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사건과 결합된 가족서사 고찰 -이인직의「혈의 누」와 「은세계」를 중심으로-

        노연숙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This thesis focuses on the political events in Shinsoseol(the new-style fiction), which are not only functioned as a background in a work but also change the characters' future by cutting in their lives. Thus this thesis will investigate the aspects of relations between the political events and the family-narrative, which is a primary frame used frequently in Shinsoseol. Shinsoseol is said to adopt the private history like the reunion of divorced couples or dispersed families as a story line, not the public discourse. The political event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with the characters in Shinsoseol, make them say goodbye to their family and lead nomadic lives. Suffering from their destiny, they get the senses of 'Civilization', and then have an aspiration to make their country 'the civilized nation'. They regard this aspiration as a bounden duty. Representatives of these patterns and models are Okryeon in Hyeorenoo(Blood tears) and Oknam in Eunsegye(Silver World). Okryeon and Oknam have ever studied abroad in Japan and America, which was considered as two centers of the civilization. These idols who are made from Lee In Jick's political sense come to face a dilemma, family and nation. They are new generation who can substitute for the old, but they cannot avoid sinking down under the real world. Their aspiration to change the political situation in Chosun is broken down and they are absorbed in the private history. This shows the antagonism between 'family' and 'nation'. In brief, they cannot help choosing either family works or national business, not the both. It's a dilemma. Even though political revolutions in Shinsoseol end mostly to fail, characters such as Okryeon and Oknam awake people at that time to a sense of politics by rise and fall of their political passions. Like this, Shinsoseol left traces of 'nation', 'civilization', and 'political revolution' behind for the next generation to follow out of the political confusion. Politics and political events in Shinsoseol made Shinsoseol include the new political novels. 본고는 신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사건이 단순히 작품의 배경에 국한되지 않고, 작중인물의 일상에 개입하여 인물의 미래와 행로를 바꾸고 있다는 데 주목하여, 신소설의 주된 골격이 되는 가족서사가 정치적 사건과 맞물리면서 어떻게 변모하는지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신소설은 공적인 담론보다 개인사에 치중하며, 특히 가족이라는 체제에 천착하여 ‘헤어진 연인과 해체된 가족의 재회와 상봉’을 주된 구도로 삼고 있음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외부적인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이별과 유랑의 길을 걷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문명에 대한 감각을 담지하게 되며, 고국으로 돌아와 가족과 상봉하기 전까지, 자국을 문명국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당위적인 명제처럼 일괄적으로 지니게 된다. 이러한 패턴과 모델을 대표하는 인물로 「혈의누」의 옥련이와 「은세계」의 옥남이를 들 수 있다. 이인직의 정치 감각 속에 직조된 이 아이들은 이인직이 구상한 문명세계라는 ‘인공정원’에서 성장하고 무기력했던 기성세대를 대신한 새로운 세대의 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매번 뛰어난 성적으로 신문에 오르내린 옥련이의 학문적 천재성은 문명이 지향하는 바가 곧 교육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너무나 완벽한 그래서 인공적인 신기루와 같은 이상적인 조형물에 불과함을 역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특히 후자의 측면에서 옥남이는 理想兒 혹은 정치개혁의 기계로 그려진다. 정치적 사건은 아이들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문을 열어주었으나, 정치 개혁의 의지를 지니고 돌아온 아이들은 그들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자국의 절망적인 늪 속에서 별 다른 힘을 써보지 못한 채 침몰하게 된다. 이들이 품었던 정치적 열망은 이루지 못하거나, 개혁의지는 사라지고 가정이라는 개인적 공간으로 침전해가는 것은, 가정과 국가의 관계가 대립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즉 이들은 국가사업에 뛰어들면 가정을 유지할 수 없고, 가정에 주안을 두면 국가사업을 운영할 수 없는 모순 속에 갇히게 된다. 이 모순과 역경 속에서 결국 정치개혁의 이상은 실패로 끝나지만, 정치적 파고가 낳은 옥련이와 옥남이는 신소설에 나오는 인물군을 대변하여 정치에 대한 열망이라는 감각을 일깨워준다. 즉 신소설 속에서 국가, 문명, 정치개혁 등 다음 세대에는 외압적인 정치적 사건에 휘둘리지 않을 힘을 소지하려 했다는 흔적을 남겨 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신소설에 함의된 정치적 사건과 정치성은 신소설의 범주를 정치적인 신소설, 혹은 너무나 신소설적인 정치소설로까지 확장시켜 놓는다.

      • KCI등재

        신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사건과 결합된 가족서사 고찰

        노연숙(Roh Yeon-sook)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신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사건이 단순히 작품의 배경에 국한되지 않고, 작중인물의 일상에 개입하여 인물의 미래와 행로를 바꾸고 있다는 데 주목하여, 신소설의 주된 골격이 되는 가족서사가 정치적 사건과 맞물리면서 어떻게 변모하는지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신소설은 공적인 담론보다 개인사에 치중하며, 특히 가족이라는 체제에 천착하여 ‘헤어진 연인과 해체된 가족의 재회와 상봉’을 주된 구도로 삼고 있음을 쉽게 볼 수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외부적인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이별과 유랑의 길을 걷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문명에 대한 감각을 담지하게 되며, 고국으로 돌아와 가족과 상봉하기 전까지, 자국을 문명국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당위적인 명제처럼 일괄적으로 지니게 된다. 이러한 패턴과 모델을 대표하는 인물로「혈의 누」의 옥련이와「은세계」의 옥남이를 들 수 있다. 이인직의 정치 감각 속에 직조된 이 아이들은 이인직이 구상한 문명세계라는 ‘인공정원’에서 성장하고 무기력했던 기성세대를 대신한 새로운 세대의 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매번 뛰어난 성적으로 신문에 오르내린 옥련이의 학문적 천재성은 문명이 지향하는 바가 곧 교육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너무나 완벽한 그래서 인공적인 신기루와 같은 이상적인 조형물에 불과함을 역으로 드러내기도 한다. 특히 후자의 측면에서 옥남이는 理想兒 혹은 정치개혁의 기계로 그려진다. 정치적 사건은 아이들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문을 열어주었으나, 정치개혁의 의지를 지니고 돌아온 아이들은 그들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자국의 절망적인 늪 속에서 별 다른 힘을 써보지 못한 채 침몰하게 된다. 이들이 품었던 정치적 열망은 이루지 못하거나, 개혁의지는 사라지고 가정이라는 개인적 공간으로 침전해가는 것은, 가정과 국가의 관계가 대립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즉 이들은 국가사업에 뛰어들면 가정을 유지할 수 없고, 가정에 주안을 두면 국가사업을 운영할 수 없는 모순 속에 갇히게 된다. 이 모순과 역경 속에서 결국 정치개혁의 이상은 실패로 끝나지만, 정치적 파고가 낳은 옥련이와 옥남이는 신소설에 나오는 인물군을 대변하여 정치에 대한 열망이라는 감각을 일깨워준다. 즉 신소설 속에서 국가, 문명, 정치개혁 등 다음 세대에는 외압적인 정치적 사건에 휘둘리지 않을 힘을 소지하려 했다는 흔적을 남겨 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신소설에 함의된 정치적 사건과 정치성은 신소설의 범주를 정치적인 신소설, 혹은 너무나 신소설적인 정치소설로까지 확장시켜 놓는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political events in Shinsoseol(the new-style fiction), which are not only functioned as a background in a work but also change the characters' future by cutting in their lives. Thus this thesis will investigate the aspects of relations between the political events and the family-narrative, which is a primary frame used frequently in Shinsoseol. Shinsoseol is said to adopt the private history like the reunion of divorced couples or dispersed families as a story line, not the public discourse. The political event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with the characters in Shinsoseol, make them say goodbye to their family and lead nomadic lives. Suffering from their destiny, they get the senses of 'Civilization', and then have an aspiration to make their country 'the civilized nation'. They regard this aspiration as a bounden duty. Representatives of these patterns and models are Okryeon in Hyeorenoo(Blood tears) and Oknam in Eunsegye(Silver World). Okryeon and Oknam have ever studied abroad in Japan and America, which was considered as two centers of the civilization. These idols who are made from Lee In Jick's political sense come to face a dilemma, family and nation. They are new generation who can substitute for the old, but they cannot avoid sinking down under the real world. Their aspiration to change the political situation in Chosun is broken down and they are absorbed in the private history. This shows the antagonism between 'family' and 'nation'. In brief, they cannot help choosing either family works or national business, not the both. It's a dilemma. Even though political revolutions in Shinsoseol end mostly to fail, characters such as Okryeon and Oknam awake people at that time to a sense of politics by rise and fall of their political passions. Like this, Shinsoseol left traces of 'nation', 'civilization', and 'political revolution' behind for the next generation to follow out of the political confusion. Politics and political events in Shinsoseol made Shinsoseol include the new political novels.

      • KCI등재

        정치무협소설 연구-무협소설과 정치서사

        고훈 대중서사학회 2017 대중서사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무협소설과 정치가 결합된 형태인 ‘정치무협소설’에 관한 논의이다. 여기에서 ‘정치무협소설’이란 한국의 정치사와 무협소설의 요소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장르라 정의한다. 본고에서는 대중들에게 소개된 정치무협소설 작품들이 ‘정치서사’를 어떤 방식으로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장르적 특성에 관한 논의를 시도하고자 한다. 한국적 특수 상황 하에서 대중들은 정치라는 담론을 일반화 혹은 대중화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중문학은 ‘정치’라는 소재를 다루기 시작하는데 정치무협소설도 그 움직임 중 하나라 하겠다. 무협소설의 본질적 특성 자체가 정치적인 성향이 짙기에 무협·정치 두 요소의 결합은 쉽고 자연스러웠다. 정치와 무협 모두 힘에 관한 원초적 욕망을 자극하는 소재로 독자의 관심을 끌고 선택을 받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동양적 판타지를 지닌 무협소설이 결합되어 대중들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대리만족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정치무협소설’은 그 대중적 속성을 잘 드러낸다고 하겠다. 정치무협소설은 그 행동 주체에 따라 ‘인물서사 종속형’과 ‘인물서사 주도형’으로 구분된다. ‘인물서사 종속형’은 사건 중심으로 서사가 진행되어 등장인물의 서사는 곁가지로 취급되기에 작품 전체의 소설적 재미는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민담에서부터 기원한 사건 중심의 단면구조는 지배체제를 비판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에 정치사를 무협소설의 특성으로 가장해 비판하는 정치무협소설에 적합한 서사구조이기도 하다. ‘인물서사 주도형’의 경우 전체 배경이 되는 정치사와 별개로 등장인물의 개인서사가 중심을 이룬다. 그렇기 때문에 신화에서 비롯한 일대기 구조를 활용해 인물중심의 서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서사구조는 대중들에게 이야기로서 다가가기 쉽다. 대중문학 중 가장 대중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장르 중 하나인 무협소설은 지금까지 대중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 많은 변화를 모색했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정치무협소설 또한 변화 중 하나의 시도이다. 무협소설이 지닌 특유의 생동감과 활력이 민감한 주제인 ‘정치’와 결합되면서 단순한 감상이 그치지 않고 정치적 주체로서의 자각과 더 나아가 행동 주체로서의 움직임도 기대할 수 있는 부수적 효과가 있음도 기대할 수 있다. 한 장르 안에서 다양한 시도는 장르의 고착화를 막고 장르적 발전을 모색할 수 있는 긍정적 움직임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정치무협소설은 바람직한 시도이며 이러한 시도가 무협소설 장르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가능케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세계문학, 한국문학, '정치소설'의 번역(불)가능성 ‒임화의 『개설신문학사』를 중심으로‒

        윤영실(Youn, Young-shil)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0

        임화의 『개설신문학사』는 ‘과도기의 신문학’을 논하면서 대한제국기 일련의 ‘정치적’ 서사들을 ‘정치소설’로 명명하고, 이를 이인직 등의 ‘신소설’과 병존하던 과도기적 양식으로 설정했다. 임화는 왜 이 시점에서 ‘정치소설’을 한국 ‘신문학 사’의 한 단락으로 새삼 부각시키고 있는 것일까. 나아가 ‘정치소설’이 ‘신소설’의 한 경향 정도를 일컫는 용어였던 일본이나 중국과는 달리, 왜 조선에서는 유독 ‘정치소설’과 ‘신소설’이 병립하고 ‘경쟁’하는 서사들로 자리매김되었을까. 더욱이 메이지 일본 정치소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이 분명한 이인직 소설 들을 굳이 ‘정치소설’에서 배제하여 ‘신소설’로 분류한 것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본고는 이런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진행했다. 먼저 2장에서는 한국문학사에서 ‘정치소설’이라는 개념의 용법들을 검토하면서 그 부재 내지 ‘결여’의 현상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 3장에서는 임화 『개설신문학사』의 논리 구조를 파스칼 카사노바 이래의 세계문학 논쟁들에 비추어 재해석해 보았다. 특히 ‘과도기’에 주목하여 전근대/근대 문학사의 연속성을 복원하고자 했던 임화의 탈식민적 문제의식에 대한 긍정적 재평가와 함께 진화론적 문학사의 한계를 아울러 지적했다. 4장에서는 임화의 『개설신문학사』에 나온 ‘정치소설’ 과 ‘신소설’의 양식적 구분을 재검토하면서, 제국일본의 동화정책과 국체론적 국민문학론이 성행하던 당시 한국의 ‘독립자주’ 정신을 담고 있는 ‘정치소설’의 명명과 부각이 지닌 의미를 고찰했다. 선진문화의 주체적 수용과 전통의 창조적 계승을 통해 조선문학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자 했던 임화의 문제의식은 서구 중심적 세계문학론 및 식민지 근대를 극복하기 위한 오늘날의 모색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essays analyzes Hwa Im’s History of Korean New Literature, focusing on the distinction between ‘new novel’ and ‘political novel’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premodern era to the modern era. Compared to Meiji Japan and Qing China, Korean literature in the 1900s marked lack or ‘invisibility’ of ‘political novel’ as a genre despite a lot of ‘political’ narratives of the time. Hwa Im’s literary history which posited ‘political novel’ as a genre which is distinctive from ‘new novel’, thus, is an exceptional case in the modern Korean history.(Ch.2) Im’s writing of Korean literary history can be reread in the light of the contemporary world literature debates. He, positing ‘new novel’ as a transitional genre which mediated traditional narratives(小說) and modern ‘novel’ translated from the West, tried to restore the continuity of literary history of Korea and to locate Korean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the world literature. In order to organized the literary history as the evolutionary trajectory to the modern national literature of Korea, however, he had to exclude diverse forms of ‘political novels’ from modern ‘literature’, presumably based on formal realism, and concealed pro-Japanese politics of Injik Yi’s ‘new novels.’ (Ch.3). On the other hand, diverse narratives with autonomous spirit of the Korean nation were categorized and named as ‘political novel,’ reminding alternative political and literary possibilities of the transitional period. Hie ideal of the Korean literature was not pure authenticity of the national literature but ‘autonomous’ hybridity of traditional legacies and foreign cultures, which, he thought, could be accomplished by ‘devouring’ and ‘digesting’ advanced cultures and increasing political and cultural puissance of a periphery nation.

      • KCI등재

        이문열의 작가 의식과 세계 인식 태도

        이재복(Lee, Jae-Bok)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6

        이문열의 정치성은 문학의 안과 밖에서 동시에 제기되면서 과도하게 이슈화 된 감이 없지 않다. 이로 인해 그의 문학에 대해 일정한 선입견을 가지고 보는 경향이 있다. 가령 우리가 『시인』, 『금시조』, 「들소」 등 이른바 ‘예술가소설’로 분류되는 작품들이나 『영웅시대』나 『변경』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과 상황을 다루고 있는 소설들, 그리고 『레테의 戀歌』나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와 같은 낭만적인 연애소설들을 과도하게 정치적인 관점으로 이해하고 판단하여 그것이 은폐하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다. 그의 소설 중 비교적 정치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선택』의 경우 비록 페미니즘 진영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는 했어도 시대의 흐름에 무관하게 한국사회(특히 한국 남성)의 기저에 내재해 있는 정치적 무의식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관심과 논쟁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선택』에 드러난 보수적인 정치성이 페미니즘의 진보적인 정치성을 충격함으로써 이 소설은 우리 사회의 새로운 이념 형성에 일정한 긴장의 축으로 작용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긴장의 축이 작가 개인의 과도한 정치성의 노출로 인해 구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의 소설 중 『호모 엑세쿠탄스』가 여기에 해당된다. 이 소설은 ‘노무현 정권 출범 이후 급변한 우리의 정치 현실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그 시각은 ‘80년대 386세대가 주도하는 정치 현실을 시니컬하게 비판하는 데에 모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소설은 선과 악의 구도가 지나치게 이분법적이어서 서로 대립하는 두 세계 사이의 어떤 접점이나 매개의 가능성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그의 소설은 선과 악이 견고하게 구축됨으로써 여기에 대화와 소통의 정치성이 끼어들 틈이 존재하지 않는다. 좌든 우든, 진보든 보수든 이들의 이념이 대화와 소통을 통하지 않고 극단화 될 경우 남는 것은 공공의 선이나 공동체의 운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이 아니다. 이문열의 소설이 많은 독자층과 평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좌와 우, 보수와 진보의 차원을 떠나 모두가 공감하는 어떤 보편타당한 이념을 제시하고 있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아쉬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것은 이문열 개인에게만 해당되는 문제가 아니라 우리 작가 모두에게 해당되는 결핍의 정수리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분화 되고 극단화 된 이념의 체제내지 구조에서 벗어나 그것을 객관적이고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또 그것을 형상화 할 수 있는 문학의 출현이 요구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Yi Mun-Yol"s politics was controversial inordinately in and out of the literary. It led to the tendency that people have specific prejudice on his literary. His works such as 〈the Poet〉, 〈the Golden Phoenix〉, and 〈Wild Ox〉 are categorized as "artist"s novel", and he wrote about historical cases and situation in 〈the Age of Hero〉 and 〈the Border〉, and romantic love in 〈Lette"s Story〉, and 〈All Thatl Falls Has Wings〉. However they are understood and evaluated inordinately in the political point of view, then it leads to obstacle that interrupts to find the meaning and value hidden in the novels. Though 〈Choice〉, which shows politics strongly, was criticized by feminists, it expresses political unconsciousness internalized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men in Korea, regardless of the flow of history. Then it could be interested and argued a lot. As a matter of fact the conservative politics revealed in the novel collides with feminism"s progressive one, then it worked as an axis of tension in forming new ideology in Korean society. But in some cases the axis of tension is not formed, as the author expresses the politics excessively. 〈Homo Executans〉 is the case. It says about Korean political reality, which is radically changed since Roh Mu-Hyeon"s advent. It is the view to criticize political reality led by 386 generation of 1980"s cynically. Then the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s binary excessively and it is hard to find a point of contact or mediation. As his novel builds concrete good and evil, it does not have a space for politics of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Whoever is leftist or rightist, and conservative or progressive, if they are polarized without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e public good and community"s destiny cannot be understood properly. Though his novels are loved by many classes of readers and critics, it is the matter that he proposes the ideology with universal validity regardless of the level of left or right and conservative or progressive. It is not his only problem, but all the writers in Korea. Therefore the literary, which can get out of the polarized ideology system or structure and shows it objectively and generally, is required to appear.

      • KCI등재

        정치적인 것과 소설의 운명-「비화밀교」론

        송기섭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69

        “Biwhamilkyo” is a novel written by Yi Chong-jun. It reproduces the custom of a local community. It is a story of a year-end. People light a torch at the top of Mt. Jewang, exchange new year’s greeting, and climb down the mountain together. The last person who carried the torch has responsibility to keep the embers alive for next year. The annual event of the local community repeats as the ember-keeper lights the ember up at the end of another year. The ember becomes a torch annually. It is archetypes and repetition. This novel seems to describe religious custom of a local community greeting new year. This novel, however, focuses on the political. It contrasts the ability and the inability of the political. It can be structured to binarity: the absence of politics and the realization of politics. The ability of the political is converting noise into voice. Political ability is made when the mumbling of people who carried the torch turn into voice of communication. As Jacques Ranciere mentioned, converting noise into voice means returning parts to those with no part. Yi Chong-jun said a novel can be written when voice are made. A novel means those with no part recovering their parts and becoming the subjects of their voice. When people of a local community recover their voices climbing down the mountain and claim their parts, the custom becomes politics. The political is formed from the destruction of order. A novel is a vehicle of searching the ability of the political. The ability of the political determines the destiny of novels. 이청준의 「비화밀교」에서 진정 읽어내야 할 테마는 정치적인 것이다. 이 작품은 정치적인 것의 불가능성과 가능성을 구조화한다. 정치적인 것은 힘없는 무리들의 소음을 알아들을 수 있는 담론으로 바꾸는데 있음을 이 소설은 항변한다. 그런 점에서 이청준의 소설의 정치는, 몫없는 자들의 평등한 몫의 분배에서 정치적인 것의 출로를 요량한 랑시에르의 그것과 다를 바가 없다. 몫은 치안이나 통치의 논리를 정치적인 것으로 환원하는 감정과 의식의 나눔을 통해 주어진다. 그런 까닭에 이 소설에서 정치적인 것을 논의함은 기존 정치소설의 개념 범주와는 다르다. 이 작품은 정치적인 것이 어떻게 소설에 기입되는가를 질문한다. 1부는 제왕산의 제의를 풍속의 관점에서 재현한다. 이 행사는 종화(種火)를 상징으로 매년 서로를 용서하고 정화하는 영원회귀의 신화성을 간직한다. 2부는 제의적 의례를 부정하고 횃불을 세상으로 들어올리는 넘어섬의 이야기이다. 그것이 곧 비화(秘火)의 정체이다. 비화는 밀교의 금기인 반복되어야 할 침묵을 파기한다. 횃불의 웅얼거림이 침묵에 흡입됨이 아닌 세상과 소통할 목소리가 되면서 정치적인 것이 가능해진다. 3부에 해당할 에필로그는 정치적인 것이 가능해짐으로 인하여 비로소 소설이 씌어질 수 있었음을 고백한다. 이청준에게 소설은 그렇게 정치적인 것과 운명을 함께하는 양식이었던 셈이다.

      • KCI등재

        『뎡각녹』에 나타난 정치적 공간과 여성영웅의 관계

        신태수 ( Tae Soo Shin )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1

        『뎡각녹』은 여성영웅소설로서 정치 문제에 주안점을 둔다. 정치 문제를 좌우하는 요인이 힘이므로, ‘힘의 논리’가 『뎡각녹』을 지배한다고 할 수 있다. ‘힘의 논리’에 입각할 때 정치와 공간은 불균형 현상을 보인다. 공간은 모순으로 점철되어 있는데 반해, 정치는 개혁 능력을 함유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렇게 볼 수 있다. ‘공간과 정치의 불균형’ 현상은 여성영웅인 정소저를 필요로 하고, 정소저는 구심적 공간의 원리에 입각해서 도성으로 올라온다. 정소저의 정치적 소신이 왕도정치이므로, 『뎡각녹』의 창작방법은 왕도정치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운용된다. 그 결과, 德治로서의 통치 원리와 분권제로서의 권력 형태가 제시된다. 『뎡각녹』은 실험적인 정치소설이다. 여성의 정치의식을 극대화하고 바람직한 정치의 방향까지 제시했으니, 여타 여성영웅소설이 따라잡을 수 없는 문제작이다. Dyeonggangnok, a female heroic novel, focuses on political issues. As it is power that controls the political issues, possibly ``the logic of power`` governs Dyeonggangnok. Under the perspective of ``the logic of power``, politics and space show an unbalanced phenomenon because the space is dotted with contradiction,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s does not contain ability of reform. Eventually, the unbalanced state of space and politics need the female hero, Jeongsojeo, who comes up to the capital city under the centripetal principle of space. As her political belief is Benevolent Royal Government, the creative method of Dyeonggangnok operates for the direction of realization of Benevolent Royal Government. In consequence, the principle of government as benevolent government and the form of power as decentralization of power are suggested. Dyeonggangnok is an experimental political novel. And as this novel maximizes political consciousness of female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desirable politics,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is novel is controversial work which is not followed by other female heroic novels.

      • KCI등재

        특집 : 한국문학 속의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눈으로 본 한국문학; 인민의 원한과 정치적인 것, 그리고 민주주의 -식민지 정치소설들과의 연대의식 하에서 본 유신기의 두 소설-

        함돈균 ( Donk Yoon Hah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이 논문은 1970년대(유신시대)에 나온 두 편의 기념비적인 소설인 황석영의 「객지」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문학적 선취를, ‘민주주의’라는 키워드를 테마로 하여 몇 가지 정치철학적 관점을 참조해서 다시 읽어보려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 ‘민주주의’라는 테마와 관련하여 필자가 특히 주목하는 것은 ‘인민의 원한’을 ‘정치’와 구별되는 ‘정치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무페의 관점이다. 무페에 따르면 ‘정치적인 것’은 사회체에 항존하는 해소할 수 없는 적대적인 갈등을 뜻하며, ‘정치적인 것’은 현행 법률적 질서·제도를 뜻하는 ‘정치’에 영향을 미친다. 그에 따르면 ‘민주주의’는 ‘정치적인 것’에 근거하여 정치체의 적대적 갈등과 모순을 순치시키는 일이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적것은 결국 자본-노동 간의 계급투쟁이며, 법-국가는 자본의 노동지배를 관철하는 수단이다. 식민지 시기 이래로 한국문학사에서 변혁적 계급소설들이 법-국가의 인민 지배를 문제삼은 것도 이 때문이다. 황석영의「객지」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분단체제로 인해 변혁적 노동운동·계급투쟁이 완전히 궤멸된 유신시대에 나왔다. 공히 이 소설은 자본-법(국가)의 노동지배를 문제 삼았으며, 자본폭력이 국가폭력과 다른 것이 아님을 인식하고 있었다. 정도 차이는 있지만, 이 두 소설에서 억압받는 인민으로서의 노동계급의 원한은 사회적 적대를 노출함으로써 ‘정치적인 것’의 문학적 출현이라는 함의를 지닌다. 급진민주주의 이론가인 무페나 라클라우, 현행 법률적 질서의 ‘중지’라는 차원에서 해방의 시간을 사색한 벤야민의 관점을 참조한다면, 이 소설들에서 나타나는 주인공들의 원한 감정은 ‘민주주의’에 내재한 적대적 성격과 계급 공존의 문제를 환기한다는 차원에서 새로운 관점에서 읽어 볼만한 여지가 존재하는 소설들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read literary achievements of two monumental fictions written in the 1970s (Yushin period), Hwang Sukyoung`s Gaekji (「객지」), and Cho Seahee`s Nanjang-i ga sso-a ollin jak-eun gong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referring to several politische philosophical viewpoints with the keyword, democracy. What is mainly focused in this writing is Mouffe`s perspective which distinguished ‘the political’ from ‘politics’ and interpreted ‘resentment of the people’ as ‘the political’. According to Mouffe, ‘the political’ means irreconcilable hostile dissension which ever-present in the body social, and ‘the political’ affects the existing legal order and institution, i.e., ‘politics’. Mouffe argued that democracy domesticates hostil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of body politic being based upon ‘the political’. From the Marxist point of view, what is hostile in capitalistic society is the class struggle between capital and labor, and law-state is the means of accomplishing capital`s domination over the labor. This is why revolutional proletarian fictions have been problematizing law-state`s ruling over the people ever since the colonial period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Hwang`s Gaekji and Cho`s Nanjang-i ga sso-a ollin jak-eun gong came out during the Yushin period, the time revolutional labor movement and class struggles were annihilated by the divided regime. Indeed, these two fictions made capital-law (state)`s domination over the labor became an issue, and cognized that the violence of capital is no different from the one of state. More or less, in both novels, resentment of the laboring class as the suppressed people signifies the literary manifestation of ‘the political’ by exposing social hostility. Referring to radical democracy theorists such as Mouffe, Laclau, and Benjamin who thought about the time of liberation in terms of cessation of existing legal order, the resentment main characters felt in both novels arouses the issues of class coexistence and hostility reside in democracy.

      • KCI등재

        특집 : 한국문학 속의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눈으로 본 한국문학; "정치 혐오"의 문화적 기원과 신문소설의 여론 민주주의 -1950년대 정비석의 신문소설을 중심으로-

        이선미 ( Sun Mi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한국사회에서 민주주의와 문학의 연관성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고 명기된 제1공화국의 헌법 정신으로부터 논의할 수 있다. 전쟁을 겪고 미국문화가 전 사회적으로 퍼져나가면서 미제물건만큼이나 자유와 민주주의적 제도, 혹은 이념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던 전쟁 후 한국사회에서 비로소 민주주의는 주요한 사회적의 제였으며, 문학적 주제였다. 『자유부인』?이나 『민주어족』과 같이 자유와 민주주의를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소설을 쓴 정비석은 민주주의와 문학의 연관성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작가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1950년대 자유와 민주주의를 다룬 정비석의 신문소설이 민주주의적으로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신문소설의 작가로서 유명했던 정비석은 1950년대 대표작가이다. 『자유부인』은 정비석을 인기작가 반열에 올려놓은 대표 작품인데, 대학교수를 애욕의 주인공으로 묘사한 점 때문에 여러 차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정작 정비석 신문소설이 당대에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은 성적으로 파격적인 문화를 재현하는 것만큼이나 국회의원이나 자본가 같은 사회의 고위층을 비판하고 세태를 꼬집었던점을 들 수 있다. 정비석은 정치의 영역에서 전혀 실천되지 않는 민주주의를 신문의 담론으로서 ``사회``의 문제로서 공론화함으로써 민주주의를 방법론적으로 실천한 작가라 할 수 있다. 특히 정비석이 소설에서 논의하는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적 이념이나 가치관과는 배리되는 것이지만, 소설이 독자와 맺는 관계 방식으로서 공론장의 효과는 민주주의적인 여론 형성과정으로 평가할 수 있다. 1950년대 문학이 민주주의와 연관되는 방식은 민주주의적 이념의 서사화의 문제로서가 아니라, 신문이라는 미디어의 여론화 과정에서 소설의 역할을 통해 해명될 수 있다. 특히 정비석의 신문소설은 정치인이나 통치방식을 야유하고 비아냥거리는 서술태도로 권위적인 주체를 조롱한다는 점에서 통속적이지만, 정치 혐오의 대중적 감수성을 정치 비판 의식으로 전환시켜 공공적 감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대중 문학예술의 한 유형으로 평가할 수 있다. 21세기의 정치 풍토에서 정치 혐오의 대중적 감성을 아우르는 B급 정서와 희화화의 서사적 코드의 기원으로서 정비석 신문소설은 중요한 고찰의 대상이라고 할 것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litterature had come about the spirit of Constitution in the First Republic. Peoples were interested in the deomocratic system, liverty, and American goods in the ruined society. Well, the democracy were regarded as the important theme. Jeong-Biseok had written many serial novels of newspaper. The novels had delt with daily event as a news item. And the novels are praised for the new stlye. {Madame Freedom} was famous for the sexual description. But the novel achieved popularity for the representation of politicphobia by the readers of the age. Especilly, the readers were interested in the representation of Congressman. Jeong-Biseok was not said to know the meaning of democracy. Neverthless the representation of political daily life and political corruption was concentrated the various opinion, and estabilshed the public sphere. Jeong-Biseok can`t be said the democratic writer, but his serial novels of newspaper was praised the democratic fulfillment.

      • KCI등재

        정치 인식의 서사화와 소설에 재현된 선거

        정미진(Jeong, Mi-ji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89 No.-

        이 글은 1980년대 소설에서 정치인에 대한 인식과 정치 현실에 대한 재현 양상을 선거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동시대의 정치 인식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해방 이후를 배경으로 하는 두 소설 「叔父는 늑대」와 『길』에서 애국과 애족을 강조하며 선거에 뛰어든 각각의 인물은 과도한 정치적 신념이 오히려 현실 감각의 결여로 이어져 낙오자의 이미지를 드러내거나, 자신의 신념이 주변 인물을 불행으로 이끄는 진실성이 의심되는 이기적인 인물로 형상화되고 있다. 「연사」와 「불타는 광장」에서는 철저하게 국민의 대리인이어야 할 정치인들이 사익을 위해 선거에 출마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가운데, 「연사」에서는 어떠한 정치적 신념도 없이 말 잘하는 연사를 내세워 공약을 남발하는 모습을, 『불타는 광장』에서는 단순히 권력에 대한 욕망만으로 갖가지 권모술수를 동원하고 폭력까지 일삼는 정치인의 선거 행태를 제시하여 정치 현실을 비판한다. 현실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함께 이들 소설에서는 공통적으로 한국 사회에 팽배한 정치에 대한 불신과 패배주의뿐만 아니라 올바른 정치의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는 주권자 국민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반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ed to pay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political percep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politicians and the aspect of representing the political reality in novels of the 1980s. In two novels 「The Uncle is an Wolf」 and 『The Path』 in the background of right after the liberation, each character who jumps into election by emphasizing the patriotism and love of people, shows the image of a loser as the excessive political belief is led to the absence of touch with reality, or is represented as a selfish character whose sincerity is doubted because the character’s own belief leads other surrounding people to misfortune. In the novels 「The Speaker」 and 「The Burning Square」, the politicians who should be completely working as representatives of people are running for election for their own interest. By presenting the look of a sweet-mouthed speaker who overuses commitments without any political belief in 「The Speaker」, and the election behavior of a politician who indulges in violence and mobilizes all sorts of trickeries to simply satisfy the desire for power in 『The Burning Square』, they not only criticize the political reality, but also present the expectation of election in the future. Along with a critical approach to reality, these novels can confirm not only the distrust and defeatism that prevailed in Korean society in common, but also a reflection on the need for the interest of the sovereign people,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correct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