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을 후원하는 개인 기부자들의 기부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후원 후 감사증가의 매개효과와 기독교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이원준,이희진 기독교학문연구회 2016 신앙과 학문 Vol.21 No.4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525 private donors sponsor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he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s of private donors'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y on their mental health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after don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ristian donors show direct effects of all five path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ositive effect of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on mental health each, the positive effect of the two utilities on increasing gratitude each, and the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on mental health. On the other hand, among atheistic donors, only demonstrable utilities and increasing gratitude have direct effects on their health. Second, among Christian donors, both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has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resulting from increasing gratitude. Among atheistic donors, increasing gratitude show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between their demonstrable utility and mental health. Third, according to the religious background of private donors, the direct effects of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ies on mental health each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creasing gratitud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the moderation effect of religious affiliation with christianity is proved. Lastly, since Christian donors show the higher level of emotional utilities, increasing gratitude after donation, and mental health than atheistic donors in the analysis, it is meaningful as an empirical study, confirming Christian's positive characteristics.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분석에 기초한 실증연구이다. 조사대상자는 대구․경북지역의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들을 후원하는 개인 기부자들(525명)이다. 연구의 목적은 기부활동을 통해서 체험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효용이 개인기부자들의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후원활동 후 감사증가여부가 미치는 매개효과, 그리고 기독교 유무에 의한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요약하면, 첫째,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5개의 직접경로들(‘정서적 효용성➝정신적 웰빙’, ‘가시적 효용➝정신적 웰빙’, ‘정서적 효용➝감사증가’, ‘가시적 효용성➝감사증가’, ‘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중에서, 기독교인 집단에서는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무교집단에서는, ‘가시적 효용➝정신적 웰빙’과 ‘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이 두 경로에서만 유의한 직접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기독교 집단의 경우, ‘정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경로와 ‘가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이 두 경로에서 ‘감사증가’의 부분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무교집단에서는 ‘가시적 효용➝(감사증가)➝정신적 웰빙’ 경로에서만 ‘감사증가’의 완전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개인 기부자들의 종교배경(기독교, 무교)에 따라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기부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각각 미치는 직접효과와 ‘감사증가’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다른 양상을 보여주어, ‘기독교 종교유무’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의 정신적 웰빙에 기부활동을 통한 정서적 효용 및 가시적 효용의 직접효과, 기부활동 후 삶에 대한 감사함 증가의 매개효과, 그리고 종교유무의 조절효과에서 밝혀진 차이점과 함께, 기독교인 집단은 무교집단보다 기부를 통한 정서적 효용감,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증가, 그리고 정신적 웰빙 수준이 유의미하게 더 높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독교인들이 지닌 긍정적인 특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분석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함의를 모색하며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정신적 웰빙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재두(You, Jae-D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3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정신적 웰빙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해양경찰공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정신적 웰빙과 직무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정신적 웰빙의 하위변인은 정서적 웰빙, 사회적 웰빙, 심리적 웰빙으로 직무스트레스 하위변인은 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로 세분화하여 자료를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양경찰공무원의 정신적 웰빙은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웰빙 하위변인인 정서적 웰빙은 직무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웰빙 하위변인인 사회적 웰빙은 직무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역할 모호와 역할 갈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웰빙 하위변인인 심리적 웰빙은 직무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역할 모호와 역할 갈등 그리고 역할 과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과 조질 몰입이라는 조직 효과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데,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볼 때해양경찰공무원에게 정신적 웰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세부적으로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웰빙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mental well-being on job stress on maritime police office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0 maritime police officers. Research has used questionnaires that evaluate mental well-being and job stress. The lower variables of mental well-being consist of emotional well-being, soci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ower variables of job stress consist of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role exces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ntal well-being of maritime police officers has negative effects on the role-ambiguous role conflict, which is a sub-variable factor of job stress and job stress, and the role-excess. Emotional well-being, a sub-variable of mental well-being, has been shown to have no effect on all of the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over-role of role, which are sub-variates of job stress. Social well-being, a sub-variable of mental well-being, has been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which are sub-variates of job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 sub-variable of mental well-being, has been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role excesses, which are sub-variates of job stress. In general, since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compositional immersion, a measure that can reduce job stress is essential. Therefore,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job stress. This is because job stress redu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maritime police and citizens as well as maritime police officials. A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hat can enhance mental well-being for maritime police officials should in detail improve the quality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 KCI등재

        청소년의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지지의 매개효과

        조영례,백지숙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 지각된 부모지지의 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M시 소재한 한 개의 여자 중학교와 한 개의 남자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과 2학년 학생 398명(남학생 196명, 여학생 202명)으로, 코로나 스트레스 척도, 부모지지 척도 그리고 정신적 웰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청소년의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부모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4.0의 Model 4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코로나 스트레스, 지각된 부모지지, 정신적 웰빙(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코로나 스트레스는 지각된 부모 지지와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고, 정신적 웰빙 하위요인 모두와 유의한 부적 관계를, 지각된 부모지지는 정신적 웰빙 하위요인 모두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서적 웰빙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부모지지는 유의한 부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스트레스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각된 부모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부모지지는 유의한 부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 스트레스가 사회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각된 부모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부모지지는 유의한 부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신적 웰빙이 노인의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Lee, Jung-eun),유지영(Lyu, Jiyoung) 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학 Vol.19 No.1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의 자살과 관련하여 다양한 보호요인이 밝혀졌다. 정신적 웰빙은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일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밝혀졌지만, 그 개념은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보다 더 세부적인 개념 분석을 통해 노인의 자살생각에 정신적 웰빙의 어떠한 영역이 보호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적 웰빙의 하위요인에 따른 노인의 자살위험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에 모두 응답하고 결측자료가 없는 2,004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정신적 웰빙(K-MHC-SF) 척도는 정서적 웰빙, 사회적 웰빙, 심리적 웰빙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하였고, 자살위험은 자살행동 가능성(SBQ-R) 4문항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정서적 웰빙은 자살위험과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웰빙이나 심리적 웰빙은 자살위험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정신적 웰빙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웰빙이 노인의 자살위험에 영향을 미치 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정서적 웰빙은 개인의 정서와 기분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므로 개인이나 사회의 기능에 대한 평가에 비해 좀 더 일시적인 기분상태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정서적 기분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의 자살위험을 낮추는데 기여할 필요가 있다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many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Mental well-being is one of the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but this concept is too broad. More detailed aspects of mental well-being should be explored in order to explain protectiveness for suicidal ide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mental well-being and suicidal risk among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The study sample was drawn from a community-based survey conducted in South Korea including 2,004 older adults. Three domains of mental well-being were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K-MHC-SF) individually: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Suicidal risk was measured with four items of the Suicidal Behaviors Questionnaire-Revised (SBQ-R). Adjusted for confounding variable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well-being was a protective factor for suicidal risk, but other domains of mental well-bei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icidal ris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al well-being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suicidal risk. Since emotional well-being reflects a more temporary feeling of individual s own emotions and moods than an evaluation of one s own function or society, it may be easier to be intervened than other domains. Making good use of intervention programs aimed for individual s emotional well-being may improve personal happiness as well as lower the suicidal risk among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 KCI등재

        개인기부자들의 정서적,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이원준(Won-Jun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토대로, 사회복지기관을 후원하는 개인기부자들이 기부행위를 통해서 경험하는 정서적 효용감 및 가시적 효용감이 이들의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그리고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함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혔다. 주요 발견점을 요약하면, 첫째, 후원활동을 하면서 삶에 대한 감사함이 증가한 개인기부자 집단의 경우, 기부활동을 통한 정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지만, 가시적 효용감은 정신적 웰빙에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자기수용은 정서적 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는 자기수용이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후원 후 자신의 삶에 대한 감사함이 증가하지 않은 집단에서도, 정신적 웰빙에 정서적 효용감은 정적 직접효과가 있었지만, 가시적 효용감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자기수용은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정서적 효용감이 자기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고,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 증가여부에 의한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규명되었고, 기부 후 삶에 대한 감사가 증가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신적 웰빙은 물론, 자기수용, 정서적, 가시적 효용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져, 기부활동을 통한 정신적 웰빙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감사성향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실천과제임을 제시하면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s of private donors emotional or demonstrable utility on their mental health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self-acceptance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gratitude for their lives. As a result of causal analysis of the variabl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group of private donors with increased gratitude for their lives through sponsorship, while emotional utility from donative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donors mental health, demonstrable utility does not have it. The indirect effect of self-acceptance is proved between emotional or demonstrable utilities and mental health. Second, among the donors without increased the gratitude, emotional utility has direct effect on donors metal health but demonstrable utility does not affect the metal health. While the self-acceptance shows a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demonstrable utility and mental health, emotional utility has no mediation effect. In conclu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ratitude for their lives is empirically proved and the donors who their gratitude for life has increased due to donative activity show better metal health, self-acceptance level, higher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y, therefore, the gratitude for life is a key for metal health through donation.

      • KCI등재

        직장인 운동참여가 회복탄력성과 정신적웰빙 및 직장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재희,허정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mployee’s exercise on resilience, mental well-being, and work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variables. Methods This paper distributed and collected 465 surveys on subjects working as employees as of 2022 and used total of 440 surveys after removing the inadequate ones. SPSS 26.0, AMOS 26.0 for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employe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mental well-being, and work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exercise participation, exercise frequency, and type of exercise. Secondly, the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ntal well-being’s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and work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mental well-be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ork life satisfaction. Thir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ental well-being’s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and work life satisfaction. The emotion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ork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According the results, the employee’s exercis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ilience, mental well-being, and work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exercise contributes on emotionally and psychologically stable state and higher work life satisfaction. Thus, there needs to be various motiva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i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followed up by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s in governmental level to encourage the employees participate in exercise more actively. 목적 본 연구는 직장인의 운동참여가 회복탄력성과 정신적웰빙, 직장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주요 변인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방법 2022년도 현재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465부를 배포 및 수집하였고 부적절한 자료를 제거한 후 총 440부를 본 연구에사용하였다. SPSS 26.0, AMOS 26.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독립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성별, 운동참여 여부, 운동참여 정도, 운동참여 종목에 따라 회복탄력성, 정신적웰빙, 직장생활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있었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정신적웰빙의 심리적웰빙, 정서적웰빙, 사회적웰빙과 직장생활만족에 정적상관이 있었다. 정신적웰빙은 직장생활만족도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은 정신적웰빙의 심리적웰빙, 정서적웰빙, 사회적웰빙과 직장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웰빙과 심리적웰빙은 직장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직장인의 운동참여는 그들의 회복탄력성과 정신적웰빙, 직장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운동참여가 정서 및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만들고 직장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직장인이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 있도록 개인적, 조직적 차원에서 다양한 중재전략이 필요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법적, 제도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 KCI등재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적 웰빙의 매개효과

        김두길 ( Kim Du Gil ),송종원 ( Song Jong 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적 웰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을 기반으로 한 양적연구이고 연구대상은 외상을 경험한 244명의 성인이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는 Hayes가 제안한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는 정신적 웰빙과 부적 관계를 보였고, 외상 후 성장과는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정신적 웰빙은 외상 후 성장과 정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연령, 외상 발생기간, 침투적 반추, 심리적 웰빙, 사회적 웰빙이 외상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적 웰빙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정신적 웰빙은 외상 후 침습적 반추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변인이 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정서적 웰빙과 심리적 웰빙의 중요성이 규명 되었다. 제언으로는 정신적 웰빙 중 사회적 웰빙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를 다시 한 번 규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earch method is a quantitative study based on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244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SPSS PROCESS Macro 3.5 proposed by Hay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rusive ruminat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ental well-be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mental well-being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age, period of trauma, penetrating rumination, and social well-being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well-being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s a result of this study, mental well-being can be a variable that overcomes posttraumatic intrusive rumination and promotes posttraumatic growth, and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emotion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identified. As a sugges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once again wh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ell-being does not appear among mental well-being.

      • KCI등재

        한국판 정신적 웰빙척도의 요인구조: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나영,임영진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6

        This study was aimed to test the fit of the bi-factor model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investigate the optimal factor structures of MHC-SF, 3,001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analyzed 7 factor models including bi-factor models which have been suggested or deriv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i-factor model showed the best fit in comparison with the 1, 2, and 3 factor structures. It was found that the bi-factor model comprised of 3 specific factors –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ling, social well-being– and 1 general factor (only including the item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subscales) - eudaimonia - demonstrated the best fit to the data. All other models did not satisfy the goodness-of-fit. Our results were inconsistent with those reported in other countries, suggesting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MHC-SF may be different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at caution is needed in using the total score of MHC-SF.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신적 웰빙척도의 이중요인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대학생 3,001명을 대상으로 정신적 웰빙척도의 최적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이중요인모형을 포함해 선행연구들에서 제안되거나 도출되었던 7가지 대안모형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외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1, 2, 3요인구조에 비해 이중요인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14개 문항으로 구성된 정신적 웰빙척도의 문항들은 정신적 웰빙을 평가하는 3개 소척도인 정서적 웰빙, 사회적 웰빙, 심리적 웰빙 요인에 각각 수렴되는 동시에, 사회적 웰빙과 심리적 웰빙 관련 문항들은 ‘유대모니아’라는 일반요인에도 수렴되었다. 이는 국외에서 보고된 이중요인모형과는 다른 것으로, 정신적 웰빙척도의 요인구조가 우리나라 대학생에게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정신적 웰빙척도의 총점을 활용함에 있어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양체육 수강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성격강점,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정주혁,유정인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6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대학교 교양체육 수강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성격강점, 정신적 웰빙 간의 관련성을 규명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서 교양체육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성격강점, 정신적 웰빙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7.0 및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다변량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교양체육 수강생들의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유능성, 성격강점, 정신적 웰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 수강생들의 운동경력에 따른 대인관계 유능성, 성격강점, 정신적 웰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 수강생들의 운동참여수준에 따른 대인관계 유능성, 성격강점, 정신적 웰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양체육 수강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은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교 교양체육 수강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은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대학 교양체육 강의 현장에서는 수강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 성격강점, 정신적 웰빙을 통하여건강한 삶과 더불어 활기 넘치는 대학생활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3대 만성질환, 경계기 수준을 보유하고 있는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통한 신체활동 빈도 변화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매개효과

        김상태,안상현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전에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었던 3대 만성질환 경계기 수준의 생활체육 참여 자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통한 신체활동 빈도 변화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코로나19 이전부터 3대 질환 중 하나 이상이 경계기 수준이며, 지속적으로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통한 신체활동 빈도 변화가 정신적 웰빙 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통한 신체활동 빈도 수준의 증가는 정신적 웰빙에 직접적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를 통한 신체활동 빈도 수준의 증가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은 간접적 부적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3대 만성질환 경계기 수준의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통한 신체활동 빈도 수준 제고는 정신적 웰빙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신체활동 빈도 수준의 증가는 건강불안 메타인지 신념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정신적 웰빙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This study verified whether changes in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ies through social distancing of participants in sports for all at the alert level of three major chronic diseases that were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before COVID-19 are mediated through health anxiety metacognitive beliefs on mental well-being. To verify this, one or more of the three major chronic diseases were at the alert level before COVID-19, a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201 participants who were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sports-for-all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frequency through the release of social distancing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mental well-being. Second, it was found that health anxiety metacognitive beliefs ha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on mental well-being through the release of social distancing. Through this, improving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of participants in sports for all three major chronic diseases can improve the level of mental well-being,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can improve the level of mental well-being by lowering the level of health anxiety metacognitive belie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