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靖國原從功臣錄券』의 書誌的 硏究

        진나영,송일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4

        『정국원종공신녹권(靖國原從功臣錄券)』은 중종이 1507년 연산군을 폐위하고 중종반정에 힘쓴 신하들을 정국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현존하는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인출된 『정국원종공신녹권』 2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그들의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삭적된 흔적이 있어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국원종공신녹권』은 초주갑인자의 금속활자본으로 크게 권수(卷首)․본문(本文)․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432종의 직함에 모두 3,340명(1등 418명, 2등 1,016명, 3등 1,906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그들의 직함과 성명이 기술되었으며 1등원종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과 3등에 비해 높았으며 문관이 무관에 비해 많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을 4종의 신분(身分)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신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양반 2,376명, 중인 494명, 양인 272명, 천인 198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양반이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Jeong-Kuk Wonjong Gongsin-Nokgwon(靖國原從功臣錄券) is a book that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helped the King Jung-Jong's revolu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isting two books of Jeong-Kuk Wonjong Gongsin-Nokgw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The result shows that, Jeong-Kuk Wonjong Gongsin-Nokgwon was printed with the Choju-Gapin(初鑄甲寅) letter metal movable types. This book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 the body(本文), and the end(卷末). Jeong-Kuk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3,340 persons(1st grade: 418 persons, 2nd grade: 1,016 persons, 3rd grade: 1,906 persons) with 432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social status confirmed that 2,376 persons were “Yang-ban(兩班)”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2,376 persons: 71.1%), “Jung-in(中人)” were second group(494 persons: 14.8%), “Yang-in(良人)” were 272 persons(8.2%) and “Chun-in(賤人)” were 198 persons(5.9%).

      • KCI등재

        중종반정 핵심 주동자들과 반정 경위에 대한 검토

        송웅섭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2

        This is a study of the plan makers of the king Jungjong’s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and its progres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and the political forces in the early days of King Jungjong. The king Jungjong’s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was driven around the three-leader and the armed forces who were close to them. They caused the incident in a state of uneasiness, which could not guarantee the safety of the senior officials after the gabja-sahwa. The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were completed in approximately less than a day from the training center meeting to the coronation ceremony of King Jungjong. No military clashes occurred during the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process. Many incumbent officials have joined the anti-government forces.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appointed to the jeonggug-gongsin. As many as 117 in total were appointed to the jeonggug-gongsin. However, the excessive appointment meant that the cohesion among the the jeonggug-gongsin was weak. By the eigh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it was no longer possible for the gongsin to wield influence as an independent force. This is because most of the key gongsins have died and a generational shift in senior officials has been made.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the king and ordinary officials was magnified, particularly by the cheong-yojig. Cho Kwang-jo's entry into government service came under these very circumstances. 본고는 중종반정의 핵심 주동자들과 반정의 진행 과정을 천착하고, 궁극적으로는 중종 초반의 정치세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이다. 중종반정 주동자들은 박원종․유순정․성희안 삼대장과 신윤무․박영문․장정․홍경주 등의 모의 참여자들로, 모두 정국공신 1등에 책봉된 인사들이었다. 삼대장의 경우 정변을 함께 할 만큼 친분이 많지는 않았다. 하지만 연산군에 대한 개인적인 원한과 갑자사화 이후 조정 대신들의 안전마저 보장할 수 없는 불안 속에서 성희안이 연산군 축출에 대한 입장을 피력하자 반정이라는 대의 하에 결합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박원종과 친분을 갖고 있었던 신윤무 등의 무장들과 홍경주 등의 일부 문신이 반정 모의에 동참했다. 반정은 훈련원 회합(9월 1일 저녁)으로부터 중종의 즉위식이 거행되기까지(9월 2일 오후) 대략 하루가 채 못 되는 시간 안에 마무리되었다. 반정 과정에서 군사적 충돌은 확인되지 않으며, 현임 재상과 대신 상당수가 반정군에 합류했다. 합류자들 상당수가 정국공신으로 책봉되었고, 삼대장 등 주요 공신들의 인척까지 공신에 책봉되면서 117명이라는 대규모 공신 책봉이 이루어졌다. 과도한 책봉은 그만큼 정국공신들 사이의 응집력이 약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중종 초반의 정국은 표면적으로는 정국공신들의 영향력이 막강했던 것처럼 보였지만, 내부를 살펴보면 삼공신과 재상․대신으로 합류한 공신들이 관료조직 안에서 협력 관계를 이루고 있던 형국이었다. 그 결과 삼공신이 관료 집단 전반을 통제할 정도의 영향력을 확보하지는 못했으며, 재상․대신 출신의 공신들 역시 삼사의 탄핵에 노출되는 가운데 세대교체가 이루어지던 상황이었다. 결국 삼공신과 1등 공신들이 모두 死去하는 중종 8년 이후로 정국공신들은 더 이상 독자적인 세력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공신 그룹의 이 같은 태생적인 위약성으로 말미암아 중종 8년 이후의 정국은 조정 내에 주도 세력이 부재한 채 국왕과 일반 관료들의 비중이 보다 높아지는 형국이었다. 다만, 삼사로 대표되는 청요직들의 언론 활동 역시 한 층 더 활발해지며 영향력이 확대되어 갔다. 중종 10년 조광조의 진출은 바로 이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 중종 대 정국공신의 동향과 홍경주의 정치활동

        송웅섭 ( Song Woong-sup ) 한국계보연구회 2022 한국계보연구 Vol.12 No.-

        본고는 홍경주의 정치활동을 중종의 왕권과 연계해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홍경주는 중종반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고, 중종은 그런 홍경주를 꾸준히 지원했다. 홍경주는 정국공신 제1등에 책봉되었고 그의 딸은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 하지만 박원종 등 삼대장의 사망을 계기로 정국공신의 영향력은 약해졌고, 신윤무ㆍ박영문의 옥사는 그 같은 경향을 가속했다. 홍경주 역시 신윤무ㆍ박영문 옥사에 이름이 거론되며 정치활동이 주춤해지게 된다. 조광조를 신임했던 중종은 조광조 세력을 통제할 수 없는 권력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이들을 축출하기 위한 모의를 진행했다. 이때 홍경주는 정국공신 1등으로서, 그리고 후궁의 부친으로서 중종의 의중을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게 된다. 홍경주는 중종의 최측근으로서 남곤ㆍ심정과 같은 동조 세력을 규합하는 데 일조했고, 중종은 그에 힘입어 조광조 세력을 축출하는 데 성공했다. 중종의 복심을 전달하는 메신저, 이것이 기묘사화에서의 홍경주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to understand Hong Kyung-ju's political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King Jungjong's royal authority. Hong Kyung-ju played a key role in the process of the King Jungjong's rebellion. However, the death of the three generals, including Park Won-jong, weakened the influence of Jeonggukgongsin, including Hong Gyeong-ju. Meanwhile, King Jungjong, who trusted Jo Gwang-jo, recognized Jo Gwang-jo as an uncontrollable power. And they went on a conspiracy to oust them. At this time, Hong Gyeong-ju, as the closest aide to King Jungjong, helped to rally collaborators such as Nam Gon and Sim jeong. And thanks to him, King Jungjong succeeded in driving out the Jo Gwang-jo forces. This is Hong Kyung-ju's role in the Gimyosahwa, a messenger that conveys Jungjong's intentions.

      • KCI등재

        《新昌令推斷日記》를 통해서 본 中宗代 謀逆事件의 發生背景과 詔獄節次의 實態

        타나카 토시미츠(田中俊光) 한국법사학회 2010 法史學硏究 Vol.41 No.-

        《신창령추단일기》는 중종 4년(1509) 10월 28일 및 29일 이틀간에 걸쳐 열린 역모사건 신문의 전말을 충재 권벌(1478~1548)이 기록한 일기이다. 본고는 이 사료를 중심으로 중종대 조옥 절차 및 사건이 발생한 사회적 배경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역모사건의 고발은 승정원에서 이를 접수하여 바로 왕에게 전달되었다. 조옥은 왕의 지휘 밑에서 운영되며, 추관의 선정 및 왕의 친문 여부 등은 왕 스스로가 결정하였다. 피고인을 체포하는 담당관은 피고인의 신분에 따라 구별되었으나, 체포자의 인수 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결정되었다. 피고인에 대한 신문은 번갈아 실시되었고, 먼저 말로만 물었는데(평문), 피고인이 정상을 숨긴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형신을 가하여(형문) 자백을 얻었다. 또, 복수의 피고인의 공술내용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는 당사자끼리 대질시켜(면질)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였다. 신문이 일단락되면 반드시 공술내용이 틀림없음을 공술자에게서 다짐받았다. 신문을 통하여 진상이 밝혀졌다고 판단되면 그 결과를 총괄하여 왕에게 보고하였다. 그 후 범죄행위에 해당되는 죄목과 법정형을 적시하는 절차를 거쳐 죄수에 대한 행형, 공로자에 대한 보상으로 이어졌다. 신문은 공술내용뿐만 아니라, 피고인의 언동 등도 살피면서 신중하게 진행되었으나, 자백을 중시한 당시 신문방법에서는 혐의가 농후한데도 끝까지 자백을 하지 않는 자에 대한 대처 등 사건의 진정한 규명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중종대는 크고 작은 역모사건이 일어났는데, 그 원인은 정국공신 대상자의 선정이 적절하지 않았다는 불만에 있었다. ‘반정’을 명목으로 쿠데타를 일으킨 중종의 권위는 취약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공신이 되지 못한 자들이 ‘새로운’ 공신 자리를 노리고 종척 중 적당한 자를 내세워 쿠데타를 계획하였다. 중종은 잇따른 역모사건에 대하여 사건을 고발한 자에게 후하게 보상하는 대책을 취하였다. 그러나 취약한 왕권 밑에서는 오히려 그 높은 보상을 노려 사건을 무고하는 자가 속출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왕의 지휘 하에서 열린 역모사건 재판의 내용을 기록한 《신창령추단일기》에서는 단지 신창령과 그 주변 사람들이 일으킨 역모사건의 전말뿐만 아니라, 반정 끝에 공신이 되지 못한 자들이 공신을 선정한 대신들을 원망하고, 나아가서는 왕까지도 두려워하지 않는 자가 있었다는 당시 사회상의 일각을 엿볼 수 있다. Majority of conspiracies to treason occurred due to the high dissatisfaction with the selected meritorious retainers in the periods of Jungjong King. The authority of Jungjong King who had established a new regime through the coup d"etat was frail. Therefore, the person who had not been chosen as the meritorious retainer plotted the coup d"etat to be a new meritorious retainer. Jungjong King gave cordial awards to the people who reported conspiracy to treason plots that come one after another. However, as the authority of Jungjong King is weak, there wer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made false reports for the awar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yal criminal court procedure in the periods of Jungjong King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occurrence of the case through studying Sinchangnyeong Chudan Ilgi. Sinchangnyeong Chudan Ilgi by Gwon Beol (1478~1548) is a record of interrogations of a conspiracy to treason case occurred from October 28th to 29th in the year of 1509. The reason, background and the criminal court procedure of the Sinchangnyeong case are clarified. This study also establishes that Jungjong King never attained a strong authority because the people who had not been chosen as meritorious retainers had a grudge against the ministers responsible for the selection of meritorious retainers.

      • KCI등재

        ≪新昌令推斷日記≫를 통해서 본 中宗代 謀逆事件의 發生背景과 詔獄節次의 實態

        타나카 토시미쯔(田中俊光) 한국법사학회 2010 法史學硏究 Vol.41 No.-

        Majority of conspiracies to treason occurred due to the high dissatisfaction with the selected meritorious retainers in the periods of Jungjong King. The authority of Jungjong King who had established a new regime through the coup d’etat was frail. Therefore, the person who had not been chosen as the meritorious retainer plotted the coup d’etat to be a new meritorious retainer. Jungjong King gave cordial awards to the people who reported conspiracy to treason plots that come one after another. However, as the authority of Jungjong King is weak, there wer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made false reports for the award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yal criminal court procedure in the periods of Jungjong King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occurrence of the case through studying Sinchangnyeong Chudan Ilgi. Sinchangnyeong Chudan Ilgi by Gwon Beol (1478~1548) is a record of interrogations of a conspiracy to treason case occurred from October 28th to 29th in the year of 1509. The reason, background and the criminal court procedure of the Sinchangnyeong case are clarified. This study also establishes that Jungjong King never attained a strong authority because the people who had not been chosen as meritorious retainers had a grudge against the ministers responsible for the selection of meritorious retainers. ≪신창령추단일기≫는 중종 4년(1509) 10월 28일 및 29일 이틀간에 걸쳐 열린 역모사건 신문의 전말을 충재 권벌(1478~1548)이 기록한 일기이다. 본고는 이 사료를 중심으로 중종대 조옥 절차 및 사건이 발생한 사회적 배경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역모사건의 고발은 승정원에서 이를 접수하여 바로 왕에게 전달되었다. 조옥은 왕의 지휘 밑에서 운영되며, 추관의 선정 및 왕의 친문 여부 등은 왕 스스로가 결정하였다. 피고인을 체포하는 담당관은 피고인의 신분에 따라 구별되었으나, 체포자의 인수 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결정되었다. 피고인에 대한 신문은 번갈아 실시되었고, 먼저 말로만 물었는데(평문), 피고인이 정상을 숨긴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형신을 가하여(형문) 자백을 얻었다. 또, 복수의 피고인의 공술내용이 서로 어긋나는 경우는 당사자끼리 대질시켜(면질)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였다. 신문이 일단락되면 반드시 공술내용이 틀림없음을 공술자에게서 다짐받았다. 신문을 통하여 진상이 밝혀졌다고 판단되면 그 결과를 총괄하여 왕에게 보고하였다. 그 후 범죄행위에 해당되는 죄목과 법정형을 적시하는 절차를 거쳐 죄수에 대한 행형, 공로자에 대한 보상으로 이어졌다. 신문은 공술내용뿐만 아니라, 피고인의 언동 등도 살피면서 신중하게 진행되었으나, 자백을 중시한 당시 신문방법에서는 혐의가 농후한데도 끝까지 자백을 하지 않는 자에 대한 대처 등 사건의 진정한 규명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중종대는 크고 작은 역모사건이 일어났는데, 그 원인은 정국공신 대상자의 선정이 적절하지 않았다는 불만에 있었다. ‘반정’을 명목으로 쿠데타를 일으킨 중종의 권위는 취약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공신이 되지 못한 자들이 ‘새로운’ 공신 자리를 노리고 종척 중 적당한 자를 내세워 쿠데타를 계획하였다. 중종은 잇따른 역모사건에 대하여 사건을 고발한 자에게 후하게 보상하는 대책을 취하였다. 그러나 취약한 왕권 밑에서는 오히려 그 높은 보상을 노려 사건을 무고하는 자가 속출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왕의 지휘 하에서 열린 역모사건 재판의 내용을 기록한 ≪신창령추단일기≫에서는 단지 신창령과 그 주변 사람들이 일으킨 역모사건의 전말뿐만 아니라, 반정 끝에 공신이 되지 못한 자들이 공신을 선정한 대신들을 원망하고, 나아가서는 왕까지도 두려워하지 않는 자가 있었다는 당시 사회상의 일각을 엿볼 수 있다.

      • 昌城君 <成瑮誌石>에 관한 硏究

        朴文烈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論集 Vol.52 No.-

        This study analyzes on the memorial stones of the Seong Ryul(成瑮), Changseonggun(昌城君).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emorial stones are the epigraphic materials which contains the records of buried person such as one’s family clan(本貫), name(諱), pedigree(系譜), activities(行蹟), the date of birth and death(生沒事項), family relations(家族關係), and the location(位置) or the aspect(坐向) of grave etc. (2) Seong Ryul, whose family clan was Changnyeong(昌寧) and courtesy name was Heonbaek(獻伯), was one of the Jeongguk meritorious retainers(靖國功臣) during the era of king Jungjong in the Joseon Dynasty. He was born in 1487(Seongjong 18) and died in 1563(Myeongjong 18) at the age of 77. (3) The memorial stones of the Seong Ryul consist of 5 sheets in total and the title is Yu Myeong Joseonguk Jaheondaebu Changseonggun Seonggong Myojimyeong(有明朝鮮國資憲大夫昌城君成公墓誌銘). The main records ware engraved on the front sides of the stones, while the additional data, such as the order of sheets or a letter ‘預’(ye) which means extra-produced stones, ware carved on the reverse sides of them. (4) There was no information that when and by whom the records of the memorial stones were written or transcribed, and also when and who produced those stones. (5) Although several literatures, which studied the memorial stones of the Seong Ryul, marked the name of buried person as Seong Ryul(成慄, ?~?) not Seong Ryul(成瑮, 1487~1563), however, both were identified as same person, and the former marking was regarded as misspellings of Seong Ryul(成瑮), Changseonggun. (6) The memorial stones of the Seong Ryul deserves to designate and preserve as a local tangible cultural property.

      • 조선전기 洪任의 관직 활동

        임선빈 ( Yim Seonbin ) 한국계보연구회 2023 한국계보연구 Vol.13 No.0

        본고는 15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초기까지 관료로 활동한 홍임에 대해 가계와 초기 사환, 성종대 목민관으로서의 활동, 연산군·중종대 정치 격변기의 관직 생활에 대해 살펴보았다. 홍임의 선대는 고려 중·후기에 고위직 관료로 많은 활약을 했으나, 고려말에는 쇠락하였고, 조선 초기의 인물인 홍임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사적(史籍)에서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음관으로 벼슬길에 나아간 홍임은 뛰어난 무재(武才)와 이재(吏才)를 지니고 있었으며, 성종대에 서반직과 목민관으로 활약하면서 서서히 조선왕조의 새로운 관료군에 편입되어 갔다. 특히 아버지의 사환을 배경으로 문과에 급제한 아들 홍경주가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일등공신으로 책훈되자, 이후 홍임은 공신의 아버지로서 음직 가자(蔭職加資)까지 더하게 되었고, 재상급 관료로 중앙조정의 정책논의에도 참여하면서 정치 관료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이와 같은 홍임의 관직 진출과 활동은 남양홍씨 가문의 이해는 물론, 홍임-홍경주 부자의 관력(官歷)을 통해 여말선초에 한때 쇠락했던 가문이 득세하는 과정을 볼 수 있으며, 조선왕조 관료제 사회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about Hong Im, who served as a bureaucrat from the mid-15th century to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 field of his family tree, his early governmental job, his activities as a Mokmin-gwan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and his life as a public servant during political upheaval in Yeonsan-gun and Joongjong periods. Hong Im’s predecessors played a lot of political roles as a high office during the middle and late Goryeo Dynasty, but their prestige collapsed with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Hong Im’s father and grandfather, who were figures of early Joseon Dynasty, were not found in any historical records. Hong Im held a government post by benefiting from ancestors’ virtue system(Um-suh system). He had outstanding abilities both in martial arts and governing people, so he gradually incorporated himself into the new bureaucracy of the Joseon Dynasty while he worked as Surban-jik and Mokmin-gwan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In particular, when his son Hong Kyung-ju, who ha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background of his father’s governmental post, was awarded as Prime Jooonggook Gongshin for participating in the Joongjong Rebellion, Hong Im, as a father, was elevated to higher position in public office in a way called Umjik-Gajah. As a result, he held a role high as a prime minister and participated in policy discussions on central coordination. Hong Im’s activities as bureaucrat can help understanding not only in the way of studying the Namyang Hong Family, but also in the way of how once-decreased family in early Joseon can regain its power back by using Hong Im and Hong Kyung-jus’ governmental power. Furthermore, it helps in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Joseon Dynasty’s bureaucratic society.

      • 趙靜菴의 성군 정치론과 그 실현의 한계

        조남욱,조장연 우계문화재단 2021 牛溪學報 Vol.40 No.-

        이 논문은 『중종실록』과 『정암선생문집』을 중심으로 정암 조광조가 추구 한 성군 정치론의 실상에서 그 실천적 한계상황까지의 여러 요소를 상세히 살펴서 유교정치론이 가지는 조건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유교의 학문과 덕행을 공부하는 선비는 기본적으로 벼슬길에 나아가 도덕 국가 건설에 동참하는 길을 걷고자 한다. 타고난 자질이 뛰어나고 그러한 학 덕 연마에 열중하던 정암 조광조 역시 그러한 인생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 나 그의 나이 17세 때(1498)에는 무오사화를 목격하고 또 23세 때(1504)의 갑 자사화에서는 스승 김굉필을 잃는 슬픔을 겪게 됨으로써 출사( )에는 신중 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중종반정을 거쳐 정국이 점차 안정되어가자 그런 생각이 변하여 진사시험에 응하고 또 성균관 유생으로 나아갔다. 34세 때에는 그의 학덕이 높게 평가되어 조정의 천거를 받았으나 그는 과거시험을 통한 떳떳한 벼슬길을 택했다. 중종 임금의 호의에 따라 정암은 주로 경연을 기회로 유교의 성군 정치론 을 피력하는 것은 물론, 그 실현을 위한 정치개혁 노선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그처럼 활발한 모습을 보인 지 만4년 정도가 되어서는 불의의 사화를 만나니, 그는 38세로 생을 마치게 된다. 비록 그 기간은 짧았으나, 유교 정치문화 발 전과 유자의 이상경인 진유( )를 향해서는 괄목할만한 모습을 남겼다. 사관들의 기록에서도 전하듯이 정암은 ‘아는 것은 말하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의 적극성을 보였으니, 특히 요순 지치( )를 향한 성군 시대의 재현을 위한 군주의 입지( )와 역량 강화 부분에 집중하였다. 이의 실현을 위한 개 혁방안 가운데 소격서 혁파의 건은 원만히 마무리되는 편이었지만, 공신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훈 삭제 운동과 현량과 시행의 경우는 훈구세력을 의식한 중종의 반감으로 사화 발생의 요인이 되고 말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치 일반은 성군 시대처럼 원론같이 전개되는 것은 아 니라는 사실, 사림의 선의지는 훈구의 집권욕을 이겨내기 어렵다는 점, 그리 고 절대 군주의 속마음을 간과하면 역효과를 맞게 된다는 점 등을 알게 되었 다. 즉 임금과 신료들 모두가 성군현상( )의 길을 자기의 일로 여기며 한결같이 일체감을 형성해갈 때에만이 비로소 요순 성군의 정치문화는 발현 될 수 있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condi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politics of Confucianism by examining in detail various factors from the reality of the good and wise king( )'s political theory pursued by Jo Gwang-jo(pen name : Jeong-am) to the practical limitations of the The Annals of King Jungjong and Jeong-am anthology. Jeong-am showed a positive attitude that ‘there is nothing not to say about what he knows’, and in particular, he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position and capacity of the monarch for the reproduction of the era of the good and wise king toward 'perfect politics of Emperor Yao and Shun( )'. Among the reform measures for realizing this, the dissolution of Sogyeokseo was completed smoothly, but in the case of the movement to delete the deeds targeting meritorious retainers and in the case of Hyeollanggwa enforcement, it caused Third Literati Purge of 1519 due to the antipathy of King Jungjong who was conscious of the Hungu( ) forces. In this process, the application of Confucian ideology to politics in general gives the following lessons. First, real politics does not unfold as textbooks as in the a good and wise king era. Second, Sarim( )'s good will made it difficult to overcome Hungu's lust for power. Third, if a subject overlooks the inner feelings of the absolute monarch, it will have the opposite effect.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olitical culture of Emperor Yao and Shun can only be realized only when the king and his subjects form a sense of unity by taking the path of a holy monarch and a courteous servant as their calling.

      • KCI등재

        중종반정 핵심 주동자들과 반정 경위에 대한 검토

        송웅섭 ( Song Woong-sup )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92 No.0

        This is a study of the plan makers of the king Jungjong’s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and its progres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and the political forces in the early days of King Jungjong. The king Jungjong’s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was driven around the three-leader and the armed forces who were close to them. They caused the incident in a state of uneasiness, which could not guarantee the safety of the senior officials after the gabja-sahwa. The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were completed in approximately less than a day from the training center meeting to the coronation ceremony of King Jungjong. No military clashes occurred during the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process. Many incumbent officials have joined the anti-government forces.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appointed to the jeonggug-gongsin. As many as 117 in total were appointed to the jeonggug-gongsin. However, the excessive appointment meant that the cohesion among the the jeonggug-gongsin was weak. By the eigh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it was no longer possible for the gongsin to wield influence as an independent force. This is because most of the key gongsins have died and a generational shift in senior officials has been made.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the king and ordinary officials was magnified, particularly by the cheong-yojig. Cho Kwang-jo's entry into government service came under these very circumstances.

      • KCI등재

        기묘사화 전개과정과 중종의 역할

        이정철(李廷喆)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기묘사화는 16세기 후반 이후 사림이 조선의 정치적 주도세력이 되는데 큰 영향을 끼친 사건이다. ‘사림정치’는 실로 기묘사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고 해도 큰 과장은 아닐 것이다. 16세기 전반은 큰 전환의 시기였다. 건국으로부터 100여 년이 흐르며 누적된 변화가 조선을 여러 분야에서 변화시키고 있었다. 기묘사화는 그 변화의 기폭제였다. 때문에 기묘사화에 대한 이해는 이 사건 이후 전개되었던 상황 및 사림세력의 성격과 대비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묘사화에 대한 기존 해석에는 두 가지 암묵적 가정이 있는 듯 보인다. 하나는 중종이 자신만의 뚜렷한 정치색 없이 수동적으로 이끌려 갔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누구보다 남곤이 기묘사화와 조광조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기묘사화 발발에서 조광조 사사에 이르는 약 한 달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기묘사화를 이끌어간 주체가 누구인지 해명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논문이 잠정적으로 도달한 결론은 당시 조정에서 중요한 인물이자 기묘사화로 직접적인 피해를 본 김안국이 나중에 내린 완곡한 판단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르면 남곤은 조광조 등을 파직시키려했을 뿐 살해할 뜻은 없었다. 그런데 중종이 남곤의 말을 과신하여 처분이 지나치게 무거워졌다는 것이다. 김안국은 조광조 사사의 원인이 남곤의 말에 대한 중종의 과신이라고 했지만, 이것이 그가 말하고자 한 진의로 보이지는 않는다. The Literati Purge of 1519 affected the following political and ideological topographies of Joseon Dynasty. This political scandal was not limited to the year of 1519. At least, this scandal extended other political event which happened 2 years later. However, the essence of the scandal can be understood in the first one month flow in which this event happened. The problem is that previous research results are different each oth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who began this event. One monograph argued Meritorious Elite(勳舊), the other argued King Jungjong began this event. This difference of research results may be because the first month of the scandal did not come out into the open. This monograph focuses on this point. It was the King Jungjong that lead the Literati Purge of 1519. In a regard that he decided the death penalty of Jo Gwang-jo excluding other opinions, that can be true. However, that result don’t mean that all except King Jungjong were mere followers for the scandal. As known right after the event, some including Nam Gon had planned a political attack autonomously. Of course, it is ill founded that the plan included the death penalty of Jo Gwang-jo. Why King Jungjong sentenced he death penalty of Jo Gwang-jo, perhaps, is because he felt limit of control for Jo Gwang-j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