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주 대종사와 전북 불교의 사례에서 찾아보는 지역불교의 활성화 방안

        박수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3 佛敎學報 Vol.- No.103

        이 논문은 월주 대종사와 전북 불교의 관계 속에서 지역불교 활성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혜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월주 대종사 회고록 속에서 전북 불교에 대해 언급한 몇몇 장면들을 찾아내고, 그 안에서 전북 불교에 대한 월주 대종사의 업적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월주 대종사가 정화 불사를 통해 전북 불교가 일어설 수 있는 기본적인 환경을 마련했고, 금산사 중창 불사와 전북 불교회관 건립․전북지역 불교 지원을 통해 전북 불교 발전의 토대를 구축했으며, 우수한 도제 양성을 통해 불교 발전을 이끌어 갈 인적 자원을 확충했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월주 대종사가 전북 불교에 끼친 영향은 한 마디로 전북 불교 발전의 인프라와 인적 자원 구축으로 압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월주 대종사의 열반 이후, 전북 불교는 월주 대종사가 일궈낸 전북 불교 발전의 토대를 얼마나 잘 계승하고 있을까? ‘지방소멸’이라는 위기에 당면한 금산사 사부대중의 반응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평가와 한계를 검토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인구감소 추세와 지방소멸 담론의 등장, 인구감소가 불교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지역 인구감소가 지역불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인구감소가 불자들의 감소, 사찰의 재정 악화와 불교의 사회적 영향력 축소 등으로 지역불교의 쇠퇴를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몇 가지 통계적, 인구학적 분석 결과들을 통해서 현재 전북 불교가 취약한 교세에 지방소멸 위기가 가중되는 매우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금산사 사부대중은 ‘원탁회의’라는 매개체를 통해 지역불교의 위기 극복을 시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원탁회의’는 대중의 공의를 모아 실천하는 불교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 계승을 분명히 하고 있다는 점, 전북 지역과 전북 불교를 잇는 가교의 역할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긍정적이다. 다만, ‘원탁회의’에서 다루는 의제가 지역사회의 고통과 문제해결로 확장되지 못했다는 점, 아직까지는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을 온전히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 월주 대종사의 업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부족해 보인다는 점 등은 아쉬움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한계 극복을 위한 의견을 간략히 서술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도심 포교 프로그램을 개발과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에 ‘관계인구’ 개념의 도입을 고려해 보기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gain wisdom on solving the problem of revitalizing local Buddhis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aegongdang Wolju, the Supreme Patriarch, and Jeonbuk Buddhism. To this end, we first identified several scenes in the memoirs of Wolju, the Supreme Patriarch, which mention Jeonbuk Buddhism and then derived Wolju's contribution to Jeonbuk Buddhism. Consequently, it is clear that Wolju, the Supreme Patriarch, prepared a conducive environment for Jeonbuk Buddhism to rise through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He built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Jeonbuk Buddhism by constructing the Geumsansa Temple and the Jeonbuk Buddhist Hall, supporting Buddhism in the Jeonbuk region, and expanding human resources to develop Buddhism by training excellent apprentices. In summary, the impact of the Wolju, the Supreme Patriarch, on Jeonbuk Buddhism can be summarized as establishing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for developing Jeonbuk Buddhism. How well did Jeonbuk Buddhism, which was left behind after Wolju, the Supreme Patriarch, entered Nirvana, inherit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Jeonbuk Buddhism laid by Wolju, the Supreme Patriarch? This article examines the response of the Geumsansa Temple community to the crisis of ‘local extinction’ and its assessments and limitations. Before proceeding to the discussion, I will summarize the trends of depopulation, the emergence of the discourse on local extinction, and the impact of depopulation on Buddhism. I then discuss the effects of local depopulation on local Buddhism. I showed that local demographic decline can lead to the decline of local Buddhism through a decrease in the number of Buddhists, the deterioration of temple finances, and a reduction in Buddhism's social influence. Through statistical and demographic analyses, we conclude that Jeonbuk Buddhism is currently facing a serious crisis compounded by the risk of local extinction. In this situation, I found that the Geumsansa Temple community is attempting to overcome the crisis faced by local Buddhism through ‘Round-table Meetings’. The ‘Round-table Meetings’ is positive because it adopts the Buddhist method of gathering and practicing an unbiased view. It inherited the ‘Social Expansion of Enlightenment’ movement and acted as a bridge between the Jeonbuk region and Jeonbuk Buddhism. However, disappointingly, the agenda of the ‘Round-table Meetings’ has not been expanded to address the suffering and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It has not yet fully captured the ‘Social Expansion of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re seems to be a lack of consideration for how to continue the work of Wolju, the Supreme Patriarch. I outline suggestions for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and further suggest that effective inner-city mission programs be developed and the concept of ‘relational population’ be considered in the ‘Social Expansion of Enlightenment’ movement.

      • 全北地方의 藥用 資源植物 分布

        郭晙洙,金昌洙,宋英恩,金柱,朴珍華,韓宗鉉,宋昊俊 圓光大學校 韓醫學硏究所 1997 원광한의학 Vol.7 No.1

        국민 소득이 늘어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약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WTO체제의 출범과 함께 선진각국의 유전자원 확보전이 치열해지면서 국내에서도 약용자원식물의 분포상황 및 이들 유전자원 식물의 보전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전북지방의 약초자원식물의 분포상황 및 이들 유전자원식물의 보전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전북지방의 약초자원식물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여 그에 대한 보전대책 수립 및 연구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본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북지방에 분포하는 약용 자원식물의 목록을 작성한 결과 총 40목 129과에 걸쳐 762종류의 식물이 정리되었다. 2. 이들 분포식물중 항암효과가 보고된 약용식물은 36과 74종류였다. 3. 지역적으로는 덕유산지역에 가장 다양한 식물이 반포하고 다음으로는 남원, 변산반도, 모악산, 무주군, 완주고산, 내장산, 장안산, 선운산, 비안도, 적상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식물군별로는 쌍자엽식물강의 이판화군과 합판화군이 가장 다양하였고, 각 목별 과(科) 수는 통화식물목이 10개 과로서 가장 많았으며, 각 목별 종류 수에 있어서는 장미목이 99종으로 가장 많았고, 초롱꽃목(77종), 통화식물목(67종), 백합목(53종), 미나리아재비목(43종), 산형화목(39종) 등이 비교적 많은 종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각 과별 종수 분석에서는 국화과가 70종으로 가장 많았고, 장미과(46종), 콩과(40종), 백합과(40종)등으로 나타나 이들 4개과의 합계 종수가 196종류로서 전체의 25.72%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산형과(27종), 미나리아재비과(26종), 꿀풀과(25종), 벼과(22종), 마디풀과(19종), 현삼과(15종), 석죽과(12종), 제비꽃과(11종), 난초과(11종) 등이 비교적 많은 종수를 가지는 과(科)들이었다. With the improving of the people's standard of life and the heightening of the concerns of health, the demands of medicinal plants are more rapidly increase. Also, with the inauguration of World Trade Organization, and acceleration of openness in domestic markets, the procurement competitions of gene pools in medicinal plants are more intense among the countries. With these trends of the world, an acute subjects are coming up for us such as distribution status quo and preservation of medicinal plants in domestic area. Therefore this paper surveyed the distribution status quo of medicinal plants in Chonbuk province, arranged the catalogue and analyzed the data by plants and region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amounts of 762 species, 129 families, 40 orders of medicinal plants distributed in Chonbuk province. 2. The number of medicinal plants which are assumed to contain antineoplastic agents totals 36 families and 74 species. 3. In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by region, the most diverse flora showed in Mt. Dukyoo followed by circumferences of Namwon, Byun-san, Mt. Moak, Muju, Dosan, Mt. Naejang, Mt. Jangan, Mt. Seon-woon, Beeando island and Mt. Juksang etc. in Chonbuk province.

      • KCI등재

        경제개발5개년계획 기간 중 벼농사와 전북행정: 1972-1981

        신무섭 ( Moo-sup Shi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2

        이글의 목적은 제3차,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이 수행된 1972년부터 1981년까지 정부가 주곡의 자급이라는 목표를 추구하는 기간에 벼농사와 관련지어 전북행정의 특징을 기술하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전라북도 도청에서 발간한 「전라북도통계연보」, 전북신문사에서 출간한 「전북연감」등의 출판물과 「전북신문」등이며 퇴직 고위공무원들과의 면접으로 얻은 것이다. 전라북도 도지사는 총화안보를 강조한 가운데 농업개발을 위하여 “농공병진 지역경제 육성”, “과학영농”, “새마을운동 심화”, “농가소득의 증대” 등을 방침으로 정하였다. 이러한 방침은 정부의 정책을 따른 것이었다. 전라북도 도청은 농업개발을 위해서 농업관련 조직을 확대하였다. 시군 조직도 농업 위주로 운영되었다. 일반회계 결산으로 보았을 때 전북의 행정기관은 공업 보다 농업에 더 많은 투자를 하였다. 그러나 일반 행정비가 농업관련 경비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전북행정은 내무국으로 상징되는 지시와 통제 위주의 행정을 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전북행정은 벼 농사를 위해서 중앙정부 방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전라북도 도청과 시군청은 읍면동, 농촌지도소, 농협, 학교, 사회단체 등을 동원하여 주곡 증산에 노력하였다. 한때 전북은 전국 쌀 생산의 17%를 생산했고 추곡 수매 목표량을 100% 달성하기도 했다. 전북행정은 주곡 증산을 위한 동원체제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본고는 전북행정의 부정적 관료 행태를 몇 가지 지적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character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Jeonbuk Province with rice farming during the period when the Korean Government executed the 3rd and the 4th Economic Development Plan from 1972 to 1981 and sought the self-sufficiency in staples grain as a major object of the government. The data used in this paper are from the Jeonbuk Provincial office’s publication, a major newspaper in Jeonbuk province and interview with retired public officers of the Jeonbuk province. The chief executive officers of Jeonbuk Provincial Office gave policy priorities to economic development with agriculture and industry parallel, deepening Saemaul Movement, scientific management of agriculture, raising farm income, including unifying as whole and national security. The Jeonbuk Provincial Office expanded organizations related with agriculture. The organizations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enlarged than the organizations for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financial aspect, public organizations in Jeonbuk province including the provincial office, municipal offices and county offices spent much more agricultural development than industrial development. The Jeonbuk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under the central government’s control and policy direction mobilized street-level public organizations, middle and high schools, volunteer groups like 4-H, etc for rice farming and the self-sufficiency in staples grain. Jeonbuk public administration was a mobilization system for rice farming.

      • 全北地方의 藥用作物 재배 및 生産現況

        郭晙洙,金昌洙,宋英恩,金柱,朴珍華,韓宗鉉,宋昊俊 圓光大學校 韓醫學硏究所 1997 원광한의학 Vol.7 No.1

        본격적인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지역특화작물의 개발과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절실한 이때 주요 소득원작물의 하나인 약용작물의 재배 및 생산현황을 파악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새로운 작목개발 및 정책 입안 자료로 활용하고자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산량을 기준으로한 전북지방의 주요 약용작물을 특화계수 분석결과 총 31개작목 중 독활, 백지, 양유, 오미자, 지황 등은 핵심품목으로 길경, 두층, 방풍, 작약, 천마 등은 주산품목으로 조사되었으며 강활 등 21개 작목은 비특화 작물로 분석되었다. 재배면적을 기준으로 한결과는 독활, 백지, 양유, 지황 등이 핵심품목으로 길경, 두층, 목단, 방풍, 백출, 오미자, 의이인, 작약 등은 주산품목으로 강활 등 19개 품목은 비특화 작물로 분석되었다. 2. 주요 약용작물 재배 계획면적 조사에서는 당귀, 두층, 오미자, 독활, 천궁 등이 계획 대비 실제 재배면적의 차이가 큰 작목으로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상품가격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96 재배면적 조사 결과 전북지방의 주요 약용작물 재배 계획 면적은 총 1,692.7ha였으며 이중 독활이 426ha로 가장 많았고, 길경(283ha), 양유(179ha), 작약(165ha), 두층(154ha), 당귀(113ha), 오미자 의이인, 지황, 산수유, 천궁, 방풍 등의 순이었으며 기타작목으로 백지, 황기, 백하수오 등 28작목이 조사되었다. With the beginning of the new localization era, epoch-making techniques in local agriculture are needed to improve farm income and devlop a locally specialized crops. On the basis of these trends in local agriculture, the status quo of production in medicinal plants which are one of the major income crops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data for developing a new crops and drafting a policy.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analyzed by Location Quotient of production rate in Chonbuk were classified three catagories. 5 items including Aralia continentalis K_ITAGAWA among 31 items were so rted out as a core crops, another 5 items including Platycodon grandiflotum(J_ACQ.) A.DC. were as a main crops and other 21 items were as a non-specialized crops. Analyzed by cultivation area, 4 items were sorted out as a core crops, another 8 items were as a main crops and the other 19 items were as a non-specialized crops. 2. In comparison with the gap between intended cultivation area and real cultivation area, 5 items including Eucommia ulmoides OLIVER were showed more larger than the others. The above mentioned items were assum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price. 3. Farmer's intended cultivation areas of the major medidinal plants in 1996 were surveyed totals of 1.692 ha in Chonbuk. Among them, Aralia corolata was surveyed as the top totals of 426 ha. in area.

      • KCI등재

        전북개발공사의 경영효율성 평가 - 초효율성모형을 이용한 시계열분석 -

        유금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전북개발공사의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경영개선정보를 제공하고 전라북도 산하기관들에 대한 체계적인 경영평가를 위한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도시개발공사에 대한 현행 경영평가체계와 도시개발공사의 효율성을 측정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전북개발공사의 경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규모수익가변 및 초효율성 자료포락분석모형을 공식화하고, 경영효율성 및 초효율성을 측정한 결과와 비효율성의 원인 및 정도, 준거집단을 분석했다. 전북개발공사의 경영효율성이 100%인 연도는 2003년도와 2005년도, 2006년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5개 연도 중 2005년도의 효율성이 110.2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도의 효율성은 90.20%로 나타났으며, 2007년도의 효율성은 53.56%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To provide management improvement informations for enhancing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the Jeonbuk Development Corporation as well as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ology for systematic managerial evaluations of public agencies associated with Jeonbuk Province,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anagerial evaluation system and major previous literature on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in Korea, formulated variable-returns-to-scale(VRS) and super-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s for evaluating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the Jeonbuk Development Corporation from 2003 through 2007, and analyzed technical efficiency and super-efficiency scores, the sources and amounts of inefficiency, and reference set. The efficient years in the Jeonbuk Development Corporation showed to be 2003, 2005 and 2006 years, of which the efficiency of the 2005 year is the highest level of 110.26%. On the other hand, the efficiency of the 2004 year revealed to be 90.20%, while that of the 2007 year indicated the very low level of 53.56%.

      • KCI등재후보

        장수와 복락, 多子의 고상한 염원 : 19세기 전북지역 묵포도도 전문화가의 활약

        강영주(Kang, Young-ju)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7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 박물관 소장 춘파 강봉훈이 제작한 《묵포도도 10폭 병풍》의 고찰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와 동일시기 동일지역에서 활동했던 호운 서병우와 낭곡 최석환 포도도의 형식과 양식이 춘파의 포도도와 유사함을 살필 수 있었으며 이어 전북지역 포도화풍에 영향을 미친 충청 찰방을 지낸 조선 후기 대표적인 포도화가 휴당 이계호의 생애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전북지역에 활동한 포도그림 화가들의 작품이 당시 중앙화단이나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고유한 형식과 양식이어서 더욱 주목되었다. 이것은 중앙에서 40대 이전 포도그림으로 이름을 떨친 휴당 이계호가 이후 충남 공주지역에서 포도그림 화가로 활약했던 것과 관련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18세기 이전 문인들의 修己 목적이자 인격화된 君子 식물로 인식해 제작 감상되었던 포도도는 이계호에 이르러 포도의 식물학적 특징의 사실적 묘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활달하고 생동감 있는 필치로 화가의 감흥을 표출하고 포도의 길상적 상징까지 적극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변하였다. 더 나아가 19세기 전북지역 포도도 전문화가 최석환은 이계호의 포도도 화풍을 이어받아 대형 병풍에 농묵으로 서예적 용법을 준용하여 빠르고 신속하게 붓을 휘둘러 작화 행위 자체에 흥취를 더했다. 뿐만아니라 그는 포도도에 부귀영화와 다자다산을 상징하는 다람쥐[鼠]를 그려 넣어 이상적 인간상인 군자상징과 부귀다산의 세속적 상징을 모두 담아내었다. 즉 이계호에서 시작된 묵포도도는 군산 임피의 최석환, 익산의 서병우, 이리의 강봉훈에게 이어지고 이들의 묵포도도를 경험한 근대기 문인서화가인 정술원, 김철수, 허백련에게 전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전북지역에서 활동한 견식있는 화가들이 그린 묵포도도는 조선 포도도의 의미와 가치가 변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This study star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grape painting of Chunpa Kang Bong-hoon(春坡 姜鳳薰), director of the Wonkwang University Museum.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ormat and style of the painting of Houn Seo Byung-woo(湖雲 徐丙于) and Nangok Choi Seok-hwan(浪谷 崔奭煥), who were active in the same area at the same time as Kang Bong-hoon. It then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define the life of Hyudang Lee Gye-ho(休堂 李繼祜), a representative grape pain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died while living in Gongju(公州), Chungcheongnam-do. The works of grape painting artists working in the Jeonbuk(全北) regions drew more attention because they were unique in form and style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central art organizationt or other local art organizationtf at the time. This may have started when Hyudang Lee Gye-ho became the best painter in Gongju, Chungcheongnamdo, and served as a grape painter for decades.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rape painters who worked mainly in Jeollabuk-do in the 19th century were first changed by the purpose of training themselves before the 18th century and by recognizing them as personified plants.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grape painting in the 19th century changed in a way that paid attention to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grapes and expressed the artists excitement with lively and lively strokes and included auspicious symbols of grapes. Furthermore, in the 19th century, Choi Seok-hwan took over Lee Gye-hos grape painting style and quickly wielded a brush with a thick ink on a large screen to add excitement to the painting act itself. In addition, a mouse symbolizing wealth and many children(多子) was drawn to include both the ideal human symbol of a man of virtue(君子) and the secular symbol of wealth and fertility in the grape painting.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grape painting, which began in Lee Gye-ho, were handed down to Choi Seok-hwan of the Gunsan Impi, Seo Byung-pyo of Iksan, and Kang Bonghoon of Iri(益山), and to Jeong Sul-won(斗山 鄭述源), Kim Cheol-soo(芝雲 金綴洙) and Heo Baek-ryeon(毅齋 許百鍊), who experienced grape paintings them. Grape paintings, which have symbols of honor and auspiciousness born from the hands of knowledgeable grape painting specialists such as Choi Seok-hwan, Seo Byung-pyo, and Kang Bong-hoon, show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eaning and value of Joseons grape paintings. The next task will be to consider the works of Oh Nam-woon and Kim Hak-soon, who were not clearly revealed in this paper, and artists specializing in folk painting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grape painting in the central art organization or Gyeongsang-do.

      • KCI등재
      • KCI등재

        전북지역 고문서 연구현황과 그 활용방안

        정성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5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6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actural and present status of the study on old documents owned by Chonbuk province and make a few suggestions about how to make use of them. Old documents are valuable not only as historial materials themselves, but as materials for cultural use as to a study on Korean history. That's why we should collect, document, and preserve the old documents being lost through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is thesis consists of two categories. One category is about the present status of the researching and documenting of old documents designated as cultural assests and those which are not. In case of the old ducuments not designated as culturas assets, the status of documenting and researching using old documents is broken into parts according to the places having them. The other is about the ways of aplication using old documents. The way how to store old documents in the computer is presented, including methodology of the regional history and the way of developing th regional culture contents using who's who or a gazetter. The materials used here come from old documents in Iksan region conducted by Iksan Historical Materia! Is Committee.(益山史料조調査委員會) There are 695 old documents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including thos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by Chonbuk province itself, and 31,575 old documents not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in Chonbuk. There are also approximately 2,663 old documents belonging to each individual, which are divided into the documents related to a state examination and a government post (42%), a etition and a lawsuit (19%), a family register (19%), and a personal property (14%). The amount of old documents owned by each museum account for more than 90% of the documents belonging to Chonbuk province, and, especially, the Museum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as about 18,000 old documents accounting for 57%. Most of the old documents carried in literature are no more than an introduction toan event or a person and they are not fully interpreted or documented.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has comparatively carried out research on historical materials about Iksan in detail by adding images and detailed lists. Also, Museum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a published books about old documents. In addition, of the writings using old documents in Chonbuk province, those referring to Buan Kim's documents(扶安金氏古文書) of the families from the same clan account for the most However, these are likely to change because a research and a study on old documents being underway are not included. Lastly, these findings are based on the condition of the r! esearch and study conducted on September, 200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