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서적, 규범적, 타산적 조직 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 변수간의 관계

        김원형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4 社會科學論文集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정서적, 규범적, 타산적 몰입이 어떠한 선행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지와 직무 관여, 수행, 이직 의도와 같은 조직 결과 변수에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인과 모형을 고찰함으로서 조직 몰입의 세 성분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정서적, 규범적, 타산적 몰입의 선행 변수와 결과 변수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대기업 사원1420 명을 대상으로 중다 회귀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직무 만족, 동료 만족, 직무 도전성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 둘 다에 영향을 미치고있었으며 임금 만족, 상사만족, 절차 공정성은 정서적 몰입에, 인력 개발 효용성은 규범적 몰입에 독자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반해 타산적 몰입에는 임금 만족만이 정적 영향력을 가진 반면 직무 만족, 동료 만족, 직무 도전성, 절차 공정성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직무 관여와 수행에는 정적 영향력을 가진 반면 타산적 몰입은 직무 관여와 수행 모두에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예언대로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반면 타산적 몰입에 이직 의도를 증가시키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경영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에서 제시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경희(Kyoung-Hee Shim),부성숙(Sung-Sook Pu)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의 중요성 및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경력몰입, 조직몰입은 모두 중간 점수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에 대해 약 20.1%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자신을 동기화하기, 자신의 정서 인식하기 순으로 경력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조직몰입에 대해 14.2%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자신을 동기화하기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y-care teachers on their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y-care teachers. Two hundred and thre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Suwon-si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escrip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y-care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career commitmen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motivating oneself and knowing one’s emot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commitment.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y-care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motivating oneself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commitment.

      • KCI등재

        조직지원인식과 직장 내 일탈행동의 관계: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기반 자긍심의 조절효과

        오아라,박경규,용현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조직지원인식이 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조직지원인식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서적 몰입이 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조직 일탈행동, 대인관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조직지원인식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역할을 밝히고, 정서적 몰입과 일탈행동 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조절변수로 조직기반 자긍심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업체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252부를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지원인식과 정서적 몰입 간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조직지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몰입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에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몰입이 구성원의 조직 일탈행동 및 대인관계 일탈행동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셋째, 조직지원인식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서적 몰입과 대인관계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선행요인임을 검증함으로써 조직지원인식을 정서적 몰입의 발생 동기로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을 통해 발생한 정서적 몰입이 구성원의 직장 내 일탈행동을 감소시키는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조직이 구성원들의 기여와 가치를 인정하고 이들의 복지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도록 노력을 촉구하는 한편 이에 부응하는 조직문화를 구축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조직지원인식이 구성원의 조직 및 구성원에 대한 부정적인 행동의 감소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실증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정서지능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중견기업 이상 사무직 중심으로

        김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사무직 근로자의 정서지능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설문조사를 통해 중견기업 이상에서 종사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으며 SPSS 21.0과 PROCESS Macro v4.0을 사용하여 최종 4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적 조직몰입과 정적 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정서적조직몰입에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지능과 정서적 조직몰입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사무직 근로자의 정서지능이 직무스트레스를 저감시키며, 정서적 조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서지능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정서지능이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경력성장기회와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송미희(MiHee Song),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경력몰입, 정서적 조직몰입, 경력성장기회 및 코칭리더십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와 코칭리더십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60대 대기업 집단(민단집단기준)에 재직하고 있는 다양한 직급과 연령의 근로자 3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몰입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경력몰입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에 대한 코칭리더십의 조절된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구간을 90%로 설정했을 때 경력몰입, 경력성장기회 및 코칭리더십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유의성 영역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몰입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조절변인으로서 경력성장기회가 근로자의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은 결론에서 다루었다.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n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in the impact of career commitment on affective commitment. We gathered data surveying 334 office workers of various job positions in different type of large compan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career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growth opportunitie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Third,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 significance area was found in which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areer commitmen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nd coaching leadership appeared at 90% confidence interval.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career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or workers of large domestic companies. It also showed the possibility that career growth opportunities as a moderating variable can improve affective commitmen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신뢰와 만족이 정서적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계산적 몰입의 조절효과 -

        권태윤,박성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0 마케팅논집 Vol.18 No.4

        몰입은 B2C 관계에서 많이 연구되는 변수 중의 하나이며, 연구자들은 고객충성도의 주된 선행변수로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충성도를 구축하는데 있어 은행서비스 상황에서 역할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몰입을 두 가지 구성 개념 즉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으로 구성한다. 본 논문은 신뢰와 만족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 몰입과 고객 충성도 간에 긍정적 관계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전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계산적 몰입을 조절변수로 포함하였다. 254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AMOS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신뢰와 만족은 정서적 몰입의 중요한 선행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정서적 몰입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몰입과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계산적 몰입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mitmen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studied variables in relationship marketing and several researchers propose it is the main antecedent of customer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alculative commitment in creating customer loyalty. Commitment is consist of two constructs(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ative commitment).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trust and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Additionally this paper assumed a positive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on customer loyalty. Fin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nclude calculative commitment as moderator in our model. Data from a survey of 254 customers of banking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program. Result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Trust and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antecedent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positively influences customer loyal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calculative commitment was also support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offe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습몰입과의 관계

        권영란․이재신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2 한국교육논총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고학년(5, 6학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학습몰입과의 관계를 검증하여 학생들의 학습몰입 및 학업 전반에 걸친 적응을 돕고, 더 나아가 초등학생 고학년들이 궁극적으로 가정과 학교에서 정서적으로, 학업적으로 적응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청주지역 S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98명을 연구대상으로 정서조절능력, 학습몰입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습몰입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은 학습몰입의 61.8%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기정서이용(β=.497, p<.001)이 학습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타인정서인식 및 또래관계(β=.260, p<.001), 교사와의 관계(β=.173, p<.001) 순이었다.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와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이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정서조절능력과 조금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은 인지적 몰입(r=.777, p<.01)이었으며, 설명력에 있어서도 인지적 몰입(62.9%)이 정의적 몰입(57.7%)보다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임혜원(Lim, Hye-Woun),장영숙(Jang, Young-Sook)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정서노동, 자아탄력성, 교수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obel Test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 및 교수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과 교수몰입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 정서노동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중 유아에 의한 정서노동은 교수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중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이 교수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 본 결과 매개변인인 자아탄력성은 독립변인인 정서노동과 종속변인인 교수몰입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감소시키고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eaching flow of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were 251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o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 24.0 for IB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by a Sobel 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variables, i.e. emotional labor, ego resilience, teaching flow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the emotional labor of day care center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teaching flow, accounting for 5.0% of the total variance. The ego-resilienc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teaching flow, amounting to 32.0% of the total variance. Third, there w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of the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teaching flow. Thes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come up with effective ways to decrease the emotional labor and to increase the ego-resilie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teaching flow.

      •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 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연구

        노수림(Noh, Soo Rim),배성아(Bae, S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서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학습몰입이 정서지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시, C시, S시 소재 대학교 각각 한곳에 재학 중인 28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서지능,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인 정서활용과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구체적 피드백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중 학업적응과 가장 큰 상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지능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대학생 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여학생 집단과 고학년 집단은 전체집단과 동일하게 정서지능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정서지능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효과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서지능은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습몰입은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매개하는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을 계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또한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과 학교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college adaptation,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284 undergraduate students (103 males, 181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and learning flow and college adaptation. Moreover, among the sub-scales, use of emo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unambiguous feedback of learning flow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adapt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learning flow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ollege adaptation. Comparing by gender, learning flow was a mediator in the link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the case of female. Comparing by grade, leaning flow showe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the case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us, emotional intelligence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college adaptation,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learning flow.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within universities for programs that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at administrators and faculties should focus on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learning flow.

      • KCI등재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몰입의 매개효과

        하현주,권석만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4

        본 연구는 타인의 기쁨과 고통에 관심을 지니고 공감하며 지지를 제공하는 자비(慈悲, compassion)의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자비와 정서전염의 관계에 마음챙김과 자기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남녀 성인에게서 정서전염, 자기몰입, 자비, 마음챙김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서전염과 자비,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자기몰입과 다른 변인들 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자기몰입은 부정 정서전염과 정적 상관을, 자비, 마음챙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마음챙김이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몰입은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매개하여 정서전염에서 자비로 가는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전염을 긍정 정서전염과 부정 정서전염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긍정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하며, 부정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자기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서전염이라는 현상 속에서 자기몰입이 자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부정적 정서전염 상태에서는 마음챙김과 자비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으므로 자기몰입에 대한 개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근거로 향후 자비와 마음챙김을 활용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자기몰입을 줄이기 위한 체험적 탈자기참조적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ndfulness and self-absorption through emotional contagion on compassion,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mpassion that cares, empathizes, and provides support for other’s joy and distress. The level of emotional contagion, self-absorption, compassion, and mindfulness was measured in 300 adults, and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es were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contagion, mindfulness, and compassion.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absorption and the others. Convers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absorption and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mpassion and mindfulness. Second, mindfulness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Additionally, self-absorption sup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The results of dividing emotional contagion in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mediated by mindful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mediated by self-absor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elf-absorption is a factor that suppresses compassion amid the phenomenon of emotional contagion. It also revealed that intervention in self-absorption needs to precede to facilitate compassion, otherwise it is not easy to lead to mindfulness and compassion in a state of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 reducing self-absorption through the experiential selfless proces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