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클레안테스의 <제우스 찬가> 해석—스토아적 신(神)에 대한 종교적 찬가—

        한경자 한국서양고전학회 2023 西洋古典學硏究 Vol.62 No.1

        Cleanthes’ Hymn to Zeus, a prayer to the God (Zeus) who rules the universe, is the only complete writing that exits of any early Stoic author. It is an important document, not only for its historical value, but also in terms of its content, since it conveys the religious and ethical thoughts of early Stoic philosophy through poetic for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Cleanthes’ Hymn to Zeus, analyzes the concept of God (Zeus) in Stoic philosophy, and determines how the doctrine of the immanent God of Stoic philosophy is conveyed by the traditional Greek poetic form. First, we present the genr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poem, and then discuss two of the themes: the “praise for the power of Zeus” and the “problem of the bad people.” 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problem of “bad people,” which has drawn the most attention from researchers, we examine how the problem of “evil” is raised and eventually resolved. Finally, we determine how Hymn to Zeus deals with this issue and conveys the doctrine of Stoic philosophy through the praise of the power of Zeus. In sum, Hymn to Zeus presents the philosophical doctrine of the Stoics, while structured as a religious hymn to the traditional god, Zeus. Cleanthes also argues that the “problem of evil” is the result of human ignorance and excess, and therefore realizing and obeying the common logos and common law (nomos) through divine “understanding” is what human beings must do. Moreover, his Hymn to Zeus proposes the Stoic way of life, i.e., “life in accord with nature,” as a Stoic religious and philosophical doctrine 클레안테스의 <제우스 찬가(Hymnos eis Dia)>는 우주를 주재하는 신(제우스)에 대한 기도문으로서 초기 스토아학파의 문헌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거의 온전한 텍스트이다. 사료적 가치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초기 스토아 철학의 종교적, 윤리적 사유를 시적 형식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토아 철학의 내재적 신에 대한 이해를 위해 텍스트의 분석과 해석이 필요한 중요한 문헌이다. 본고의 목표는 이러한 가치를 갖는 클레안테스의 <제우스 찬가>를 검토하고, 그 안에 전개되고 있는 스토아 철학의 ‘신(제우스)’ 개념을 분석하여, 스토아 철학의 내재적 신에 대한 교설이 그리스 전통 시가의 형식 속에서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 논고는 우선 이 시의 장르적 특징과 구조를 제시하고, 시의 주제인 ‘제우스의 힘에 대한 찬사’와 ‘나쁜 자들의 문제’를 검토한다. 특히 본 찬가에서 가장 주목을 많이 받는 ‘나쁜 자들’의 문제를 분석하여, ‘악’의 문제가 제기되는 방식과 해결되는 방식을 함께 검토하고, <제우스 찬가>가 이 문제를 다루면서 제우스 힘의 찬양을 통해 스토아 철학의 교설을 어떻게 전달하고 있는지를 해석하였다. 요컨대, 클레안테스의 <제우스 찬가>는 전통적 신, 제우스에 대한 종교적 찬송으로서 전체 구조를 구축하는 한편, 찬가가 제기하고 있는 ‘악의 문제’가 공통의 로고스와 공통의 법에 대한 인간의 무지와 과잉의 결과임을 보여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신적 통찰을 통해 공통의 로고스와 법을 깨닫고 복종하는 것이 인간이 해야 할 바라는 스토아식 삶의 방식 즉 ‘자연과 일치하여 사는 것’이라는 내용을 종교적, 철학적 교설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제우스의 그라피티 회화적 특성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이은지,임도연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을 위해 그라피티 회화의 조형성을 제우스 관점에서 네일아트 작품으로 디자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네일의 아름다움의 표현은 물론 고객들 마음의 심리적 치유와 안정을 꾀할 수 있는 독창적인 아이디어 제시는 네일아트의 미래를 위해 디자인의 표현영역을 지속적으로 넓혀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우스의 세 작품 이미지를 모티브로 디자인하여 워터데칼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네일 기법으로는 워터마블(Water Marble), 워터데칼(Water Decal), 리퀴데이션(Liquidation)기법에 제우스의 작품을 응용한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어 총 3작품을 제작하였다. 제우스의 ’리퀴데이션‘ 기법은 우울한 마음을 환하게 해주는 컬러테라피의 역할과 작가의 개성에 따라 연출함으로써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워터데칼 기법은 현대인의 바쁜 생활을 빠른 방법으로 시술해 줌으로써 시술시간 단축과 저비용, 디자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워터데칼 기법과 핸드페인팅 기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시간 단축으로 인한 네일 샵의 빠른 고객회전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프로메테우스의 분노(όργή)와 정의(δίκη)의 정당성 문제 : 『결박된 프로메테우스』(Προμηθεύς δεσμώτης)에 나타난 오케아노스의 입장과 비교하여

        손병석(Son, Byung-Seok) 韓國西洋古典學會 2011 西洋古典學硏究 Vol.45 No.-

        아이스퀼로스(Aischylos)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는 프로메테우스의 분노(όργή)와 정의(δίκη)를 다룬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프로메테우스의 제우스에 대한 분노가 정의의 관점에서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는 생각한 것보다 그리 간단치 않다. 비극작품 속의 주인공들이 그런것처럼 어떤 면에서 프로메테우스 역시 하마르티아(άμαρτία), 즉 과실을 범한 신이기 때문이다. 작가 아이스퀼로스가 과연 프로메테우스의 분노를 정당한 것으로 평가했는지에 관한 심도있는 텍스트적 분석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것의 해명을 위해 이 글은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견해를 분석한다. 특히 필자가 관심을 갖고 다루고자 하는 인물은 오케아노스(Okeanos) 신이다. 오케아노스는 자신의 중재적 입장을 통해 프로메테우스와 제우스의 대립과 갈등을 화해시킬려고 시도하는 신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케아노스의 중재적 역할이 과연 참된 의미의 중용적인 행위가 될 수 있는지에 관해 필자는 회의적이다.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개념을 통해 오케아노스의 견해가 사이비(pseudo) 중용론임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It is well known that Aeschylus’ tragedy, the Prometheus Bound concerns Prometheus’ philanthropy and his justice. Bu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Prometheus’ anger toward Zeus could be justified or not. For like any other tragic heroes he also erred due to his stealing the fire from the Zeus. That is why we have to investigate Aeschylus’ final judgment about whose anger is more right. i.e. Prometheus or Zeus. To achieve this end, I examine three main characters, i.e., Oceanides, Okeanos and Io. Especially, I focuse to investigate the second visitor, Oceanos. For the god Oceanos is a mediator who tries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Prometheus and Zeus. However, I am strongly sceptical that Oceanos played a truly middle conciliator. By means of Arisotle’s view of the Mean(to meson), I demonstrate that Oceanos has to be considered as a pseudomediator.

      • KCI등재

        여신 자청비의 노정기와 역할 대리자 - 체쳉 고아 선녀, 황우양 부인, 제우스와 견주어 -

        박종성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3

        In general, the devolution of power from the goddess to god is a main axis of narrative in myths. However, it needs to cast doubt on this common belief that this transition is occurred only by the one way direction. On the process of Jacheongbi in Jeju island becomes the agricultural goddess, she shows the specific feature of androgyny, and transfers her sacred power to male characters like her husband MoonDoryeong and the slave CheongSunam. The substances of male-gods are based on their positions, a substituter of a goddess. We can see the great journey of the goddess by the different point of view. Similarly, Checheng Goa in Mongol and Wife of Hwangwooyang in Korea take roles as assistants of male-gods, who represent roles of female-goddess. Meanwhile, Zeus in Greece is the greatest male-god who has the feature of androgyny and he stands his sons, not the female-goddess, as representatives. For example, Dionysus becomes the representative of the goddess Aphrodite which means Dionysus are able to appropriate the power of Zeus. Jacheongbi and Zeus shows the functional relation. Both two characters are described as the androgyny, but the aspects of substituters of their power are totally different. Therefore, we can draw the fundamental concept of role-substituter of the high ranked god, and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signs to create the common theory of myth. 일반적으로 여신에서 남신으로의 전환이 신화의 거시적 흐름에 있어서 중심축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글은 여신과 남신의 관계를 일방의 흐름으로만 해석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제주의 자청비는 농경의 여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에서 양성구유의 신격을 구체적으로 실현한다. 그리고 자신이 획득한 남성신의 역할을 남편인 문도령, 家奴인 정수남에게 이양하고 수행하게 함으로써 여성신의 역할 대리자로서의 남성신의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내었다. 위대한 여신의 노정기가 다른 경로로 확인된 셈이다. 몽골의 체쳉 고아 선녀와 한국의 황우양씨의 부인은 남편인 남성영웅, 혹은 남성신의 과업을 성취하도록 하는 조력자이면서 동시에 여성신의 역할을 대리하는 존재로서의 남성신의 성격을 신화의 서사를 통해 드러내었다. 희랍의 제우스는 위대한 남성신으로서 양성구유의 속성을 온전하게 갖추고 올륌푸스의 최고신으로 좌정한다. 그리고 자신의 역할 대리자로서 여성신이 아닌 자신의 아들신들을 활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어 여신 아프로디테의 역할을 아들신 디오뉘소스를 통해 구현하게 함으로써 철저하게 아들신을 역할 대리자로 내세운 점이 자청비와 비교된다. 양성구유의 여성신과 남성신의 역할 대리자를 통해서 이 두 신은 함수관계를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상위신의 역할 대리자의 개념은 신화 일반론의 하나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표지임이 인정된다.

      • KCI등재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와 아리스토파네스의 ‘신통기’ 비교연구

        심정훈(Shim, Jung Hun) 한국서양고전학회 2020 西洋古典學硏究 Vol.59 No.2

        아리스토파네스의 『새』 693-703행에 나오는 코러스장의 노래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의 주요 내용을 답습하되 미묘한 변화를 가미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는 4대 원초적 존재 중 가이아와 카오스의 계보 사이의 대립을 강조한다. 특히 무사여신들은 가이아의 계보에서 탄생한 제우스가 에로스, 타르타로스, 그리고 카오스의 계보(카오스-뉙스-에리스-에리스의 후손들)에 속한 존재들을 평정하여 안정된 세상을 이룬 업적을 칭송한다. 이런 목적에 맞게 『신통기』는 신들의 안전한 거처이자 어머니인 가이아와 그녀의 계보를 가장 중요하게 부각시킨다. 반면 아리스토파네스의 ‘신통기’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깊은 영향을 받아 중복되는 내용도 있지만, 명백한 차이점도 발견된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가장 중요했던 4대 원초적 존재인 가이아가 아리스토파네스의 ‘신통기’의 4대 원초적 존재들의 목록에서는 누락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사소해 보이지만, 사실상 아리스토파네스의 ‘신통기’에서 가이아를 비롯한 가이아의 계보에 속한 올륌포스 신들을 격하시키면서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의 핵심 내용을 전복시킨다. 아리스토파네스는 『새』에서 헤시오도스의 『신통기』를 자신의 의도에 맞게 다시 씀으로서 격변의 시기를 맞이했던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인들에게 낡아빠진 옛 신적체계를 탈피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토대를 제안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article assumes the unquestionable similarities, and examines in depth the often neglected subtle differences between Hesiod’s Theogony and Aristophanes’ ornithogonical imitation of it in his 414 B.C. comedy, the Birds. In the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Aristophanes’ Ornithogony is shown to completely invalidate the overarching theme of Hesiod’s Theogony. Theogony was an encomium extolling Zeus for his extraordinary feat in subjugating the primal forces and ushering in a stable world order. Naturally, Zeus was the protagonist of the Theogony, and Gaia, as the progenitress and secure seat of all the immortals, held an indispensible role in Hesiod’s account. A careful analysis of the four primal beings reveals a conspicuous shift of focus from Gaia and her progenies in Hesiod’s Theogony towards the other entities, notably the lineage of Chaos, in Aristophanes’ Ornithogony. This subtle reworking of the Theogonic material in the Birds demonstrates a systematic marginalization of Gaia and her offsprings. The end result is the invalidation of the Olympians as legitimate deities, and Zeus’ humiliating dethronement. Aristophanes’ bold and rather blasphemous adaptation of Hesiod’s Theogony can be understood as a denouncement of the Athenians’ former theistic framework, and an appeal to seek out a better alternative.

      • KCI등재

        호메로스의 신들 — 관객석의 신들

        이태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1

        In this paper, I shall try to show in what the most numinous feature of Olympian gods in Homeric epics consists, by illuminating the meta-poetic function of Mousa, the goddess of music. Being omniscient like her father Zeus, she can tell stories about deeds of the gods when the opportunity serves.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one of Mousa’s favorite themes is the heartless indifference of the gods to human sufferings. In some scenes in Iliad, Zeus gives even the impression that he is happy watching how heroes are butchering each other ruthlessly. Drawing our attention to such an attitude of the gods, Homer seems to give us a vital clue a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gods. It is only by sharp contrast with the gods that we humankind become aware of what we are. 이 글에서 필자는 일차적으로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 여신 무사가맡은 역할을 조명하고자 한다. 무사는 제우스가 현장에 임하여 목격한사건을 노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우선 그런 노래의 주제가 어떤것인지 탐색해내고 그 노래를 신들에게 들려주고 나아가 인간에게도들려주는 무사의 행위가 어떤 함축을 갖는지 논의할 것이다. 필자는 신들이 무사의 노래에서 즐거움을 얻는다는 것을 인간과 구별되는 가장신적인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논변할 것이다. 호메로스 서사시의신들은 작품 속에서 세상사를 주재하는 역사(役事)의 주체 노릇을 하지만, 자신들의 역사를 무사의 노래를 통해 들으면서 더없이 순수한 즐거움을 갖는다. 그들은 자신들의 역사를 통해 인간들이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고통에 관한 무사의 노래도 즐겁게 듣는다. 바로 인간의 괴로움을 노래로 듣는 것이 신적인 행복의 요체를 이루는 것이다. 그것만큼 신과 인간 간의 간격을 선명하게 확인시켜주는 것은 없다. 무사의 존재는 그 간격을 통해 인간이 신과 어떻게 다른 존재인지 그리고 신과 어떤 관계를 가질 수 있는지 부각시켜 보여주기 위해 호메로스가 동원한탁월한 메타창작적 장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우스 Botnet 공격 유형 분석을 위한 클러스터링 방안 연구

        배원일 ( Won-il Bae ),최석준 ( Suk-june Choi ),김성진 ( Seong-jin Kim ),김형천 ( Hyeong-cheon Kim ),곽진 ( Jin Kwa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에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악성코드에 의한 공격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 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들이 감염 전파될 경우 다른 호스트의 리소스에도 영향을 끼쳐 개인정보 및 데이터의 삭제 등의 보안위협이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악성코드 분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악성코드 분석을 위해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한 제우스 봇넷의 공격 유형별 군집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클라우드 환경 내 발생되는 제우스 봇넷에 대하여 악성행위를 유형별로 군집화 함으로써 악성 유무를 판별할 수 있으며, 추후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제우스 봇넷 공격 대응을 목표로 한다. Recently, developments in the various fields of cloud computing technology has been utilized. Whereas the demand for cloud computing services is increasing, security threats are also increasing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Especially, in case when the hosts interconnected in the cloud environments are infected and propagated through the attacks by malware. It can have an effect on the resource of other hosts and other security threa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spreaded and data deletion. Therefore, the study of malware analysis to respond these security threats has been proceeded actively. This paper proposes a type of attack clustering method of Zeus botnet using the k-means clustering algorithm for malware analysis that occurs in the cloud environments. By clustering the malicious activity by a type of the Zeus botnet occurred in the cloud environmen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malware or not. In the future, it sets a goal of responding to an attack of the new type of Zeus botnet that may occur in the cloud environments.

      • KCI등재

        헤로도토스와 그리스 신화서술 -제우스 서술을 중심으로

        김봉철 ( Bong Cheol Kim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0 서양고대사연구 Vol.27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Greek myth described in Herodotos` Historiai, focusing on the myth of Zeus. Of all the Greek gods, Zeus is most frequently mentioned and his name is referred at most various regions by Herodotos. But the name of Zeus mentioned by Herodotos does not indicate the same god. Herodotos not only calls the Greek supreme god as Zeus, but also some foreign gods such as those of Egypt, Persia, Scythia and other lands. I survey sixty one chapters in Historiai, where Herodotos refers to Zeus. Among them twenty seven chapters are found to tell about the Greek god Zeus, sixteen chapters about the Egyptian Ammon, eight chapters about the Persian Ahura Mazda, three chapters about the Zeus-Belos of Babylon, three chapters about the Scythian Papaios, three chapters about the Carian Zeus, and one chapter about the Libyan Zeu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Zeus myth in Historiai properly, it is necessary to discern between the Greek Zeus and the foreign gods called as Zeus. I analyze the Zeus myth in Historiai in three respects, namely (1)Zeus` genealogy, (2)Zeus` titles or nicknames, and (3)Zeus` specific divin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can find some differences between Herodotos and his earlier writers in respect of Zeus` genealogy. Herodotos mentions Dionysos, Perseus and Helene as children of Zeus like earlier writers. But he does not admit Athena, Heracles and Minos to be children of Zeus. I think that is because Herodotos` accounts of them rely on foreign sources, not Greek ones. Secondly, as for Zeus` titles or nicknames, Herodotos uses words like as eleutherios Zeus, agoraios Zeus, laphustios Zeus. Among these nicknames first two ones were already used in relation to Zeus before Herodotos in Greece, but last one was not. Thirdly in respect of divinity, Zeus is described mainly as a heaven god, weather god, and god of oracle. Although the divinity of Greek Zeus as the supreme god does not ostensibly appear in Historiai, Herodotos is fully aware of this position of Zeus. On the basis of the awareness, Herodotos could name the supreme god in Egypt, Persia and Scythia as Zeus like Greek god.

      • KCI등재

        신화와 제의의 관점에서 본 아리스토파네스의 「기사들」

        강대진(Kang, D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5

        Roughly speaking, Aristophanes Knights is made of three overlapping succession myths, and so requires a mythic-ritual interpretative approach. The basic and implicit story is on the growth of Zeus and his struggle for the supreme power. He represents younger generation, and his struggle reflects the content and properties of a passage ritual. The main story is about the Sausage-seller: his liminality, educational courses, and struggle for power. The third story reveals itself from the parabasis. It is the succession myth of the young poet Aristophanes himself, showing his training process and struggle for the throne of the king of comedy. These stories are combined with many ritual elements: those of rites of passage, scapegoat rituals and New Years festivals. The plot of Knights shows evolutions of the cosmos from chaos, and they consist of three stratums. The first is about the personal growth, common to almost all the adventures of heroes. The hero grows, and is educated in a marginal place, then fights against powerful opponents or monsters, and finally obtains a new position. The second stratum is the restoration of order in a home. At first the house of Demos was declining under the tyranny of Paphlagonian slave, but at the last stage it gets a new order. The last layer is national and cosmic dimension. The rejuvenation of Demos after the heros victory is a proof of the restoration of the cosmic order. Practices of many festivals, especially those of New Years festivals are related to this dim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