 방법이라 판단하였다. 브랜드가 구체화 된 장소는 생활양식과 자아 표출의 상징적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제주의 경우 구체적 비전이나 전략 없이 눈에 보이는 유형의 무언가를 만들고, 구축하는데 급급한 예산과 시간을 소요시키고 있는 것 또한 피할 수 없는 지금의 현실이다. 제주 올레길과 해외 올레길의 사례에서의 공통된 특징인 기존의 주어진 가치 요소를 최대한 극대화하고, 보존하면서 획기적인 전략을 더한 플레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길에서 출발한 본 연구를 계기로 ‘Place Branding’ 가치창출 연구가 지속되어 보다 경제적이고 환경적인 측면이 브랜드 개발에 동시 접목된다면 제주 올레길에서 더 나아가 국가브랜드 및 이미지 향상이 제주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 큰 이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계기로 구체적 기대효과가 입증되어 성공적인 ‘Place Branding’ 가치의 결과물이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지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제주 올레길이 인근토지가격상승율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 올레7코스를 대상으로-

        이동원,정수연 한국부동산연구원 2014 부동산연구 Vol.24 No.1

        This study utilizes FGLS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to determine the impact of Jeju Olle trekking courses on nearby land prices. Official 2010 land price data for 7 areas surrounding different Jeju Olle Trails was examined with a GIS program to determine the exact distance of land parcels from nearby trekking courses. Distance and various other pricing factors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for increases in land pric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rate of change in land prices from 2002 to 2010. Unlike existing studies which have examined the effect of highways, subways and other transportation facilities on land price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Korea's first-ever trekking courses on nearby land prices. This study concludes that 7 different Olle Trails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nearby land prices and that land prices decrease by 0.03% per meter as plots get further and further from Olle Trails. This result shows that not only transport infrastructure (highways, subways, etc.) but also non-traffic infrastructure such as Jeju Olle Trails and trekking courses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local real estate markets. 본 연구는 제주 올레 트레킹코스의 개발이 인근 토지의 지가상승에 미친 영향을 FGLS(Feasiable Generalized Least Squar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제주올레 7코스 주변의 2010년 개별공시지가자료를 사용하였는데, 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주올레7코스로부터 각 필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설명변수로 사용하였고, 그 외 다양한 토지가격영향요인들을 설명변수로서 고려하였다. 종속변수로는 2002년과 2010년 사이 토지가격변화율을 사용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고속도로, 지하철 등 교통시설의 개발이 주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반면,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트레킹코스의 개발이 주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올레7코스의 개발은 인근의 토지시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올레7코스로부터 1미터 멀어질수록 토지가격 상승률이 0.03%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속도로나 지하철과 같은 교통시설의 건설만이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제주올레와 같은 트레킹코스의 개발도 인근의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제주 올레에 방문하는 일본관광객은 국내관광객과 어떻게 다른가?

        신진옥(Jin Ok Shin),정철(Chul Jeo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4 觀光硏究論叢 Vol.26 No.4

        본 연구는 제주 올레 국내관광객과 일본관광객의 추구편익, 만족도, 충성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관광객과 일본관광객의 추구편익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관광객의 추구편익은 자연경관 체험, 일상탈출, 새로운 체험, 자아실현 순으로 나타났고 일본관광객의 추구편익은 자아실현, 새로운 체험, 자연경관 체험, 일상탈출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관광객이 제주 올레 관광을 통한 자아실현 욕구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제주 올레 국내관광객과 일본관광객의 만족도 또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관광객은 전반적 느낌이 높은 반면 일본관광객은 전반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일본 관광객이 여행상품 선택시 상품가격, 질, 상품구성 다양성 등 여행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고려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관광객과 일본관광객의 충성도는 추천의도가 국내관광객에 비해 일본관광객이 비교적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본관광객이 제주올레 뿐 아니라 제주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현실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tourists and Korean tourists visiting Jeju Olle in terms of the benefits sought, satisfaction, and loyalt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Japanese tourists and Korean tourists on the benefits sought. Compare to Korean tourists placed natural landscape experience, escaping from the daily life, new experience, and self-realization in consecutive order, Japanese tourists ranked self-realization, new experience, landscape experience, and escaping from the daily life in consecutive order. Japanese tourists presented a higher desire for the self-realization from Jeju Olle tour. The results also presented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tourists and Korean tourists on the satisfaction. While Korean tourists presented higher level of general impression, Japanese tourists presented higher level of general satisfaction. This results implied that Japanese tourists consider the general issues, such as product price, quality, and the diversity of product contents and so on, when they select travel packages. Japanese tourists gave a comparatively lower average score on the intention to recommendation than the score of Korean tourists n the intention to recommendation. Lastly,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a practical corresponding strategy to increase Japanese tourists’ interest in Jeju Island.

      • KCI등재

        ‘카미노’와 ‘올레’를 중심으로 본 문화콘텐츠로서의 길[道]

        김치완(Kim, Chi-Wa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30

        오늘날 우리는 ‘문화지향사회’라는 말에 적응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리고 산업에서 문화로 시대정신이 변화하고 있고,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담론이 실현될 수 있다는 기대에 부풀어 있다. 하지만 이 희망은 문화와 콘텐츠라는 말이 사실상 모호하다는 점에서부터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가 상품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카미노 데 산티아고와 제주올레를 비교함으로써 문화 콘텐츠로서 길[道]의 의미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카미노 데 산티아고는 기독교 전통의 순례를 잘 표현해낸 문화콘텐츠이다. 왜냐하면 현실의 삶에서 지친 이들이 그렇지 않은 낯선 공간을 찾아 떠나서, 결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기 자신의 기대, 그리고 결과를 카미노 데 산티아고의 풍경 가운데 하나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제주올레는 카미노 데산티아고의 亞流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집으로 가는 길’을 뜻하는 올레의 의미를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문화는 없고 ‘콘텐츠-상품’만 남은 것이다. 동양문화의 전통에서 길은 본래 공간에 새겨진 시간의 표시이다. 왜냐하면 길은 공간과 시간의 양 측면에서 여기와 저기, 과거와 미래가 교차하는 일종의 특이점이기 때문이다. 제주의 길로서 제주올레가 문화콘텐츠로서 성공하려면, ‘집으로 가는 길’이라는 올레 본래의 정체성을 회복해야만 한다. 그리고 아울러 길의 보편성 위에서 제주의 문화와 역사를 제대로 녹여 넣을 수 있어야 한다. At present, we reached a point of time to be adapted to the words of ‘culture-oriented society’. Therefore, the spirit of the times is changing from industry to culture and we are full of expectations that discussion over glocalization will be materialized. However, this hope can not help facing a barrier because the words of culture and contents are actually vague. In this contex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emise that cultural contents can have significance more than products and attempted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 Way(道) as a traditional content of the oriental culture by comparing Jeju Olle with Camino de Santiago. Camino de Santiago is a cultural content that expresses very well a traditional pilgrimage of Christianity. It is because Camino de Santiago enabled those exhausted from the real life to leave for strange space different from the real life and eventually sublimate their own expectations in various ways and results as one of the scenes of Camino de Santiago. Compared to this, Jeju Olle is unable to overcome the imitation level of Camino de Santiago. It is because Jeju Olle could not properly realize the meaning of Olle that means ‘a walk to a home’. In fact, culture is not seen but only ‘content-product’ exists. The way in the tradition of the oriental culture is a mark of time carved in original space. It is because The way in the qualitative aspects of space and time is a specific point in which here and there, the past and the future intersect. In order for Jeju Olle to be successful as The way of Jeju and a cultural content, the Olle’s original identity as The way to a home should be recovered. Furthermore, over the universality of The way, Jeju’s culture and history should be sufficiently contained in Jeju Ol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