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인식유형의 탐색: Q-Methodology를 중심으로

        은종환,정광호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2

        In spite of long discussion, systemic research does not exist into the perception of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government officials. Most of the research that does exist is made up of case studies or follows a legal-based approach. From the view of a legal-based approach,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government officials carries a lot of problems. On the other hand, however such preferential treatment would be a natural consequence from various non-legal persp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limited their analytical frame to only the legal perspective. Consequently, preferential treatment has been criticized in unfair terms. However, there have been no empirical studies from multiple non-legal perspectives. From another point of view,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has a social function. This study explores multiple perspectives on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and studies the phenomenon using the Q-methodology. As a result, there were found to be five distinct perceptions concerning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The five perceptions are: ① the legal view, ② realism, ③ nepotism, ④ market-orientation view, ⑤ ethical view. This study finds the social-nepotism and market-orientation points of view as additional perspectives. The study propose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analyzing the ‘Law of Kim Youngnan’ and legislation against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government officials. 전관예우를 둘러싼 오랜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문제정의나 심층적 인식유형에 대한 학술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대부분 사례연구나 법적 고찰에 치우친 나머지 실제 전관예우의 문제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고찰하지는 못하였다. 전관예우가 법치주의나 법 적용의 공정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지만, 여전히 한국 법조생태계의 큰 축으로 작동한다는 엄연한 현실을 두고서 왜 그런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부족했다. 선행연구의 경우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부정적 측면에만 초점을 둔 나머지 그 이면에 작동하는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법조생태계의 사회적 기능이나 정당성에 대해서는 간과했다. 법조계 전관예우는 다양하면서도 상충되는 문제인식의 틀이 중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를 전체 그림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층적 인식체계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설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법조계 전관예우에 내포된 인식 틀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인식유형은 크게 ①법치주의, ②현실주의, ③사회적 연고주의, ④법조계 전관예우 시장, ⑤도덕우선주의 등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문제정의에서 흔히 고려되는 법치주의와 도덕주의 이외에도 법조계 전관예우의 합리적 관행에 바탕을 둔 인식과 연고주의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인식 틀을 활용하여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김영란법’의 현실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법치주의와 법조계 전관예우 시장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을 논의했고, 이를 근거로 법조계 전관예우에 대한 정책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법부 전관예우 분석: 경제학의 관점에서

        최한수(Hansoo Choi) 한국법경제학회 2021 법경제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7년 사이에 기업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318명의 유명 피고인들을 대리한 1,306명의 변호사들의 경력을 조사하여 양형 결정 과정에 전관예우가 실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재판 결과가 전관변호사의 능력이 아니라 그가 재직 당시 구축한 인적 네트워크에 의한 것인지를 구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관변호사와 능력은 비슷하나 인적 네트워크의 영향력의 정도가 다른 여러 유사 전관변호사 집단을 선정하여 이 두 집단 사이의 집행유예선고율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전관변호사는 법원으로부터 혜택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유죄판결을 받은 피고인들이 전관변호사를 선임했을 때 집행유예의 선고확률이 올라갔다. 하지만 전관효과는 일시적이며 동시에 제약이 있었다. 전관예우의 발생 여부는 판검사 경력 변호사의 퇴직 전 지위나 퇴직 연도에 의존하며 언론보도 같은 외부 감시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전관변호사의 보수에 대한 사례들은 변호사 시장에서 전관예우의 이런 특성을 반영한 보수계약이 이미 오랫동안 존재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quantifies the impact of judicial connections on criminal sentences. Using a unique data set of 318 high-profile Korean white-collar criminals, I investigate how often the judiciary favors newly retired senior judge attorneys (Revolving Door Attorneys, RDAs) by giving their clients leniency (e.g., suspended jail terms). To distinguish connections from skills of RDAs, I exploit the length of retirement of former senior judge counsels as a source of exogenous variation in connections. Particularly, I hypothesize that preferential treatment granted to the counsels substantially decays after one year of their retirement. I find that judicial connections have a sizable impact on sentences: convicted white-collar offenders defended by RDAs are more likely (by around 10 percentage points) to receive suspended jail terms than those represented by ordinary attorneys. I also find that the impact is discontinuous after the first year of departure from the judiciary: Lastly, I find that observed leniency disappears when cases become subject to media at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causal linkage between judicial connections and leniency in sentencing.

      • KCI등재후보

        전관예우 실태 및 근절방안에 대한 법조인과 국민의 인식 연구

        김제완 ( Je Wan Kim ),최승재 ( Sung Jai Choi ),이정선 ( Jung Sun Lee ),김태이 ( Tai Yi Kim ),이보드레 ( Boduerae Lee ),이명진 ( Myoung-jin Lee ),김만수 ( Man Su Kim ) 안암법학회 2019 안암 법학 Vol.0 No.58

        전관예우는 가장 대표적인 법조윤리 문제로 지적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개념정의나 객관적이고 공정한 실태조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지난 2018. 7월부터 9월말까지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 총 2천여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전관예우 실태와 근절방안에 대한 인식조사가 이루어진바 있다. 이 조사로 우리나라에서 전관예우에 대하여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가 가지고 있는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더 나아가 법조직역종사자 간에도 이해관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두드러진 점은 주목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설문을 분석하고, 전관예우 실태에 접근하기 위하여 소송경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와 법조직역종사자를 대상으로 전관예우 발생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하여 조사한 설문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우리가 설문에 제시한 전관예우 근절방안에 대한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조사결과를 계기로 전관예우에 관한 일반국민과 법조직역종사자 간에 상당한 인식 차이가 있다는 것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이것이 전관예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당부하며 글을 마친다. Jeonkwanyewoo,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government official, has been pointed out as a salient legal ethics issue. In spite of long discussion, there are not the concept definition and empirical studies of Jeonkwanyewoo.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Jeonkwanyewoo and how to root out it. We conducted survey for 2,000 people from July 2018 to the end of September 2018. As a result, there are distinct perceptions about Jeonkwanyewoo between the public and the legal circle. Furthermore, this study finds a noticeable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the legal circle, depending on their interests. In this study, there are the results of major findings on the inquiries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the legal circle. In order to access to the true picture of Jeonkwanyewoo, we hav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n the experienced about the judicial system and the legal circle about the possibility of Jeonkwanyewoo. Finally, we have discussed the measures to eradicate Jeonkwanyewoo from the survey results. In sum, it should be taken seriously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legal circle. This study should be a starting point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Jeonkwanyewoo.

      • KCI등재

        전관예우의 근절책

        신평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법학논고 Vol.0 No.43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is rampant in doing businesses which are related to his or her former jobs, still in Korea. It is deep-rooted in Korean culture itself. Korea has had a unitary culture and simple race in cultural meaning, which has ordinarily the subculture of nepotism. In humankind history, there has been no such a nation as Korea whose racial and culture composition is so simple. So its tendency to nepotism is particular even compared to other tradition strong countries, for example Japan or European nations. And the preferential treatment has flourished even in judiciary system, whose essential part is fairness. Therefore it has benefited lawyers as retired judges and prosecutors, resulting in the corruption of courts and prosecutor’s offices. At the same time, brokers dealing with judicial matters, whom advanced nations’ people have never heard of, have continuously existed and exploited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For so many years, Korean people have shouted out its evil effects, tried to eradicate it, but the efforts has almost failed in vain. This article’s main subject is to root it out successfully from Korean society. This article gets the start from saying that rooting out the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tired public officers is very difficult. Maybe the failure of previous efforts were caused from not recognizing the difficulty. That is, the efforts were focused on easy-going or superficial solutions. We have to be more serious and more patient to cope with it. I tried to seek out several ways to root out the treatment. I admit my proposals are not sufficient. I just wish them to be useful in discussing the matter and to be a start of sincere efforts to deal with it. I proposed, in advance, to write in the concept of judicial democratization that includes the openness of judicial process related to the eradication of nepotism or judicial neutrality into the Korean constitution. And it might be needed to declare abolition of statute of limitations of the crimes of public officers deliberately failing in dealing with judicially disputed matters or the suspending of it during his or her term of office. The special office for investigations against high ranking officials comprised of judges and prosecutors may have to be installed if we think of particular Korean circumstances in which predominant status of the officials, especially judges and prosecutors, is guaranteed. After them, I suggested the reinforcement of the disciplinary system of judges and prosecutors, which some people say has worked even to conceal the faults. And the heightening of authority of the commission of lawyers’ ethics, which is struggling with how to deal with faults of lawyers, may have some effect. If the time would come, when we don’t hear anything about the faulty treatment, Korean society already has entered in advanced society, which Koreans are yearning for after accomplishing economic miracles. And we could have a society of real rule of law in its true meaning. 전관예우는 우리 사회의 심층, 문화에 바탕을 둔 채 큰 작용력을 가진 연고주의가 발현된 것이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것이나, 분쟁에 대한 엄격한 판정을 생명으로 하는 사법분야에서 이것이 나타나면 그 폐단이 두드러져 보인다. 엉뚱하게도 아직 사회의 일각에서는 이를 부정하는 견해도 없지는 않으나 여러 징후로 보아 이는 엄연히 존재하는 실체이다. 전관예우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관예우가 우리의 연고주의 문화에 뿌리를 박은 것으로서 그 근절이 대단히 어렵다는 전제에 서야 한다. 지금까지 그 실체에 대한 분명한 인식의 결여로 몇 가지 간단한 대책으로 이를 없앨 수 있다는 안이한 인식에 젖어왔다. 우리가 이러한 잘못된 인식을 버리고, 전관예우의 근절이 정말 어렵다는 생각에 이를 때 비로소 전관예우에 대한 해결의 방도가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전관예우의 근절책 몇 가지를 들었다. 개헌의 기회에 사법의 민주화 혹은 사법의 중립성을 헌법에 명시하는 방안, 국가공무원에 의한 부당한 사건처리의 공소시효 배제 혹은 중단의 방안,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의 신설방안, 판․검사 징계제도의 충실화방안, 법조윤리협의회 권한의 강화방안 등을 들었다. 이러한 방안들은 서로가 조금씩 다른 측면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어울리며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으리라고 본다. 그리고 여기에서 든 것 외에 다른 다양한 전관예우 근절책의 제시를 기다리고 싶다. 혹자는 이와 같은 방안의 시행이 판․검사들에게 너무 가혹하다고 비판할지 모른다. 그러나 전관예우가 사법의 낙후성을 나타내는 가장 큰 징표인 점을 감안하여 그런 측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과감하게 시행해나갔으면 한다. 여러 방책들의 효율적인 시행 후 전관예우가 더 이상 국민들의 주목을 끌지 못하는 맑은 사회가 되었을 때, 우리는 훌쩍 법의 지배가 실현되는 선진사회로 넘어가 있을 것이다. 법의 지배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 역할을 하는 사법이 부끄러운 전관예우의 행태를 벗어나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면 이는 바로 명실상부한 법의 지배로 연결되는 것이다.

      • KCI등재

        법조 유사직역 자격사의 전관예우 근절방안에 관한 고찰 - 세무사, 변리사를 중심으로 -

        정형근,서인겸 대한변호사협회 202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01

        A judge, a prosecutor, and an attorney-at-law performing the legal practice is called “legal professional”, while a tax accountant, a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 patent attorney, a licensed administrative agent, a licensed customs broker, a certified public labor attorney performing the legal practice in those relevant fields is called “similar certificates to the legal professional”. A similar certificate to the legal professional performs a part of works that an attorney-at-law performs. The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which means that the attorney-at-law retired from legal officials like a judge and a prosecutor is treated as he or she keeps the position in the procedure and the conclusion of an investigation and a trial, is a serious problem. The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is one of the most typical corruption that occurs the distrust of the legal process and the officials. The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is found only in China and Nigeria, and it does not exist in the other states. Surveys shows that the reliability of the judicial system in Korea is only 27%, and it is ranked on 39th among the 42 states in OECD. The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is also found in the field of similar certificates to the legal professional. The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causes the public sector corrupted, leading to illegal solicitations and executions by them. As a result, a person who can pay for a tax accountant, a patent attorney receives preferential treatment, while a person who cannot is discriminated. Attorney-at-Law Act provides that an attorney-at-law retired from public office shall not accept cases handled by the agency where he or she has worked and is required to the information of the cases that he or she accepted, and the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is regulating a tax accountant who resigned as a public official with new rules, including the prohibition on advertising any connections to the offices, but it is difficult to settle the problem of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only by those legislative methods. In order to find the fundamental solution, this paper will review the phenomenon of the preferential legal treatment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in the acquisition process of the certificates and the solution to eradicate it, after looking into the history of the similar certificates to the legal profession, concentrating on the tax accountant and the patent attorney among the similar certificates to the legal professional. 법과 관련된 직무에 종사하는 판사, 검사, 변호사를 법조인이라고 하고, 법조 유사직역 자격사는 법과 관련된 업무를 하는 세무사, 공인회계사, 변리사, 법무사, 행정사, 관세사, 공인노무사 등을 말한다. 법조 유사직역 자격사는 변호사가 수행하는 업무의 일부분을 맡고 있다. 판사, 검사에서 퇴직하여 개업한 변호사에 대하여 수사·재판의 절차·결과에서 마치 퇴임 전의 지위와 마찬가지로 대우를 해주는 전관예우의 문제가 심각하다. 법조인의 전관예우는 사법작용과 공직사회에 대하여 불신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비리라고 할 수 있다. 법조인의 전관예우는 중국과 나이지리아에서 행해지고 있을 뿐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사법신뢰도는 27%로 OECD 42개국 중에서 39위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런 전관예우는 법조 유사직역 자격사에게도 존재한다. 전관예우는 부정한 청탁과 그에 따른 직무수행으로 이어지게 되어 공직사회의 부패를 야기한다. 그 결과 돈이 있어서 전관예우를 받을 수 있는 세무사나 변리사 등에게 대리를 위임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 있는 사람은 우대를 받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차별을 받게 된다. 이를 개선하고자 변호사법에서는 공직퇴임변호사의 사건수임 제한과 수임자료 등의 제출의무를 부과하지만 제재수단이 없어 실효성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고, 세무사법 역시 공직퇴임세무사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고 연고관계 선전금지 의무를 부과하고 있지만, 이런 제도적 방안만으로는 전관예우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하여 먼저 법조 유사자격사 제도의 연혁을 살피고, 그 자격취득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관예우의 현상과 근절방안에 관하여 검토한 후 법조 유사자격사 중 세무사와 변리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전관예우의 정치경제학

        이상학 한국공공선택학회 2017 The Korean Public Choice Society Vol.5 No.1

        고위 공직을 지낸 퇴직 관료가 재직 시에 쌓은 인맥과 내부 정보 및 영향력을 활용하여 민간기업 등 의 이해당사자가 이익을 챙기게 도와주고 그 대가를 받는 것을 “전관예우”(前官禮遇)라고 한다. 이 글은 전관예우를 지대추구행위의 한 과정으로 해석하며, 전관예우 명칭이 지닌 문제점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본다. Korean society is plagued with proliferation of “special treatment for former officials”, or the privileges for the former officials. The retired officials in Korea can enjoy high monetary and non-monetary remunerations in return for their services connecting special interest groups with incumbent officials in charge of the matters. This note argues that such practice is simply a part of rent-seeking activities. This note also proposes a new word that reflects reality of such special treatment of retired officials as the “collusive ties, or cozy relations, between former and incumbent officials”.

      • KCI등재

        헌법문제로서의 전관예우 방지

        한상희(Han, Sang Hie) 한국헌법학회 2011 憲法學硏究 Vol.17 No.4

        우리 국가영역에서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상중의 하나가 전관예우이다. 국가적 의사결정의 과정에 깊이 관여하던 공무원이 그 직을 그만 두자마자 사적 이익의 대리인이 되어 이 정책과정에 되돌아오는 현상은 공적 업무를 사적 이익에 종속시키고 따라서 국가작용을 사유화하는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개발독재식의 산업화과정에서 관료체제가 주된 정책결정주체로 정착되어온 우리의 역사적 경험은 이런 전관예우가 야기하는 심각한 헌법적 문제를 암시한다. 그것은 사적 이익이 공적 이익을 대체하기 위하여 법치주의를 형해화시킬 뿐 아니라 정책결정과정을 인적 연고에 의하여 폐쇄적으로 운영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에 반한다. 뿐만 아니라 공익의 고려는 애초부터 배제하게 된다. 이에 우리 사회는 전관예우를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입법을 행하였다. 사법부문에서의 전직법관·검찰관의 전관예우를 막기 위해 개정된 변호사법은 전직 법원·검찰청의 사무를 일정기간 동안 취급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또 공직자윤리법은 취업제한의 방식을 취하되 일정한 경우 행위제한도 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이런 법률적 조치만으로는 사회구조적 현상으로서의 전관예우가 원천적으로 없어지기 어렵다. 이에 이 글은 로비를 양성화하는 법제의 마련과 함께 사법의 민주화를 중심으로 하는 사법개혁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retired officials who comes to his former office through revolving doors as soon as he retires the office, are usually seeking somewhat preferential treatments by their former colleague officials for the private interests that they represent. They are trying to mobilize the personal networks that they have made and accumulated during they were in offices and transfer those networks into the platforms on which their clients could pursue their private interests at the cost of the public interests. The problem is that such behaviors have been structured as habitus of the public policy processes in Korea. The revolving doors phenomena tend to privatize the power of the public so that the public policy processes are dominated by the arbitrary exercise of public authorities. It tends to shut down so many channels which used to be open to the society in policy making process, which can significantly harm the democratic process of policy making that should be actively operated in the policy processes. It can lessen the possibility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s well, because the processes can be effectively concealed behind the personalized network of the officials. The public interest and/or virtu will be significantly diminished by such a privatized processes. In order to stop such mal-practice of the revolving doors, this paper tries to introduce the legalization of political lobby system, according to which every lobby activities should be reported to the public who will oversee the process of the lobbying. As to the judicial branch, the most effective way of prevent the mal-practices is democratization of the judicial processes. Democratic check by the people is the best and the only method to stop the harmful effects of the revolving doors phenomena.

      • 전관예우의 정치경제학

        이상학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소(구 안동대학교 한국공공선택학연구소) 2017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 Vol.5 No.1

        고위 공직을 지낸 퇴직 관료가 재직 시에 쌓은 인맥과 내부 정보 및 영향력을 활용하여 민간기업 등 의 이해당사자가 이익을 챙기게 도와주고 그 대가를 받는 것을 “전관예우”(前官禮遇)라고 한다. 이 글 은 전관예우를 지대추구행위의 한 과정으로 해석하며, 전관예우 명칭이 지닌 문제점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본다. Korean society is plagued with proliferation of “special treatment for former officials”, or the privileges for the former officials. The retired officials in Korea can enjoy high monetary and non-monetary remunerations in return for their services connecting special interest groups with incumbent officials in charge of the matters. This note argues that such practice is simply a part of rent-seeking activities. This note also proposes a new word that reflects reality of such special treatment of retired officials as the “collusive ties, or cozy relations, between former and incumbent officials”.

      • KCI등재

        전관예우 균형

        김도영 한국재정학회 2020 재정학연구 Vol.13 No.2

        우리나라에서 전관예우라는 현상을 만들어내는 관료와 기업의 유착은 명시적이고 불법적인 담합이라기 보다는 합법과 불법의 경계에서 회전문 취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암묵적 담합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감독기관 관료와 기업의 유착을 관료의 감독노력과 더불어 모형화하고, 전관예우가 언제 어떻게 균형에서 나타나는지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모형에는 전관예우는 없으나 감독노력이 낮은 균형, 전관예우가 있으면서 감독노력이 낮은 균형, 그리고 전관예우가 있지만 감독노력이 높은 균형이 존재한다. 본고는 이 균형들의 비교를 통해 전관예우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는지, 만약 바람직할 수 있다면 언제 그리고 왜 바람직한지 밝혀 전관예우와 관련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In Korea, the coalition between bureaucrats and firms that create the phenomenon of courtesy to formal officials is not an explicit and illegal collusion, but rather an implicit collusion through the employment of a revolving door at the legal-illegal border. This paper reflects these characteristics and models the coalition between supervisory bureaucrats and firms, along with the bureaucratic oversight effort, and theoretically studies how and when the courtesy to formal officials appears in equilibrium. In the model, there exist three types of equilibria: an equilibrium with no courtesy to formal officials and low oversight effort, an equilibrium with the courtesy and low oversight effort, and an equilibrium with the courtesy and high oversight effort. This paper compares these equilibria to see whether the courtesy to formal official can be socially desirable, and when and why it is desirable,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법조비리 근절방안 모색 - 전관예우 방지를 중심으로 -

        서보학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4

        A judicial officer corruption, especially the privileges of former post which distorts judicial action by conspiring between the incumbent judicial officials and lawyers from former judicial officials, brought extreme distrust on Korean judicial system. As long as the public judicial distrust continues, it is obvious that nomocracy(rule of law) can not be established. As the privileges of former post have not eradicated only with the self-purification efforts of the judicial officials, now it is time to arrange a reasonable reform plan and accomplish this by agreement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the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Following are the significant countermeasure suggesting for eradication of legal professionals’ corruption. First, practice of a lawyer of upper law bureaucrat(supreme courtjustice, constitutional courtjustice, state attorney general, chief judge of a high court and higher than inspection level)should be banned. This action is beyond its means(This is a very symbolic action). Judges and prosecutors who want High-ranking post should make choice between ‘honor and wealth’ by themselves. Second, a more fundamental approach is that practice of a lawyer of judge and prosecutor should be banned to prevent discharge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by adopting lifetime judge and prosecutor system. To do this, extending retirement age of judge and prosecutor to 70 and abolishing promotion system within the court and the prosecution is needed. Judges and prosecutor who are free from promotion and retirement are expected to perform freely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fluence. Third, foundation of special investigation agency is necessary to investigate corruption of judges and prosecutors dependently. Fourth, authority of prosecution which the lobby is concentrated in criminal cases should be reduced due to monopoly of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and the prosecution should be set up as prosecution agency. Fifth, law distortion crime which can punish corruption of judges and prosecutors should be established in criminal law and also, regulation that suspend or exclude the proceedings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regarding action of distorting the law must be established. Sixth, a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without difficulty are the following. After retirement of judges and prosecutors, extend restriction on acceptance of case from 1 year to 3 years and make criminal punishment possible for the act of not issuing the attorney. Moreover, if a judge or prosecutor contacts concerned person, it should be mandatory to report it. Also, organization and authority of Legal Ethics and Professional Conduct Council should be intensified. at the same time human composition of former judicial officials should be diversifi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unishment regarding corruption of lawyers in Korean Bar Association. 법조비리 특히 전관출신 변호사들이 현관과 결탁하여 사법작용을 왜곡시키는 전관예우는 우리나라 사법체계에 대한 극도의 불신을 가져왔다. 서울지방변호사회가 2014년 7월 실시한 회원들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한 변호사 1,101명 중 89.5%가 전관예우가 실제 존재한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법원·검찰 출신 변호사 176명 중 64.7%가 전관예우의 관행이 존재한다고 응답하였다. 또 응답자의 80%는 앞으로도 전관예우는 없어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국민들의 사법불신이 계속되는 한 법치주의가 바로 설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법조인들의 자정노력만으로 전관예우가 근절되지 않고 있는 만큼 이제는 국회, 정부, 시민단체들이 뜻을 모아 합리적인 개혁안을 마련하고 그 개혁안을 관철시킬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법조비리 근절을 위해 제시한 중요한 대책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위직 사법관료(대법관, 헌법재판관, 검찰총장, 고등법원 부장판사 및 검사장급 이상의 고위직)의 변호사 개업을 금지시켜야 한다. 이는 상징성이 매우 큰 조치이다. 고위직으로 출세하려는 판사·검사들에게는 ‘명예와 부’ 사이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보다 근본적인 방안은 전관이 배출되지 않도록 평생 판사·검사제도를 도입하여 판사·검사의 중간 변호사 개업을 금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판사·검사의 정년을 70세까지 연장해 주고 법원·검찰 내 승진제도를 폐지하여야 한다. 승진에서 자유롭고 정년이 보장된 판사·검사들은 외부 및 내부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운 업무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판사·검사들의 비리를 독립해서 수사할 수 있는 특별수사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넷째, 수사권·기소권을 독점하고 있음으로 인해 형사사건에서 로비가 집중되고 있는 검찰의 권한을 축소하고 검찰을 공소기관으로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판사·검사들의 비리를 처벌하는 법왜곡죄를 형법에 신설하고 법왜곡 행위에 대한 공소시효의 진행을 정지 또는 배제하는 규정을 신설해야 한다. 여섯째, 손쉽게 시행이 가능한 제도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판사·검사들의 퇴직 후 사건수임제한을 현재 1년에서 3년으로 확대해야 하고, 변호인 선임서 미제출행위에 대해 형사처벌이 가능하도록 하고, 판사·검사가 이해관계인을 접촉한 경우 신고를 의무화하여야 한다. 또한 법조윤리협의회의 권한과 조직을 강화하는 동시에 전관 다수의 인적 구성을 더 다양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변호사협회에서 비리 변호사에 대한 징계를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