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꽃의 신화학’ 서설 :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 탐색을 위한 시론

        강진옥(Kang, Jin ok)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5

        제주도 큰굿에는 꽃을 서사의 핵심으로 활용하는 본풀이들이 상당수 발견된다. 이들 본풀이들은 이른바 ‘꽃의 신화학’으로 명명할 만한 구조적 유형성을 공유하고 있다. <천지왕본풀이>는 제주도 무속신화의 서사적 중추를 이루는 ‘꽃의 신화학’의 출발점이다. 꽃 피우기 내기’는 생명현상의 유지와 보존이라는 세계운행의 질서를 형상화한 것이다. 번성꽃을 피운 대별왕이 저승을 차지하고 꽃사발을 바꾼 소별왕이 이승을 차지했다는 신화적 사건은 제주도 무속신화의 세계관적 기저를 형성하고 있다. 소별왕의 인세차지는 번성꽃으로 표상되는 생명력을 활용하여 쇠퇴해가는 인세를 갱신시킨다는 신화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꽃과 관련한 신화적 인물들은 행위에 따라 ‘생산·창조자’, ‘활용·운용자’로 대별되는데, 대별왕(생산 및 창조자)이 피워낸 꽃을 가져온 소별왕(활용 및 운용자)에 의해 그 선례가 마련된 ‘생명현상의 쇠퇴와 갱신’의 구조는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를 관류하는 공통주제로서 다양한 본풀이에서 되풀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양상은 서천꽃밭에서 환생꽃을 가져와 생명을 되살리고 신격으로 좌정한 인물들(이공본, 세경본, 문전본 등)의 경우는 물론이고, 꽃과 무관하게 전개되는 본풀이 유형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차사본풀이>나 <멩감본풀이>는 죽음이라는 현상 앞에서 그것을 넘어서는, 또 다른 생명의 시작을 다루는 본풀이들이다. 제주도 무속은 저승이 새로운 삶의 관문이라는 인식을 의례적 절차와 본풀이를 통해 표명하는데, 의례가 생명현상의 갱신을 가능하게 한다는 전례는 <초공본풀이>에서 마련되고 있다. 꽃-생명-세계는 제주도 무속신화의 신화체계 즉 꽃의 신화학에서 동일한 의미지향을 보여준다. 꽃은 생명현상의 표상이다. 생명현상은 세계공간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보여주지만 실상은 연속선상에 있다. 꽃은 생명현상의 정수이나 열매를 남기고 사라지고, 씨앗은 다시 생명으로 피어난다. 죽음으로써 무수한 생명으로 되살아나는 생명의 신비를 구현하는 식물적 생태를 차용한 상상력은 존재의 영속성을 보여주는 가장 구체적인 방법이다. 생명현상을 표상하는 꽃을 매개로 이승과 저승은 소통하고 삶과 죽음은 순환적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상상력 구조는 생명체의 유한성을 넘어서는 방법, 즉 죽음에서 생명으로 나아가는 길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 꽃의 신화학은 본풀이의 신화체계로서, 본풀이적 세계관이 구현해낸 생명에 대한 예찬이자 삶의 송가(頌歌)인 것이다. In Big Gut, Jeju Island, many bonpul-i (shamanic myths) exist, wherein flowers are the core of the narratives. These bonpul-i share a structural typology that may be called the “mythology of flowers.” Cheonjiwangbonpul-i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mythology of flowers,” which forms the narrative backbone of Jeju s shamanic mythology. Flowering is a representation of the order of world operations (i.e.,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life phenomena). The mythical events, the Daebyeol-wang who flourished flowers that took the otherworld and the Sobyeol-wang who changed the flower bowl that took this world, form the basis of the worldview of the shamanic myths in Jeju Island. Occupying the human world of Sobyeol-wang implies the mythical meaning of renewing the declining human world by utilizing the vitality represented by the flourishing flowers. The acts of mythical figures related to flower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groups of producers and creators and users and operators. The decline and renewal of life phenomena, established by Sobyeol-wang (users and operators) who brought flowers that were made to bloom by Daebyeol-wang (producers and creators), are common themes that flow through the myth system of shamanism in Jeju Island. Such a pattern has been confirmed not only in the case of people who brought reincarnation flowers from the Seocheon Flower Field to revive life and settled as Godheads (e.g., Yigongbonpul-i, Sekyungbonpul-i, Munjeonbonpul-i, etc.), but also in the type of bonpul-i that is unrelated to flowers. The Chasabonpul-i and Menggambonpul-i are bonpul-i that deal with the beginning of another life beyond the phenomenon of death. Shamanism in Jeju Island expresses the recognition that the otherworld is the gateway to a new life through ritual procedures and bonpul-i. The precedent that rituals enable the renewal of life phenomena is provided in Chogongbonpul-i. The flower-life-world shows the same meaning orientation in the shamanic mythology of Jeju Island (i.e., the flower mythology). Flowers are a symbol of life. Life phenomena show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world space, but the reality is that it is in a continuous line. Flowers are the essence of life. Flowers disappear, leaving fruit, and the seeds bloom again into life. The imagination that borrows from the plant ecology embodying the mystery of life, which is revived into countless lives by death, is the most specific way of showing the permanence of existence. Through the flowers that represent life phenomena, this world and the otherworld communicate, and life and death form a cyclical relationship. This imaginative structure convincingly suggests a way beyond life s finiteness, the way from death to life. The mythology of flowers is the mythical system of the bonpul-i, a tribute to life and a hymn of life embodied by bonpul-i s worldview.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제주도 무속신화의 채록현황과 의의

        이수자 한국무속학회 2023 한국무속학 Vol.- No.46

        Shamanism myths of Jeju Island documen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ly exist in 16 Jeju shamanic narratives. The myths are written in the book 朝鮮巫俗の 硏究, 上(Joseon Shamanism Study) co-edited by Akiba Dakashi(秋葉隆) and Akamatsu Jijo(赤松智城), professors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back then. Following information were given by a Seogwipo based shaman Park Bong-chun: In October 1931 when Akiba visited Seogwipo he transcribed the shamanic narratives with Lee Dae-ji, a teacher in Seogwipo Elementary School. The 16 shamanism myths are comprised of <Chogamje> indicating the opening rituals of the KeunGut along with 9 IlbanShin-Bonpuri, namely, <ChoGong-Bonpuri>; <Igong-Bonpuri>; <SamGong-Bonpuri>; <SeGyeong-Bonpuri>; <CheonjiWang-Bonpuri>;<MyeongjinGuksaengHalmang-Bonpuri>;<ChaSa-Bonpuri>; <ChilSeong-Bonpuri>; <MunJeon-Bonpuri>, 3 DangShin-Bonpuri i.e., <SeogwiBonHyangDang-Bonpuri>; <ToSanDang-Bonpuri>; <ShinJung-Topuri>, 1 Myth of IlwoelJosangShin i.e., <GunWung-Bonpuri>, 2 Special Bonpuri i.e., <WonCheonGang-Bonpuril>; <SeminHwangJe-Bonpuri>. The shamanism myths mentioned above, despite the fact that were documented by Japanese scholars, have significance in that being the first to be studied and recorded of all Jeju shamanism myths. This paved the way for Jeju shamanism myths to be established as literature. They demonstrate raw and original form of Jeju shamanism myths, which holds further importance concerning that the data is collected in Seogwipo-si region whereas most of the current Jeju shamanism studies are centered on Jeju-si area. Most importantly, as a compilation of Jeju Seogwipo shamanism myths, the data remain intact and unaffected to this day. 일제강점기에 채록된 제주도 무속신화는 당시 경성제대 교수로 한국에 와 있던 일본인 학자 아키바 다카시(秋葉隆)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가 공편으로 낸 朝鮮巫俗の 硏究 상권 중 7. 제주 신가에 실려 있는 16편이 유일하다. 이 자료들은 서귀포의 박봉춘 심방이 제보한 것으로, 아키바가 1931년 10월 서귀포를 방문했을 때 서귀포보통학교 훈도였던 이대지를 통해 채록한 것이다. 이들 16편 신화들은 큰굿의 첫 의식으로서 천지창생 신화를 포함하고 있는 초감제와 일반신본풀이인 초공본푸리, 이공본푸리, 삼공본푸리, 세경본푸리, 쳔지왕본푸리, 명진국생불할망본푸리, 체사본푸리, 칠성본푸리, 문전본푸리 등 9편과 당신본풀이에 속하는 서귀본향당본푸리, 토산당본풀이, 신중도푸리 등 3편과 일월조상신에 관한 신화인 군농본푸리, 그리고 특수본풀이에 속하는 신화인 원텬강본푸리, 세민황뎨본푸리 등 2편이다. 이들 무속신화들은 비록 일인 학자에 의해 채록된 것이긴 하지만, 제주도 무속신화로는 처음 조사되고 기록된 것이라는 점에서, 제주도 무속신화가 비로소 처음으로 문헌으로 정착되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아직은 제주도의 무속이 오염되지 않은 환경 속에서 조사되고 채록되었으며 기록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이들은 오늘날 제주도 무속신화 자료에 대한 채록과 연구가 대부분 제주시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서귀포 쪽의 자료라는 점에서, 그리고 서귀포쪽 무속신화 자료들을 일별하여 총체적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이들 자료들은 매우 고형과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 KCI등재

        임석재의 <관북지방무가>에 나타난 무속신화의 특징과 의의

        이수자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7

        The Prof. Im Seok-Jae collected materials on shaman folklore from the mid sixties to the beginning of 70s over various areas and produced the following 4 work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research on shaman folklore in Korea;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1965’,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an additional Edition, 1966’, ‘Songs of shamans of KwanSeo province, 1966’, ‘Songs of shamans of Julpo area, 1970’. He completed these first three works in collaboration with the Prof. Jang, Ju-Kun, while ‘Songs of shamans of Julpo area,’ is his single-handed work, This study, focused to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as well a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an additional Edition’, is aimed to acknowledge its value in the history of culture by summing up the myths and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is the collection of songs of shamans named mainly Kang Chun-Ok, Kim Bok-Sun, JI Kum-Sun, Kim Bok- Sun, Bak Jung-Suk of HamKyung province. There are total 19 songs of shamans. Among them, there are 8 of Kang Chun-Ok, 7 of JI Kum-Sun, 3 of Kim Bok-Sun and 1 of Bak Jung-Suk. But due to the geopolitical difficulty, it was carried out with shamans who came to the South away from the communist regime. The shamans were asked to perform as if they were in real rituals, which were recorded and later were put into word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is also a source of information on various kinds of shaman rituals in HamKyung Province and, therefore, is widely referred to for overall understanding of shaman rituals of HamKyung Province. Some scholars say that HamKyung Province and Jeju Island have some shaman myths in common. Comparing shaman myths of HamKyung Province and those included in KunGut(the meaning of big scale rituals) JeJu Island, we may find more than 6 myths with the same contents, such as <Myth of Creation>, <myth of Chokong-bonpuri>, <myth of Sekyung-bonpuri>, <myth of MunJun-bonpuri>, <myth of MengKam-bonpuri(Samani-bonpuri)>, <myth of KangNimChasa-bonpuri>. In ancient times, there existed 12 Acts KunGut which were handed down by shamans throughout the history and were spread all over the country. And some myths of 12 Acts KunGut remained intact in HamKyung Province and Jeju Island owing to their geographic isolation. In view of this, similar rituals to 12 Acts KunGut were performed also in the land in ancient time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proves this and, therefore, is a work of great value. I personally express my sincere appreciation to Prof. Im, Seok-Jae and Jang, Ju-Kun, who recorded the shaman songs and put them into written words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Songs of shamans of Kwanbuk province, Songs of shamans of KwanSeo province, Songs of shamans of Julpo area are invaluable for the study of shaman folklore and they should be published in books so that we can get easily our hands on them.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have access because they are kept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as report files. A lot of materials collected by Prof. Im, Seok Jae in the 1970s are still kept in tapes without being put into written form. I expect these materials be also published before long. 임석재(任晳宰, 1903~1998) 교수는 1960년대 중반으로부터 1970년대 초에 걸쳐 여러 지역의 무속을 조사하고, 우리 무속연구에 큰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관북지방무가(關北地方巫歌), 1965>와 <관북지방무가 추가편, 1966>, <관서지방무가(關西地方巫歌), 1966>, <줄포무악(茁浦巫樂), 1970>과 같은 무가 자료집을 남겨 주었는바, <줄포무악>은 임석재 교수 단독으로 조사한 것이나 나머지 자료는 장주근 교수와 함께 조사 채록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중 <관북지방무가(추가편 포함)>를 중심으로, 여기에 나타난 신화 내용 및 그 특징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이 자료집이 가지고 있는 문화사적 의의를 고찰한 글이다. <관북지방무가>는 함경도 함흥 지역의 무녀 김복순과 강춘옥, 그리고 홍원의 지금순, 흥남의 박금순 등의 무가를 조사하여 채록한 것인데, 총 19종류의 무가 중 무속신화는 15종이 소개되어 있다. 여기에 실린 자료들은 현지 조사가 어렵기 때문에 월남한 무녀를 대상으로 하여, 먼저 무녀에게 행식하는 때와 같은 모습으로 구연시키고 이것을 녹음하였다가 나중에 문자화하였다고 한다. 이 자료집에는 함경도 굿의 종류 및 무경도 소개되고 있어 함경도굿 전반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함경도와 제주도에는 공통하는 무속신화가 많다고 하는 기존 학설이 있는데, 실제 <관북지방무가>에 있는 함경도 무속신화와 제주도 큰굿 속에 남아 있는 무속신화를 비교해 보면 적어도 <셍굿의 창세신화: 배포도업침>, <셍굿의 세주애기본풀이: 초공본풀이>, <문굿: 세경본풀이>, <살풀이: 문전본풀이>, <혼쉬굿: 사만이본풀이>, <짐가제굿: 강님차사본풀이> 등 6편 이상이나 그 내용이 공통하고 있다. 이것은 고대에 <12거리 큰굿>과 같은 것이 있어 이들이 전 역사에 걸쳐 무격에 의해 전국에 전승 되었던바, 여기에서 구송되었던 신화들이 함경도와 제주도가 비교적 변두리 지역이었기에 여기에 상호 공통적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고대에 있어 제주도뿐만 아니라 육지 쪽에서도 12거리 큰굿과 같은 것이 행해졌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는데, <관북지방무가>는 바로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관북지방무가>, <관서지방무가> <줄포무악>은 우리 무속을 연구함에 있어 반드시 중시되어야 할 자료라 할 수 있기에 원하는 사람들이 쉽게 구입하여 읽을 수 있도록 책으로 출간되어야 한다. 현재는 문화재청에 보고된 보고서 형식으로만 되어 있어 구입하기도 어렵고 읽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임석재 교수가 1970년대에 조사한 수많은 무가자료들이 아직 전사되지 못한 채 그대로 녹음테잎으로 남아 있는 것도 문제다. 이들도 곧 문자화 되어 책으로 발간된다면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제주도와 유구(琉球),충승(沖繩) 신화 비교 연구의 검토와 전망

        정진희 ( Jin Hee Jeo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7

        제주도와 琉球·沖繩의 신화에 대한 비교 연구는 그 성과에도 불구하고 琉球·沖繩의 역사와 그 신화 자료의 전승 맥락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 오독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향후 두 지역 신화의 비교 연구 과제는 琉球·沖繩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전제로 설정되어야 한다. 제주도와 琉球·沖繩은 도서 지역이라는 환경적 공통점과 외부의 권력에 의해 주변부화된 지역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교의 조건이 성립된다. 이러한 조건적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어 본고는 島嶼 신화학, 마을 공동체 신화학, 무속 신화학 측면에서 향후 두 지역 신화가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중심과 주변의 역학 관계를 드러낼 수 있는 메타 담론으로서 두 지역 신화 연구사에 대한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주도와 琉球·沖繩 신화의 비교는 두 지역 신화의 본질적 특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도서 지역이면서 동시에 주변화의 역사를 겪어온 지역의 신화에 대한 이론을 정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교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myth of Jeju-island and Okinawa is a subject worthy of comparative study. In spite of a lot of precedent study, the comparative study is not successful as a mythology. I think the fallacy of precedent study is due to lack of knowledge or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Okinawa and misapprehension about the context of Okinawan myth. The more understanding about history, culture and religious folklore of Okinawa, is indispensable for successful comparative study. Jeju and Okinawa are similar in geographic environment and historial circumstances. First, they are islands. And second, they had been merged into dynasty and had been located as a periphery by the dynasty government from over the sea. From these similarities and features, I suggest that the comparative study must be done as a mythology on island, on village, and on shamanism. Moreover, I suggest th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enter`s studies on myths of periphery, in order to reveal the colonialism in them. In conclusion, I think that these comparative studies will show the features of myths` of each island, and construct the mythology of peripher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복수(復讐)’의 관점으로 본 <유정승따님애기> 서사 고찰

        신연우(Shin YeonWoo) 한국무속학회 2024 한국무속학 Vol.- No.48

        제주도 일반신 본풀이를 읽어나가다 보면, 유정승따님애기 서사는 차원이 다른 이야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풀이는 악인의 악행에 고통을 겪는 선인의 사연과 함께 그 악인에게 행해지는 복수로 이야기의 결말이 맺어지는 경우가 많다. 복수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정승따님애기 서사는 제주도 본풀이에서 대단히 예외적 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대조점을 발판으로 하여 유정승따님애기 서사의 의미를 천착해 보았다. 무속은 작게는 현세에서 잘 살자는 현실적 종교이고 크게는 인간이 하늘과 땅과 하나가 되어 생명과 문화를 창조하는 철학적 의의가 있는 활동이라고 하겠다. 여기에 복수는 어디에 자리하는 것일까? 유정승따님애기 무가는 제주도 무속에서 복수의 단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야 한다. 이 무가는 심방의 조상이 된 유정승 따님애기의 본풀이이다. 유정승따님애기가 그랬듯이 후대의 심방들도 같은 심사를 갖겠다고 한다. 심방이 되는 것을 ‘전생팔자를 그르친다’고 한다. 유정승따님애기가 죽어가는 아기를 되살아나게 한 것과 같이, 억울하게 펼쳐지는 자기 삶이지만 그에 대한 복수를 생각하지 않고 심방이 되어, 다른 사람의 복을 비는 굿을 하는 것으로 자기 삶을 살겠다는 것이다. 유정승댁따님애기 이야기는 이런 관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아무 잘못도 없이 신병을 앓고 죽어가게 되었던 사람이 아무 관계없는 다른 사람을 살려내고 자기는 자기 삶을 포기하고 무당이 된다. 무당이 되어 하는 일은 다른 사람을 구원하는 것이다. 자기를 내어주어 남을 살리자는 생각이 그 안에 들어 있다. 제주도 대다수의 본풀이에 보이는 복수담은 제주도민의 현실을 반영했을 것이다. 역사가 발전하고 문화가 진보하면서 사회는 개인적인 복수를 허용하지 않게 되었다. 개인의 복수를 사회가 처리해달라고 넘겼다. 제주도는 조선의 통치를 받았지만 법치보다는 개인적인 복수가 더 만연되었을 수 있다. 그런 속에서 유정승댁 따님애기 이야기나 바리데기 서사는 복수가 아닌 희생을 말하는 서사이다. 자기를 희생하여 다른 사람을 살린다는 생각은 문명을 향하여 나아가는 인류 집단에 공통적으로 출현했다. 유정승댁따님애기 이야기는 이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가 동아시아 문명권에 속해서 유교나 불교 윤리가 이를 대신하게 되었지만, 제주도에서도 이 과정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As I read the general shaman epic of Jeju Island, I think that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is a different story. In general, Bonpuri often concludes the story with the story of the good man suffering from the evil deed of the evil man and the revenge performed on the evil man. In that it does not take revenge,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can be said to be a very exceptional setting in Bonpuri, Jeju Island. Using this contrast point as a stepping ston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of Yoo Jeong-seungs daughter was examined. Shamanism is a realistic religion to live well in the world, and it is a philosophical activity in which humans become one with heaven and earth to create life and culture. Where is revenge located here? Goot, the world of shamanism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world and further achieve cosmic ideals, but it has not reached the point of generating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he idea of sacrifice and love. It should be noted that <Yoo Jeong-seungs daughter> shaman epic shows that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overcome multiple stages in Jeju shamanism. A person who suffered from a new disease and died without doing anything wrong saves another person who has nothing to do with it, and he gives up his life and becomes a shaman. Being a shaman is to save others. It contains the idea of giving oneself away to save others. Jeju Island is an island, so cultural development was relatively slow in the past. Most of the revenge stories in Bonpuri would have reflected the reality of Jeju residents. As history and culture progressed, society did not allow personal revenge. It was handed over to society to deal with individual revenge. Jeju Island was ruled by Joseon, but personal revenge may have become more prevalent than the rule of law. In the meantime, the story of the daughter of <Yoo Jeong-seung’s daughter> and the story of the baridegi are narratives that tell sacrifices, not revenge. The idea of saving others at the expense of oneself appeared in common in human groups moving toward civiliz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story of the daughter of <Yoo Jeong-seungs daughter> originated in this process. Although Confucianism and Buddhist ethics were replaced by the East Asian civilization, it is meaningful to show that this process took place in Jeju Island.

      • KCI등재

        김치(金緻) 인물형상화 방식에 나타난 <차사본풀이> 서술시각 : [해동이적·보] 소재 <김치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진옥 한국구비문학회 2010 口碑文學硏究 Vol.0 No.31

        제주도 무속신화 <차사본풀이>와 &#985172;해동이적·보&#985173; 소재 <김치설화>에는 공통적으로 김 치(金緻)라는 역사적 실재인물이 등장하고 있다. <김치설화>는 <차사본풀이>의 근원설화이 지만, 김치라는 인물의 형상방식은 두 장르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양자를 대상으로 김치 인물형상화 방식을 비교하는 작업은 <차사본풀이>의 서술시각과 제 주도 무속집단의 세계인식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양자는 핵심 서사단락을 공유하고 있으나, 해당 대목을 서술하는 방식에서는 일정한 차 이를 보여주고 있다. <김치설화>가 신이한 능력과 선정을 베푸는 명관으로서의 면모를 부 각하는 반면, <차사본풀이>는 김치의 어리석음과 무능함을 부각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 를 위해 <김치설화>의 서술자는 논평을 통해 인물의 비범성을 직접적으로 진술한다. 이와 달리, <차사본풀이>는 다수의 인물을 등장시켜 인물들의 관계양상을 통해 확장된 서사세계 와 심화된 문제의식을 부각하는데, 주변인물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김치와 관계를 맺으면서 인물의 열등성 부각에 일조하고 있다. <차사본풀이>의 인물형상은 김치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도 일정한 거리를 보여주고, 근원설화인 <김치설화>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일차적으로 <김치 설화>의 채록자가 흥덕지역 ‘선비’였고, <차사본풀이> 전승집단이 제주도 무속집단이라는 사실에서 비롯되지만, 구전되는 <흥덕현감설화>에도 현감의 신이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고 려하면, <차사본풀이>의 인물형상화 방향이 김치라는 역사적 개인에 대한 평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이는 제주도 무속집단에게 김치‘원님’이 역사적 개인이 아니라 중앙권 력을 대변하는 존재로서 이해되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차사본풀이> 김치원님의 인물형 상은 통치의 기반을 유가적 가치관에 두고 있는 중앙관리에 대한 제주도 무속집단의 시선 을 대변하는 것으로, 제주도 무속집단과 유가적 통치관을 지닌 중앙관리 사이에서 빚어졌 던 지속적인 갈등의 역사적인 반증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제주민요에 형상화된 삼승할망

        양영자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6 No.-

        Jejudo is the region that the tradition of shaman custom is maintained better than any other regions in Korea, in addition to other traditions such as gut, folk songs, rituals, superstitions, the life and ways. In this paper, 1 have examined how Samseunghalmang, originally existed in bonpuri of the shaman ritual, was imaged in the folksongs of Jeju and how the perception of Samseunghalmang by the people of Jeju were reflected. Samseunghalmang have been actively and widely transmitted by being diffused in <Aegigudeokheunggeuneunsori> and ritual songs. By reenacting the myth of Samseunghalmang, the folksongs of Jeju have played a role of diffusing the mythical way of thinking and of ensuring the rituals. I have also found out that a myth not only remains as a story of a god or goddess but also can explain the mode of human existence and fundamentals of the culture, by examining the titles, appellations of the goddess and her relation to the speaker.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Samseunghalmang reflected in the folksongs of Jeju imply that they are the compositive oral tradition closely related to the customs and manners of the Jeju people. Samseunghalmang has been significant spiritual foundation for the Jeju people, and the folksongs of Jeju have imaged Samseunghalmang in the way of thinking by the Jeju people. Folksongs reflect the people’s life and reality and contains the life philosophy and wisdom of the people. The people of Jeju have sung Samseunghalmang who they have relied on with fixed narratives that express the awe and the seek for the human existence. 제주도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무속적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고, 현재도 굿, 민요, 의례, 속신, 생활풍습 등에서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이 글은 제주도 무속본풀이 속의 삼승할망이 제주민요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 형상화 과정에서 제주사람들의 인식체계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살폈다. 삼승할망은 제주민요의 <애기구덕흥그는소리>와 의식요 속에 널리 전파되면서 광범위하고 활발하게 전승되었다. 제주민요는 삼승할망 신화를 그대로 재연함으로서 신화적 사고의 확산과 제의를 보증하는 구실을 하였다. 명칭과 호칭, 화자와의 관계 등 삼승할망의 존재양상을 통해 신화가 단순히 신에 관한 이야기에 머물지 않고 인간의 존재양식과 문화의 원리를 해명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제주민요에 투영된 삼승할망의 성격과 직능은 제주사람들의 생활풍습, 민속적 생활과 깊이 연관된 복합적 구술상관물임을 알 수 있었다. 제주사람들에게 삼승할망은 중요한 정신기제였고, 제주민요는 삼승할망에 대한 제주사람들의 정신적 사유와 의존을 고스란히 형상화 하였다. 민요는 사람살이의 모습과 현실을 반영하고, 그 속에 삶의 철학과 지혜를 담아낸다. 제주사람들은 그들이 믿고 의지해왔던 삼승할망을 민요에 형상화하면서 인간존재에 대한 탐구와 생명에 대한 경외감을 노래해 왔다.

      • KCI등재후보

        濟州島와 琉球의 巫祖神話 比較 硏究

        김헌선 한국구비문학회 2003 口碑文學硏究 Vol.0 No.16

        A Comparative Study on Mujo Myths of Jeju Island and OkinawaKim, Heon-Seon(Kyonggi University)This study is a comparative work on Mujo(shaman ancestors) myths of Jeju Island and Okinawa. There are two types of Mujo myths ; oral myths and oral epics. Chogongbonpuri and Son of sun clearly have commonalities for being oral epic narratives. Another commonality Chogongbonpuri and Son of sun have is there main function as shaman's personal shaman rite. Chogongbonpuri is sung during Sin Gut as bonpuri which has an important function of inducting the shaman of shamanism. Son of sun is an important mujo myth myth of Okinawa shaman Yuta sung in Kantate Kannnoshi shamanistic rituals. 본 논문은 제주도와 유구에 전승되는 무조신화를 선택해서 신화구조의 특징과 무속의례적 상관성을 비교한 것이다. 신굿에서 <초공본풀이>는 네 차례에 걸쳐서 풀이와 놀이의 형식으로 표출되는데, 그 가운데 핵심적 구실은 당주연맞이와 시왕연맞이에 있으며, 시왕곱은연질과 쒜놀림굿에서 무당 노릇을 할 수 있는 필요한 입무의 허락과정이 있음이 확인된다. <思松金>은 아마미섬의 무당인 유타들이 신병을 앓으면서 자신들의 신굿이나 내림굿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아니라, 저절로 익혀 말문이 트이는 ‘神語り'를 하면서 구연하는 것이다. 무조신과 유타인 무녀가 하나로 합일되는 과정에서 고통을 벗고 성숙한 무당으로 다시 나는 과정에서 <思松金>이 불려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思松金>은 무조신화로써 긴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처럼 <초공본풀이>와 <思松金>은 무조신화와 무속의례의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통점은 차이점과 함께 비교하는 양 측면의 축을 형성한다. 시기적으로나 내용상으로 <思松金>은 무속의 핵심적 심층부위를 갖고 있다면, <초공본풀이>는 장편임에도 불구하고 다루고 있는 내용은 고형의 기본구조를 가지고 많은 사회적 특징을 반영해서 변형시켰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 KCI등재

        제주무속신화에 나타난 도덕질서 : 일반신본풀이의 갈등양상을 중심으로

        강봉수(Bong Soo Kang) 제주학회 2003 濟州島硏究 Vol.24 No.-

        이 글은 제주무속선화 중 일반신본풀이에 나타난 도덕질서를 탐색하는 것이다. 도덕적 문제는 인간들 상호간의 제반 이해갈등에서 비롯되는 것임에 주목하여, 일반신본풀이 나타나는 갈등의 양상을 사례별로 유형화하고 그 갈등해결의 방법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일반신본풀이에 함의된 도덕질서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등 지향적 질서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로 구체화되는 데 하나는 가진 자와 못 가진 자간의 평등이고, 또 다른 하나는 여성과 남성간의 양성평등의 지향이다. 둘째, 가족주의와 막내중심주의이다. 본풀이에서 부모들은 수륙불공을 드려서라도 후세를 얻고 싶어하는 것이 공통된 특성이다. 그리고 자식의 부모에 대한 孝의 중요성도 강조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유교적 문법과는 달리 막내 중심주의적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셋째, 현세 지향적 질서이다. 이는 한마디로 죽어서 정승보다 개 팔자라도 지금 여기에 살겠다는 사고로, 무속사상에서 이러한 사고는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넷째, 정의 지향의 질서이다. 정의의 사고에는 자기 중심상에서 벗어나 타인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를 정당하게 대우하겠다는 함축이 들어있다. 본매본장, 수수께기와 내기 시합 등은 우리의 본풀이에서 계약과 공정성을 중시하는 정의의 사고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예에 해당한다. 다섯째, 배려 지향의 질서이다. 설득, 용서, 사랑은 너와 나를 갈등과 분리의 관계로 보지 않고, 상호 의존적이고 인간적으로 서로 따뜻한 관계에서 비롯되는 배려윤리의 술어들이다. 끝으로, 공동체주의적 개인주의 혹은 개인주의적 공동체주의도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의의 원리가 개인주의를 함축한다면, 배려의 원리는 공동체주의를 강조하는 것이다. In Jeju Island, a shamanistic myth appeared in the great exorcism, which was also called Bonpuli. This is a history of a god to whom sacrificial service was offered, sorcerous and religious myth and human life s epic. Every religion is bound to deliberate on human value and human matters, and moral idea are one of the mandatory elements that comprise human matt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studied to moral idea implicated on Jeju Island shamanistic myth attaching importance to General God Bonpuli. In brief moral idea appeared in General God Bonpuli, (1) principle of equality: between the two sexe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2) principle of kinship and the last-born centralism, (3) principle of secularism, (4) principle of justice, (5) principle of care, (6) principle of communitarian liberalism or liberal communitarianism.

      • KCI등재

        제주 무속 신화 속 쫓겨난 딸들의 신직 좌정과 문화적 의미

        이향애 ( Yi Hyang-ae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제주도 여신 신화에서 아버지에 의해 쫓겨난 딸들의 신직좌정 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버지와 딸은 가족과 혈연 보다 상위 차원의 가치인 유교적 규범에 의해 갈등하고 대립한다. 결국 위계상 하위에 있는 주변적 존재 인 딸이 아버지에 의해 집에서 추방당한다. 딸들이 집에서 쫓겨나는 이유는 유교적 규범에 맞지 않은 행동과 말을 했기 때문이다. 신화에서는 집을 나간 이후 여성들의 어려움을 공간 묘사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묘사는 남성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신화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여성이 외부 공간으로 나아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잘 보여준다. 여성들의 길 떠남은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가족 관계 및 질서와 단절하고 새로운 자기 정체성을 세우며 나아가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관계를 보면, 안전할 것 같은 내부 공간은 불안전한 반면에 위험할 것 같은 외부 공간 은 여러 가능성이 열려 있는 공간이다. 여성 인물들의 공간 이동은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가치가 전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문화 유형론의 관점에서 보면 주변적 존재인 딸들이 신으로 좌정하면서 새로운 공간의 중심이 되는 것은 문화의 체계 내부에서 중심과 주변이 자리를 바꾸는 메커니즘과 유사하다. 쫓겨나는 딸들의 신직 좌정 과정은 주변적 요소가 문화의 중심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ry and meaning of border people through daughters expelled by fathers in the myth of the goddess of Jeju Island. Fathers and daughters are in conflict and confrontation based on Confucian norms, which are values higher than family and blood ties. Eventually, the daughter, a marginal entity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is expelled from the house by her father. The reason the daughters are expelled from the home is because they acted and spoken against Confucian norms. Mythology shows the difficulties of women after leaving the house through space descriptions. This description shows how difficult it is for a woman to go to the outside space as it is difficult to find in the myth of men as the main characters. Women’s departure is a process of breaking off from the existing family relations and order centered on the father and establishing a new self-identit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through this, the inner space that is likely to be safe is unsafe, while the outer space that is likely to be dangerous is a space that has many possibilities. The movement of female characters in space shows that the value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that are commonly thought of are being carried over.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typology, the fact that daughters, who are peripheral beings, become the center of a new space while sitting as gods, is similar to the mechanism in which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change positions within the system of culture. The process of sequestering the daughters who are driven out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peripheral elements move to the center of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