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

        이민선,채규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2 인지행동치료 Vol.1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지방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50명이었으며, 자아존중감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적응적 정서조절방략과는 정적 상관이,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적응적 정서조절방략과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적응적이거나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특히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적응적이거나 부적응적인 정서조절방략이 건강한 대인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효과적인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더불어 적응적인 정서조절방략의 적용을 통해 정서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적극적인 개입이 중요하다. 이 결과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350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Results indicate that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at the statistical level. Self-esteem and posi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low self-esteem and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Moreover,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psychotherapist can intervene more efficiently not only by building up the client's self-esteem, but also by promoting the client's emotion regulation through cognitive thinking when a client has defici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정서조절방략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박시현(Park, Si Hyun),문지영(Moon, Ji Young) 한국음악치료학회 2021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부정적인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동원되는 정서조절방략과 건강한 삶의 태도를 유발하는 자기자비가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166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방략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 자기자비 척도를 사용하여 변인을 측정하였고, 통계처리를 위해 SPSS 25.0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소진은 정서조절방략과 자기자비 모두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조절방략은 자기자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정서조절방략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자비는 정서조절방략과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방략, 심리적 소진, 자기자비의 하위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정서조절방략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지적 방략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자비의 하위요인 중 자기친절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인지적 방략과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에서 완전 또는 부분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자비는 정서조절방략에 더해져 음악치료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거나 조절할 수 있고, 치료사 개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여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at are used to control th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by music therapists in clinical settings and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the burnout of therapists. For this purpose,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cale, psychological exhaustion scale, and self-compassion scale for 166 music therapists currently active in clinical practice, and SPSS 25.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burno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th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burnout, self-compass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burnout.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urnout, and self-compassion, it was found that cognitive strateg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ll factors except the self-kindness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mpassion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either fully or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strategies and the sub-factors of burnout. In conclusion, self-compassion can prevent or control the burnout of a music therapist by adding it to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negative impact on the therapist s individual mental health can be reduced.

      • KCI등재후보

        학령후기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김시라,김지신 한국발달지원학회 2018 발달지원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For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total 35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girls was higher than boy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but rejection sensitivity was not correlation with experienti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case of boys. Thir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but experiential emotion strategy was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case of boy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identifying gender difference about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본 연구는 학령후기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의 5, 6학년 남녀 아동 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정서조절방략, 또래관계의 질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정서조절방략과 또래관계의 질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남아의 경우 거부민감성과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인지적, 행동적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남아의 경우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의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성별을 고려하여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립감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정윤정,이창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Effects of Isolation on Post-traumatic Growth: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Through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Yoonjung Jung & Changhyun Lee Abstract: It is known that the isolation affects post-traumatic growth, but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effect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direct effect of isolation on PTG through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For 326 adults, isolation, post-traumatic growth,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Results of verifying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moderated mediating model analysise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olation and PTG.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olation and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isolation on PTG through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a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Finally, the process in which isolation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social support to trauma experienced people and the need for future study related intervention. Key Words: Isolation, Post-traumatic Growth,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Social Support 고립감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정 윤 정*ㆍ이 창 현** 요약: 고립감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영향의 메커니즘에 미치는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립감이 정서조절방략을 경유하여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인 32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정서적 고립, 외상 후 성장, 정서조절방략, 사회적 지지를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하였다.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고립감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고립감과 적응적 정서조절방략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고립감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 대한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립감이 적응적 정서조절을 통해 외상후 성장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외상경험자에게 사회적 지지 제공이 중요하며, 추후 사회적 지지 관련된 개입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고립감, 외상 후 성장, 적응적 정서조절방략,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 사회적 지지 □ 접수일: 2022년 3월 8일, 수정일: 2022년 3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종로구 가족센터 상담사(First Author, Counselor, Jongno Family Center, Email: jyjcoun@daum.net)** 교신저자, 하나임상심리연구소 소장(Corresponding Author, Director, Hanaimsang Institute, Email: diapanna@gmail.com)

      • KCI등재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김병숙,손승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0 복지상담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480 married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using the self-differentiation scale,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an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s that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differentia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ly, it shows full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confirms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xperimental and behavioral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relation of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is result, counselling focus 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s a priority when we do psychological counselling involvement for enhancing marital satisfaction, and we also need education and training solution for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I proposed the discussion, conclusion and follow-up study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기혼남녀 480명을 대상으로 자기분화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 정서조절방략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분화와 정서조절방략, 결혼만족도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체험적 정서조절방략과 행동적 정서조절방략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상담적 개입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에 초점을 둔 상담전략의 수립이 우선되며, 긍정적인 정서조절방략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와 결론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기질이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조문한,오현숙,김영직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emperamen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mpact physical symptoms and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path of temperament to the somatic symptoms. For this study,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Revised-Short Version(TCI-R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and Somatic Symptom scale were administered to 200 male and female students at a university. As for the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novelty seeking,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under temperamen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ereas harm avoidance under tempera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cond, harm avoid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hereas persis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ird, only harm avoidance under total four temperament factors and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atic symptoms.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under temperament and somatic symptoms was partially mediated by non-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model that temperament impacts somatic symptoms through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ppeared as vali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질과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신체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기질이 신체증상에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200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TCI-RS),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척도, 신체증상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자극추구,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기질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방략과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위험회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험회피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방략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인내력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기질 중 위험회피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각각 신체증상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위험회피 기질과 신체증상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질이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을 매개로 신체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로모델 또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정서조절방략에 관한 연구 동향

        이혜지(Hye Ji Lee)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3 상담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정서조절방략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후속 연구에 방향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에서 정서조절방략을 주제로 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KCI에 등재된 논문 4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 측정도구, 연구변인, 통계분석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정서조절방략과 관련된 연구는 2006년을 기점으로 실시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으로는 대학생과 대학원생 대상이 16편(35.5%)로 가장 많이 연구가 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으로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고, 변인 간 관계를 주제로 하는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넷째, 정서조절방략은 이지영과 권석만(2007)이 개발한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서조절방략을 매개변인으로 하는 연구가 17편(38.6%)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서조절방략에 대한 주요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Methods: A total of 47 domestic studies in KCI among domestic journal papers 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subject,.easurement It were analyzed basis of tools, study variables, an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irst, starting in 2006 studies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conducted. It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since then. Second, undergraduate college and graduate college students were the most studied with 16 studies (35.5%).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and the proportion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high. Fourth, as for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developed by Jiyoung Lee and Seokman Kwon (2007), was most frequently used. Finally, the majority of the studies use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s a mediating variable with total of 17 studies (38.6%).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jor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for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정서조절방략,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 연구 고찰

        이성욱,송현주 한국심리치료학회 201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3 No.1

        본 고찰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정서조절방략,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먼저 내현적 자기애, 정서조절방략, 대인관계 유능성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결론이 제시되었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정서조절방략, 대인관계 유능성은 상호간에 관련이 있다. 즉, 특유의 상황 민감성을 가진 내현적 자기애는 불쾌한 정서를 보다 많이 경험하며, 이는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겪게 하고 부적응적인 정서조절방략을 사용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 사용의 결과는 대인관계에 있어서 역기능적인 역할을 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찰의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적응 도식과 결혼 만족도 간의 관계: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 효과

        이지혜,채규만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8 No.2

        This research explor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havior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xperienti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each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justment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adjustment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e selection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Overvigilance and Inhibition’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a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behavior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at of ‘Impaired limits’,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Overvigilance and Inhibition’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experiential regulation strategy.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행동적 정서조절방략, 그리고 체험적 정서조절방략 각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기혼 남성 102명, 여성 131명으로 모두 233명이며, 부적응 도식 질문지,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결혼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도 간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인지적, 행동적, 체험적)의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각 부적응 도식 영역마다 이 3가지의 정서조절방략의 효과가 달리 나타났는데, 먼저 손상된 자율성과 타인 중심성의 부적응 도식 영역은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3가지 방략 모두에서 조절 효과를 보여, 이 3가지 방략들을 사용할수록 더 높은 결혼만족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절 및 거절의 부적응 도식 영역을 지닌 개인의 경우 인지적, 행동적 방략을 사용할수록, 과잉 경계 및 억제의 부적응 도식 영역을 지닌 개인은 인지적, 체험적 방략을 사용할수록 높은 결혼만족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손상된 한계의 부적응 도식 영역을 지닌 개인은 체험적 방략을 사용할 경우에만 높은 결혼만족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서의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정 정서강도와 적응적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

        이지영,정지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moderated by distress tolerance. Affect Intensity Measure (AIM), Distress Tolerance Scale(DT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were implemented to 546 adults.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negative affect intens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y and negatively with distress tolerance and adaptive regulation strategy. Distress tolerance correlated positively with adaptive regulation strategy and negatively with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adaptive strategies was significan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maladaptive strategies was not significant. Simple slope analysis supported the moderating role of distress tolerance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adaptive strategies. Low levels of distress tolerance, in the context of elevated levels of negative affect intensity, were associated with the low levels of adaptive strateg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vention best suited for growing distress tolerance would be to increase the use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부정 정서강도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546명을 대상으로 정서강도 척도, 고통감내력 척도와 정서조절방략 질문지를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부정 정서강도는 고통감내력 및 적응적 방략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부적응적 방략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고통감내력은 적응적 방략과 정적 상관을, 부적응적 방략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부정 정서강도와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의 사후검증을 위해 단순 회귀선 기울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통감내력 수준이 높은사람들은 부정 정서강도 수준에 상관없이 적응적 방략을 자주 사용하지만, 고통감내력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부정적인 정서를 강렬하게 느낄수록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부정 정서강도와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통감내력 수준이 적응적 방략의 사용에 강력한 영향을 미침을 의미하며, 고통감내력을 증진하는 개입을 통해 적응적 방략의 사용을 증가시킬 수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