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추 전방 유합술에서의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의 유용성

        김동준,김종오,윤여헌,고영도,김남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demonstrate the fusion rate, degree of subsidence and donor site morbidity of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autogenous bicortical iliac bone graft and anterior cervical locking plat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with autogenous tricortical iliac bone graft, a large percentage of patients report chronic donor site pain.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research was done for 39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autogenous bicortical iliac bone graft, from January 2006 to July 2011, with a follow up period of longer than 1 year. Fusion rates and subsidece of the graft is estimated with radiographs. Neck pain and donor site pain was estimat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dysfunction was estimated with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Results: A 95% of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autogenous bicortical iliac bone graft revealed definitive fusion with little amount of subsidence. The mean VAS score was 0.7 on the donor site and the mean NDI score was 3.8 at the final visit. There was excellent clinical outcome without complication at the donor site or the recipient site. Conclusions: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autogenous bicortical iliac bone graft showed high fusion rates and minimal subsidence with excellent clinical outcomes. Therefore, bicortical iliac bone graft is an effective operational procedure in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과 경추 전방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경추의 전방 추체 유합술에서 유합률, 골침하 정도, 공여부의 이환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자가 삼면 피질 장골 이식을 이용한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전방 추체 유합술 후 많은 환자들이 공여부의 만성 통증을 호소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1년 7월까지 본원에서 장골에서 채취한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을 이용하여 경추 전방 추체 유합술을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9명의 환자에 대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사진을 이용하여 유합률, 골침하 정도를 조사하고, visual analogue scale(VAS)을 이용하여 경부, 공여부 통증을 평가하고 neck disability index(NDI)를 이용하여 기능 장애를 평가하였다. 결과: 경추 전방 유합술에서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을 이용한 결과, 95%의 환자에서 확실한 골유합을 얻었으며 및 골침하 정도도 경미하였다. 최종 추시시에 VAS를 이용하여 평가한 공여부 통증은 0.7점이었고, NDI를 이용하여 평가한 기능 장애는 3.8점이었다. 그 외 이식부나 공여부의 다른 합병증도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결론: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을 이용하여 경추 전방 유합술을 시행한 결과, 우수한 유합률과 경미한 골침하 정도를 보였으며, 임상 결과도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경추 전방 추체 유합술에서 양면 피질골 이식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일측성 접근을 통한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로 충분한 정복 및 유합을 얻을 수 있는가?: 고식적 요추 추체간 유합술 및 양측성 최소 침습 요추 추체간 유합술과의 방사선학적결과 비교

        구기형,이장연,김재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2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compare the radiologic results of unilateral or bilateral minimal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MIS TLIF) and conventional open lumbar interbody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Only a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slip reduction and fusion rate between unilateral or bilateral MIS TLIF and conventional open TLIF.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7 and May 2015, 80 patients with single-level low-grade spondylolisthesis underwent unilateral MIS TLIF (26 patients), bilateral MIS TLIF (10 patients), or open TLIF (44 patients) by a single surgeon. Radiologic studie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2 weeks postoperatively,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Slip reduction, the lumbar lordortic angle, and the fusion rate were analyzed. Results: The 3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improved slip after oper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3 groups (p=0.015) and between the MIS TLIF group (31.76%±14.42%) and the open TLIF group (41.66%±15.98%) (p=0.01) in the slip reduction rate at 2 weeks after the oper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unilateral MIS TLIF and bilateral MIS TLIF (37.61%±15.0% vs. 29.5%±13.82%, p=0.148). In the lumbar lordotic ang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3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3 groups in slip reduction or the fusion rate at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that unilateral MIS TLIF showed a similar slip reduction and fusion rate to bilateral MIS TLIF, but that conventional open TLIF showed better slip reduction than MIS TLIF, although it had a similar fusion rate.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일측성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MIS TLIF), 양측성 MIS TLIF과 고식적 접근법을 통한 경추간공 요추 유합술의 방사선학적 결과를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일측성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MIS TLIF), 양측성 MIS TLIF과 고식적 접근법을 통한 경추간공 요추 유합술의 전위 정복 정도와 유합율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단분절 척추 전방 전위증으로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80명을 대상으로하였다. 고식적 유합술을 시행받은 환자가 44명, 양측성 최소 침습 유합술을 시행받았던 환자가 10명, 일측성 최소 침습 유합술을 시행받았던 환자가 26 명이었다. 수술 전, 수술 후 2 주 및 12개월에 단순 방사선 영상을 시행하였다. 정복의 정도, 요추 전만각, 수술 분절의 유합을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 모두에서 수술 후 유의한 전위 정복을 얻을 수 있었다. 수술 후 2주에 시행한 단순 방사선 영상에서 척추 전방 전위의 정복 정도에서 유의한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고 (p=0.015), 고식적 유합술군(41.66±15.98%)이 양측성군과 일측성군을 포함한 MIS TLIF 군(31.76±14.42%) 보다 우수하였다(p=0.01). MIS TLIF 군 내에서 양측성군과 일측성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7.61±15.0%, 29.5±13.82%, p=0.148). 세 군간에 요추 전만각의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1년에 측정한 정복의 유지 정도 및 수술 분절의 유합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저도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고식적 요추 유합술은 최소 침습 유합술 보다 정복의 정도에서 우수하였으나, 유합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최소침습군 내에서 양측성군과 일측성군 사이의 전방 전위의 정복 정도나 정복의 유지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약칭 제목: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의 MIS TLIF

      • KCI등재

        단분절 경추 추간판 탈출중에서 추체간 골유합술의 결과 : 전방 금속판 보강술과의 비교

        김환정,김규현,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3

        연구 설계 : 전방금속판을 사용한 전방 추 체간 유합술과 전방금속판을 사용하지 않은 전방 추 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단 분절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목적 : 단 부절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에서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과 추 체간 유합술 후 치료결과 및 전방금숙판 보강술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단분절에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35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군 모두 자가골이식술을 이용한 Smith Robinson 방법을 사용하여 추간판 제거술 및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A군은 14례로 전방금속판을 이용한 경우였으며 B군은 21례로 전방금속판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였다. 곧 유합 및 추간 간격의 변화를 방사선적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고 Robinson의 방법에 의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적 분석에서 추간 간격의 감소는 B군(특히 61세 이상의 환자)에서 흔하였으나 골유합 기간은 두 군에서 비슷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에서는 양호이상이 A군에서 86%, B군에서 90% 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전방금속판 보강술을 골다공증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사용시 조기에 활동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이식골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며 비록 여러가지 전방 금속판 보강술의 장저미 보고되고는 있지만 단분절의 추체간 유합술 시에는 특별한 효과가 없었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one level cervical disc herniation who had undergone anterior discectomy and fusion with or without plate fixation.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sis the result of anterior discectomy and fusion, and to assess the benefits of the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plate in the treatment of one level cervical disc hern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35 surgically treated patients for one level disc herniation were reviewed. The Smith Robinson with autologous iliac crest bone graft was performed in both groups. Group A consisted of 14 patients who had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fixation performed. Group B consisted of 21 patients treated without plate fixation. Radiologic parameters included the bone union and changes of intervertebral space. Clinical results were classified using the criteria of Robinson. Results : In radiologic analysis, decreases in intervertebral space were common in group B, especially in older than 61 years old age group, and the bone union time was same in both groups. The overall clinical success rate was 86% in group A and 90% in group B. This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i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When selectively used in osteoporotic patient,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plate fixation allows an early retur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and prevent deformities in graft bone.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ed to confirm this result. Although many advantages of anterior plate stablilzation have been previously reporte, the plate osteosynthesis after on level fusion for radiculopathy was not thought to be a major advantage.

      • PCB implant를 이용한 경추골 유합술에서 척추간격의 높이와 전굴 각도의 변화

        김학용,목진호,박형근,김한식,이규춘,박용석,이영배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2

        목적 : 골편을 이용한 전방 경추체 골유합술은 수술 초기에 척추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판 고정 기구를 이용한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금속판 고정수술은 금속판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골유합 과정에서 척추 간격이 감소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수술 후 적당한 척추간격 및 전굴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여러 경추 질환의 치료결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저자는 요추부에서 사용되는 cage system과 금속판을 병합한 PCB implant(cervical plate cage system)를 이용한 전방 경추체 골유합술을 시행한 후 척추간격 및 전굴각도의 변화와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본원 신경외과에 경추질환으로 입원하여 PCB implant를 사용하여 전방 경추체 골유합술을 시행 받은 15명을 대상으로 임상기록 및 방사선학적 자료에 대해 척추간격의 높이와 전굴각도의 변화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모든 예에서 수술 후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Odom분류에 따른 결과는 Excellent가 7명, Good이 5명, Satisfactory가 3명이었다. 수술 후 모든 환자에서 척추간격의 증가를 보였으며 수술 전 평균 5.2㎜, 마지막 추적사진에서는 평균 8.2㎜로 증가하였고 추적기간 중 증가된 척추간격이 잘 유지되었다. 전체 경추의 전굴 각도는 수술 후 평균 12.3도 증가하였고 골유합 분절의 전굴 각도는 수술 후 평균 7.8도 증가하였고 증가된 경추 전굴 각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 PCB implant는 조작이 간편하고 지속적인 척추 간격 및 척추 전만곡의 유지, 낮은 기구 위험도 등의 장점이 있어 다양한 경추 질환에 대한 전방경유 경추 고정수술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구로 사료된다. 또한 경추질환에서 수술 후 지속적인 척추 간격과 척추 전굴 각도의 유지가 지속적인 증상의 호전 및 재발 방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may not provide adequately immediate stabilization, whereas anterior cervical spine plating has overcome this main disadvantage. But various complications related to cervical spine plating system were also reported. In variable cervical pathologic conditions, the adequate intervertebral disc space height and lordotic curvature are the major factor for satisfactory outcom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he intervertebral height and lordotic curvature in anterior cervical fusion with the PCB implant. From May 1998 to April 2000, 15 patients with cervical spine disorders (HNP, spondylosis & trauma) were underwent anterior cervical spine fusion with the PCB implant(cervical plate cage system). Single level fusion was accomplished in 9 patients and two level fusion in 6 patients. The radiographic data (height of intervertebtal disc and lordotic angles) were obtained retrospectively from routine clinical radiographes preperatively, immediate- postoperatively, and at 18-25 months postoperatively.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All patients show some improvement of their symptoms. The height of intervertebral dis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2 mm preoperatively to 8.2 mm at last follow-up. The average increasement of lordotic angle of the entire cervical spine was 12.3°and Cobb angle was 7.8°. The increased height of intervertebral disc and lordotic angles were maintained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We think that maintenance of the intervertebral disc height and cervical lordosi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good prognosis, and that PCB implant can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useful hardware for anterior cervical spine fusion in variable cervical spine disorders.

      • KCI등재

        전방 경유 디스크 절제술 및 유합술과 후방 추간공 절제술에서의 경추 추간공의 형태학적 변화 비교

        정성수(Sung-Soo Chung),선우성(Woo-Sung Sun),정종철(Jong-Chul Chung),허기성(Ki-Sung Heo),김현민(Hyun-M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6

        목적: 경추 추간공 협착증에서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과 추간공 절제술 후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그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 및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한 186명 중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102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및 술후 5일째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군(A군-51명)과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 받은 군(B군-51명) 사이의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A군에서 추간공 수직 직경의 변화는 평균 1.7 mm, B군에서는 평균 1.2 mm로 증가하였으며 A군에서 0.5 mm 높게 나타났다(p=0.042). 추간공 횡단 직경의 변화는 A군에서 평균 1.2 mm, B군에서는 1.8 mm로 B군에서 0.6 mm 넓게 나타났다(p=0.021). Neck disability index (NDI),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모두 양 군에서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A군에서 더 높은 호전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각각 p=0.356, p=0.607). 결론: 미세현미경과 내시경을 이용한 추간공 절제술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에 필적하는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수술 후 경부의 통증 및 불편감을 줄이면서 인접분절의 퇴행변화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추의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hange in foraminal space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the clinical outcome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versus foraminotomy in cervical foraminal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8 to March 2019 on 186 patients who underwent ACDF and foraminotomy. One hundred and two cases were selected considering age, sex, and body mass index. MRI was performed before and on the 5<SUP>th</SUP> day after surgery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foraminal diameter between the ACDF group (group A-51) and foraminotomy group (group B-51). Results: Between groups A and B, the average change in foraminal vertical diameter was 1.7 mm and 1.2 mm, respectively; group A was 0.5 mm larger difference (p=0.042). The average change in foraminal transverse diameter was 1.2 mm and 1.8mm, respectively; group B showed a 0.6 mm larger change (p=0.21). Both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s improved in both groups. Group A showed more improv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356, p=0.607, respectively). Conclusion: Foraminotomy is a useful option for patients with foraminal stenosis of the cervical spine because it showed comparable clinical and morphological results to ACDF and could minimize motion segment loss and muscle and ligament damage.

      • KCI등재

        경추 전방 유합술 후 인접 분절 퇴행성 병변의 발병률과 위험인자

        김영태,백동훈,이춘성,이동호,황창주,손동욱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1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radiologic and clinical analysis of 48 patients following anterior cervical fusion. Objective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symptomatic adjacent segment disease after anterior cervical fusion and determine the risk factors affecting its progres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ymptomatic adjacent segment disease appears to occur at a rate of 2% to 3% per year. Materials and Methods: Forty-eight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3 years after anterior cervical arthrodesi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 modification of the Robinson criteria was used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nd the radiographic grading of Hilibrand was used for the radiology evaluation.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survival rate. Age, gender, number of fusion segments, preoperative ROM, angle of lordosis, spinal canal diameter and radiologic degeneration of adjacent segments were selected as potential risk factor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clinical symptoms. Results: Symptomatic adjacent segment disease developed in 11 of the 48 patients(22.9%). The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88.7%, 82.4% and 58.7% at 5, 10 and 15 years, respectively. A study of the risk factors showed that preoperative degenerative changes and narrow spinal canal in the adjacent segments were significa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age, gender, number of fusion segments, preoperative ROM and angle of lordosis.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symptomatic adjacent segment disease after anterior cervical fusion was considerable and higher when the patients had preoperative degenerative changes and a narrow spinal canal in the adjacent segments. 연구 계획: 경추의 전방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 대해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목적: 경추의 전방 유합술 후에 발생하는 증상을 동반한 인접 분절 퇴행성 병변의 발병률을 조사하고 이러한 병변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경추 전방 유합술 후 발생하는 인접 분절의 방사선학적 퇴행성 변화가 있을 때에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와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나,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때에 위험인자들에 따라서 적극적인 치료를 추천하는 저자들이 있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전방 유합술 후 3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Robinson criteria의 modification을, 방사선적 평가는 Hilibrand의 방사선학적 등급을 사용하였고, 자연경과 파악을 위해 Kaplan-Meier 생존함수를 이용하였다. 위험인자로 나이, 성별, 유합 분절수, 수술전 퇴행성 변화의 정도, 만곡의 각도, 경추 운동 범위, 인접 분절의 척추관 직경 등을 선정하였고 임상 증상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어서 퇴행성 병변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증상을 동반한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병변은 48명중 11명(22.9%)에서 있었으며 생존 함수 분석상 수술 후 5년간 증상이 발생 안 할 가능성은 88.7%, 10년간은 82.4%, 15년간은 58.7%였다. 수술 전 MRI상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가 심한 경우와 인접 분절의 척추관 직경이 작았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자의 나이, 성별, 유합 분절수, 수술전 만곡의 각도, 경추 운동 범위 등은 통계학적인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경추의 전방 유합술 후 증상을 동반한 인접 분절 퇴행성 병변의 발병률은 높은 편이며, 수술 전 MRI에서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와 좁은 척추관 직경이 위험인자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를 수술 할 경우에는 수술 전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해야 하며, 수술 후에는 적극적인 추시관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퇴행성 경추질환에서 PEEK 케이지와 전방금속판을 이용한 경추 다분절 및 한분절 전방 유합술 후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의 비교

        송경진(Kyung-Jin Song),이수경(Su-Kyung Lee),송지훈(Ji-Hun Song),최병열(Byeong-Yeol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퇴행성 경추 질환의 전방 유합술 후 다분절 유합이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임상적인 결과를 한분절 유합술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경추 질환에 대해 추간판 제거 후 PEEK케이지를 이용한 전방 유합술과 전방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4.4±10.6세이며, 평균 추시 관찰은 48.5±8.5개월이었다. 한분절 유합술을 시행한 55명을 A군, 두분절 이상 유합술을 시행한 72명을 B군으로 분류하였다.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에 대하여 인접 분절의 골극 형성 및 퇴행성 변화의 등급을 비교하였으며, 인접분절 질환은 인접분절의 방사통 및 척수병증의 발생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인접 분절 골극 형성 단계는 A군에서 1.62±0.85점, B군에서는 2.43±1.14점으로 두 군간 차이를 보였으며(p=0.02), 퇴행성 변화 등급은 A군에서 l.71±0.94점, B군 2.38±1.11점으로 B군에서 퇴행성 변화가 많이 진행되었다(p=0.01). 인접분절의 방사통 및 척수병증 발생률은 추시 관찰 중에 A군에서 3.6% (2/55예), B군에서 4.2% (3/77예)로 두 군간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으며(p>0.05), 유합 분절 수에 따라 증상 변화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퇴행성 경추 질환에서 케이지와 전방금속판을 이용한 유합술시 다분절 유합술은 한분절 유합술에 비해 인접 분절의 골극 형성 및 추간판 간격 감소의 퇴행성 변화 소견은 많이 발생되지만 인접 분절 질환 발생률은 유합분절 수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ulti-level fusion in the development of adjacent level degeneration (ALD) in anterior cervical arthrodesis, as a treatment for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ly, we analyzed 127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desis with PEEK cage and plate construction for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 The mean patient age was 54.4±10.6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8.5±8.5 months. Group A composed of 55 patients who underwent one level fusion and group B composed of 72 patients who underwent two or three level fusion. We evaluated and compared the severity of ALD, such as the stage of osteophyte formation, the grade of ALD, and the incidence of ALD according to 4 grading system. Results: The stage of osteophyte formation was 1.62±0.85 points in group A and 2.43±1.14 points in group B (p=0.02). The grade of ADL was 1.71±0.94 points in group A and 2.38±1.11 points in group B (p=0.01).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ALD (radiculopathy and/or myelopathy) was 3.6% (2/55 cases) in group A and 4.2% (3/77 cases) in group B (p>0.05). Conclusion: Multi-level fusion can accelerate the severity of adjacent level degeneration as compared with one level fus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in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adjacent level degeneration to the fusion level number after anterior cervical arthrodesis for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s.

      • KCI등재

        저도의 척추 전방전위증에서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결과 - 최소 2년이상 추시 -

        정흥태,조재림,김우철,김도근,김문찬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1

        Study Design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spontaneous reduction via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Mini-TLIF) as the treatment for low-grade symptomatic spondylolisthe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is technically demanding, this procedure is an effective method for spontaneous reduction of low grade spondyloli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consecutive series of 41 patients with low grade spondylolisthesis who underwent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between April 2008 and July 2009.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2 years.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an analysis of Visual Analogue Scal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For the radiological evaluation, disc space height, slip percentage, and slip angle were analyzed. At the final follow-up, the fusion rat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Bridwell’s anterior fusion grade.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the Visual Analogue Scale for back pain decreased from 6.8±1.2 to 2.0±1.1, and that for radiating pain decreased from 7.9±1.3 to 1.7±1.1. Oswetry Disability Index decreased from 38.5±8.4 to 13.4±6.1. For the radiological evaluation, disc space height increased from 8.4±2.14mm to 11.8±1.54mm(P<0.05), slip percentage was reduced from 18.4±5.1% to 13.3±3.1%(P<0.05) and slip angle decreased from 10.6±4.5° to 6.2±3.4° (P<0.05). At the final follow-up, radiological union was obtained in 38 cases (92.7%).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appears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spontaneous reduction of low grade spondylolisthesis if the surgeon becomes familiar with this method.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통한 저도의 척추 전방 전위증의 자연 정복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저도의 척추 전방 전위증의 자연 정복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4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증상있는 저도의 척추전방전위증으로 진단받은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41례를 대상으로 최소 2년이상 추시관찰을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시각통증등급, Oswetry장애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추간판 높이, 전위정도 및 전위각을 측정하였으며 최종 추시상 방사선학적 유합 평가는 Bridwell’s 전방 유합 등급을 이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 및 평가는 시각통증등급은 요통은 술전 6.8±1.2점에서 최종추시 2.0±1.2점으로 감소하였으며 방사통은 술전 7.9±1.3점에서 최종추시 1.7±1.1점으로 감소하였다. Oswetry장애지수는 술전 38.5±8.4점에서 최종추시 13.4±6.1점으로 감소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추간판 높이는술전 8.4±2.14mm에서 최종추시 11.8±1.54mm로 증가하였으며(P<0.05) 전위 정도는 술전 18.4±5.1%에서 최종 추시 13.3±3.1%로 감소하였으며(P<0.05) 전위각 또한 술전 10.6±4.5°에서 최종추시 6.2±3.4°로 감소하였다(P<0.05). 최종추시상 방사선학적 유합율은 38례(92.7%)에서 보였다. 결론: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술기가 익숙하다면 저도의 척추 전방 전위증의 자연 정복에 효과적인 술식이라 생각된다. 약칭 제목: 최소 침습 경추간공 유합술의 결과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