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해진(Lee Hae-jin)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80
이 글은 2008년 촛불집회의 10대 참여자들의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주체 형성 과정을 연구했다. 10대의 촛불집회 참여 경험의 특성이 무엇이며, 이러한 참여 경험이 참여자의 인식 및 행동을 어떻게 바꾸었고, 이를 통해 새롭게 구성되는 주체화의 내용은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탐구하고자 했다. 사회운동 연구에서 감정, 집합적 정체성, 생애사적 영향의 측면에 주목하여 촛불집회 참여 경험을 참여 배경, 참여 과정, 참여 효과로 나누어 분석했다. 연구 자료는 촛불집회 현장에서 실시한 1차면접 설문조사와 이후 70여 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이 1차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해 실시한 2차 추적 조사 결과이다. 분석 결과, 10대 참여자들은 분노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촛불집회를 촛발시키고 대규모로 직접 참여함으로써 시민의식과 민주주의를 체험 학습했다. 또한 이들은 정치세대로서의 인식, 독자적인 정치적 목소리, 일상적으로 정치화된 행동을 보여주었다. 촛불집회 참여를 통해 정치적인 것의 의미 변화를 직접 체득했음을 알려준다. 아울러 지속적인 참여가 시민적·정치적 주체로서의 인식과 행동을 더욱 강화시키는 효과를 발견했다. 특히 이 글에서는 10대 참여자의 분화와 지속에 주목하여 참여 경험의 특성과 '시민적 주체화'와 '정치적 주체화'라는 이중의 주체 형성 과정을 조명했다. 10대 참여자들의 고유한 체험과 기억이 향후 '촛불 세대'로서 개인의 생애 과정과 한국 사회의 새로운 운동 주기에서 어떻게 표출되거나 변형될 것인지 앞으로 지속적인 학문적 관심과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nalyzed how the participation in 2008 candlelight movement against U.S. beef import liberalization has affected the teenage participants. More concretely, I attempted to deal with the questions of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xperiences, how the experiences transformed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participants, and what was the contour of the newly formed subject ident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motives, processes, and effects of teenagers'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concepts such as emotion, collective identity, and biographical consequences in social movement theories. Two survey data were used: first one was collected by a survey at the place where candle demonstration took place and the other one was a follow-up on-line survey of the same respondents after two and half month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ear and anger of teenage participants provoked the candlelight rally, while the participants learned the virtue of civic consciousness and democracy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recognized themselves as political generation, voiced their political interests, and conducted political behavior in everyday life.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y have become familiar with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olitical by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protest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more they participate, the effect on civic and political awareness and activism are more intense. Most importantly, this paper emphasized the differentiation of participants in terms of subject formation, which I have termed "civic subjectification" and "political subjectification." Further research is in need to see whether the experiences and memory of teenager participants will actually develop into "candlelight generation," which may affect the future trajectory of social movement in Korea.
정치적 주체 형성에서 교육의 역할: 마르크스와 레닌에서 룩셈부르크로
곽태진 ( Kwak Taeji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2
사회변혁을 위한 정치적 주체 형성에서 교육은 중요한 문제이다. 이는 ‘고전적/정통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마르크스의 문제설정은 교육의 역할을 지극히 제한하는 것으로서, 그 역할은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르면, 교육을 통해 환경과 인간의 변화를 파악하려는 시도는 그릇된 것이다. 반면, 레닌의 문제 설정은 교육의 역할을 막중한 것으로 설정한다. 노동자계급이 스스로 도달할 수 있는 정치의식 수준에는 명백한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위정당은 그들을 적극적으로 교육해야만 한다. 룩셈부르크는 마르크스와 레닌을 넘어서는 문제설정을 보여준다. 그녀는 노동자계급의 자발성에 대한 강조를 통해 ‘노동자계급의 자기해방으로서의 사회주의’라는 마르크스주의의 대전제를 지켜내는 동시에, 사회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하는 전위정당의 교육적 과업의 필요성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라는 장애물을 넘어서고자 한다. 그녀의 통찰은 사회변혁 및 정치적 주체 형성에 있어 교육의 역할과 지위를 심도 있게 사유하기 위한 하나의 출발점이다. Educa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formation of political subjects for social transformation. This holds true for the ‘classical/orthodox Marxist’ tradition. Marx’s problem is that it limits the role of education, and its role is considered to be negative. According to Marx, attempts to grasp changes of environments and human beings through education are wrong. However, according to Lenin, it assigns education a serious role. Since there are obvious limits to the level of political consciousness that the working class can achieve on its own, the vanguard party must positively educate them. Luxemburg shows the problem beyond Marx and Lenin’s explanation. She maintains Marxism’s premise of “socialism as a self-liberation of the working class” by emphasizing the spontaneity of the working class. Simultaneously, she overcomes the obstacles of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capitalist society through the necessity of an educational task of the vanguard party centered on the explanation of society. Her insights are a starting point for the in-depth thinking about the role and position of education in social transformation and the formation of political subjects.
특집1: 보편과 특수로서의 북한 문학예술, 그 중층적 독해의 가능성 : 북한문학의 정치, 정치의 문학 -『해방후서정시선집』의 정전 재구성을 중심으로-
이지순 ( Ji Sun Yee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이 글은 『해방후서정시선집』(1979)을 중심으로 북한의 문학 정전이 어떻게 1970년대 의식으로 재구성되는지 고찰하였다. 애국주의 주제, 사회주의건설 주제, 조국해방전쟁 주제, 조국통일 주제보다 김일성과 가계 형상 및 혁명전통 주제를 우선 배치하는 방식은 ‘유일사상체계’를 염두에 둔 것이다. 1970년대 작품이 대거 수록된 것은 선집 출간 당시의 시대정신과 동시성을 지닌다. 이는 정치적 움직임이 문학에서 실천되는 양상이면서, 정치.이념적 논리가 문학성에 우선하는 배치방식이었다. 선집은 주체문예이론과 주체문학예술의 과도기형을 보여주었다. 문학사와 평가의 차이를 보여주는 선집 수록 작품과 작가들은 정전형성 과정에서 갈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1960년대까지는 대개 합의를 보여주지만, 1970년대 작품들은 대개 문학사 평가에서 누락되기 때문이다. 이는 갈등과 논쟁이 북한 문학장에 존재하는 양상이면서, 문학사와 선집의 아비투스 투쟁으로 볼 수 있다. 종합해 보자면, 1970년대 의식으로 재배치된 선집은 북한이 독자적인 문학예술 지평을 확립하려는 의도를 실천하는 행위 중 하나였다. 역사적 단계를 대표하는 서정시를 종합하고 정리했다는 측면에서 정전의 성격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체문학의 전형으로 생산되고 소비될 준비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선집은 편찬자의 관심과 이해가 반영되어 있지만, 출판과정은 텍스트 외부의 요건들과 삼투함으로써 당대의 문학장과 정치·이념적 환경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In this paper, by studying the canon formation process focusing on “The Anthology After Liberation(1979)” of North Korea, there is a purpose to clarify the embodiment of the new paradigm of ‘Juche literature’ age in the course of reorganizing into the literary field of the 1970s. The 551-page anthology contains 109 poets and 177 poems. All is listed without headings, not classified according to subjects. There seems to be no rule for editing. But all the poems in the anthology are ordered thematically. It is the internal system of classification used in the anthology. Besides, two topics, literature for shaping chieftain figure and the theme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outmeasure and are placed above others in the anthology. This is based on monolithic ideology system, and it`s a literary action reflecting the times and circumstances when the anthology was published. It takes all factors to make a structural system of the anthology. The anthology is a transitional type of ‘Juche literary theory’ and ‘Juche literature and arts.’ 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anthology and histories of literature. Many poems and poets in the anthology are omitted from histories of literature. This aspect implies a conflict and an altercation between two. Two have a meeting of minds in the list of poems and poets until the 1960s, not after the 1970. The publishing the anthology cannot be fully understood outside of their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s. Overall, the anthology rearranged into the spirit of the 1970s, bespeaks the intention that North Korea would like to establish its own independent prospect for literature and arts. It contains the canonical character preparing to be produced and consumed into a typical ‘Juche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