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가와자유형 형성 전후 요동지역의 문화변동과 그 의미

        이후석(Yi Huseok)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2

        요동지역에는 요서계통의 물질문화가 요중지역으로 확산되는 기원전 7세기경부터 정가와자유형의 형성 기반이 마련된다. 이후 기원전 6~5세기경에는 요중지역을 중심으로 요서계통 비파형동검문화의 중심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문화변동은 결국 정가와자유형의 정착 과정으로 귀결된다. 기원전 4세기경에는 세형동검문화로의 전환 과정에서 주변 지역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강화된다. 정가와자유형 형성 전야에는 요서지역에서 요동지역으로 대개 청동유물 등의 일부 청동유물만이 전이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토기문화까지 전이되며 다양하게 복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정가와자유형의 확산 과정은 요서 계통 물질문화의 기술-이념 요소들이 요동지역의 토착문화 속에 수용되어 다양하게 변형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정가와자유형은 비파형동검문화에 속한 1기문화와 세형동검문화 단계에 속한 2기문화로 구분된다. 1기문화는 요서계통 물질문화가 정착되는 정가와 자유형의 전형이며, 2기문화는 전국연계 물질문화 요소가 유입되고, 정가와자유형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시기이다. 처음에는 심양 일대의 정가와자 유적군이 거점이었으나, 나중에는 요양-본계 접경지대의 탑만촌-금가보 유적군이 거점으로 부상한다. 정가와자유형은 요중지역에서 북한 서부지역까지 교통로를 따라 확산되었는데, 지역별로 거점 유적군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사회 분화가 더욱 진척되어 연맹체적 정치체가 형성된다. 요동지역에서 이와 같은 문화변동을 주도했던 집단들은 고대 중국에도 전해져서 ‘조선’으로 인식됐을 가능성이 높다. Zhengjiawazi Assemblage is Liaoxi style’s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culture was formed by the transfer to Liaodong area. The center of Zhengjiawazi Assemblage is formed at Liaozhong area, and In the phase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is further strengthened. Before the formation of Zhengjiawazi Assemblage, only some bronze artifacts, such as bronze daggers and its parts, were spread, but after that, pottery culture was passed down and combined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preading process of Zhengjiawazi Assemblage is a process in which the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elements of Liaoxi style’s the material culture are accepted into the indigenous culture of the Liaodong area and transformed in various ways. On the other hand, the remains are divided into the first culture (the phase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and the second culture (the phase of Slender Bronze Dagger). The first culture is a time when the Liaoxi style’s material culture is settled and the Zhengjiawazi Assemblage develop, and the second culture is a time when some elements of Yan’s material culture in the Warring State Period are introduced, and Zhengjiawazi Assemblage are variously transformed. At first, the Zhengjiawazi site group in the Shenyang district was the base, but later, the Tawanchun-Jinjiabao site group in the area connecting Liaoyang and Benxhi emerged as the base. It is found that Zhengjiawazi Assemblage has gradually spread from Liaozhong area of China to the western part of North Korea during its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base historical groups by region, the network was strengthened, and social differentiation was further advanced. As a result, a coalitional polity was formed in the Liaodong area. As the spatial-temporal nature of Zhengjiawazi Assemblage does not greatly conflict with documentary records of ancient China related to Gojoseon and its cultural contents have strong continuity and propagation it may be considered as the material culture of Gojoseon.

      • KCI등재

        정가와자유형 네트워크의 확산과 상호작용

        이후석(Yi, Huseok)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정가와자유형은 요서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가 요동지역으로 전이되어 형성되었다는 측면에서 십이대영자문화의 하위유형으로 이해되고 있다. 과거부터 주목받았지만, 많은 관심이나중요도에 비해 정가와자유형만을 연구주제로 한 연구성과는 매우 부족하다. 여기서는 이를감안하여 정가와자유형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그 변천 과정을 규명하고 대외 교류및 사회 관계를 중심으로 그 확산 과정을 재검토하였다. 정가와자유형은 처음에는 심양 일대를 거점으로 발전하였으나, 나중에는 요양-본계 접경지대를 중심으로 발전한다. 정가와자유형의 문화요소들은 대개 요서지역과의 교류 과정에서수용되었는데,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는 청동유물 외에 토기문화와 매장문화까지 전이되는양상으로 보아 단선적인 물적 교류 외에 인적 교류까지 있었다고 생각된다. 정가와자유형관련 유물들이 요동~북한지역은 물론 내몽고와 산동반도까지 확인되고 있어 가장 광범위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정가와자유형의 발전 과정은 전국시대 이후 심양-요양 일대에서 천산산맥 일대를 거쳐북한 방면으로 점적으로 확산되어 네트워크가 강화되는 양상으로 요약된다. 정가와자유형의시공간성이 전기 고조선과 관련되는 문헌 기록과 부합되며, 문화 내용의 통시적인 계승성과공시적인 확장성이 강한 점을 고려하면 고조선과 관련되는 물질문화로 볼 수 있다. Zhengjiawazi Assemblage is understood as a subtype of Shiertaiyingzi Culture in terms that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Culture in Liaoxi area was formed by the transfer to Liaodong area. Though it has drawn interests from the past, there are few research results on the topic of Zhengjiawazi Assemblage considering the interest and importance. Here, considering these facts, this study finds out how the Zhengjiawazi Assemblage changed based on the general analysis and how it spread focusing on the outside exchange and social relations. Zhengjiawazi Assemblage was first developed around Shenyang but it later developed around the area connecting Liaoyang and Benxhi. Zhengjiawazi Assemblage’s cultural factors were mostly accepted during the exchange with Liaoxi area. In addition to bronze artifacts which require high level of technology, pottery culture and burial culture show that there were interpersonal exchanges in addition to uninterrupted physical exchanges. It may be said that as the relics related to Zhengjiawazi Assemblage are found up to the northern part of Inner Mongolia and down to the southern part of Shandong Peninsula, it can be said to have formed the widest exchange network. It is found that Zhengjiawazi Assemblage has gradually spread from Tianshan Mountains to North Korea area during its development. As the spatial-temporal nature of Zhengjiawazi Assemblage does not greatly conflict with documentary records related to Ancient Joseon and its cultural contents have strong continuity and propagation it may be considered as the material culture related to Ancient Joseon. For this, future research is required.

      • KCI등재

        『魏略』 기재 朝鮮侯와 ‘取地二千餘里’의 검토

        오현수(Oh, Hyun-Su)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이 논문은 『위략』에 기재된 ‘조선후’의 실체와 ‘2,000여 리’의 위치를 밝힌 것이다. 먼저 조선후국의 위치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위략』에 기재된 조선후국은 전국 연나라와 직접적 상호작용관계에 있어야 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기원전 4~3세기 연장 진개가 고조선을 공격하기 이전에 연나라는 하북성 지역을 강역화하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연나라는 요서지역의 정치체와 직접적인 상호작용관계를 가질 수 있었다. 그런 반면에 고조선은 기원전 6세기 이후 심양 일대의 정가와자유형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한 사정은 『염철론』벌공 편 연장 진개의 고조선 침략기사에서 연나라가 요수를 건너 고조선을 공격한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장 진개의 활약 이전에 연나라와 고조선은 각기 하북성과 요동지역에 근거하고 있었고, 이에 반해 요서지역은 양국의 공백지대였다. 그런데 『위략』 의 표현대로 하자면, 연나라와 조선후국은 서로 이웃한 국가여야 하기 때문에 조선후국은 요서지역에 기반한 정치집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연장 진개의 활약 이전인 기원전 4세기의 국제 정세는 하북성의 연나라, 요서의 조선후국, 요동의 조선이 병립하고 있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요서지역에 조선후국이 성립하게 된 계기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춘추시대 초기에 연나라의 북방에서 산융 집단이 연나라를 괴롭히자, 제나라가 산융을 정벌하게 되는 사건이 있었다. 당시 산융의 위치는 하북성의 북부지역에 있었는데, 제나라 환공의 공격으로 인해 산융 중에서 일부 집답은 요서지역으로 후퇴하였다. 그리하여 요서지역의 고조선사회는 큰 변화를 맞게 된다. 고조선의 수장집단을 포함한 일부 세력이 요동지역으로 건너가 정가와자유형 중심의 조선을 형성하고, 요서지역에는 새로이 융족 계열의 집단이 전입하여 선주하던 고조선 토착민과 융합과정을 거치면서 조선후국이 등장하게 된다. 결국 『위략』에 기재된 ‘取地二千餘里’에서 2천 여리의 영역에는 요서(조선후국)와 요동(준왕 계열의 조선) 지역이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요서지역의 정치체에 대해서 그것을 기록한 당시인의 인식차에 따라 달리 기록하고 있다. 그리하여 중국의 고대 문헌인 『위략』, 『산해경』『관자』, 『염철론』 은 이를 각기 조선후 · 맥국(발) · ‘동호의 연장선’으로 기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장 진개의 침입으로 요령지역 사회의 변화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장 진개의 침입으로 인해 요서지역의 조선후국은 멸망하여 연나라에 완전히 포괄되었다. 그리고 요동지역 준왕 계열의 조선은 서북한 지역으로 이동하여 부왕~준왕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게 된다. 기타 요동지역의 토착사회는 고조선과의 교류가 단절되고, 연나라 요동군과 밀접한 교류관계를 맺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records in the Weilue which state that the Joseonhou was Kija’s descendant and the Yan state occupied Gojoseon’s land. The former was a historical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Western Han Dynasty’s colonial district. However, problems where Gojoseon’s center and its lost land were in 4~3 centuries B.C. still has not been resolved. This problem can be explained, if we solve when ancient China occupied the northern part of Hobei province. Huangong of the Ji state conquered Shanrong -the north of the Yan state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but China had not yet penetrated in this area. But because of this, some forces of the Shanrong moved to the Liaoxi area. Accordingly, Gojoseon also moved to the Liaodong area and built a Zhengjiawazi-type culture. And the Shanrong, retreating from Hobei province, met Gojoseon which resided in the Liaoxi area. Both sides together made a Nandonggou-typeculture(DongdaZhuangzi -typeculture) and they very likely recognized themselves as being Gojoseon. Then again, when the Yan state invaded Donghu and Gojoseon, China could debouch into the northern part of the Hobei province in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As it was recorded that the Joseonhou was close to the Yan state in the Weilue, it means that he should have ruled in the Liaoxi area. So it seemed that a Nandonggou-typeculture(DongdaZhuangzi-typeculture)’s political entity was the Joseonhou, namely a coalition of forces of Gojoseon and Shanrong.

      • KCI등재

        고고학을 통해 본 초기고조선의 성장 과정 - 십이대영자문화의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

        이후석 숭실사학회 2017 숭실사학 Vol.0 No.38

        고조선은 십이대영자문화 범위 안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초기 중심지와 성립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자료들은 아직 확보되지 않고 있다. 다만 요동이나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와도 관련성이 깊은 정가와자유형이 요중지역에서 등장하는 전국시대 이전부터 성립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전국시대 이후에는 정가와자유형이 더욱 발전하고 동대장자유형과의 연맹체적 결속관계를 바탕으로 성장하여 연나라와 치열하게 경쟁하게 된다. 중국 문헌 속의 관련 기록들은 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연나라는 연하도를 건설하고 동북 방면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요서지역의 동대장자유형, 즉 ‘예맥(또는 맥)’과 연맹체를 결성했던 요동지역의 정가와자유형, 즉 ‘조선’을 공격하여 요중지역까지 진출한다. 당시 중국인의 시각에는 문화 기반을 공유하며, 연맹체적 관계하에 있는 두 정치체가 동류집단으로 보일 수도 있었다고 생각된다. 고고학적 물질문화를 통하여 문헌사료에 기록되어 있는 초기 정치체의 정치문화 관계를 추정하는 경우 해석상의 문제점을 충분하게 고려해야 한다. 그럼에도 고조선의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들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그 역사문화상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문헌 사료 중심에서 고고 자료 중심으로 연구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While it is certain that Go-joseon was located within the range of Shiertaiyingzhi Culture, data that could help us pinpoint the center of its early stage and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haven’t been secured yet. Still, it is believed that Go-joseon had been founded prior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Zhengjiawazi Complex, which was deeply related to the Slender-bladed Bronze Dagger Culture of the Liaodong area or the Korean Peninsula, took root in the Liaoning area. After the Warring States period came to an end, Zhengjiawazi Complex got further developed in Liaodong while Dongdazhangzi Complex was adopted in the Liaoxi region. Consequently, the polities in the both regions evolved based on the league they’d established with each other, fiercely competing with Yan Dynasty. In fact, this part of the history is well reflected in some related documents from Chinese literature. As Yan was building the Lower Capital and advancing toward northeast, it expelled the Early Donghu and attacked Zhengjiawazi Complex, or Joseon, which formed a league with Dongdazhangzi Complex, or ‘Yemaek(or Maek)’ of the Lioaxi area, thereby expanding its territories to the Liaoning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the two polities in league with each other sharing cultural ground could have seemed the groups of the same kind. When assuming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hip of the polities, which are written in historical data, through archeological material culture, one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issues that might occur depending on how to interpret them. Nevertheless, to restore the aspect of Go-joseon’s historical culture when there is little record on how it transformed, research paradigm must be shifted to an approach that is centered on archeological data.

      • KCI등재

        출토 유물로 본 후기 십이대영자문화와 연문화의 네트워크

        배현준(Bae Hyunjoon)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0

        기원전 6‧5세기~기원전 4세기대 후기 십이대영자문화에서는 연문화 요소가 지속적으로 확인된다. 이는 후기 십이대영자문화와 연산이남의 연문화 사이에 모종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네트워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하나의 후기 십이대영자문화 집단과 연문화 집단 간 단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었다. 남동구-동대장자유형은 연산이남 연문화의 중심지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도 동대장자유형은 후기 십이대영자문화 분포권에서 연산이남 연문화와 제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다. 그렇기 때문에 양 지역 간 문화교류도 왕성할 수 있었겠지만, 한편으로 연나라 입장에서는 이 지역이 가장 먼저 군사적 위협이 될 수 있는 지역이기도 했다. 따라서 이 네트워크는 군사적‧상업적 성격을 띠었을 것으로 보인다. 원대자 유적군은 연산이남 연문화의 2차 중심지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당시 원대자 유적군은 후기 십이대영자문화권 내에서의 입지가 그다지 강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변 여러 세력과 공존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명맥을 이어나가고자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연나라는 요서지역에 일종의 군사적 완충지대 성격의 네트워크 거점을 형성하였던 것으로보인다. 정가와자유형은 연산이남 연문화 중심지 및 그 주변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당시 요동지역의 중심 세력이었던 정가와자유형 집단의 정세를 파악하는 것은 연나라에게도 중요했을것이다. 다만, 지리적 한계로 인해 남동구-동대장자유형이나 원대자 유적군과 달리 어떤 정치‧ 외교적 성격의 네트워크를 구축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late Shiertaiyingzi Culture and Yan Culture had coexisted during the 6‧5th and 4th centuries in Liaoning area. And They had different ways of coexistence respectively in Shiertaiyingzi Culture area. It’s because that they formed a different network connection among them. First of all, the Nandonggou-Dongdazhangzi Assemblage and Yan Culture network were formed between the top-tier classes. the Nandonggou-Dongdazhangzi Assemblage was directly closed to Yan Culture area located south of Yanshan mountain. Therefor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regions could have been active, but from the perspective of Yan state, this area was also the first place that could pose a military threat. So, this network would have had military and commercial characteristics. The network of Yuantaizi site group and Yan culture is the network formed with the sub center of Yan Culture located south of Yanshan mountain. At that time, the power of Yuantaizi site group was not strong in the late shiertaiyingzi culture area, so they used the way of coexistence with surrounding groups to ensure their own safety. Under this background, Yan state formed a network base of military buffer area in Liaoxi area. The network between Zhengjiawazi Assemblage and Yan culture was formed between two centers. It was very important for Yan state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Zhengjiawazi Assemblage, the central forces in Liaodong area at that time. Nevertheless, due to geographical constraints, unlike a Nandonggou-Dongdazhangzi Assemblage, it just needed to form a political and diplomatic network.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 『염철론』‘조선’ 기사의 분석을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염철론』의 ‘조선’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 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오현수(吳炫受)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염철론』의 ‘조선’ 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 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 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 KCI등재

        先 부여문화의 성격과 정체성 검토 –고조선문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오대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4 東洋學 Vol.- No.96

        선부여문화란 부여문화와 연속성을 가지는 부여 이전의 토착문화로서, 길림지역의 서단산문화를 중심으로 논의되어져 왔다. 그간의 주요논의와 같이 이러한 서단산문화를 ‘濊’계 족군이 남긴 소산(濊王之印/濊城)으로 인 정할 수 있다면, 그와 유사한 문화상의 요동~서북한지역 토착사회 역시 ‘예’의 정체성을 공유한 것으로 본다. 본 고에서는 이들이 ‘예’의 정체성을 표방하게 되는 시점을 고조선 사회의 영향력이 점차 주변지역으로 확대해 나 가던 과정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아울러 그러한 시대적 동인은 문화배경이나 신앙적 계통을 달리하였던 요서계 정치체의 확장성(정가와자유형:맥계)에 대응하여 당지의 기층문화(묘제와 장속)를 공유해 왔던 토착 제집단(예계)의 결속이 강화된 결과로 이해한다. 아울러 이들의 문화적 정체성이 완성(濊王)되는 과정에는 고조 선 사회의 집권세력에게 투영되었던 貊(發朝鮮)과의 차별성, 즉 양자의 계통적 차이를 강조하려는 의도가 읽혀 진다. 그러한 시대적 배경을 만왕의 출자(古燕人也) 및 고조선의 왕위찬탈 과정과 연동하여 추론해 보았다. Pre-Buyeo culture is the indigenous culture which was prior to Buyeo, and inherited the continuity toward Buyeo culture, and has been discussed within focussing on Seodansan culture in Jilin province. If that Seodansan culture could be recognized as the production of ‘Ye(濊)’ people (濊王之印/濊城), the Liaodong~Northwestern-Korea area’s indigenous society culturally similar to it might be seen as sharing ‘Ye’ identity as well. This paper understands that the time they claimed ‘Ye’ identity was related with the progress in which Gojoseon society’s influences extended to its surrounding areas. Aside from that, such a temporal cause, against the expandability of Liaoxi-lineal polity culturally and religiously different, is understood as the result from the strengthened solidarity among the indigenous groups (Ye lineages) sharing the area’s fundamental culture (burial systems and funeral customs). Also,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ir cultural identity was formed (濊王), the differentiation from Maeg (貊[發朝鮮]) people reflected toward the ruling clique of Gojoseon society, that is the intention emphasizing the genea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s read. This study deduces such temporal backgrounds linked with Wiman’s(衛 滿) background (古燕人也) and with the process of usurpation of throne in Gojoseon.

      • KCI등재

        대릉하∼서북한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변동과 고조선의 위치

        박준형(Park, Jun-Hyoung)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6

        본 논문에서는 비파형동검문화의 변동 과정에서 문화의 중심이 이동한다는 문화중심이동론의 입장에서 초기 고조선의 위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조선의 범위로 거론되는 대릉하∼서북한지역의 전기비파형동검문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대릉하유역의 십이대영자유형 중에서 조양지역이 중심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전기비파형동검문화의 주체가 예맥족이고 고조선이 예맥족에서 가장 먼저 성장한 정치체라고 했을 때 고조선은 이 문화의 중심인 조양지역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기원전 5세기를 전후하여 대릉하유역에서는 전국계?북방계 문화를 과도하게 받아들이면서 간신히 비파형동검문화의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에 비해 요동지역에서는 심양지역을 중심으로 전기비파형동검문화를 계승?발전되면서 후기비파형동검문화의 중심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원전 4세기 후반에 이르면 사서상에 고조선이라고 불리는 실체는 조양지역이 아닌 심양지역의 지배집단이었다. 이것은 심양지역의 후기비파형동검문화의 담당세력이 예맥사회의 대표성을 갖는 세력으로 성장하면서 고조선이라는 실체가 교체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has aimed to examine the locational changes of early Gojoseon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e-centered theories, suggesting that the nucleus of culture tends to move. First of all,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Early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ranging from Daling river(大凌河) to northwest Korean peninsula areas, which are assumed as Gojoseon"s territory, it was found that this culture was centered on the Zhaoyang district of the Shiertaiyingzi(十二臺營子) type in the Daling river. On the assumption that Yemek(濊貊) race was the people in charge of the Early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and Gojoseon was the earliest developed polity among Yemek races, it can be inferred that Gojoseon reached out to the Zhaoyang region, the center of this culture. Around the 5th century B.C., Daling river to northwest Korean peninsula areas accepted much of the Northern and ChineseWarring-States culture to barely maintain their existence in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Liaodong area, on the other hand, still continued its tradition of the Early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centering on the Zhengjiawazi(鄭家?子) type, so that it could rose to prominence as the nucleus of the Later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Late in the 4th century B.C., during such progress, a race called Gojoseon in history books was a ruling power of Shenyang district, other than Zhaoyang.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people in charge of the Later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 the Shenyang district grew to represent Yemek society, replacing Gojoseon.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유적 집장묘의 계통과 성격

        이종수(Lee Jongsu)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통화 만발발자 유적은 고구려 물질문화의 기원 및 계승 관계를 밝힐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특히 기원전 4~3세기경에 출현한 토광묘와 집장묘는 선고구려문화의 기원과 백제 계승 관계를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자료이다. 이 유적에서는 모두 21기의 토광묘가 발견되었는데, 모두 관곽을 사용하지 않은 순수토광묘이며, 이른 시기의 A조 토광묘와 늦은 시기의 B조 토광묘로 구분된다. 집장묘인 20호와 21호는 하나의 묘광에 4인과 35인이 매장되어 있다.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20호는 지배층 무덤, 21호는 일반 계층을 집단 매장한 무덤으로 볼 수 있다. 무덤의 시간적 추이는 기원전 4세기경 처음으로 만발발자 유적에 A조 토광묘가 출현하며, 이후 B조 토광묘로 변화하면서 기원전 3세기경까지 석관묘, 대개석묘 등과 함께 사용되다가 기원전 2세기경에는 적석묘로 전환되고 있다. 만발발자 토광묘의 기원은 고조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가와자유형에서 찾을 수 있다. 기원전 5세기경 요서 지역에서 요동지역으로 유입된 토광묘가 점차 주변으로 확대되면서 기원전 4세기경에는 혼강 유역까지 전파되었다. 만발발자 유적 토광묘 사용집단은 체질인류학적으로 고동북유형에 속하며, 당시 요동과 장백산맥 일대에 거주하던 고조선 혹은 예맥계 종족으로 볼 수 있다. 유적에서 다량의 설치류 동물 뼈와 가공에 사용되는 석기, 운송에 사용되던 말 재감 멈치 등이 출토되고 있고, 당시 이 지역의 특산품이 모피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만발발자 유적의 성격은 혼강 유역의 모피 중간집하지로 볼 수 있으며, 주민집단은 주로 주변지역에서 사냥한 모피동물을 수합하고 가공하여 공급하는 일에 종사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집장묘는 비정상적 사망에 의한 결과로, 전염병이 발생하여 많은 사람이 사망하는 긴급 상황에서 조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합민망합 유적과 1910년대 동북지역 페스트 유행 자료를 통해 보면 설치류 동물과 관련된 페스트 창궐과 관련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나, 기타 다른 전염병에 의한 결과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선고구려문화의 백제 계승과 관련하여 석촌동고분군 대형 토광묘와 비교해본 결과 문화내용과 시간적으로 동질성이 확인되지 않아 계승성을 연결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Tongwha Wanfabozi ruins of pit burial and mass graves provide important data to clarify the origin of the ancient Goguryeo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ion of Baekje. In these ruins, 21 pit burials were found, divided into early group A pit burials and late group B pit burials. Among them, the mass graves are M20 and M21, and 4 and 35 people are buried in one grave pit. Group A pit burials first appeared in Wanfabozi ruins around the 4th century BC, and later changed into group B pit burials, and were used together with stonecoffin tombs and Dolmen until around the 3rd century BC, and then converted to stone-mound tombs by the 2nd century BC. The origin of the pit burial of the Wanfabozi ruins can be found in the Zhengjiawozi Type in Liaodong region,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Gojoseon culture. The group using the Wanfabozi ruins pit burial belonged to the Paleo-Northeast type in Physical anthropology, and it can be seen as a Gojoseon or Yemaek-type race that lived in the Liaodong and Changbaek Mountains at that time. The character of Wanfabozi ruins is the middle collection of fur in the Hon River basin, and can be understood as a community engaged in the livelihood of collecting, processing, and supplying hunted fur animals. The background of the mass graves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in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die due to an epidemic. The type of infectious disease is most likely a plague associated with rodents. In relation to the succession of culture to Baekje, a comparison with the large-scale pit bourial in Seokchon-dong Ancient Tombs shows that the commonalities and succession between the two is not confirmed in terms of culture content and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