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감·체감·공감의 신병 정신전력교육 발전방안 연구 - 육군훈련소 신병 정신전력교육 혁신 시범적용 성과를 중심으로 -

        전도연,황신애,정지영,김국전,이성룡,성하준,권민영,김지호,신영욱,박원호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2

        This thesis examines the achievement of training goals, satisfaction with training methods, and effect on enhancement of military service value through the trial application results of "innovative spiritual & mental force training for trainees that can realize, feeling and empathize. This program was developed by KATC in 2022 and its purpose is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measures. In 2022, this project was launched by the department of public affairs and spiritual & mental force training at KATC in order to achieve ultimately the goal of "cultivating soldiers with soldiers' values" as part of innovation in spiritual & mental force training. This was achieved through designing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designs for each integrated task. We considered it in terms of academic framework of the t and the pedagogical theory. From April 2022, after a two-month research period, "innovative spiritual & mental force training application plan" was prepared, and it was applied to a total of three training units from September to November.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for trainees to diagnose the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level, a comprehensive and policy review are required in order to train experts and carry out an organizational reform, establish action practice and evaluation system that can specify and evaluate the training goals for each task, which currently remain at the cognitive-affective level, to the level of action. Second, by changing the existing one-way lecture style training method to an realistic·feeling·empathic train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inee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training goal, which had remained at the cognitive level of understanding and cognition, was expanded to the level of affective and behavioral level, thereby promoting active participation and concentration. Also, it was able to bring out what they understood with their brain and felt with their heart to a level that could be implemented into action. The realistic·feeling·empathic spiritual & mental force training gained a lot of sympathy and favorable reviews from not only trial application units but also many relevant officials of observation units. Its achievements were also recognized by civilian exper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level, a comprehensive and policy review are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action practice and evaluation system, training experts and carry out an organizational reform that can specify and evaluate the training goals for each task, which currently remain at the cognitive-affective level, to the level of a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aster plan for expansion of this training by reviewing the meaningful results and supplementary items of training method applied during the trial application at KATC, and to systematically promote it through training of experts. Lastly, it is suggested to build a spiritual & mental force training center for trainees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ocuses on learner-centered customized and participatory education system while responding sensitively to the educational paradigm.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once again form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spiritual & mental force training for trainees and be actively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strengthening spiritual & mental force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imes and generations. 본 논문은 2022년 육군훈련소가 개발·적용한 ‘실감·체감·공감의 신병 정신전력교육 혁신 시범적용 성과’를 통해 교육목표 달성 여부와 교육방식의 만족도, 군 복무 가치 제고 등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여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22년 육군훈련소 공보정훈부는 신병 정신전력교육 혁신의 일환으로 교육과제를 영역별로 통합하고 통합된 과제별 적절한 교육방식을 고안, 교수설계를 통해 궁극적으로 ‘군인의 가치관을 지닌 군인 만들기’라는 신병 정신전력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출발했으며, 논문이란 학술적 틀과 교육학적 이론으로 재고찰해 보았다. 2022년 4월부터 2개월의 연구기간을 거쳐 「신병 정신전력교육 혁신 시범적용안」을 마련하였고, 9월부터 11월까지 총 3개 교육대를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집단 심층면접법(FGI)과 설문분석결과를 통해 성과를 진단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과제의 영역별 통합과 교육과제별 적절한 실감·체감·공감의 교육방식을 적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설계하였다. 둘째, 기존 일방향적 강의형 교육방식에서 신병의 특성을 고려한 실감·체감·공감의 교육방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해와 인지라는 인지적 차원에서 머물던 교육목표 달성 수준을 정의적-행동적 차원으로 넓혀 적극적 참여와 몰입을 유도한 가운데, 머리로 이해하고 가슴으로 느낀 것들을 행동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끌어낼 수 있었다. 실감·체감·공감의 신병 정신전력교육은 시범적용 부대는 물론, 다수의 참관부대 교육관계관들로부터 많은 공감을 얻었으며, 민간 교육전문가로부터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국방부 차원에서 현재 인지적-정의적 수준에서 머물러 있는 과제별 교육목표를 행동화 수준으로 구체화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행동화 실습 및 평가체계 정립과 이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조직 개편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 정책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육군훈련소 신병 정신전력교육 시범적용 간 적용한 교육방식의 유의미한 결과와 보완사항을 검토하여 단계별 확대 적용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마련,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체계적 추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 패러다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참여형 교육에 중점을 둔 교육환경 조성 차원에서 신병 정신전력교육 센터 신축을 제시한다. 끝으로 본 연구가 신병 정신전력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공감대를 형성하고 시대와 세대의 변화를 고려한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유용한 자료로 적극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장병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인성교육

        박영민(Park Young-Min),이성흠(Lee Sung-Heum) 국방정신전력원 2021 정신전력연구 Vol.- No.67

        일반적으로 한 국가에서 국민의 안위(安危)를 책임지고 있는 군대조직은 일반사회의 조직과는 다른 독특한 조직체계이다. 이러한 점에서 대한민국의 군대는 창군 이후 장병에 대한 정신전력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효과(율)적인 훈련을 위해 부단하게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장병의 정신전력교육은 군인정신에 대한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충족하면서 군인 정신을 내면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설계·개발·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장병의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병의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교육의 주제에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병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신전력을 강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문화예술의 시청각자료를 활용하는 인성교육의 방향과 전략을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군인의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인성교육의 주요 학습활동은 ‘나(자아정체성 확립)’에서 출발하여 ‘사회(가족, 학교 등)’를 거쳐 ‘국가(군인정신, 조국, 평화통일)’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장병 자신에 대한 자아정체성 확립을 교육(훈련)하고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실천적인 활동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학습활동은 지금-여기의 교육 현장(군대)에서 출발하여 사회와 국가로 연결하는 응용성과 효과성을 담보하는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 연구 주제와 관련되는 국내외의 주요 참고자료(서적, 연구논문, 연구보고서 등)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연구이며, 연구 주제와 관련되는 시청각자료는 인터넷 자료를 예시자료로 활용·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미래사회의 핵심역량과 장병의 정신전력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장병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인성교육에서는 자아정체성,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인성교육의 주요 내용, 그리고 미래사회를 위한 장병 인성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탐구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탐구된 이론에 기초하여 제시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장병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역경의 군대 생활이지만, 장병들은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신전력 강화와 연계된 인성교육의 과정에서 지난 일들을 성찰하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면서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여 행복한 삶을 준비하는 하나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general, the military organization that is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in a country is a unique organizational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society. In this regard, the Republic of Korea"s military is constantly striving for effective education while continuous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ental power education for soldie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However, the current mental power education for soldiers does not effectively develop and operate a program that can internalize the military spirit while satisfying the importance or necessity of the military spiri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on the mental power education of soldiers, various studies on the mental education of soldier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character education for strengthening mental power with the establishment of soldier"s self-identity by using the audiovisual materials of culture and art as a way to strengthen the mental strategy of the soldier. The main learning activities of character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mental power of soldiers in the study start with ‘myself (establishing self-identity)’, go through ‘society (family, school, etc.)’, and then link ‘the country (soldier spirit, country, peaceful unification).’ It consists of practical activities that educate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ese learning activities are intended to be structured in a way that guarantees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starting from the education field (military) here and now and connecting society and the country. The method of the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using major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study. In addition, audiovisual material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s example materials using Internet material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as examined to focus o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uture society and the mental education of soldiers. Secondly, character education for establishing self-identity of soldiers was explored to focus on the issues of self-identity, main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for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for soldiers for the future society. In conclusion, it was judg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presented based on the theory explored in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 practical way to strengthen soldier’s mental power with establishment of his/her self-identity. Although it is a difficult military life, soldiers can use it as an opportunity to prepare for a happy life by reflecting on the past and designing their own future in the process of character education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nd strengthening of mental power.

      • KCI등재

        신세대 특성을 고려한 정신전력교육이 사관생도의 의식성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성진(Ko Sungjin),김병진(Kim Byoungjin),정사무엘(Jeong Samooel),손아리(Son Ahri)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3

        본 연구는 사관생도의 올바른 가치관 함양과 정신전력강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정신전력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기초군사훈련과 하계군사훈련간 실시된 정신전력교육 전·후 사관생도의 의식성향 변화를 통해 교육 목적 달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사관생도의 의식성향이 어느 정도 변했는지와 이들이 자각하고 있는 정신전력교육효과와 의식성향 사이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SPSS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T-test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육군3사관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신전력교육은 국방부 기본정신 전력12개 과제와 육군의 내적가치교육 12개 과제를 기초군사훈련시 12시간, 3·4학년 하계군사훈련시 각 16시간 씩, 총 44시간을 진행하고 있으며, 교관은 공보정훈병과 장교가 담당하고 있다. 연구결과 군사훈련기간 동안 실시한 정신전력교육은 T값이 기초군사훈련 시 -5.412, 하계군사훈련 시 -4.322 도출되어 그 효과가 인정된 반면, 정신전력교육이 실시되지 않는 기간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회귀분석결과 기초군사훈련 시에는 T값이 23.057(p=.000), 수정된 R²값이 .525 하계군사훈련 시에는 T값이 25.814(p=.000), 수정된 R² 값이 .579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국방부 정신전력기본교재와 육본 내적가치과제를 이용하여 실시한 정신전력교육은 사관생도들의 의식성향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한 정과교육으로서 정신전력교육이 실시되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의식성향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신전력교육은 정과교육으로서 연중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얻을 수 있었다. 교육체계는 현행 체계를 준수하되, 일반학기 동안에는 기회교육으로서 훈육관에 의한 주간정신전력교육 형태로 1시간이라도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TI&E), which is conducted for cultivating the correct values of cadets and strengthen the Military Spirit.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through change in consciousness tendency of cadets who completed the TI&E during basic military training and summer military training. Furthermore, T-test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s to see how much consciousness has changed among cadets and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mental power educational effects and consciousness which they perceived. Currently, Korea Military Academy at Yeong-cheon provides mental power education for a total of 44 hours, 22 hours during Basic Military Training including 12 basic mental power education tasks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12 internal value education tasks by the Army, and 16 hours during the summer military training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The instructor is the TI&E offic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 value of mental power training conducted during the basic military training period was -5.412 and during the summer military training was -4.322, which means the effect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periods when TI&E was not conduct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T-value during basic military training was 23.057 (p= .000), and the adjusted R² value was .525. On the other hand, the T-value during the summer military training was 25.814 (p= .000), and the adjusted R² value was .579 which verifies meaningful result. Therefore, the TI&E not onl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cadet"s psychological behaviors but also provides evidence that changes their level of spiritual combat power into positive direction. In addition, there are no meaningful changes in cadet"s consciousness tendency during the period when TI&E was not conducted regularly. The data confirms that TI&E should be continued throughout the year as a regular education. Ultimately,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comply with the current system, but during the general semester, th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at least an hour in the form of weekly TI&E by a discipline officer as an opportuni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군 정신전력교육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원리 개발연구

        변소희(Byun Sohee)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3

        군 정신전력교육으로 정신전력 강화라는 효과성 달성을 위해서 ‘인식’, ‘내면화’, ‘적용’으로 이어지는 세 단계가 필요하다. 군 정신전력교육은 일일-주간-집중정신전력교육을 통해 군의 가치와 임무를 인식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내면화하고 있으며, 현장 체험과 참여형 교육을 병행하여 장병들이 행동하고 배운 지식과 가치를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각 부대의 여건과 능력에 따라 편차가 큰 실정이다. 최근 여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추상적인 세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 동일한 학습 환경을 반복적으로 경험 가능하다는 점, 실제와 유사한 맥락이나 상황 속에서 체험이 가능하다는 특성 등으로 인해 가상현실은 군 정신전력교육 현장에서 효과성을 달성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정신전력교육 현장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한 교수설계원리를 개발하는 것이다. 군이라는 특수한 교육 맥락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최적화된 교수-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계·개발연구를 적용하여 군 정신전력교육에서 가상현실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 검토, 전문가 타당화, 수업 실행 및 교수자와 학습자 반응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군 정신전력교육 및 가상현실에 대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초기 교수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타당화와 교수설계원리 수정의 과정을 통해 교수설계원리의 내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교수설계원리와 상세지침을 적용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N보병사단 ○○연대 A중대 주간정신전력교육에 사전준비활동과 3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실행 후 수업 전반 및 개별 교수설계원리와 상세지침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교수설계원리의 외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교수설계원리가 적용된 수업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는 공통적으로 학습의 몰입감과 생동감을 강점으로 언급하였다. 가상현실 상황에 대한 몰입을 통해 장병들의 흥미와 관심이 높아져 교수자의 수업 진행이 원활해졌으며, 학습의 이해와 집중 등의 효과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는 장병들로부터 나오는 다양한 반응과 토론 내용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충분한 교관훈련과 체험 순서 조정 등의 개선방안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학습자는 수업 전반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몰입감과 생동감 있는 체험을 통해 학습 효율이 높아졌다고 했으며, 사전 준비활동과 소그룹 활동 운영의 개선에 대한 의견을 주었다. 이를 반응을 반영하여 최종 교수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군대 교육의 형식성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의미 있는 함의를 제시한다. ‘Recognition,’ ‘internalization,’ and ‘application’ are three key phases to accomplish effects of strengthened military morale as the derived result of military esprit de corps education. Although esprit de corps education assists a military personnel to recognize military value and missions through repetitive processes of internalization, and provide opportunity for a personnel to apply learned knowledge and value through an active participation and on-sight-visit on daily, weekly basis, there are huge variation between each unit depending on their conditions and capability. The virtual reality, one of innovative technology, presents its potential efficiency on esprit de corps education for its capability to construct abstract world, allow users to control, enable to provide repetitive and ident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produce real world-like context and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o utilize contents of virtual reality on actual esprit de corps education. The research specifically focuses on giving military education in a special context to seek optimized instructional and educational possibilities by utilizing contents of virtual reality. By applying Type 2 research model,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th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for esprit de corps education is developed. Detailed literature review, expert verification process, and feedback research on instructor and learner were conducted thoroughly. Research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research and used research method of Type 2 model of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Instructor and learners commonly referred to the sense of immersion and vitality of education as the strength. By providing a sense of immersion, virtual reality facilitated the educational process that aroused the attention and intersets of soldiers, and showed the result of increased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of soldiers. Instructor positively evaluated the program by mentioning diverse reactions and discussions that took place among the participants, pointing out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orough instructor education and the change in the order of the teaching experience process. Most of the learners were satisfied through the education, but their man complaints were physical limitations and lack of virtual reality experience due to military security situation. Learners also provided their comments on pre-participation activity and small group activity management. This study presents that despite the formality and limitations of military education, the learners’ direct experience has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of the learning effect.

      • KCI등재

        정신전력교육이 장병 사기에 미치는 영향 : 주간정신전력교육과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중심으로

        정상근,이석준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ilitary spirit education on soldiers' morale. Through the Planned Behavioral Theory, attitudes and behaviors of soldiers participating in weekly education were measured, and how these results affect soldiers' morale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weekly military spirit education recognized by soldiers were analyz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pared through the IPA method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890 soldiers of Armed Force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n military spirit education, "North Korean military capability," "South Korea-U.S. alliance," and "Advanced Military Culture Trusted by the people" were cited as "Focus Areas for Improvement." Next, the most urgent areas of education to be improved and introduced are education on military psychology and combat stres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Military Spirit education, attitudes toward education, efficacy, social norms, and behavioral inten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oldier morale.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weekly Military Spirit education is effective, an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rea of Military Spirit in a more multi-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warfare. As can be seen from the IPA results, soldiers recognize not only education on the history and tactics of Armed Forces but also education on the human rights, personality, and trust of soldiers as necessary areas for strengthening military spirit. Above all, education on military psychology and combat stress is more in demand than anything else. As a result through this study, the educational system and environment are diagnosed, focusing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oldiers who are consumers of weekly military spirit education, and its focus area for improvement are derived through IPA. In the future, a basic plan for mid-to long-term military spirit education is established to suggest the need to introduce evidence-based policies in its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장병들을 대상으로 한 정신전력교육이 장병 사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합리적 행동이론 중 하나인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해 주간정신전력교육에 참여하는 장병들의 교육효과에 대한 태도와 이해, 행동 등을 측정하고, 이 결과가 장병들의 사기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장병들이 인식하는 주간정신전력교육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IPA 방법론을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의 조사대상은 육·해·공·해병대 병사 890명이다. 먼저 현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은 축에 속하면서도 수행도는 낮은 항목으로 ‘북한군의 군사능력’, ‘한·미동맹’, ‘국민에게 신뢰받는 선진 병영문화’가 ‘중점개선 영역’으로 꼽혔다. 다음으로 병사들이 인식하는 정신전력 강화를 위해 가장 시급하게 개선 및 도입되어야 하는 교육영역으로는 전장심리와 전투스트레스에 대한 교육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및 경로 분석 결과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참여 빈도와 교육에 대한 태도, 효능감, 사회적 규범, 그리고 행동 의도는 장병 사기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를 통해 현 주간정신전력교육이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다차원적인 현대전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신전력의 영역을 보다 다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PA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병사들은 대한민국의 역사나 국군의 전력 및 전술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장병 인권과 인성 및 신뢰에 대한 교육도 정신전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엇보다 전장심리와 전투스트레스에 대한 교육은 그 어느 교육보다 수요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주간정신전력교육의 수요자인 병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교육체계 및 환경을 진단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현재 주간정신전력교육의 중점개선영역을 도출하였다. 향후에도 중·장기적인 정신전력교육 기본계획을 세워 정신전력교육에도 증거기반정책이 도입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 정신전력 향상 방안 - 미군 다문화주의 사례 중심으로-

        서원희(Seo WonHee)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1

        대한민국이 짧은 시간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함에 따라 국군의 구성도 다국적, 다인종 출신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방부 통계에 의하면 2019년 기준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 3,000명이 군복무 중이며 2025~2031년 사이 매년 8,518명이 입대 예정이다. 인구감소와 현역장병 숫자 감소에 따라 다인종, 다문화 가정 출신 장병이 국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그동안 국가와 민족에 대한 충성심이 정신전력의 근간이였다면 미래에는 민족에 대한 충성심이 정신전력 근간으로서의 입지는 좁아질 것이다. 다양한 인종, 민족 출신이더라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인종과 민족에 상관없이 전장에서 하나된 정신전력을 발휘해야 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가 된 것이다. 정신전력이란, 군인정신ㆍ군기ㆍ사기ㆍ단결로 이루어진 무형의 전력을 말한다. 다문화란 다양한 문화와 개성을 특징으로 하고 정신전력은 국가안보를 위한 하나된 무형전력 창출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일견 갈등 요소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다문화주의가 국군 정신전력과 상충하지 않고 조화롭게 융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군의 다문화군 창출 과정에 관한 역사적 경험과 사례를 통해 국군 다문화주의의 정책 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과 미국은 역사, 문화, 다인종 구성 등 제반 여건이 상이하기에 미군 다문화 정책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지만, 최고의 전투력을 보유한 미군이 다문화주의를 군내 정착하는 과정과 사례는 국군에 주요한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군도 제2차 세계대전 중 인종차별로 인해 군내 불미스러운 사건(뱀버 브릿지 전투)이 발생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군내 차별과 분리정책이 존재하는 등 미군이 다양한 민족과 인종들로 구성됨으로 인한 갈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미군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에서 다양한 인종과 국적 출신 장병이 명예로운 전공을 세웠고, 이는 미군은 하나이며, 인종과 출신은 전투현장에서 중요하지 않다는 경험을 군인과 미국민 뇌리에 새기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기회균등 훈령 제정과 국방 기회균등 관리연구소 창설이 뒷받침됨으로써, 군내 다문화주의가 공고화되었고 미국 건국이념인 “Out of many, one”을 구현하게 되었다. 향후 국군은 군내 다문화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개인과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병영문화 조성, 국가 정체성 중심의 정신전력 중심이동 등의 과제를 이행하게 될 것이다.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의 정신전력 창출은 제대 후 자부심 고양과 국민 정신전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정책 지점이다. 미군과 한국군의 직면한 다문화주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등한 근무여건을 제공하고 평등하게 대우하라는 것은 동일한 명제이며, 향후 정신전력 근간은 인종이나, 배경이 아닌 대한민국 군인이라는 정신적 일체감이 될 것이다. Korea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2019, 3,000 soldi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 the military. As Korea changes from a single-race nation to a multi-racial country, the policy and training method of Korea military spiritual force should be changed. In other words, if the Korean military spiritual force has been based on a single race and lineage, it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multi-racial and multi-culture in the future. The Korean military should prepare for multiculturalism. Even if they come from various races and ethnic groups, it is a major challenge for Koreans to demonstrate their unified spiritual force on the battlefield regardless of race or ethnicity. Spiritual force refers to military spirit, military disciplines, morale and unite. It is intangible but powerful in battle.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by immigrants and has long accepted immigrants for economic and political proposal for a long time. However, until the World WarⅡ and Korean War, multiculturalism of American military was not solid. Multiculturalism has been settled down by war heroes from multi races, policy, and regulation. The Constitution and culture of the United States have been constantly changing by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the military. Korea has a unique background of historical, cultural, and racial proportions, and thus has a multiculturalism different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accepting American multiculturalism as it is. However, it is essential to preview the multiculturalism process in the U.S., and we have to find out how to achieve multiculturalism in the Korean military. Despite the multiculturalism differences faced by the U.S.military and Korean military, providing equal working conditions and treating them equally is the same proposition, and in the future, the bases of spiritual force will be the spiritual unity of the Korean soldiers, not race or background.

      • KCI등재

        장병 「민주시민교육」으로 국군 정신전력교육체계 개선

        박정이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3

        The development of mental power, which is the core of the intangible power of the ROK military, is relatively sluggish. As the National Defense Psychiatric Institute was dismantled in 1998,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mental power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as virtually halted after the Mental Power Guidance Guide published in 1997. Therefore, the mental power of the ROK military is not a new war sit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soldiers in the military, and the expansion of female workforce are demanding many improvements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ental energ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fundamental changes in the mental power education system including ideological education, military ethics, and morality cultivation education. Moreover,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mental education are changed every time the regime is changed, and the concept and aspect of war are changing, an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mental power education is getting more and more emphas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constitutional mental power education system for the new soldiers' mental power education. The German Federal Army strengthens constitutional education as a field of mental power education to minimize internal conflicts that may arise in individuals and armies and to believe in the constitutional national values that must be maintained as democratic citizens.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re values of the ROK armed forces should be set as a free democratic guardian group by converting the ROK armed forces mental power education, which is being carried out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firm national view, security and military spirit, into a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for soldiers, and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on constitutional and legal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leadership education, and current affairs security education. 한국군의 무형전력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정신전력에 대한 발전은 상대적으로 부진하다고 볼 수 있다. 1998년 국방정신교육원이 해체되면서 1997년 발간된 『정신전력지도지침서』를 끝으로 정신전력에 대한 국방부 차원의 개념 연구와 발전은 사실상 중단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한국군의 정신전력은 새로운 전쟁양상과 시대상황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신세대 장병들의 특성, 군내 다문화 장병 증가와 여성인력 확대 등은 정신전력교육내용과 방법상의 많은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념적인 교육과 군대윤리, 도덕성 함양교육을 포함한 정신전력교육 교과체계의 근본적인 변화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욱이 정권교체시마다 정신교육 내용과 방향이 바꿔지고 전쟁의 개념과 양상이 변화하고 있어 정신전력교육 개선의 필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장병 정신전력교육을 위해 헌법중심의 정신전력교육체계를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독일연방군은 헌법교육을 정신전력교육의 핵심분야로 강화해 개인과 군대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군복 입은 시민으로서 지켜야할 헌법적 국가가치를 신념화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우리 군도 장병의 확고한 국가관﹘안보관 확립과 군인정신 함양을 목표로 실시되고 있는 국군정신전력교육을 ‘장병 「민주시민교육」 체계’로 전환하여 국군의 핵심가치를 ‘자유민주 수호군’으로 설정하고, 헌법 및 법과 규정 교육, 정치사회교육, 인성교육, 리더십교육, 시사안보교육 등을 중심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을 통한 정신전력교육 방안 개발 및 적용 - ‘마인크래프트’를 이용한 옹진반도 전투 상황 재현을 중심으로 -

        장원형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digital game-based learning, a spiritual & mental force educ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develop a spiritual & mental force education method through digital game-based learning, apply it to soldiers, and investigate learner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spiritual & mental force by era, and argued that the concept of spiritual & mental force, which had been focused on a uniform and military discipline in the past, should be subdivided into a strong view of state, solid security, and strong military spirit.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cently published literature on spiritual & mental force education plans, it was confirmed that spiritual & mental force education plans based on a mobile game and VR should stud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a plan for spiritual & mental force education through commercial digital game-based learning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piritual & mental force education through digital game-based learning, one class of learning was produced and applied to active military soldiers of various affiliates and classes. As a result of a survey of soldiers applying to learn, it found that more than “yes” on average derived in all areas of interest, immersion, knowledge, function, and participation, and additional free-description 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soldiers were satisfied with the spiritual & mental force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However, the weaknesses of game-based learning, such as a decrease in the meaning of spiritual & mental force education and a phenomenon of immersing in the game itself rather than the content of education, remain complementary tasks. 본 연구의 목적은 신세대 장병에게 적합한 정신전력교육 방안인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에 대하여 연구하고,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을 통한 정신전력교육 방안을 개발하여 장병들에게 적용한 뒤 학습자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신전력 개념의 시대별 변천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과거에는 상명하복, 군기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정신전력의 개념이 최근에는 투철한 국가관·확고한 안보관·강인한 군인정신으로 세분화되어 장병들의 정서함양, 교양증진 및 문화예술 역량의 강화를 강조한다는 것을 토대로 정신전력교육의 방법 역시 달라진 정신전력의 개념에 맞추어 변화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최근 발표된 정신전력교육 방안 문헌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신세대 장병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게임·모바일·VR 등을 소재로 한 정신전력교육 방안이 연구되어야 함을 주장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을 통한 정신전력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디지털 게임 기반 학습을 통한 정신전력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기 게임 ‘마인크래프트’를 이용한 학습 1개 차시를 제작하고 이를 다양한 소속·계급의 현역군 장병들에게 적용하였다. 학습 적용 장병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흥미·몰입, 지식·기능, 참여의 전 영역에서 평균 ‘그렇다’ 이상의 응답이 도출되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추가로 자유 서술 응답 분석 결과 ‘흥미롭다’, ‘재미있다’와 같은 응답이 도출되어 학습에 참여한 장병들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신전력교육에 만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정신전력교육의 무게감 하락, 교육 내용보다 게임 자체에 몰입하게 되는 현상 등 게임 기반 학습이 가지는 약점은 보완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 KCI등재후보

        ‘정신전력’분야 연구경향 분석을 통한 정신전력 교육 활성화 방안

        서호준(Seo Ho-joon)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0

        본 연구는 최근의 안보환경을 고려할 때 정신전력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전력 분야에 대한 연구경향 분석이 이루어지 않고 있어 후속 연구과제 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인식하에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정신전력 분야 연구경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준거기준에 따른 분석결과, 2012년부터 관련 연구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교육학적 학문적 배경이 많았다. 또한, 서술적 연구의 비중이 높았으며, 자료분석방법으로는 단일변량분석이 많았고, 자료수집방법으로는 문헌조사가 가장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38개 핵심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에서 상위 키워드로 나타난 것은 군 / 장병 / 정신교육 / 교육 / 영향 / 강화 / 변화 / 군인 / 전쟁 / 정신전력교육 / 개신교 / 전투력 등이었다. 38개 키워드를 전략 · 거시그룹과 조직 · 미시그룹, 종교활동 그룹, 기타 그룹의 4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신교육 분야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필요한 점,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정신교육 분야 의제설정이 필요한 점, 경험적 · 양적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한 점, 정신교육 분야에 대한 집중지원과 함께 정신전력 분야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정책지원이 필요한 점, 국방정신전력원의 기능과 위상이 강화되어야 하는 점, 해외 우수사례에 대한 벤치마킹이 필요한 점,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정신교육 수단을 발굴할 필요가 있는 점, 민간과의 협력적 네트워크가 필요한 점 등을 정신전력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Considering the recent security environment,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ental force, research trend analysis in the field of mental force has not been performed, which has hindered the subsequent derivation of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field of mental force using text network analysis of big databa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mpliance standards, related research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from 2012, and there was a lot of education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descriptive studies was high, and there were many single-variable analyzes in the data analysis metho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iterature survey was the most common method for data collection. Through the text network analysis, 38 keywords were derived, and the top keywords in degree centrality analysis with the frequency analysis were shown as follows : military / officers and men / mental education / education / impact / enhancement / change / soldier / war / mental force education / Protestant / combat power. The 38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strategy-macro group, organization-micro group, religious group, and other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 a way to activate mental for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research in the field of mental education, set the agenda in the field of mental education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revitalize empirical and quantitative research, require intensive support in the mental education field and policy support that enables various academic access in the field of mental force, strengthen the function and status of the defense agency for spiritual & mental force enhancement, to benchmark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discover various mental education methods using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ake a cooperative network with the private sector.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군 정신전력교육 적용방안 연구 -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중심으로 -

        이현석(Lee Hyunseok) 국방정신전력원 2021 정신전력연구 Vol.- No.64

        본 연구는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의 개념과 이해를 통해 교육효과와 장점 등을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군 정신전력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과 고려사항, 수업모형 등을 제시하고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현재 사회는 과학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의 학습이 가능해져 더 자유롭고 유연한 학습방식의 적용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 일방향 강의식 수업에 대한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플립 러닝은 현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학습방식 중 하나이다. 특히 지난 수십 년간 비슷한 플랫폼과 시스템 속에서 이루어지던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성찰과 변화는 분명 필요해 보인다. 정신전력교육 형태 대부분은 공보정훈병과 구성원이나 지휘관(자)에 의한 강의식 교육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게 현실이다. 학습자인 장병들은 영상을 시청하고, 자료를 윤독하는 것 외에는 호기심을 가지거나 생각을 확장할 여유가 거의 없고, 토의나 토론 주제로 제시되는 내용도 교육내용을 요약해 재강조하거나 소감이나 단순질의응답에 그치고 있어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기존 교육이 가지고 있던 일방적 교수 중심의 교육방식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정신전력교육의 문제점과 한계를 개선하고, 학습자이자 수요자인 장병 중심의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써 플립 러닝을 적용한 학습자 중심의 군 정신전력교육 적용방안에 대해 제시하고 논의해 보았다. 연구 방법은 플립 러닝의 이론적 고찰과 지난 2014년에 KBS 1TV에서 방영된 ‘KBS 파노라마’ 방송 내용을 토대로 플립 러닝의 효과와 결과를 분석하여 플립 러닝의 효과를 검증하는 한편, 군 정신전력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군 정신전력교육에서의 플립 러닝 적용 시 고려사항과 주간 정신전력교육 수업을 예시로 한 수업모형과 수업지도안을 설계해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플립 러닝 교육방식을 비롯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안과 프로그램 등이 더욱 다양하게 개발·적용되어 기존의 정신전력교육 방식을 탈피해 학습자인 장병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다른 동료들과 생각을 공유하고 표현하는 즐거움을 느끼면서 군인으로서 갖춰야 할 가치관과 지식을 함양하고 신념화함으로써 우리 군의 무형전력이 한층 강화되길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