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에서의 골반 절골술

        조윤제(Yoon-Je Cho),고영완(Young-Wan K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6

        골반 절골술이란 비구 이형성증과 같이 비구의 발육이 완전하지 못하여 비구가 대퇴골 두를 충분히 덮어주지 못하거나 생역학적으로 비정상적인 하중이 주어질 경우 이를 교정하기 위한 절골술이다. 골반 절골술은 크게 재형성(reconstructive) 혹은 재정렬(realignment) 절골술과 구제(salvage) 절골술로 구분될 수 있다. 재형성 절골술은 대개 관절의 조화(congruency)가 좋은 경우에 적응이 되며 Chiari 절골술을 제외한 대부분의 골반 절골술이 여기에 속하고, 중위 절골술인 Bernese 절골술과 근위 절골술인 비구 회전 절골술(rotational acetabular osteotomy), 비구 주위 회전 절골술(periacetabular rotational osteotomy)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구제 절골술은 대퇴골 두와 비구에 변형이 심하여 관절면의 부조화(incongruency)가 있을 경우 또는 관절염이 진행되어 재형성 절골술을 시행하여도 건강한 관절 연골 간의 접촉을 얻을 수 없을 경우에 권장되는 술기로 Chiari 절골술이 대표적이다. 골반 절골술은 다소 수술이 크고 술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각 절골술의 특성과 장단점을 잘 알고 술자에게 익숙한 술기를 사용하면 성공률이 매우 높으며 관절을 보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수술 기법이다. Pelvic osteotomy is a surgery for correcting acetabular deformity, which causes incomplete coverage of the femoral head or biomechanically abnormal load to the hip joint. Pelvic osteotom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reconstructive or realignment osteotomy and salvage osteotomy. Reconstructive osteotomy can be performed to correct the dysplastic hip with good congruency, and include most pelvic osteotomies, except Chiari osteotomy. Among these, Bernese osteotomy, rotational acetabular osteotomy, and periacetabular rotational osteotomy are commonly being used. Salvage osteotomy, which include Chiari osteotomy only, can be performed to increase the coverage of the femoral head of hip joint with joint incongruency due to the severely deformed femoral head and acetabulum or advanced osteoarthritis. Chiari osteotomy is a kind of arthroplasty reduc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ad, and increasing the bone coverage on the upper part of the femoral head. It is effective in reducing hip pain and slowing degenerative changes; however, as the surface is covered by fibrous cartilage, it is vulnerable to degenerative changes. The pelvic osteotomy is a very important and useful surgical technique to preserve joints, despite being a difficult procedure that is technically demanding.

      • KCI등재

        슬관절 관절염에 대한 외측 폐쇄 경골 절골술

        노두현(Du Hyun Ro),이상훈(Sahnghoon Lee),성상철(Sang Cheol Seong),이명철(Myung Chu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2

        경골 근위부 절골술은 내반 혹은 외반 변형을 동반한 슬관절 골관절염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술적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외측 폐쇄형 절골술, 내측 개방형 절골술, 돔형 절골술, medial opening hemicallotasis가 있으며 이 중 외측 폐쇄형 절골술과 내측 개방형 절골술 이 가장 널리 쓰인다. 수술의 목적은 슬관절의 내반 변형을 외반으로 바꾸어 내측 구획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을 줄여주는 데 있다. 환자 본인의 관절을 살리며 통증의 경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신중한 환자 선택과 철저한 수술 전 계획이 필수적 이다. 본 종설에서는 환자 선택에서부터 수술 전 검사 및 계획, 외측 폐쇄형 절골술의 방법 및 주의할 점, 수술의 합병증, 절골술 이후 발생하는 경골 경사각의 변화, 슬개 인대의 변화, 보행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간 보고된 장기 추시 결과를 고찰해 본다. 수술의 장점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환자에게 시행한다면 관절염 환자의 통증 경감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Proximal tibial osteotomy is an effective, well-established treatment for unicompartmental arthritic knee with varus or valgus deformity. Four basic types are commonly described: lateral closing wedge osteotomy, medial open wedge osteotomy, dome osteotomy, and medial opening hemicallotasis. The objective of this procedure is to realign the weight-bearing axis through the knee by redistributing the forces of weight to the less involved compartment of the knee. With thorough preoperative planning and careful selection of patients, optimal outcome can be expected with preservation of the patient’s joint. In this article, we reviewed selection of patients, surgical planning, surgical technique, complications, pre- and post-operative change in mechanics, and long term surgical outcome of closing wedge osteotomy. Optimal outcome is expected in patients with young age (younger than 60), stable knee, medially confined osteoarthritis, and good range of motio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average 10-year survival rate is expected to be 60% to 90%. Closing wedge osteotomy allows for rapid bone healing, early weight bearing, rehabilitation, and low rates of correction loss. Surgeons should keep in mind that optimal indication, preoperative planning, and use of safe operative technique are essential to achievement of best results.

      • KCI등재

        요족 변형에 대한 제1종족골 족배부 폐쇄 절골술 및 내측 설상골 족저부 개방 절골술

        김정렬(Jung Ryul Kim),이수경(Soo Kyung Lee),이형석(Hyung Se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1

        목적: 요족 변형의 전족부 변형에 대해 제 1중족골 배부에서 폐쇄적 절골술과 내측 설상골 족저부에서 개방형 절골술을 시행 후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34예(30명)에 대하여 평균 연령은 21.5세, 평균 추시 관찰은 2.3년이었다. A군은 제1중족골 배측 쐐기 절골술과 내측 설상골 족저부 개방성 쐐기 절골술 시행한 16예(14명), B군은 제1종족골 또는 내측 설상골 절골술을 시행한 12예(10명)를, C군은 삼중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6예(6명)로 분류하였다. 수술 전 및 최종 추시상 족배 굴곡각, 족저, 굴곡각, 후족부 정렬과 Maryland Foot Score를 평가하였으며, 방사선 소견상 종골-제1종족골각, 거골-제1종족골각, 종골 경사각, 경골-거골간 각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및 최종 추시 A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평균 배부 굴곡각, 족저 굴곡각 및 후족부 정렬이 호전 되었으며, MFS는 A에서 양호 이상이 72%로 다른 군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수술 전 및 최종 추시 종골-제1종족골각, 거골-재1종족골각과 종골 경사각은 A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크게 교정되었으나, 경골-거골 간 각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제1중족골 배측 쐐기 절골술과 내측 설상골 족저부 개방성 쐐기 절골술에 의한 이중 절골술은 변형에 대한 교정력이 크고, 족부의 관절 운동을 보존할 수 우수한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1st metatarsal dorsal close wedge osteotomy (MTDW) combined with medical cuneiform plantar open wedge (MCPOW) for treating forefoot deformity of a cavus foo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0 patients. Their mean age was 21.5 years (SD 10.6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3 years. Thirty-four cases of thirty patients were classified as group A, as classified by the 1st MTDW combined with the MCPOW, 16 feet (14 patients) were group B by the 1st MTDW or MCPOW, 12 feet (10 patients), and group C by triple arthrodesis, 6 feet (6 patients). We evaluated the ankle dorsiflexion, plantarflexion, heel alignment, and the Maryland foot score (MFS) preoperatively and the last follow-up, and we analyzed the radiologic Hibb, Meary, calcaneal pitch and tibiotalar angles. Results: The ankle dorsiflexion (p=0.01), plantar flexion (p=0.03) and heel alignment (p=0.02) of group 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more than that of groups Band C. The MFS of group A revealed better than group B and C (p=0.01). The Meary (p=0.01), Hibb (p=0.02) and calcaneal pitch angle (p=0.02) of group 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more than that of groups Band C. Conclusion: 1st MTDW combined with MCPOW osteotomy that focuses at the apex of the deformity for correction of a cavus foot can obtain better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than other surgical procedures.

      • KCI등재

        대퇴골두 변형을 동반한 고관절 이형성증에서의 비구주위 절골술

        장재석(Jae Suk Chang),오형근(Hyoung Keun Oh),김지완(Ji Wan Kim),홍수헌(Soo Heon H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목적: 대퇴골두 변형이 동반된 고관절 이형성증에서 비구주위 절골술 및 근위부 대퇴 절골술을 시행한 결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두 변형을 동반한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3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비구주위 절골술만 시행한 군은 8예, 대퇴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은 5예였다. 임상적으로는 수술 전후 HSS, 통증과 파행 VAS를 비교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CEA, Tonnis angle, FHC (femoral head coverage), AA (acetabular angle of Sharp), DBSPFH (distance between symphysis pubis and femoral head) 그리고 AI (acetabular index)를 비교하였다. 결과: 비구주위 절골술만 시행한 군에서 HHS와 통증 VAS는 각각 수술 전 평균 66.5점에서 90.4점으로, 그리고 6.7점에서 1.9점으로 호전이 있었으나, 파행 VAS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비구주위 절골술과 대퇴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에서는 HHS는 평균 78점에서 91점으로 호전되었으나 통증, 파행 VAS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CEA, Tonnis angle, FHC, AA, AI는 두 군 모두에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으나 DBSPFH는 두 군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없었다. 결론: 대퇴골두의 변형을 동반한 고관절 이형성증에서 비구주위 절골술이 권장되며 대퇴골두의 변형이 심할 경우, 필요에 따라서 근위부 대퇴 절골술을 병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a periacetabular osteotomy (PAO) combined with a femoral osteotomy (FO) for a dysplastic hip with a deformed femoral head. Materials and Methods: Thirteen hips with dysplasia and a deformed femoral hea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Eight hips were in the PAO group and 5 hips were in the PAO and FO group.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linically according to the HHS (Harris hip score), pain and limping VAS (visual analogue scale), and radiologically according to the CEA (central edge angle of Wiberg), Tonnis angle (acetabular index of weight bearing surface), FHC (femoral head coverage), AA (acetabular angle of Sharp), DBSPFH (distance between symphysis pubis and femoral head) and Al (acetabular index of depth to width). Results: Regarding the clinical results, the PAO group showed improvement in the HHS from 66.5 preoperatively to 90.4 postoperatively (p=0.01) and the pain VAS from 6.7 to 1.9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limping (p=0.39). In the PAO with FO group, the HHS was improved from 78 to 91 (p=0.04). Radiologically, the CEA, Tonnis angle, FHC, AA and Al improved significantl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BSPFH i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linical or radi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Periacetabular osteotomy is recommended for dysplastic hips with deformed femoral head. A concomitant femoral osteotomy should be considered in hips with a severely deformed femoral head.

      • KCI등재

        CAS를 이용한 개방형과 폐쇄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서 네비게이션 장치와 방사선 사진 상 계측지의 비교 분석

        배대경(Dae Kyung Bae),송상준(Sang Jun Song),윤경호(Kyung Ho Yoon),곽상준(Sang Joon Kwa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5

        목적: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서 개방형과 폐쇄형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와 방사선 사진 상 계측치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개방형 절골술을 시행한 32예와 폐쇄형 절골술을 시행한 5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교정각은 역학적 축 백분율이 62%가 되도록 계획하였다. 절골 전, 후 역학적 축을 계측하고, 방사선 사진 상 계측치와 비교하였다. 개방형과 폐쇄형 절골술에 따른 술 후 역학적 축의 방사선 사진 상 계측치와 네비게이션 장치상 계측치의 차이와 술 후 후방 경사각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개방형 절골술에서의 술 후 평균 역학적 축은 네비게이션 장치 상 외반 2.7°, 방사선 사진 상 외반 4.0°이었고, 폐쇄형 절골술에서의 술 후 평균 역학적 축은 네비게이션 장치 상 외반 3.5°, 방사선 사진 상 1.6°이었다 (p=0.000). 술 후 후방경사각의 변화는 개방형 절골술에서 5.3°증가하였고, 폐쇄형 절골술에서 1.8°감소하였다(p=0.000). 결론: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절골술은 수술 중 교정각을 확인함으로써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술 후 역학적 축의 네비게이션 계측치와 방사선학적 계측치의 차이는 체중 부하라는 외력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한다. Purpose: We wan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measured values between a navigation system and radiographs when performing open and closed wedge high tibial osteotomy (HTO) under the control of a navigatio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open wedge HTOs and 51 closed wedge HTOs were performed using a navigation system. The postoperative mechanical axis percent, which was planned on the navigation system, was 62%. The mechanical axis (MA) was measured before osteotomy and after fixation on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radiographs. The difference of the postoperative MA between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 radiographs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type of HTO. The alteration of the tibial posterior slope angle was also compared. Results: For the open wedge HTO, the mean MA after fixation was valgus 2.7° on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 postoperative MA was valgus 4.0° on the radiograph. For the closed wedge HTO, the mean MA after fixation was valgus 3.5° on the navigation system and the postoperative MA was valgus 1.6° on the radiograph (p=0.000). The mean tibial posterior slope angle was increased by 5.30 after the open wedge HTO and it was decreased by 1.80 after closed wedge HTO (p=0.000). Conclusion: Performing HTO with a navigation system could increase the surgical accuracy because the navigation system checked the intraoperative correction angle in real time. Weight bearing makes a difference for the postoperative MA between the navigation system and radiographs. Thi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type of HTO.

      • KCI등재

        슬관절 주위 절골술

        임승완(Seung Wan Lim),류승민(Seung Min Ryu),손욱진(Oog Jin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슬관절 골관절염과 하지 정렬 이상이 동반된 경우 슬관절 주위 절골술을 고려할 수 있다. 슬관절 내반 변형의 경우 근위 경골 절골술을, 슬관절 외반 변형의 경우 원위 대퇴골 절골술을 선택하여 교정을 하는 것이 절골술의 기본적인 원칙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일 절골술만으로 불가능할 경우 이중 절골술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종설에서는 슬관절 주위 절골술을 시행함에 있어 환자의 선택 및 수술 전 계획의 원칙과 최신 지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Osteotomy around the knee is a widely considered surgical procedure for osteoarthritis with lower extremity malalignment. High tibial osteotomy (HTO) is performed for varus deformity, while distal femur osteotomy (DFO) is performed for valgus deformity. However, if the correction is insufficient, double osteotomy can also be considered. This report included the basic principles and current concepts of patient selection and preoperative planning in osteotomy around the knee.

      • KCI등재후보

        경골 근위부 절골술 비교

        이준엽(Jun Yub Lee),선종근(Jong Keun Seon),송은규(Eun Kyoo Song),윤택림(Taek Rim Yoon),천승영(Seung Young Cheon),임근영(Keun Young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7

        목적: 슬관절 내측 구획에 국한된 골관절염 환자에서 경골 근위부 개방형 설상 절골술을 시행하고 그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폐쇄형 설상 절골술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관절염으로 경골 근위부 개방형 절골술 후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7병 29예(A군), 비교군으로는 폐쇄형 절골술을 시행했던 30명 30예의 환자(B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Ahlback에 의한 관절염의 정도, 대퇴-경골각, 경골의 관상면 정열 및 후방 경사도와 Insall-Salvati 방법에 의한 슬개골의 높이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임상적으로는 HSS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개방형 군에서 수술 전에 측정한 대퇴-경골각은 내반 4.2°, 경골의 정열은 5.3° 내반 및 7.9°의 후방 경사, Insall-Salvati ratio는 0.93이었으며 폐쇄형 군에서도 유사한 수치를 보였다. 개방형 군에서 2년 추시 대퇴-경골각은 외반 7.7°, 경골의 정열은 1.3°의 외반으로 수술 전에 비해 의의있는 교정을 보였으며, Insall-Salvati ratio는 0.92로 수술 전에 비해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경골의 후방 경사도는 2년 추시상 10.7°로 수술 전에 비해 약 3°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폐쇄형 군의 2년 추시에서는 개방형 군과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경골의 후방 경사도는 수술 전 8.7°에서 2년 추시상 3.7°로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다. HSS 점수는 개방형 군에서 수술 전 74점에서 2년 추시 93점으로 향상되었으며, 폐쇄군의 변화와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합병증으로는 개방형 군에서는 자연유합 1예 외에 다른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폐쇄형 군에서 천 비골 신경 손상 3예, 지연유합 1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개방형 설상 절골술은 신경 혈관 합병증이 없이 폐쇄형과 비슷한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하며 안전한 술식으로 생각되나 후방 경사도의 증가의 방지를 위하여 동일한 정도의 전ㆍ후방 개방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n opening wedge osteotomy for an osteoarthritic knee, and compared these results with those of a closing wedge osteotom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27 patients (29 cases) with an opening wedge osteotomy (Group A) and 30 patients (30 cases) with a closing wedge osteotomy (Group B). The radiological results obtained regarding the degree of osteoarthritis, femur-tibia angle, tibial alignment, posterior tibial slope and patellar height using the Insall-Salvati s method were analyzed. HSS score was used for evaluation of the clinical results. Results: Preopera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degree of osteoarthritis, the femur-tibia angle, tibial alignment, posterior tibial slope, and patellar height. Two years after surgery, the femur-tibia angle and tibial alignmen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o 7.7° valgus and 1.3° valgus, respectively, and the patellar height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group A.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group B. The tibial posterior slope increased from 3° to 10.7° in group A and decreased from 4° to 3.7° in group B. Clinically, the HSS score was improved from 74 points preoperatively to 93 points 2 years postoperatively in the opening group, and was similar to the improvement observed in the closing group. The complications included 1 delayed union in the opening group, and 3 cases of superficial peroneal nerve palsy and 1 delayed union in the closing group. Conclusion: An opening wedge osteotomy is a relatively simple and safe procedure that gives similar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to a closing wedge osteotomy, without peroneal nerve palsy. However, surgeons should take care in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tibial posterior slope.

      • KCI등재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개방부 압력과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 비교

        윤경호(Kyoung Ho Yoon),김정석(Jung Suk Kim),권유범(Yoo Beom Kwon),김응주(Eung Ju Kim),이명규(Myeong-Kyu Lee),김상균(Sang-Gy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동종 쐐기 골편의 성상과 최대압축하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과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측정된 개방부의 압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을 시행하기 전 연구에 동의한 10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수술 중 절골 부위를 8 mm에서 14 mm까지 개방시키면서 1 mm 간격으로 개방부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대퇴골, 경골 및 상완골에서 U자형 동종 쐐기 골편을 채취하여 골편의 높이, 폭, 단면적 및 피질골의 두께를 측정한 뒤에 골편이 파괴되기 직전의 최대압축하중을 측정해 골편의 성상과 최대압축하중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별도의 신연장치 없이 개방부에 동종 쐐기 골편을 삽입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측정된 개방부 압력과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을 비교하였다. 결과: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중 절골부를 많이 개방할수록 개방부 압력이 증가해 14 mm 개방하였을 때 개방부의 압력(평균 282±93 N, 최대 427 N)이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은 평균 13,379±6,469 N (최소값 5,868 N, 최대값 29,130 N)으로 측정되었으며 피질골의 두께(상관계수=0.693, p=0.002) 및 단면적(상관계수=0.826, p<0.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살균 방법에 따라 동결 건조(freeze-dried) 골편은 평균 13,406±5,928 N (최소값 5,868 N, 최대값 25,893 N), 동결(fresh frozen) 골편은 평균 13,348±7,449 N (최소값 5,916 N, 최대값 29,130 N)으로 측정되었다.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 최소값은 경골 근위부를 14 mm까지 개방하였을 때 측정된 개방부의 최대압력에 비해 13.7배 높았다(5,868 N vs . 427 N). 결론: 동종 쐐기 골편의 최소 압축 강도는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측정된 개방부의 최대 압력보다 충분히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중 별도의 신연장치 없이 동종 쐐기 골편을 개방부에 안전하게 삽입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llogenic bone block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n allogenic bone block measured by biomechanical experiments, and (2) to compare the maximum pressure load of allogenic bone block with the gap pressure measured at the high tibial opening osteotomy.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ho provided informed consent for gap pressure measurements during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tomy (OWHTO) were included. The gap pressures were measured at 1 mm intervals while opening the osteotomy site from 8 mm to 14 mm. Seventeen U-shaped allogenous wedge bone blocks were made from the femur, tibia, and humerus. The height, width, cross-sectional area, and cortex thickness of the bone blocks were measured, along with the maximum compressive load just before breaka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maximum pressure load of the bone blocks was evaluated. The gap pressures measured in OWHTO were compared with the maximum pressure loads of the allogenous wedge bone block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inserting allogenous wedge bone blocks into the osteotomy site without a distractor in OWHTO. Results: The OWHTO gap pressu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steotomy site opening. The mean gap pressure, which occurred at a 14-mm opening, was 282±93 N; the maximum pressure was 427 N. The maximum pressure load of the allografts was 13,379±6,469 N (minimum, 5,868; maximum, 29,130 N) and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ortical bone thickness (correlation coefficient=0.693, p=0.002) and cross-sectional area (correlation coefficient=0.826, p<0.001). Depending on the sterilization method, the maximum pressure loads for the bone blocks were 13,406±5,928 N for freeze-dried and 13,348±7,449 N for fresh frozen. The maximum compressive load of the allogenous wedge bone blocks was 13.7-times greater than that in OWHTO opened to 14 mm (5,868 N vs. 427 N). Conclus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llogenous wedge bone blocks was sufficiently greater than the gap pressure in OWHTO. Therefore, allogenous wedge bone blocks can be inserted safely into the osteotomy site without a distractor.

      • KCI등재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

        오승민(Seung Min Oh),나경욱(Kyung Wook Nha),한재휘(Jae Hwi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은 무릎의 내반 변형을 동반한 내측 구획의 슬관절 관절염을 치료하는 데 선호되는 수술방법이다. 이 치료법은 내측 대퇴 경골 관절의 퇴행성 변화 및 하지 정렬의 이상을 동반한 환자의 역학적 축을 교정하여 병변부의 체중 부하를 감소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은 관절연골의 손상 범위와 환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적절히 환자를 선택하고 정확한 술기로 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만족스러운 임상결과를 보인다. 경골 절골술 중 내측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은 폐쇄형에 비하여 수술 시간이 짧고 비교적 술기가 쉬운 장점이 있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종설에서는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서 환자의 선택, 수술 전 평가 및 계획, 치료원칙과 수술 술기, 재활과정 및 합병증에 대한 최신 지견을 다루고 한자다. Proximal tibial osteotomy is the preferred method for treating medial compartment knee arthritis with varus deformity. The purpose of this treatment is to reduce the weight burden of the lesion by correcting the mechanical axis of the patient with degenerative arthritis of medial tibiofemoral joint and abnormal alignment. In general, the proximal tibial osteotomy provides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when suitable patient a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extent of cartilaginous injury and the age of the patient and the correct technique is performed. In tibial osteotomy, medial open wedge osteotomy is used widely because of its short operation time and relatively simple technique. This review describes the current knowledge of patient selection, preoperative evaluation and planning, treatment principles, surgical techniques, rehabilitation procedures and complications in open wedge high tibial osteotomy.

      • KCI등재

        Legg-Calve-Perthes 병에서 새로운 무명골 절골술

        김기형(Ki Hyeoung Kim),조상권(Sang Gwon Cho),윤택림(Taek Rim Yoon),송은규(Eun Kyoo Song),선종근(Jong Keun Seon),박기헌(Gi Heo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목적: Legg-Calve-Perthes (LCP) 병에 대해 Salter 무명골 절골술을 변형시켜 만든 새로운 Salter 무명골 골절술로 치료했던 환자들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LCP병에 대해 새로운 무명골 절골술로 치료한 2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새로운 무명골 절골술에서는 장골의 전방은 관상면 45도, 시상면상 30-45도로 절골을 시행하였고, 장골의 후방은 기존 방법으로 절골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5.5년이었다. 절골술 부위에 전 예에서 K 강선 고정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8예에서 한개의 생흡수성 나사못을 사용하였다. 결과: Robison 기준에 따른 분류상 양호는 20예였다. Mose 분류상 양호는 12예였으며, Stulberg 분류상 Ⅰ군 8예, Ⅱ군 6예, 3군은 8예, 4군은 3예였다. 평균 center-edge 각은 19.4도에서 30.2도로 증가하였다. 결론: 새로운 무명골 절골술은 기존의 Salter 무명골 절골술보다 더 쉽고 간단하며, K 강선 고정을 시행하지 않고도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 new innominate osteotomy in Legg-Calve-Perthes' disease (LCPD).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25 hips that were treated with a new innominate osteotomy for LCPD. The treatment involved the anterior half of the ilium being osteomized in a direction of 45° to the coronal plane and 30° to 45° to the sagittal plane, and the posterior half of the ilium being cut using a Gigli saw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5.5 years. Stable interposition of the bone block was achieved using a single biodegradable screw in 8 hips, and without any fixation device in 17 hips. Results: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Robinson were good in 20 hips. Twelve hips was graded as good by the Mose metho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tulberg, 8 hips were included in class Ⅰ, 6 hips in class Ⅱ, 8 hips in class Ⅲ, and 3 hips in class Ⅳ. The mean center-edge angle improved from 19.4° to 30.2°. Conclusion: The new innominate osteotomy is simpler and easier to perform than a routine Salter osteotomy, an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can be obtained without fixing the Kirschner w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