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이 내담자와의 정서적 유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연구

        신재희,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 사회적 지지, 내담자와의 정서적 유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인애착 수준과 정서적 유대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 구 대상자 중 여자는 113명(94.2%), 남자는 7명(5.8%)이었으며, 연령은 30~39세 집단이 76명 (61.7%)으로 가장 많았다. 최종학력은 석사 학위 집단이 100명(83.3%)이며, 파트타임으로 근무 하는 치료사가 93명(77.5%)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연령에 따 라 정서적 유대에 차이가 있었고, 근무 기관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 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과 정서적 유대, 사회적 지지는 부적 상관관계, 정서적 유대와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은 내담자와 정서적 유대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사의 사회적 지지는 성인애착과 내담자와 정서적 유대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성인애착 수준과 내담자와의 정서적 유대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내담자와의 정서적 유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내담자와 정서적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ult attachment level of music therapist,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 of emotional bond with cli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music therapist's adult attachment level on clients and emotional bo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20 music therapists who are clinically active. Among those studied were 113(94.2%) women and 7(5.8%) men. The largest groups were the 30-39 age group(76 people, 61.7%), the master's degree group(100 people, 83.3%) and the part-time group(93 people, 77.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motional bond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music therapist,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the 'Working institution'. Second, music therapists' adult attachment levels, emotional bonds, and social support are negative correlations, emotional bonds and social support are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 level of adult attachment of music therapists has an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bonds with the client. Forth, The social support of music therapist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bond with cl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understand the social support that affects emotional bond with client. In addition, music therapists suggest ways to strengthen emotional bond with client.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적지지와 보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이진화,규규마,임진섭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적지지, 셀프리더십과 보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정서적지지와 보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보육교사 효능감 향상을 위해 필요한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대전과 세종 및 충청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현직 보육교사 310명을 임의표집하여 2020년 9월 15일부터 약 4주간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잠재변인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부트스트랩핑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적지지, 셀프리더십, 보육효능감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적지지는 셀프리더십을 예측하는 정적인 변인이었으나, 보육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셀프리더십은 보육효능감에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정서적지지가 보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셀프리더십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증진을 위해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각 개인별 특성과 셀프리더십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제공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동료 간 멘토링을 통한 리더십 개발과 정책적 차원에서의 셀프리더십 교육 기회 제공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한편 보육교사를 위한 정서적지지를 강화하기 위해서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서적지지 지원방안 마련의 필요성과 보육교사의 정서적 건강을 위한 상담 및 연수 제공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self-leadership, and childcare efficacy,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childcare efficacy. 310 childcare teachers in Daejeon, Sejong, and Chungcheong areas completed the self-report survey for about 4 week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self-leadership, and childcare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was a static variable predicting self-leadership, bu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hildcare efficacy. Also,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was a positive variable to affect the childcare efficacy.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Self-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childcare effica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each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self-leadership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for in service teachers' leadership development, peer-mentoring and self-leadership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strengthen emotion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the need to prepare customized emotional support measures for each life cycle and the provision of counseling and training for the emotion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내면적 정서노동과 원장의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

        심도현(Shim, Do-Hy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2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내면적 정서노동과 원장의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고자 A지역 보육교사 19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합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의 Hayes의 PROCESS Macro 3.5 버전의 모델 1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에 대해 내면적 정서노동과 원장의 정서적 지지는 유의미한 주효과를 나타내어 내면적 정서노동이 높을수록, 원장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를 많이 지각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에 대해 내면적 정서노동과 원장의 정서적 지지는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보육교사의 내면적 정서노동이 높은 집단에서는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에 원장의 정서적 지지의 영향이 작지만 보육교사의 내면적 정서노동이 낮은 집단의 경우 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높을 때 교사-유아간 정서적 상호작용은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은 보육교사의 내면적 정서노동이 낮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교사-유아 간 낮은 정서적 상호작용에서 교사에 대한 원장의 정서적 지지는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의 저하를 완충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의미있는 환경적 자원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92 childcare teachers in A Province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deep emotional labor and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on the teacher-child emotional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Hayes’ PROCESS Macro Model 1, with the use of SPSS Win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s of teachers’ deep emotional labour and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on teacher-child emotional interaction were observed. Teachers’ deep emotional labour and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child emotional interaction.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achers’ deep emotional labour and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on teacher-child emotional interaction were observed. In the group with high deep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has a small effect on teacher-child emotional interaction, but in the group with low deep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child emotional interaction increases significantly when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is high. This fact suggests that in the interaction that can occur when teachers’ deep emotional labour is low,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for teacher is a meaningful environmental resource that can buffer or mitigate teacher-child emotional interaction"s decline.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정서적 지지, 자기조절력,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박서윤 ( Park¸ Suhyeun ),장유진 ( Chang¸ Yu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교사, 부모, 또래의 정서적 지지, 자기조절력(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학생이 지각하는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자기조절력인 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이 매개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개교의 5, 6학년 4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25와 AMOS 22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또래의 정서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동기조절이 유의하게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을,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주관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또래지지는 주관적 안녕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모두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자기조절력의 하위변인 중 정서조절이 종속변인들(주관적 안녕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삶의 안녕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교사, 부모, 또래로부터 받는 정서적 지지의 차별적인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정서적 지지와 학생의 안녕감과 적응 사이를 매개하는 정서조절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four kinds of variables: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peers perceived by upper elementary students; students’ self-regulation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ubjective well-being;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students’ outcome variables(i.e.,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are mediated by their self-regulation(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473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using SPSS 25 and AMOS 22 to analyze the dat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regul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emotional, behavior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each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s’ support and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Third, emotional regul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 of peer support to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directly predicted school adjustment, and that from peers directly predicted both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Meanwhile, among sub-variables of self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affecting dependent variable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The findings indicate the significant role of emotional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peers in making students feel well-being and happiness, and lead positive school life. The results also show the importance of emotional regulation mediating the relations of emotional support to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정서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관계성을 통한 진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남태현,이희경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and to examine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authenticity through relatedness. For the study, 424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including measures of emotional support, meaning in life, authenticity, and relatednes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meaning in life, emotional support, authenticity, and related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was partially mediated by authenticity. Third, related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authentici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authenticity was moderated by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meaning in life. Finall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적 지지와 삶의 의미 간의 관계를 진정성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서적 지지와 삶의 의미 사이에서 관계성을 통한 진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424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지지와 삶의 의미, 진정성과 관계성을 측정하였고, SPSS 21.0과 SPSS 매크로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삶의 의미, 정서적 지지, 진정성, 관계성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정서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진정성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셋째, 정서적 지지와 진정성 사이에서 관계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넷째,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결과, 정서적 지지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경로에서 진정성이 매개변인 역할을 하며, 정서적 지지와 진정성의 관계가 관계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계욱(金桂煜),김용민(金容民) 경인행정학회 2016 한국정책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로 구분하고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지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분석 결과, 프로그램 요인, 정서적 지지, 도구적 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요인은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인 프로그램 요인이 정서적 지지를 통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서적 지지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요컨대 종속변인에 대한 매개변인의 영향력이 유의미하면서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도 유의미한 경우이므로, 정서적 지지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 프로그램 요인이 도구적 지지를 통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고, 도구적 지지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종속변인에 대한 매개변인의 영향력이 유의하면서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도 유의한 경우이므로, 도구적 지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 우울의 보호요인 탐색

        송수정(Song, Soo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양부모 및 한부모 가족 아동의 우울에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지역사회 지지가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과제인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Ⅰ’ 데이터의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2,883명을 대상으로 양부모 및 한부모 가족 아동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아동의 우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지역사회 지지가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가족구조가 아동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지역사회 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결과는 첫째, 한부모 가족 아동의 우울 수준이 양부모 가족 아동의 우울 수준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지역사회 지지 요인 모두 양부모 및 한부모 가족 아동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부모 가족 아동의 경우 부모의 정서적 지지 요인이 한부모 가족 아동의 경우 지역사회 지지 요인이 아동의 우울을 더 높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한부모 가족 아동의 우울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하였으나 지역사회 지지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언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on child depression, in the context of family structure. To this end, data from 2,883 children were taken from the research into the promotion policie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2011)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was then used for the purposes of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point of depression of single parent family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from non single parent families (nuclear families). Second,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on levels in childre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ucture and depression levels in children was moderated not by parental emotional support but largely through community support.

      • KCI등재후보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적 지지가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Jung Mi Park),정남운(Nam Woon Chung) 한국심리치료학회 2018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20 세에서 65 세 연령의 성인 남녀 400 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TMMS), 정서표현 척도(EES), 정서적지지 척도(Social Support Scale Ⅱ), 수용-행동 질문 지(AAQ-Ⅱ)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 정서적지지, 심리 적 수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스트랩(bootstrap) 기 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 식명확성은 정서표현, 정서적지지, 심리적 수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정서표현은 정서적 지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정서적 지지는 심리적 수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 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의 부적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정서인 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heck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For this research, samples of 400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20 years to 65 years in all parts of Korea were asked to complete the Trait Meta-Mood Scale (TMMS),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EES), Social Support Scale Ⅱ,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 (AAQ-Ⅱ).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for emotional clarity,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was tested by using bootstra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acceptanc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acceptance. Third,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negative partial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Fourth.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support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stud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령자의 건강과 정서적 지지

        윤가현 한국노년학연구회 2012 한국 노년학연구 Vol.21 No.-

        성공적인 노화란 질병이나 장애가 없는 상태의 유지하고, 인지적 및 신체적 기능도 유지하며, 그리고 삶에서의 관계를 지속시키 는 일이다. 그러나 대다수 고령자들은 나이가 들면서 여러 가지 상 실의 경험이나 신체 건강의 약화 등으로 인하여 사회적 관계가 감 소하게 되고, 또 힘든 상황을 자주 겪으면서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 하거나 받게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령자가 건강을 유지하거나 또 질병의 상태로부터 회복함에 있어서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유지가 어느 정도 중요한지를 정서적 지지(emotional support)에 초점을 맞 추면서 논하였다. 구체적으로 본고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와 기능,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 배우자와 같은 지지의 기본적 근원 의 상실, 지지의 양과 질의 관련성, 지지의 지각 및 지지 제공자에 대한 평가, 지지가 전달된 맥락 효과, 건강의 상실이 지지 제공자인 배우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논하였으며, 후반부에는 정서적 지지를 측정하는 다양한 관점을 서술하였다.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encompasses the avoidance of disease and disability, the maintenance of high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and sustained engagement in social and productive activities. However, social relations for most of older people are getting weaker owing to experiencing a variety of lossess and unhealthiness as the time goes on, and thus they need some help from someone and receive the help.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maintaining the social relations, while focusing on emotional support, for the older people in staying healthy as well as recovering their health.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effect of losing a primary source of social support (spouse), quantity and quality of social suppor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o on were concretely discussed in this article. It was mentioned how to measure emotional support in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 KCI등재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계육,김용민 한국정책개발학회 2016 정책개발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로 구분하고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지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분석 결과, 프로그램 요인, 정서적 지지, 도구적 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요인은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인 프로그램 요인이 정서적 지지를 통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서적 지지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 다. 요컨대 종속변인에 대한 매개변인의 영향력이 유의미하면서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도 유의미한 경우이므로, 정서적 지지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 프로그램 요인이 도구적 지지를 통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프로그램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고, 도구적 지지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종속변인에 대한 매개변인의 영향력이 유의하면서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도 유의한 경우 이므로, 도구적 지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