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정치관심도, 정치 효능감 및 매체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전소연(So Yeun Jun),고일선(Li Sun Ko),배가령(Ka Ryeong Bae)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정치참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로써 병원 간호사의 정치참여 정도, 정치 관심도, 정치효능감 및 매체 이용현황과 정치참여에 대한 정치 관심도, 정치효능감 및 매체 이용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본 연구대상자인 간호사의 정치참여도는 50점 만점에 23.44점(평균평점 5점 만점에 2.34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스콘신의 4개 의료시설과 4개 교육기관의 간호사의 정치참여[12] 정도(평균평점 2.36점)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Shin[18]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정치참여 정도(평균평점 1.98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Shin[18]의 대상자는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는 대학 1학년이 50% 이상을 차지하여 정치 참여가 낮게 나타난 반면에 본 연구대상자는 21세 이상의 투표권이 있는 간호사로서 70.3%가 다가올 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의 투표에 참여할 의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정치참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Kim의 연구[23]에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정치참여 정도(평균평점 2.76점)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복지정책은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실질적인 사회적 요구로 표출되지 않으면 정책 쟁점화가 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를 높이려고 노력한다고 지적한 것[23]처럼 간호사보다 정치에 민감하여 정치참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상자들의 정치참여 정도는 학력이 석사이거나 박사인 대상자가 3년제 졸업인 대상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학력이 대학원인 대상자가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인 대상자보다 정치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난 Kim의 연구[23]결과와 유사하였다. 반면, 사회복 지사의 최종학력에 따라 정치참여 정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Hwang의 연구[24]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본 연구대상자 중 15년 이상 경력의 간호사가 5년 미만 경력의 간호사보다, 수간호사가 평간호사보다 정치참여 정도가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Vandenhouten 등의 연구[8]에서 간호사 경력이 15년 이상인 경우가 15년 미만인 경우보다 정치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15년 이상 경력 간호사의 연령이 40세 정도로, 중간 관리자인 리더로써 정치적 안목과 관심이 생기는 시기로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관심이 다른 간호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또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정치참여 영향요인 연구[14]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정치 참여수준이 증가하고 중년층인 40대와 50대의 사회복지사 정치참여가 최고에 이르는 것과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시민자발성 모델에서 강조하고 있는 정치참여를 결정하는 심리적 요인인 정치관심도와 정치효능감 중 정치관심도의 경우 본 연구대상자의 정치관심도는 15점 만점에 8.32점(평균평점 5점 만점에 2.77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단체에 가입한 미국 중서부 간호사의 정치참여도(평균평점 3.71점)[10]보다 낮았고, 우리나라 여성의 정치관심도(평균평점3.61점)[25]보다도 낮게 나타났으나, 우리나라 대학생의 정치관심도(평균평점 2.14점)[18]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미국 중서부간호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대상자도 대한간호협회 회원으로 간호단체에 가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관심도가 낮은 이유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정치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의 정치효능감은 55점 만점에 33.79점(평균평점 5점 만점에 3.07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정치효능감(평균평점 3.57점)[23, 26]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업무가 정책 결정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아 민감한 복지정책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치효능감이 높다고 지적한 것처럼[23] 사회복지사가 병원간호사보다 정책에 관심이 많아 정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므로, 간호사의 정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보건정책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반면에 Cramer[10]가 제시한 미국 중서부 간호사의 정치효능감(평균평점 2.99점)과 Vandenhouten등의연구[8]에서 제시된 미국 간호사의 정치효능감(평균평점 2.44점)보다는 본 연구대상자의 정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정부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관적으로 믿는 신념인 정치효능감이 우리나라 간호사가 미국의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있는 시기에 본조사를 실시한 점과 최근 간호계의 쟁점화된 이슈 때문에 우리나라 간호사의 보건의료정책결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간호사가 정치에 영향 을 줄 수 있다는 신념인 정치효능감을 높이도록 보건의료정책 결정에 대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정치활동을 위한 노력과 활동을 적극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인 병원간호사의 외재적 효능감(25점 만점에 18.56점으로 평균 평점 3.71점)이 내재적 효능감(30점 만점에 15.22점으로 평균 평점 2.5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도구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치효능감을 측정한 연구결과[18]에서 외재적 효능감(평균 평점 3.58점)이 내재적 효능감(평균 평점2.48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병원간호사들이 정치체제에 대해 반응하는 외재적 정치효능감은 높지만 자신이 정치에 효과성을 낸다고 생각하는 내재적 정치효능감은 낮기 때문에 간호사 스스로 정치에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책 변화에 대응, 전문직 의료인으로서 정치 참여, 정치적 리더쉽 고양 등에 대해 개개인의 지속적인 관심과 의견정립, 프로그램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본 연구의 대상자인 병원간호사가 정치 및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매체 이용은 TV 뉴스가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인터넷, SNS, 인쇄신문, 팟캐스트 순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참여의 수준을 조사한 연구[9]에서 간호사의 90.4%가 TV나 신문, 라디오로 매일 정치 관련 뉴스를 듣거나 보며, 간호사의 88.1%가 친구나, 동료, 가족들과 현재의 정치 관련 뉴스나 사건에 대해서 토론을 하는 정치적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Shin[18]의 연구에서 대학생이 정치 및 사회적 이슈 관련해 매체를 이용할때 인터넷 이용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TV뉴스, SNS, 인쇄신문, 팟캐스트 순으로 나타나 본 연구대상자들은 대학생들과는달리 TV를 인터넷보다 우선적으로 이용하였지만 정치 및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매체 이용 자원은 동일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매체 신뢰도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7]에서 대학생들은 TV나 신문보다는 인터넷과 케이블TV을 가장 많이 신뢰하고, TV전문성과 인터넷 전문성만이 정치효능감과 투표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 결과 와도 유사하였다. 또한 여성의 정치의식에 관한 연구[25]에서 대다수 여성들이 TV 뉴스와 신문을 통해 정치 관련 정보를 접하였다는 결과와 SNS이용이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20]의 연구에서 SNS이용이 내재적 정치효능감과 오프라인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따라서 간호사의 정치 관련 지식을 높이고 정보 수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TV 뉴스이외에도 인터넷이나 SNS 등의 매체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본 연구의 대상자인 병원간호사의 정치관심도가 높을수록 정치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Kim의 연구 [23]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치적 흥미가 높을수록 정치참여도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젊은 세대의 정치참여 교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14]에서도 정치관심도와 투표와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치에 관심을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투표참여율이 높고 정치적 사건이나 선거에 관심이있는 사람일수록 대

      • KCI등재

        16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정치적 관심도

        송근원(Song Keun-W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社會科學硏究 Vol.19 No.S

        이 논문에서는 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치적 관심도를 측정하고, 정치적 관심도가 투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한 후, 정치적 지식의 정도, 정치적 정보의 양, 투표에 대한 효능감, 언론 매체의 영향, 여론조사의 영향 등이 정치적 관심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교차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정치적 관심도가 높으면 투표에 참여도가 높다는 사실을 파악하였으며, 정치적 지식의 정도, 정치적 정보의 양, 투표에 대한 효능감 및 언론 매체의 영향은 정치적 관심도와 정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찾아내었다. 그러나 정치적 관심도가 낮을수록 여론조사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한편, 여자보다는 남자가, 나이가 많을수록 정치적 관심도가 높지만 소득과는 별 상관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학력, 종교, 직업별로 정치적 관심도가 다르다는 사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초등학교를 제외할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정치적 관심도가 높으며, 천주교 신자가 다른 사람들보다 정치적 관심도가 높다. 또한 거주지별, 출신지별로 정치적 관심도에 차이가 있다는 점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특히 영남 사람들의 정치적 관심도는 16대 대선에서 매우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역주의의 소산으로 판단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 between the voters' political interest and voting participation,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of the voting, etc. by analyzing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data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ore political interest a voter has, the more he/she participates in voting. 2) The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of the voting are positively related in a statistical sense. 3) The less political interest one has, then he/she is less affected by mass media including TV. newspaper, internet etc. 4) Man is more interested in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than woman is. 5) The older is more interested in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than the younger is. 6) However, income does not show any relation with the voters' political interests. 7) Ge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hometown and residence area show closely related with the political interest: Especially the voters living in, or from Youngnam area show less interest in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than those who live in, or from other areas. This fact is conjectured to be attributed to the parochialism in Korean election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정치효능감, 정치관심, 정치신뢰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일반전공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미경(Lee, Mi-Kyung),이주영(Lee, JooYoung),임소희(Lim, So-Hee) 한국보건사회학회 2021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57

        최근 정치·사회적 사건과 소셜미디어의 발달 등으로 대학생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간호대학생의 정치적 역량은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치효능감, 정치관심, 정치신뢰가 간호대학생과 일반전공 대학생들의 정치참여에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와 충청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인간호대학생 220명, 일반전공 대학생 21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일반전공대학생에 비하여 정치효능감(t=-2.71, p=.012)은 낮았으나, 정치관심(t=3.22, p=.001)과 정치참여(t=6.17, p<.001)는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정치참여는 정치관심, 정치효능감, 성별, 전공에 의해영향 받으며, 설명력은 3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치관심과 정치효능감을 향상시키는 정치활동과 관련된 교육이나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공과 성별에 따라 정치참여를 향상시킬방안을 모색함이 필요하다. 대학생에게 공통적으로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정치관심으로 대학생의 정치관심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Although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in politics is increasing due to recent political and social event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the polit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explores and compares the effects of political efficacy,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trust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were 220 nursing students and 217 non-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olitic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non-nursing students(t=-2.71, p=.012), but political interest(t=3.22, p=.001) and political participation(t=6.17, p<.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ffected by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efficacy, gender, and major, and its explanatory power was 32%.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politic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major and gender by developing education methods related to political activities that increasing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efficac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methods that can strengthen university students political interest as the variable that has the most powerful influence in common on university students.

      • KCI우수등재

        리즈럴(LISREL)모델을 통한 17대 한국 총선 분석

        강경태(Kyung-Tae Kang) 한국정치학회 2006 한국정치학회보 Vol.40 No.3

        본 연구는 지난 4ㆍ15총선 후 부산지역 유권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리즈럴(LISREL 8.52)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구조방정식모델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을 적용한 결과, 부산지역 유권자들의 투표성향은 일회적이고 일시적 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 이며 구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후진형이 아니라 선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정치가 계속해서 민주화과정에 있고 선거가 규범화되면서 유권자들의 의식도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판단한다. 부산 유권자들이 후보와 정당을 선택할 때 , 크게 종합이슈평가, 정치관심ㆍ참여 및 여야선호개념에 근거하였다. 첫째, 종합이슈평가 개념은 다시 정치이슈, 경제이슈 및 사회이슈라는 하위개념으로 구성되었다. 이들 3개 이슈개념들간 관련성은 상당히 견고한 것으로 밝혀져 부산시민들이 특정 이슈를 평가할 때는 이들 3가지 평가기준에 따라 먼저 분류 한다고 할 수 있다. 정치이슈개념은 각종 정치개혁, 한미관계 및 지방자치문제를, 경제이슈개념은 아파트가격 안정화, 실업 및 수출을, 사회이슈개념은 지역갈등해소, 남녀평등 및 노사관계개선이라는 특정 이슈를 각각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이슈개념은 3단계로 구성되며 최상위 이슈평가 기준에 따라 후보와 정당이 선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행정부 들어 여러 가지 정책이 추진되고 논의 되었지만, 이번 4 15총선에서 이슈 면에서는 경제가 침체되면서 우리당후보나 우리당보다는 한나라 당 후보와 한나라당이 더욱 유리하였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이슈평가와는 달리 부산 유권자들의 정치 관심ㆍ참여는 2단계로 구성되어 후보와 정당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관심ㆍ참여는 수동적인 정치관심과 능동적인 정치참여로 구성되었는데, 전자는 부산과 한국정치 일반에 대한 관심과 주변 친지들과 선거대화로 나타나며, 후자는 유세장 방문이나 후보 사무실 방문 및 각종 서명운동에 참여하는 보다 적극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치관심과 정치참여는 아주 강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견고하게 상호 연관되어 있다. 수동적 관심과 능동적 참석의 정당 및 후보선택에 미치는 효과는 미세하였으나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분명히 존재하였다. 정치관심이 높을 수록 우리당과 그 후보들에게 유리하였으며 , 정치참여가 많을수록 한나라당과 그 후보들에게 유리하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여ㆍ야선호도 역시 2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여선호도는 우리당과 노무현대통령에 대한 지지로 구성되며, 야선호는 한나라당과 박근혜대표에 대한 지지로 구성되었다. 이들 정당과 지도자의 여야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히 높았다. 여ㆍ야선호도 중에서는 야보다는 여선호도가 후보와 정당 선택에 보다 강한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탄핵직후의 열기가 다소 과도하게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어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electoral behavior of the electorate of Busan using data that was gathered immediately following the 2004 Korean general election. By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Lisrel Program, Busan voters were found to be consistent and conformist in their attitude on choosing candidates and parties. Busan voters' electoral attitude conformed to the hierarchical structural case in which marked abstract concepts constrain lower concepts. Their abstract concepts were composed of three ideas: issue­evaluation and political interest­participation, and pseudo party identification, indicating those who like governing parties and those who like opposition parties. Each abstract concept has its own lower abstract concepts and concrete variables. The issue­evaluation has lower abstract concepts such 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Each issue has its own indicators:political reform, Korea US relations, export, unemployment, etc. Although most policies were initiated by the governing Woori Party (WP), it was found out that the Grand National Party (GNP) and its candidates benefited from issue-evaluation in the election. Unlike issue-evaluation, the political interest-participation of Busan voters consisted of two steps. First of all, it has two lower concepts: passive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The former reflects that voters were interested in Korean and Busan politics, and suggest that voters conversed with their relatives or friends about elections. But, active participation demands more time and energy.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olitic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on masse, visit candidate offices, and join signature movements. The study found that it was voters with passive political interest who tended to support the governing party and its candidates, while those with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tended to support the GNP and its candidates. The pseudo-party identification also consisted of concepts involving two steps : governing party support and opposition support. The former is represented by the WP and its leader, Roh Mu-hyun, the latter by the GNP and its chief, Park Keun-hye. In short, the Busan public is not random, disorganized or unconstrained in its electoral behavior. It was hierarchically constrained by higher concepts toward lower and more concrete ones. As Korean society is becoming increasingly democratic and elections in the country are now held regularly, the public political attitude and opinion seem to be organized and developed.

      • KCI등재

        가족과 정치 태도: 가족 구성원 간 정치 대화와 설득이 정치 냉소와 관심에 미치는 영향

        김석호(Kim, Seokho),한상효(Han, Sanghyo),김용민(Kim, Yongmin),신규호(Shin, Gyuho)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3

        이 연구는 가족 내 정치 대화와 설득(동원)이 정치에 대한 냉소와 관심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한국 문화의 강한 가족주의적 특성은 가족 구성원이 다른 가족 구성원의 정치 태도와 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된다. 한국 사회를 포함한 모든 사회에서 가족은 가장 중요한 정치사회화 기관이다. 그러나 한국인의 정치 태도와 행위를 가족관계의 영향력의 시각에서 분석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 연구는 가족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정 치 태도의 형성으로 이어지는가를 자료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가족 구성원 간 정치를 두고 이루어지는 대화와 설득(동원)이 정치 냉소와 관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다. 즉 가족과 정치 대화를 많이 하고 가족 구성원에 의해 특정 후보를 지지해 달라고 요청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정치 관심이 높고 냉소는 낮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아울러 정치 대화와 설득이 정치 관심과 냉소에 미치는 영향은 응답자의 연령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주장한다. 이 연구는 가족 내 정치 대화와 설득이 정치 관심과 냉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치 대화는 정치 관심을 증가시키고 냉소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구성원에 의한 설득(동원)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만, 정치 대화가 가진 영향력보다는 덜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설득(동원)의 효과는 전 연령대에 걸쳐 동일하지 않으며, 고령일수록 가족 구성원에 의한 동원의 경험이 오히려 냉소를 강화시키고 있었다. 반면에 정치적 사안을 두고 이루어지는 가족 구성원 간 대화를 통해 젊은 층의 낮은 정치 관심은 개선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litical conversation and persuasion (voter mobilization) among family members on political interest and cynicism. As Korean culture is well known for its strong familism, it is assumed that the family context largely affects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Obviously, fami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gents for political socialization in most countries. However,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politics. The primary goal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how family interactions lead to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attitudes by exploiting survey data.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olitical conversation and persuasion (voter mobilization) on political interest and cynicism. In other words, we hypothesize that political conversation and voter mobilization among family members will increase the degree of political interest but decrease the level of cynicism. Meanwhile, we argue that the effects of political conversation and persuasion on political interest and cynicism depend on the age of the respondent. We employ 2016 KGSS data to examine the effects of political conversation and persuasion on political interest and cynicism. Our analysis validates the supposition that political conversation develops political interest and reduce cynicism. Although mobilization by family members also has significant effects on both variables partially, they are weaker than the impacts of conversation. Additionally, it is confirmed that mobilization does not have equal effects regardless of age and that mobilization even exacerbates the problem of cynical attitudes as the respondent is older. On the contrary, family conversation on political issues successfully mitigates the decreased level of political interest as the respondent is younger.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정치관심도, 정치이념 강도, 이견 노출, 그리고 스피치 효능감과 토론 효능감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스피치와 토론 교육 목표의 함의

        최두훈,이상철 한국소통학회 2018 한국소통학보 Vol.17 No.1

        본 연구는 정치관심도, 정치이념 강도, 이견노출, 그리고 스피치와 토론 효능감이 정 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총 4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정치관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정치이념의 강도가 강할수록 정치참여 의도가 높았다. 둘째, 이견노출에 대한 노출이 높은 사람일수록 높 은 정치참여 의도를 보였다. 셋째, 토론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사람들도 정치참여 의도 가 높았다. 넷째, 정치관심도가 낮은 사람이지만, 스피치 효능감이 높아지면 정치참여 의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정치 참여가 상대적으로 낮은 대학생들에게 스피치와 토론 교육을 통해 정치참여를 촉진시 킬 수 있는 가능성과 함의를 논의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olitical interest, strength of political ideology, cross-cutting exposure, speech efficacy, and debate efficacy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The study used hierat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study's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i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400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First of all, we found that political interest and strength of political ideology played a large role increasing respondents' intention for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cross-cutting exposure contributed to facilitating poliitcal 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we found that debate efficacy helped increase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speech efficacy had a positive impa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among respondents with low political interest.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college students'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speech and debate class.

      • KCI등재

        정치예능프로그램의 사회적 시청이 정치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박연진,김관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4

        This study examines how social viewing behavior (the extent of social viewing, network homogeneity, the extent of exposure to different opinions) affects the way political debate (issue and non-issue discussions) is conducted, and how social viewing behavior and political debate styles are related to not only political interest and the political discussion efficacy, but also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both issue and non-issue discussions increased with higher social viewing. For exposure to different opinions, greater exposure to different opinions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issue discussion but did not have any effect on non-issue discussion. A rise in issue discussion was also observed with an increase in network homogeneity which, on the other hand, had no observable effect on non-issue discussion. Political interest grew as social viewership increased and more people watched and discussed issues, while the political discussion efficacy increased with greater exposure to different opinions and more issue discussions. Political interest and the political discussion 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Although political debate through social viewing behavior and social viewing does not directly influence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it has been observed to indirectly raise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through political interest and the political discussion efficacy. 본 연구는 사회적 시청행태(사회적시청정도, 연결망의 동질성, 이견노출정도)가 정치토론방식(이슈토론, 비이슈토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시청행태와 정치토론방식이 정치관심도와 정치토론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정치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시청량이 많을수록 이슈토론과 비이슈토론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견노출의 경우 이견에 많이 노출 될수록 이슈토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이슈토론에 대해서는 어떠한 영향력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연결망이 동질적일수록 이슈토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이슈토론에 대한 영향력은확인되지 않았다. 정치관심도는 사회적 시청을 많이 할수록 그리고 사회적 시청을 하면서 이슈토론을 많이 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치토론효능감은 이견에 노출이 많이 될수록, 이슈토론을 많이 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관심도와 정치토론효능감은 정치참여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시청행태와 사회적 시청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치토론이 정치참여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정치관심도와 정치토론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치참여의향을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유권자의 정치 관심은 언제나 바람직한가?: 정부 신뢰의 이념 편향을 중심으로

        하상응,길정아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2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are more likely to be actively engaged in politics, which contributes to enhancing governmental accountability and responsiveness. Previous studies have proposed a variety of civic education programs that intend to increase political interest of ordinary citizens, assuming that political interest can make voters rational and political system stable. This study argues that, in an ideologically polarized era, political interest can be detrimental to democratic governance. Analysis reveals that trust in government—a key element for the health of democracy—tends to be influenced by voters’ ideology: conservative voters demonstrate higher levels of trust in government under the conservative regime, while liberal voters show higher levels of trust in government under the liberal regime. Such an ideological bias turns out to be larger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than their counterpar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tically interested voters are not necessarily rational voters; rather, they are likely to exacerbate ideological polarization. 정치에 관심을 갖는 유권자들은 정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부의 책임성과 반응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많은 연구들은 유권자의 정치 관심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기존 연구들은 정치 관심이 가지는 규범적으로 바람직하며 긍정적인 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던 것이다. 기존 연구와 달리 이 연구는 정치 관심이 갖는 부작용을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치 관심이 높은 유권자들에게서 더욱 강한 이념 편향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설문 자료 분석 결과, 보수 정당이 집권한 2014년에는 보수적인 유권자가 정부를 보다 신뢰하는 반면, 진보 정당이 집권한 2018년에는 진보적인 유권자가 정부에 대해 높은 신뢰를 보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경향성이 정치 관심이 높은 유권자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결과가 본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이다. 이 연구는 이념적으로 양극화된 정치적 환경 하에서 바람직한 대의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서는 정치 관심의 고취에 그치는 것이 아닌, 합리적 유권자의 육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서 의견 일치/불일치 대상과의 정치 토론이 가지는 정치적 효과 연구 : 시각 다양성 인식, 정보습득감, 정치적 참여, 관심도, 지식, 효능감 변인을 중심으로

        정낙원,김성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8

        본 연구는 1)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 이용이 정치적으로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불일치 대상과의 토론을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2) 이처럼 다른 종류의 정치적상호작용이 정치 참여와 정치 참여와 관계되는 인지심리적 요인들 -정치지식, 정치적 관심도, 내적 정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은 정치적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과 불일치하는 대상과의 토론을 모두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토론의 정치적 효과는 토론 대상과의 의견 일치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정치적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과의 토론은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그리고 뉴스미디어 이용 변인들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정치지식, 정치적 관심도, 내적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사회적 참여에 긍정적이고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치적 의견이 불일치한 대상과의 토론은 다양한 시각 학습감과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에 대한 정보획득감을 증가시켰으나, 정치사회적참여를 비롯하여 정치지식, 관심도, 효능감 등의 정치적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치사회 참여과정의 이론적 메커니즘을 확장하고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1) whether using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ncreased political discussion with like-minded and/or dissimilar others, and 2) what impact the two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interaction had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related cognitive-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and efficacy. Results showed that using SNS enhanced political discussion both with like-minded and dissimilar others. However, political effects of political discussion differed by whether the discussion partner had similar or dissimilar political opinion. Discussing with similar others in political attitude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internal political efficacy, as well as political participa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media us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discussion with dissimilar others merely had political impact, only but boosting perceived selfexposure to multiple perspectives and perceived information acquisit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 KCI등재

        청년 유권자들의 정치적 무관심? : 부산 소재 대학생들의 정치의식 분석

        이길환 ( Gil Hwan Lee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4 공공정책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부산시 소재 4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치의식과 정치참여 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한, 이미 알려진 결과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새로운 점들도 발견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도 나타났듯이 대학생 다수의 정치성향은 중도좌파쪽에 가깝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가평가(self-placement)의 결과와는 달리, ‘국가보안법폐지,’ 대북인도적 지원’과 관련한 질문에서는 보수적인 것으로, 반면에 ‘부자증세,’ 재벌해체’의 질문에서는 진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의식과 관련하여 대학생들은 전체적으로 보아 정치적 관심이 매우 높은 것은 아니었지만, 전혀 무관심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정치적 관심은 신문 기사를 일거나 TV 뉴스를 시청하는 것으로도 나타났지만, 그보다는 타인과 대화하거나 토론하는 것에서 많이 나타났다. 정치참여와 관련하여서는 투표와 같은 전통적인 정치참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대학생들의 정치에 관한 불신은 그렇게 크지 않으나 정치적 효능감이 낮다는 것이었다. 대학생들과 같은 청년 유권자들이 정치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고, 청년들의 관심과 효용을 제고할 수있는 정책, 공약 등이 계속해서 부재하다면 한국 정치는 ‘청년 없는 중장년의 정치’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This paper is on the study of the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in Busan. The paper has found out some similarities with the results of the pre-existing studies, a few facts already known, and also some new aspects.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a large proportion of the students is close to the center-left position as the existing studies have already shown. However, the ideological position about political issues and policie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 of Conservative -Progressive(or Right-Left) self-placement. The political interest of the students is, in general, not so high, but they may not be regarded as politically indifferent. Their political interest appears in reading newspapers and in watching TV news programs. But the best way in which the political interest is appeared is dialogues and discussions with another students as a daily routine. A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s concerned, the traditional participation type like voting turns out to be very low. One of the reasons for the low participation is not a strong sens of political mistrust, but the relative lack among them of a sense of a civic obligation to vote. This weak sense of citizen duty has no doubt to do with the fact that they feel the political efficacy is apparently very low. If we, elder generation, don`t provide young adults with incentives to vote and sufficient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our politics will be heading toward a politics “of older people, by older people, and for older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