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작용공정성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변화자기효능감과 창의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승현(Moon, Seung Hyun),조윤형(Cho, Yoon Hyu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3

        불확실성이 높아진 조직환경에서 조직구성원들의 발언행동은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발언행동에 대한 상호작용공정성(대인관계, 정보적)의 영향력의 경우 사회적인지이론(Bandura, 1989, 1997)을 토대로 변화자기효능감, 창의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광주광역시 중소기업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응답원을 달리 하였으며 총 25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공정성은 발언행동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적공정성은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인관계공정성은 변화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창의자기효능감에는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정보적공정성은 변화자기효능감, 창의자기효능감 모두에 정(+)의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변화자기효능감과 창의자기효능감 모두 발언행동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공정성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변화자기효능감이 매개하고 있었다. 정보적공정성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는 변화자기효능감, 창의자기효능감 모두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구성원들의 발언행동이 대인관계 공정성은 변화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적 공정성은 변화자기효능감, 창의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상호작용공정성의 의미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지이론의 적용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Based on interactional justice(interpersonal, informational) theory(Colquitt, 2001), interpersonal justice reflect the degree to which employee are treated with politeness, dignity and respect by authorities and informational justice focus on the explanation provided to employee that convey information about why procedures were used in a certain way or why outcomes were distributed in a certain fashion. This study focus on social cognitive theory(Bandura, 1997), we set the domain specific self-efficacy reflect the change and creative, such as change self-efficacy, creative self-efficacy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After literature review, we build up theoretical variables relationship and propose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survey method were performed. To overcome common method bias problem, we conduct multi-source respond by employees and supervisor and total 257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justice positive impact on voice behavior. Second, interpersonal justice positive impact on change self-efficacy however, informational justice have positive impact on both of change self-efficacy and creative self-efficacy. Third, change self-efficacy and creative self-efficacy have positive impact on voice behavior. Finally, change self-efficacy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and change self-efficacy and creative self-efficacy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Our results show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hich amplify the employees voice behavior, interactional justice is more important and clarify the justice-voice behavior connection. Specially, change and creative self-efficacy was mediate of the informati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 KCI등재

        상호작용공정성과 발언행동과의 관계 :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윤형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2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5 No.3

        “Positive voice,” that is, expressing change‐oriented ideas, opinions, and suggestions intended to improve the situation at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to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interpersonal justice, informational justice),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regulatory focus(promotion, prevention: Higgins, 1998) and voice behavior. The interactional justice based on Colquitt(2001). Interpersonal justice defined employee are treated by dignity, politeness, and respect by authorities. Informational justice defined that information about procedures were used. OBSE defined employee’s self-perceived value as a member of a specific organization reflects the extent to which an believes him/herself to be significant, capable and worth.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is concerned with advancement, growth, and accomplishment and the strategic inclination is to make progress by matches to the desired end-state. In contrast, prevention focus is concerned with security, safety, responsibility and the strategic inclination is to be prudent and precautionary and avoid mismatches to the desired end-state. This study focus on mediate effect of OBSE and moderate effect of regulator focus. Finally, examine the moderate mediation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of relationship. After literature review, set the theoretical variables relationship and proposed hypothesis of mediate, moderat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o examine the hypothesis, collected questionnaires and used SPSS and Process Macro. To avoid common method bias, using multi-source respond by supervisor and employees. Total 348 questionnaires a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of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have positive impact on voice behavior. Second,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have positive impact on OBSE. Third, OBSE have positive impact on voice behavior. Fourth, OBSE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informati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Fifth, promotion focus moderate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OBSE. However, does not significantly modeate between informational justice and OBSE. prevention focus moderate between interpersonal, informational justice and OBSE. More sepecially, if high on prevention focus, informational justice and OBSE of positively relationship are greater than low on prevention focus. The result show that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enhance the employees’ voice behavior. Moerover, OBSE of mediation role reflected how to interactional justice lead to voice behavior and Regulatory focus of moderate role reflected context of interactional justice effect.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과 발언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상호작용공정성은 대인관계 및 정보적공정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하였다. 문헌검토를 통해 매개, 조절 및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광주, 전남 및 수도권 소재 대기업과 중소 및 중견기업에서 근무하는 조직구성원들을 표본으로 설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동일방법편의 방지를 위해 응답원을 상사와 조직구성원들로 구분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348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인관계공정성은 발언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정보적공정성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대인관계 및 정보적 공정성은 조직기반자긍심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 및 정보적공정성과 발언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초점 중 향상초점은 대인관계공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과의 정(+)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즉, 향상초점이 높은 경우 대인관계공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과의 정(+)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고 있었다. 반면에 정보적공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예방초점은 대인관계 및 정보적공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의 관계를 모두 조절하고 있었다. 조절의 방향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대인관계공정성이 조직기반자긍심에 미치는 정(+)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이 낮은 경우 더욱 강화되고 있는 반면에 정보적공정성이 조직기반자긍심에 미치는 정(+)의 관계에서는 예방초점이 높은 경우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는 대인관계공정성과 발언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향상초점으로 조절된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과 발언행동, 조직기반자긍심, 조절초점에 대한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장애인 메가 스포츠에 대한 인식이 향후 미디어 정보적⋅인지적⋅참여적 관여에 미치는 영향

        윤석민,김경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장애인 메가 스포츠에 대한 공동체적 인식, 스포츠적 인식, 사회복지적 인식, 문화적 인식이 장애인 메가 스포츠의 미디어 정보적 관여, 인지적 관여 및 참여적 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장애인 메가 스포츠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 총 298명을 대상으로 스페셜올림 픽에 대한 인식이 향후 스페셜올림픽 관여에 미치는 영향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장애인 메가 스포츠에 대한 인식이 향후 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위한 SPSS 21.0 version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장애인 메가 스포츠에 대한 사회복지적 인식이 미디어 정보적 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메가 스포츠에 대한 공동체적 인식 및 문화적 인식이 인지적 관여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메가 스포츠 이벤 트에 대한 사회복지적 인식이 참여적 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community perception, sport perception, social welfare perception, and cultural perception for mega-sports for the disabled on media information involvement, cognitive involvement, and participative involvement in mega-sports for the disabl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about the impact on future participation in Special Olympics on the awareness of Special Olympics was modified to used the study and 298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used SPSS 21.0 version for Windows program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mpact on future participation in mega-sports for the disabled on the awareness of mega-sports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first, social welfare perception of the mega-sports for the disabled has a positive effect on media information involvement. Second, the influence of community and cultural perception on the cognitive involvement of the mega-sports for the disabled was positive. Third, social welfare perception of the mega-sports for the disabled has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ory involvement.

      • KCI등재

        제품포장의 정보적/시각적 요인이 제품의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

        주선희(Ju, Seon-Hee),구동모(Koo, Dong-Mo) 한국산업경영학회 2015 경영연구 Vol.30 No.4

        소비자들은 포장을 통해 제품을 처음 접하게 되면서 제품의 첫인상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비자들이 구매의사결정을 내릴 때 중요한 결정적 요인이 된다. 또한 포장은 소비자의 눈길을 끄는 컬러와 형태로 제품을 돋보이게 하는 역할과 제품에 대한 내부 정보를 상세히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간편가정식 제품의 포장은 소비자에게 제품정보 전달경로가 될 수 있으며, 시각 적 표현을 통해 소비자가 이미지화하여 지각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간편가정식을 대상 으로 제품 포장의 시각적 요인과 정보적 요인이 소비자의 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소비자의 제품 가치지각이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구매 후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 구하였다. 연구결과, 포장의 시각적 요인의 크기는 소비자의 감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컬러는 감정적 가치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적 가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의 정보적 요인의 가격과 사용방법은 감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가 감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지각하면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구매의도를 가진 소비자의 경우 만족을 느끼는 경우가 높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포장의 시각적 요인이 소비자가 실제 제품에 대한 가치를 지각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컬러조합이나 포장의 크기가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가치지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Packaging for a product is more than a mere medium of protection, storage and advertisement. Packaging of their products would have to posit that industry believes packaging to have substantial influence on consumer purchase decision and product experience. But the packaging may actually be visible before or during the purchase decision for a large number of purchase situations. Packaging of Product impacts product perceptions. Especially, Food product’s packaging include many informations and express imagery. Nowdays, as the HRM(home meal replacement) is diversified and the sales volume is rapidly increasing, companies release new food brands continuously. Interests in HRM is getting higher, since it saves time of busy people and the sharp increase of single household, accordingly, the consumers' tendency of pursuing convenience is getting stronger. Customer get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through the packaging and judge the product’ packaging visual factor and informational factor in the purchase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Packaging’s informational factor and visual factor on perceived value and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study model,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in the university in Dae-gu, on the college students in their age of 20s~30s, and collected 300 questionnaires, and verified the hypothesis by using SPSS 21.0, LISREL 8.7. As the result of the study, Visual factor of Product’s packaging, Size positively influence on emotional value, economic value. And Color positively influence on emotional value, on the other hand Color no meaningful influence on economic value. Informational factor of Product’s packaging, Price h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emotional value and economic value. And the emotional value positively influences on purchase intention. And the economic value also significantly affects on purchase intention. Also,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MTB동호인이 지각하는 집단응집력과 대인민감성, 해외유명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이광수 ( Kwang Soo Lee ),정정희 ( Jung Hee J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4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impact of self-recognized group cohesiveness and interpersonal susceptibility (normative interpersonal susceptibility and informative interpersonal susceptibility) on mountain bikers’ attitude toward name brand and purchase inten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s surveyed 217 mountain bikers in six mountain bikers’ clubs in Chungcheong-do province area in South Korea.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SPSSWIN version 21.0 and AMOS 18.0 were utiliz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group cohesive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bikers’ normative and informative interpersonal susceptibility. Second, normative and informative interpersonal suscept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name brand. Third, normative interpersonal susceptibility did not positively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 but informative interpersonal susceptibility did. Fourth, attitude toward name brand positively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 이 연구의 목적은 MTB 동호인이 지각하는 집단응집력과 대인민감성(규범적대인민감성, 정보적대인민감성)과 유명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에 소재한 6곳의 MTB 동호회원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안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WIN Ver. 21.0과 AMOS 18.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집단응집력은 규범적대인민감성과 정보적대인민감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규범적대인민감성과 정보적대인민감성은 유명브랜드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규범적대인민감성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정보적대인 민감성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유명브랜드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상호작용공정성,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 조직비전 인식과의 관계

        조윤형 ( Yoon Hyung Cho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비전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호작용공정성은 중요한 연구주제로서 상호작용공정성의 영향력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어떠한 상황적 조건에서 의미가 있는 지를 밝히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상호작용공정성은 Colquitt(2001), Colquitt & Rodell(2011) 등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대인관계공정성과 정보적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의 설정은 주효과 가설과 조절효과 가설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공정성 중 정보적공정성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공정성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조직비전 인식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비전 인식은 대인관계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정보적공정성은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혁신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조직비전 인식이 높은 경우에는 조직비전 인식이 낮은 경우에 비해 대인관계공정성이 높을수록 더욱 혁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조직비전이 명료하며 이를 조직구성원들이 잘 공유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대인관계공정성의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확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에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직비전 인식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조직비전을 조직구성원들에게 공유시키고 명료하게 제시하는 것이 대인관계공정성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 낸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lso verify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those of variables. based on the Colquitt(2001), organizational justice consists of 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focus on interactional justice, formulate direct effect hypothesis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e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otal 282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al justice have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however, interpersonal justice have not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have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ird,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have moderating role of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nformational justice is important determinant variable for leading to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lso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amplifies to enhanc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finally if high on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employees feel that vision has been fully articulated and shared, then vision will be likely more motivated to engage in employees`` innovative activities for interpersonal justice that coincide with the visionary direction. it means company emphasis on communicating and building consensus about the vision will be necessary condition of interpersonal justice to increas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 상호작용공정성, 심리적 주인의식과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과의 관계

        조윤형(Cho, Yoon-Hyung),두주(Du, Zhou)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중국기업을 대상으로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과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중국기업들이 처한 공정성, 혁신, 일탈행동 이슈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 기업은 중국 북경, 상해, 절강성, 강수성에 위치하고 있는 중국 국유기업, 사업기관, 민간기업, 외자기업/중외합자기업 등 42개 기업이며 총 305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 공정성 중 대인관계공정성은 직장내 일탈행동을 감소시키고 있었지만 혁신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적공정성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장내 일탈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보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심리적 주인의식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으며,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공정성이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기업에서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과 직장내 일탈행동에 중요한 선행변수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호작용공정성을 확보하려는 여러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론적으로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employees’ innovative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more specially psychological ownership mediates relationship between those at Chinese business context. this was theoretical and Impracticable explain of the current Chinese companies faced into fairness, innovation and deviant behavior issue. based on the justice research(Colquitt, 2001 etc), interactional justice divided into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otal 305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justice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but doesn’t significant impacts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informational justic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but doesn’t significant impacts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third, psychological ownership partially mediate between inform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workplace deviant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meaning for interactional justice critical determinants of innovative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at Chinese companies and more specially reflected informational justice leading to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decreasing workplace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ownership.

      • KCI등재

        상호작용공정성, 심리적 주인의식과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과의 관계

        조윤형(Cho, Yoon Hyung),두주(Du, Zhou)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중국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과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기업들이 처한 공정성, 혁신, 일탈행동 이슈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변수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후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 기업 북경, 상해, 절강성, 강수성에 위치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업유형은 국유기업, 사업기관, 민간기업, 외자기업/중외합자기업 등이다. 총 42개 기업에서 응답한 305부의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공정성 중 대인관계공정성은 직장내 일탈행동을 감소시키고 있었지만 혁신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적 공정성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장내 일탈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보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심리적 주인의식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으며,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공정성이 혁신행동, 직장내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기업에서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과 직장내 일탈행동에 중요한 선행변수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호작용공정성을 확보하려는 여러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론적으로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의미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high levels of interactional justice could foster a sense of psychological ownership that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novative behavior,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workplace deviant behavior at Chinese business context. Based on justice theory(Colquitt, 2001 etc), interactional justice has come to be seen as consisting of two specific types of interpersonal treatment. Interpersonal justice reflect the degree to which employee are treated with politeness, dignity and respect by authorities. Informational justice focus on the explanation provided to employee that convey information about why procedures were used in a certain way or why outcomes were distributed in a certain fashion. Psychological ownership was innately human, meaning that, when left alone, the natural cognitive-affective process for a person will conclude in some kind of feelings of ownership toward a target. After literature review, we conceptually build up all theoretical variables relationship and proposed main eff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survey method were performed. total 305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justice negatively effect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Second, informational justice positively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nally, psychological ownership partially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al justice and innovative, workplace deviant behavior. Our results illustrate the several benefits that arise from continuing to clarify the justice-ownership connection. Specifically, we reveale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was mediate of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al justice-innovative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relationship especially relative to the attention paid to other beneficial behavioral outcomes in the justice literature, such as OCB, cooper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tc. Also we provide understanding exactly why interactional justice is associated with innovative, workplace deviant behaviors because it may foster a sense of psychological ownership that has its own unique meanings.

      • KCI등재
      • KCI등재

        신종자본증권(Hybrid Instrument) 분류에 대한 정보적?측정적?경제적 파급효과 접근(금융부채 vs 지분상품)

        권수영 ( Soo Young Kwon ),황유선 ( Yoo Sun Hwang ) 한국회계학회 2013 회계저널 Vol.22 No.6

        두산인프라코어는 2012년 10월 국내 일반기업으로는 최초로 5억 달러 규모의 풋옵션 조건부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였다. 신종자본증권은 이자를 지급하지만 주식처럼 만기가 없으면서도 매매가 가능해 채권과 주식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제회계기준(IFRS)은 신종자본증권이 자본의 조건을 충족할 때 자본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이러한 신종자본증권의 회계처리에 대하여 여러 이해관계자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신종자본증권 분류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내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두산인프라코어는 신종자본증권 전액을 자본으로 분류하여 2012년 재무제표를 공시하였다. In October 2012, Doosan Infracore issued a $ 500 million hybrid instrument in oversea markets. Hybrid instrument is considered a bond because it pays out a coupon regularly. But it is also a type of equity because it doesn`t have a maturity date and it can be traded in the market. Hybrid instrument hold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debt and equity, while hybrid instrument can be classified as equity in the accounting standard. However, there has been the controversy over whether Doosan Infracore`s hybrid instrument can be treated as equity in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