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대학적응 연구

        권영심(Kwon Young-shim),강소연(Kang So-yeon),박성은(Park Sung-eu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미래교육학연구 Vol.18 No.2

        전문대학생들의 기초 학력수준저하 및 졸업생들의 직업 능력 부족이 사회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주로 4년제 대학으로의 편입 준비에 몰두하거나 또는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방관적이거나 수업 자체를 따라가기 힘들어하는 학생들이 있어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교에서의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일반 대학생들과 비교해 봄으로서 전문대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이고 대학 생활의 적응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문대학생들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의 적응정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4년제 대학과의 비교에서, 4년제 대학생이 전문대학생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실패내성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하위 영역 중 감정은 전문대학생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4년제 대학생들이 학교환경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생활적응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전문대학생들은 학교 교사 적응, 학교 수업 적응에서 더 높았다. 고둥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수업은 일반 4년제 대학과는 차별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대학생들과 다른 학습동기와 태도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이들의 동기 특성에 맞게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한 학교차원의 다양한 지원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Recently, the college students' fall in academic ability and graduates' unqualified performance at work has risen as a social issue. Majority of college students are without motivation to focus in their college studies. Some students mainly focus in transferring to universities, other students are either absent-minded in studying or unable to keep up with the class materials. Through multidimensional comparisons with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raising the academic motiv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who have encountered numerous failures in their early years of education, and thus to enhance their adjustability in colleg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level of adjustment and between their failure tolerance and level of adjustment. In general, the university students appeared to be considerably higher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failure tolerance, but the college students further excelled in the emotion category of failure tolerance. While the university students got high scores m school environment-related adjustment, school friends- related adjustment, and school life-related adjustment, the college students showed better scores in school teacher-related adjustment and school instruction-related adjustment. As a higher career educational institution, it is imperative that college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general universities through multi-faceted support system in order to meet the student's unique needs and increas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박종희(Park, Jong-Hee),박성희(Park, S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생 433명이며, 연구 자료는 상관분석, 회귀분 석,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검증방법과 Sobel Test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준비행동세 요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셀프리더십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변수임이 검증되었고, 셀프리더십은 진로준 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을 고려한 통합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9 college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we use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diation test procedure and Sobel Test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of self-leadership,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rd, the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as demonstrated the partial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proved that self-leadership are major variables to boos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directly through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to promot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 integrated program considering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김지영(Kim Ji Young),김우리(Kim Woo Ri),손윤실(Son Yun Sil),김정섭(Kim Jung 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37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학업스트레스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과 부적 상관이 있고,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수-학생상호작용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개인 차원에서 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추는 것과 더불어 학교차원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relations among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are there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Data was collected from 370 students sampled from 3 colleges in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Academic Stress Scal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cale, and Adjustment to Colleg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1986), and Bootstrapping by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Second, the through mediation analysis, there was partial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to maximize of college adjustment, it is needed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to promo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영미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4

        The two prominen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form the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is means that almost sam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every year in Korean higher education and also means the level of contribution at national development is almost same. In spite of considerable numbers of junior colleges, they have been neglected as they are in Korean education system, by being interested in only universities. Meanwhile, if we take a look the debates surrounding junior college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s is going on the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and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 students is going on th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Now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s education on college basis, it causes lots of debates over centrally ‘The Effect of school’ - ‘Is junior college effectiv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it causes lots of discussions over centrally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 ‘Do junior college students succeed?’Therefore,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the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totally different opinions from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s’ o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d as follows. First, I examined present condi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status of junior college through the feature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junior college. Second, I partitively suggest conditions on main issue related to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with junior college basis and student basis. Finally,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 basis, I suggest conditions on a standard of judgment of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and then indicated problems on debates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한국의 고등교육 체제는 크게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 양대 축을 이루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의 고등교육 체제에서 전문대학이 양성하는 인력이 4년제 대학과 거의 같은 수준이며, 국가발전에 대한 기여도도 거의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현실은 4년제 대학에만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전문대학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생을 둘러싸고 어떠한 논쟁이 있었는지 살펴보면, 먼저 전문대학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 효과’를 중심으로, 전문대학생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을 중심으로 논의가 펼쳐졌다. 여기서 ‘전문대학 효과’는 대학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은 효과가 있는가’ 즉 ‘학교의 효과(effect)’에 대한 논쟁이 주류를 이루었고, ‘전문대학생의 성공’은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생은 성공하고 있는가’ 즉 ‘학생의 성공(success)’을 중심으로 열띤 논의가 이루어졌다. ‘전문대학 효과’ 논쟁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문대학은 산업계의 요구와 4년제 대학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옹호자와 비판자 모두 같은 입장을 취하지만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한다. 따라서 이 글은 ‘전문대학 효과’ 또는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의에서, 의견을 전혀 달리하고 있는,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한국의 고등교육 현황과 전문대학의 위상을 한국 고등교육의 특징과 전문대학의 비중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문대학교육 효과 관련 주요 쟁점을 대학 차원과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되, 대학 차원은 ‘전문대학 효과’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학생 차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를 판단하는 준거들을 제시한 후 이러한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손경옥,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Junior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Inventory.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phase: 1) Domains of the construct establishment; 2) Instrument items development; 3)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4) Norm development. The construct model was revised with the Delphi technique. The final model consisted of four domains, i.e., the educational support,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the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First, Three sub-domains were identified in the educational support domain: 1) curriculum, 2) teaching, and 3) professor. Second, The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1) career program and career counselling and 2) employment program and employment information. Third, The administrative suppor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1) academic administration and 2) staff and administrative assistant of the department. Forth, the physical environment domain consisted of two sub-domains : 1) the education facilities and 2) the college campus environment.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ere established via the field test.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480 junior college students. After conducting the item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factor analysis, a set of 45 items were selected for the main test. A total of 23,520 juni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test of the instru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the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Cronbach’s alpha value for the educational support domain, the career & employment support domain, the administrative support domain, the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domain and the entire instrument was above 0.9 an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stablished. The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the evidence that college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consisted 9 factor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4 domain and 9 sub-domain structure of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college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initially developed in the phase 2.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구성요인 설정, 문항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규준 개발의 네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인화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도구를 가지고, 전문대학생 46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본조사용 측정도구를 확정하였으며, 전문대학생 21,533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와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계수가 0.9이상으로 나타나 도구가 안정적이고 일관성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는 교육 지원, 진로 및 취업 지원, 행정 지원, 물리적 환경 지원의 네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교육과정, 수업, 교수, 진로 프로그램 및 진로 상담, 취업 프로그램 및 취업 정보, 학사행정, 직원 및 조교, 교육 시설 및 기자재, 캠퍼스 환경의 9가지 하위영역이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을 적절히 측정해 낼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국단위의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 현장에서 필요한 대학 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경영전략이 무엇인지 판단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관계분석

        김종운(Jong-Un Kim),김현희(Hyun-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부산광역시 소재 2개 전문대학생 66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모델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 에 직접효과가 있고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효과가 없다. 둘째, 전문대학 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가 있다. 셋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수준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효과가 없다. 넷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의 개입이 중요하며, 부모, 가족, 교수, 친구, 취업교 육지원센터의 컨설턴트, 대학상담센터의 상담원 등 관련인의 사회적 지지망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약하더라도 학생상담센터와 취업교육지원센터에서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지원하여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leve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directly, and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directly. Seco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have a 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college students have no 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urth, social support, affect of college students have a direc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s affected b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order to improve to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과 중도탈락의도의 위계적 관계

        김재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llege, social variable and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examined (1)how much individual, college, and social level variables had effects on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and (2) how much college level educational service had effects on college students' employability. The study collected student level data from 3 college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cross analysis and multilevel analysis, SPSS 17.0 was used. Findings indicated that among demographic variables, gra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And interest variable, college's academic variable,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 and social perception variabl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colleges have to enhance student's interests and academic educational service. And our society must make efforts to have positive perception toward college students compared with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라 중도탈락의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위계적으로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그리고 편의표집법을 활용해 3개교의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482부를 SPSS 17.0 프로그램을 통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중도탈락의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중도탈락의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개인수준, 교육기관수준, 사회적수준 변인을 위계적으로 투입한 결과 개인수준변인 중 흥미변인, 교육기관수준 변인 중 교육기관 학문적 변인, 사회적수준 변인 중 사회적 환경변인과 사회적 인식변인이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유의수준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생의 흥미를 높이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전문대학은 학문적 교육서비스 향상에 노력해야 하며, 사회적으로 전문대학생에 대한 인식전환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지영,김은지,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specific questions as follows: 1) to examine the relations of academic stress, adjustment to college, and academic self-efficacy, 2) to examine 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Data was collected from 389 students sampled from 3 colleges in Pusan City and Gyeo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cademic Stress scal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djustment to colleg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Pearson correlation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1986), and Bootstrapping by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each. Bu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Second,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to maximize of college adjustment, it is needed to promote academic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 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와 K도에 재학 중인 전문대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총 389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스트레스 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심을 가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성향적 낙관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경미(Park, Kyungmi),이진령(Lee, Jinyoung),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의 성향적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성향적 낙관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2개의 전문대학교 재학생 4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회귀분석과 Bootstraping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성향적 낙관성과 자기효능감 모두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향적 낙관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대학생의 성향적 낙관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개인 및 학교, 지역사회 차원에서 성향적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적 접근 및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 등의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ispositional optimism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on the adjustment of college life and to verify whether self-efficacy has a med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al optimism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460 college students from two colleg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ing. The result show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both inclination dispositional optimism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Second,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dispositional optimis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is suggests that the dispositional optimism of college students not only directly affects college life adjustment but also indirectly affects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self-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to provide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counseling approach and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o improve dispositional optimism and self-efficacy at the individual, school, and community level in order to improve the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부모애착이 전문대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김대명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2022 No.특별호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애착이 전문대학생들의 자기결정성동기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남 S시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72명을 연구에 활용했다. 부모애착, 그릿, 자기 결정성동기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전문대학생들의 부모애착, 그릿, 자기결정성동기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며, 부모애착과 자기결정성동기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은 그릿과 외재적 동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애착은 내재적 동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릿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무동기에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이 내재적 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릿은 완전매개효과 있었으며, 외재적 동기와 무동기에는 간접매개효과가 있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들에게도 부모애착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기에, 전문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한 탐색과 이를 회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안정적인 대학 생활을 유지 및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재학생들 역시 담당 교수와의 면담 안에서 부모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여부에 대한 확인을 통해 안정적인 대학 생활 및 진로 탐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문대학생들의 그릿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그릿은 단순히 시간이 지나면서 획득되는 요인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 내 각종 교육프로그램 안에서 그릿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그릿의 영향을 감안한다면 학교 내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에서 그릿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전문대학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 경영자들에게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함께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etermination motives of juni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572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vocational colleges in S, Jeollanam-do, were used for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gri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earch problem covered i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gri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grit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synchronousness. However, parental attachment has not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s. Grit, on the other hand, has been shown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synchronous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grit had a fully mediated effect,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asynchronousness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we have confirmed that parental attachment is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ways in which new stud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can maintain and develop a stable university life through the exploration of whether the interaction with parents is positive or negative,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s to restore it. In addition, current students will also be able to check with their professors to see if they have a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ir parents to help them find a stable college life and career path.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the grit of professional college students. Since grit is not simply a factor that is acquired over tim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comparisons and programs to develop grit competencies within th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the school. Given the impact of this grit,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ncrease grit in in-school comparisons and program development seems to be of paramount urgency. In addition,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 plications can be discussed with school managers who operate community colle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